KR102232861B1 -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861B1
KR102232861B1 KR1020200097881A KR20200097881A KR102232861B1 KR 102232861 B1 KR102232861 B1 KR 102232861B1 KR 1020200097881 A KR1020200097881 A KR 1020200097881A KR 20200097881 A KR20200097881 A KR 20200097881A KR 102232861 B1 KR102232861 B1 KR 10223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xtension
circumferential surface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철
Original Assignee
더본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본테크(주) filed Critical 더본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097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6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fo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5/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삽입되는 버티컬 유닛; 버티컬 유닛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며, 수평을 유지하며 맨홀 내부에 삽입되는 호리젠탈 유닛; 및 버티컬 유닛과 호리젠탈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조인트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pipe diameter by adjusting length of extend}
본 발명은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맨홀의 내부로 삽입되어 맨홀 내부의 직경과 관로의 직경 측정 시 길이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며, 맨홀 내부로 인력이 들어가지 않고 측정장치의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하수관로 시설물은 하수를 처리하기 전에 수집 및 이동하는 매우 핵심적인 사회 시반 시설물로서 문제가 발생할 시, 환경적인 문제와 함께 악취, 위생문제와 같은 불편뿐만 아니라 도로침하의 원인으로도 작용하여 시민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설이다. 이러한 하수관로는 공적인 하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물로서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필요로 한다.
맨홀은 하수관로 내의 점검, 청소, 장해물의 제거, 보수 등을 위한 장비 및 사람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악취 및 부패성 가스의 환기 등을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하수관로의 접합을 위해 설치하는 하수도 시설물이다.
맨홀은 지하로 매설됨에 따라 시공 후 맨홀 내로 들어가 조사를 해야 하는 불편과 번거로움 및 밀폐공간에서의 안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유인 작업의 경우, 안전성과 보수 작업에 대한 시간에 따른 비용이 소요됨으로 인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이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들어가 작업해야 하는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 측정자(등록번호 제10-1163116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경 측정자에 관한 것으로서, 지상과 수직으로 하강하여 하수관 내부의 높이를 측정하는 내부틀; 내부틀의 외측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일측면에 눈금표시가 구비된 외부틀; 및 하수관 상부의 지면과 수평으로 밀착되어 외부틀을 고정시키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내부틀 하단에 하수관경 측정자를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하수관으로 들어가지 않고 하수관 깊이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의 폭 및 하수관을 관통하는 파이프의 관경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등록번호 제10-0893728호, 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하수관 검사시 L자 스타프를 이용하여 하수관의 관저고와 관경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하수관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의 경우, 하수관의 관저고, 관경 등의 측정시 관의 상단측 및 하단측과 정확히 직각을 유지하면서 측정을 할 수 있는 L자 스타프를 이용하여 관경은 물론 관저고 등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측정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하수관의 각종 상태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검사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하수관의 내부 촬영을 위한 카메라, 깊이 측정을 위한 레이저 장비, 수평 확인을 위한 수평계, 토사량 확인을 위한 심도측정기 등과 같은 부속장비를 구비함으로써, 하수관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등록번호 제10-1664998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는,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직각을 이루며 결합되는 상측프레임;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총심도측정프레임; 상측프레임의 하방에서 상측프레임에 평행하게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토피거리측정프레임; 토피거리측정프레임의 하방에서 토피거리측정프레임에 평행하게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내경프레임; 상측내경프레임의 하방에서 상측내경프레임에 평행하게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내경프레임; 수직프레임 또는 상측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측정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 상측프레임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연장프레임; 상측내경프레임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내경연장프레임; 및 하측내경프레임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내경연장프레임을 포함하며, 버니어캘리퍼스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맨홀의 토피거리, 변실크기, 총심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맨홀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되는 하수관의 직경, 관상고, 관분기 방향 등을 측정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들 특허문헌들의 경우, 사람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관로의 관경, 관로의 깊이들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동된 기술의 시도를 하고 있지만, 관로의 경우 맨홀로부터 다양한 깊이와 너비로 접합되어 형성되며, 내부를 카메라나 레이저로 측정하기 전 미리 관경이 측정되어야 하는 기초작업인 점에서 그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수평을 측정하는 장치가 일측으로만 형성되는 경우, 관경에 대한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 질 수 있으며, 정확한 관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내부로의 출입 등을 통한 확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등록번호 제10-1163116호 등록번호 제10-0893728호 등록번호 제10-1664998호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관로의 직경을 따라 연장되되 다단으로 내포되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선택적인 조절을 통해 연장되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 고정력과 압력력을 구비하도록 하여 고정되며, 이물질로부터 보호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은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삽입되는 버티컬 유닛(vertical unit); 상기 버티컬 유닛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며, 수평을 유지하며 맨홀 내부에 삽입되는 호리젠탈 유닛(horizontal unit); 및 상기 버티컬 유닛과 상기 호리젠탈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조인트 유닛(joint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조인트 유닛은, 상기 버티컬 유닛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 연결부; 및 상기 호리젠탈 유닛을 일단과 타단에 고정하도록 하는 측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버티컬 유닛은, 내부에 제공되며,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며, 상하 이동하여 수직 방향 길이 연장 가능하도록 하는 뎁스 익스텐션(depth extens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호리젠탈 유닛은, 내부에 제공되며,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며, 좌우 이동하여 수평 방향 길이 연장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드 익스텐션(width extens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뎁스 익스텐션부는, 하부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걸림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티컬 유닛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걸림홀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턱부가 상기 걸림홀에 인접하면 상기 걸림턱부가 상기 걸림홀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호리젠탈 유닛은,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가 일정한 직경 간격으로 다단으로 내포되어 제공되며, 수평 방향 연장 시 그 길이의 연장과 축소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는, 다단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 각각의 타단에 제공되며, 탄성력을 구비하여 각각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내주면이 각각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 외주면을 압박하여 고정력을 형성시키는 프레싱(press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프레싱부는, 내주면에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패턴은, 제1 내주면과 제2내주면에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진행방향 대비 소정의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는, 외주면에 상기 프레싱부의 제1내주면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울어짐 각과 상기 패턴이 서로 스크레칭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상기 버티컬 유닛과 상기 호리젠탈 유닛에 일정한 간격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맨홀의 깊이와 너비를 표시하도록 하는 스케일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호리젠탈 유닛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관로의 내주면을 압박하면, 압박 시 연장된 상기 익스텐션부 상에 제공된 상기 스케일부에 마크하여 상기 관경의 길이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마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버티컬 유닛은,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넥(neck)부를 포함하되, 상기 넥부는, 플랙시블하게 제공되어 상기 버티컬 유닛이 틸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넥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무빙부; 상기 무빙부를 소정 인입시키며 상기 무빙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서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무빙부의 이격을 제어하며 상기 무빙부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조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연장되도록 하되, 다단 내포됨을 통해 신축이 자유롭게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되, 양측의 방향으로의 인출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관로의 다양한 길이에 대해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프레싱부를 구비하여 길이 연장에 따른 고정력을 형성하며, 패턴이 구비되어 패턴을 통해 외주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 유닛과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사용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이 맨홀의 내부에 장입되어 관경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 유닛에 형성된 걸림턱부와 걸림홀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호리젠탈 유닛과 와이드 익스텐션부 타측에 형성된 프레싱부와 프레싱부 내주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 유닛에 형성된 넥부의 사용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프레싱부와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사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 유닛과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사용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이 맨홀의 내부에 장입되어 관경을 측정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 유닛에 형성된 걸림턱부와 걸림홀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호리젠탈 유닛과 와이드 익스텐션부 타측에 형성된 프레싱부와 프레싱부 내주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 유닛에 형성된 넥부의 사용도와 부분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프레싱부와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사용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버티컬 유닛(100), 호리젠탈 유닛(200), 조인트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수관의 내부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하수관의 관경과 같은 기본사양을 측정하는 작업이 필수적인데, 기본사양 측정을 위해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작업임에도 종래의 많은 관경을 측정하는 방식은 관경의 상태에 따라 측정값에 많은 오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측정값에 대하여 신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 유닛(100)의 경우,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삽입될 수 있다.
버티컬 유닛(100)은 몸체를 형성하며,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맨홀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데, 이때, 버티컬 유닛(100)이 몸체를 형성하여 기립되어 맨홀에 장입되며 후술할 호리젠탈 유닛(200)과 조인트 유닛(300)도 함께 맨홀에 장입되어 진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리젠탈 유닛(200)의 경우, 버티컬 유닛(100)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며,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며 맨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호리젠탈 유닛(2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을 유지하며 맨홀에서 관로가 구비된 지점까지 또한, 측정하고자 하는 관로가 설치된 지점까지 장입되어 관로의 관경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인트 유닛(30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티컬 유닛(100)과 호리젠탈 유닛(200)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조인트 유닛(300)은 버티컬 유닛(100)의 하부와 호리젠탈 유닛(200)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연결을 통해 버티컬 유닛(100)과 호리젠탈 유닛(200)이 함께 맨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관로의 관경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조인트 유닛(300)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연결부(301)와 측부 연결부(302)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연결부(301)의 경우, 버티컬 유닛(100)의 하부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측부 연결부(302)의 경우, 양 측에 배치되어 호리젠탈 유닛(200)을 일단과 타단에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연결부(301)와 측부 연결부(302)를 통해 연결된 버티컬 유닛(100)과 호리젠탈 유닛(200)은 하나의 관경 측정 시스템으로 형성되어 맨홀 내부에 장입되어 내부 관로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조인트 유닛(300)은 하나의 몸체에 버티컬 유닛(100), 호리젠탈 유닛(200)이 고정되도록 하는 3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홀을 통해 버티컬 유닛(100)과 호리젠탈 유닛(200)을 통과시키고 접합시켜 버티컬 유닛(100)과 호리젠탈 유닛(200)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연결부(301)는 버티컬 유닛(100)과의 연결을 통해 수직 방향의 장방향의 몸체와 연결되며, 측부 연결부(302)는 양 측에 호리젠탈 유닛(200)의 연결을 통해 수평 방향의 몸체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리젠탈 유닛(200)은 조인트 유닛(300)의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으로 형성되어 직접적으로 관로의 직경을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양측으로 형성되는 호리젠탈 유닛(200)은 동일한 길이로 조인트 유닛(300) 중 측부 연결부(302)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 유닛(10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되어 인출되며, 수직 장방향으로 길이 연장 가능하도록 하는 뎁스 익스텐션(110, depth extension)부를 포함할 수 있다.
뎁스 익스텐션부(110)는, 버티컬 유닛(10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맨홀의 깊이에 따라 인출되어 질 수 있으며, 버티컬 유닛(100)의 기립 방향 즉, 맨홀에 삽입되어지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자연스러운 길이 연장과 축소를 위하여 버티컬 유닛(100)은 내부에 버티컬 유닛(10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뎁스 익스텐션부(110)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뎁스 익스텐션부(110)가 버티컬 유닛(10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길이 연장되는 경우, 버티컬 유닛(100)의 내주면은 뎁스 익스텐션부(110)의 외주면을 압박할 수 있으며, 버티컬 유닛(100)의 압박을 통해 슬라이딩 시 내부 또는 외부로의 이격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호리젠탈 유닛(200)의 경우, 내부에 수납되어 인출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단과 타단이 관로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 width extension)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경우, 호리젠탈 유닛(200)에 수납되어 있으며 관경에 따라 인출되어 질 수 있다.
이때, 호리젠탈 유닛(200)이 수평 방향을 유지하고 있는 방향으로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며, 관로의 직경 측정을 위하여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일단과 타단이 관로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호리젠탈 유닛(200)에 수납된 와이드 익스텐션부(210)는 호리젠탈 유닛(200)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고 수납되어야 하며, 와이드 익스텐션부(210)는 슬라이딩 되어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은 슬라이딩 시 호리젠탈 유닛(200)의 내부로부터 슬라이딩되며, 슬라이딩을 통해 확장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드 익스텐션부(210)가 슬라이딩 되는 경우, 호리젠탈 유닛(200)의 내주면이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외주면을 압박하며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박을 통해 슬라이딩 시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뎁스 익스텐션부(110)는, 하부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걸림턱부(111)를 포함하되, 버티컬 유닛(100)의 소정의 위치에 걸림홀(101)을 구비하여 걸림턱부(111)가 걸림홀(101)에 인접하면 걸림턱부(111)가 걸림홀(10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뎁스 익스텐션부(110)는 걸림턱부(111)를 포함하며, 이러한 걸림턱부(111)는 뎁스 익스텐션부(110)의 길이 방향 연장에 대한 조절과 버티컬 유닛(100)으로부터의 좌우 움직임에 대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길이 방향 연장에 대한 조절은 버티컬 유닛(100)에 포함되는 걸림홀(101)을 통해 걸림턱부(111)가 걸림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버티컬 유닛(100)에 구비되는 걸림홀(101)은 뎁스 익스텐션부(110)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턱부(111)가 걸림홀(101)에 걸림으로 좌우 움직임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걸림턱부(111)는 약간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질 수 있는데, 버티컬 유닛(100)의 내부에 내포되는 경우, 외주면의 형성된 버티컬 유닛(100)의 압박으로 인하여 걸림턱부(111)는 돌출된 형태를 내포하고 있으며 걸림홀(101)에 가까워지면, 걸림홀(101)을 통해 걸림턱부(111)의 돌출된 형태가 나옴으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걸림턱부(111)의 돌출된 형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돌출된 형태의 버튼이 걸림홀(101)에 걸림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걸림턱부(111)의 돌출된 형태의 버튼은 뎁스 익스텐션부(110)가 버티컬 유닛(10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는 눌려 있지만, 걸림홀(101)을 만나게 되면 돌출되어 걸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호리젠탈 유닛(200)은, 와이드 익스텐션부(210)가 일정한 직경 간격으로 다단으로 내포되어 제공되며, 수평 방향 연장 시 그 길이의 연장과 축소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호리젠탈 유닛(200)은 내부에 복수 개의 와이드 익스텐션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연장과 축소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호리젠탈 유닛(200)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는 조인트 유닛(30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호리젠탈 유닛(200)이 형성되고 와이드 익스텐션부(310)가 연장되고 축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와이드 익스텐션부(310)가 연장되고 축소됨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와이드 익스텐션부(310)는 축소와 연장에 대한 늘어나고 줄어듬이 양 방향이 선택적으로 늘어나고 줄어들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인트 유닛(300)을 중심으로 양 측이 각각 다른 길이로 줄어들고 늘어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경우, 다단의 와이드 익스텐션부(210) 각각의 타단에 제공되며, 탄성력을 구비하여 각각의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내주면이 각각의 와이드 익스텐션부(210) 외주면을 압박하여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프레싱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싱부(220)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 각각 중, 장반경의 내주면은 단반경의 외주면에 접촉 슬라이딩되어 그 길이의 확장과 축소가 이루어지되,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장반경의 내주면이 단반경의 외주면을 압박하여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싱부(220)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타단에 제공되어 후속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타단과 접촉하며, 슬라이딩 되는 경우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슬라이딩 제공과 동시에 후속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지속적 압박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이 끝난 경우 프레싱부(220)는 후속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일단과 접촉하고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일단을 압박하여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장되는 슬라이딩과 반대로 축소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진 후, 외측에 형성된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내주면의 타단이 후속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외주면의 타단을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프레싱부(220)는 고정력을 제공하여 와이드 익스텐션부(210)가 연장된 경우 그 연장된 길이를 고정시키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프레싱부(220)는, 내주면에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되, 다수의 패턴은, 제1 내주면과 제2내주면에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진행방향 대비 소정의 기울어짐 각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싱부(220)의 외주면은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고정되며, 내주면은 후속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데, 이때,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프레싱부(220)의 내주면은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다수의 패턴은 제1내주면과 제2내주면은 서로 상이한 기울어짐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내주면은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진행방향 대비 오른쪽으로 약 10도 기울어짐을 유지하며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어지면, 제2내주면은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진행방향 대비 왼쪽으로 약 10도 기울어짐을 유지하여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어 질 수 있으며 기울어짐에 대한 각도는 10도 20도 30도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기울어짐에 대한 각도는 같은 각도를 유지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같은 각도를 유지하며 패턴이 같은 너비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진행방향은, 외측에 형성된 와이드 익스텐션부(210)로부터 후속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확장과 축소에 대한 진행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와이드 익스텐션부(2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프레싱부(220)의 제1내주면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되,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울어짐 각과 프레싱부(220)의 패턴이 서로 스크레칭되도록 할 수 있다.
와이드 익스텐션부(210) 또한, 외주면에 프레싱부(220)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형성한 스크레치를 형성할 수 있다.
기울어짐 각이 동일함으로 인하여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확장과 축소 시, 진행방향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서로 스크레칭(scratching)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에 형성된 스크레치가 프레싱부(220)의 패턴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스크레치와 패턴이 서로 접촉하며 접촉한 스크레치와 패턴은 서로를 압박을 지속하며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확장과 축소가 이루어지며, 확장 및 축소 중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외주면에 낀 이물질등을 긁어내어 줄 수 있다.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스크레치와 프레싱부(220)의 패턴의 기울어짐 각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 압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레치와 프레싱부(220)의 패턴은 서로 엇갈리며 압력을 가해준다고 해도 외주면에 낀 이물질을 긁어내 주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진행방향에 대한 프레싱부(220)의 패턴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에 대한 스크레치의 기울어짐 각도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싱부(220)의 제2내주면은 이와는 반대되는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축소 시 이물질이 내부로 함께 들어가도록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프레싱부(220) 제2 내주면에 형성된 패턴의 기울어짐 각이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기울어짐 각과 동일하다고 한다면, 스크레치에 남아 있는 이물질 등이 와이드 익스텐션부(210)의 내부로 함께 들어와 와이드 익스텐션부(210)가 확장되고 축소됨에 대한 고장으로 이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은, 버티컬 유닛(100)과 호리젠탈 유닛(200)에 일정한 간격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어, 맨홀의 깊이와 너비를 표시하도록 하는 스케일부(400)를 더 포함하되, 호리젠탈 유닛(200)의 일단과 타단이 관로의 내주면을 압박하면, 압박 시 연장된 와이드 익스텐션부(210) 상에 제공된 스케일부(400)에 마크하여 관경의 길이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마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관경 측정 시스템을 통해 관로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버티컬 유닛(100)과 호리젠탈 유닛(200)에는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표시를 통해 길이에 대한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스케일부(400)를 통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스케일부(400)는 버티컬 유닛(100)과 호리젠탈 유닛(200)의 외주면에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육안으로의 확인을 통하여 길이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크부(230)의 경우, 와이드 익스텐션부(210) 가 늘어난 길이만큼을 표시해 주는 것으로 스케일부(400)에 표시함을 통해 관경 측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마크부(230)가 표시한 관경의 길에 대한 정보에 대한 표시는 일정 기간만큼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정 기간 유지된 정보를 통해 관로의 직경에 대한 비교와 여러 번의 측정을 통한 정확한 데이터를 얻어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 유닛(10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넥(neck)부(120)를 포함하되, 넥부(120)는, 플랙시블하게 제공되어 버티컬 유닛(100)이 틸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넥부는, 몸체를 형성하는 무빙부(122), 무빙부(122)를 소정 인입시키며 내주면이 무빙부(122)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헤드부(123); 및 헤드부(123)의 하부에서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무빙부(122)의 이격을 제어하며 무빙부(122)를 가압하여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조임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부(122)는 몸체를 형성하며, 좌우로의 움직임을 제공하며, 좌우 움직임을 통해 넥부(120)의 플랙시블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부(120)의 플랙시블한 움직임은 무빙부(122)의 움직임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23)는 무빙부(122)를 소정 내포하고 있으며,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무빙부(122)가 모자를 쓴 것과 같은 모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123)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태에서 하부가 잘린 형태로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를 가지며 비어 있는 공간으로 무빙부(122)를 내포하게 되는 것이며, 헤드부(123)의 내주면은 무빙부(122)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임부(121)는 헤드부(123)의 하부에 배치되어 헤드부(123)로부터 무빙부(122)가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무빙부(122)는 헤드부(123)의 내부에서의 좌우 움직임만이 가능하도록 하며, 헤드부(123)로부터 이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조임부(121)의 고정력을 통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버티컬 유닛
110: 뎁스 익스텐션부
111: 걸림턱부
101: 걸림홀
120: 넥부
121: 헤드부
122: 무빙부
123: 고정부
200: 호리젠탈 유닛
210: 와이드 익스텐션부
220: 프레싱부
230: 마크부
300: 조인트 유닛
301: 하부 연결부
302: 측부 연결부
400: 스케일부

Claims (10)

  1. 수직 장방향으로 형성되며, 맨홀 내부에 기립되어 삽입되는 버티컬 유닛(vertical unit);
    상기 버티컬 유닛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제공되며, 수평을 유지하며 맨홀 내부에 삽입되는 호리젠탈 유닛(horizontal unit); 및
    상기 버티컬 유닛과 상기 호리젠탈 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하는 조인트 유닛(joint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조인트 유닛은,
    상기 버티컬 유닛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 연결부; 및
    상기 호리젠탈 유닛을 일단과 타단에 고정하도록 하는 측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리젠탈 유닛은,
    내부에 제공되며,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며, 좌우 이동하여 수평 방향 길이 연장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드 익스텐션(width extens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컬 유닛은,
    내부에 제공되며,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며, 상하 이동하여 수직 방향 길이 연장 가능하도록 하는 뎁스 익스텐션(depth extens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뎁스 익스텐션부는,
    하부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걸림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티컬 유닛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걸림홀을 구비하여 상기 걸림턱부가 상기 걸림홀에 인접하면 상기 걸림턱부가 상기 걸림홀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리젠탈 유닛은,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가 일정한 직경 간격으로 다단으로 내포되어 제공되며, 수평 방향 연장 시 그 길이의 연장과 축소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는,
    다단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 각각의 타단에 제공되며, 탄성력을 구비하여 각각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내주면이 각각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 외주면을 압박하여 고정력을 형성시키는 프레싱(press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부는,
    내주면에 다수의 패턴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패턴은,
    제1 내주면과 제2내주면에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진행방향 대비 소정의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는,
    외주면에 상기 프레싱부의 제1내주면에 형성된 패턴과 동일한 기울어짐 각을 형성하되,
    상기 와이드 익스텐션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울어짐 각과 상기 패턴이 서로 스크레칭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버티컬 유닛과 상기 호리젠탈 유닛에 일정한 간격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맨홀의 깊이와 너비를 표시하도록 하는 스케일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호리젠탈 유닛의 일단과 타단이 관로의 내주면을 압박하면, 압박 시 연장된 상기 익스텐션부 상에 제공된 상기 스케일부에 마크하여 상기 관경의 길이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마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KR1020200097881A 2020-08-05 2020-08-05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KR10223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881A KR102232861B1 (ko) 2020-08-05 2020-08-05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881A KR102232861B1 (ko) 2020-08-05 2020-08-05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861B1 true KR102232861B1 (ko) 2021-03-26

Family

ID=7525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881A KR102232861B1 (ko) 2020-08-05 2020-08-05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089B1 (ko) 2023-07-06 2023-11-10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503A (ja) * 1997-09-22 1999-04-09 Kokusai Kogyo Co Ltd 深さ測定器
KR200403983Y1 (ko) * 2005-09-15 2005-12-19 이용호 배관길이 측정용 타겟
KR100893728B1 (ko) 2008-05-16 2009-04-17 김규현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163116B1 (ko) 2012-01-18 2012-07-06 한진정보통신(주)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 측정자
KR101332936B1 (ko) * 2013-03-05 2013-11-26 송문재 안전 지팡이
KR101664998B1 (ko) 2014-12-03 2016-10-11 (주)미르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503A (ja) * 1997-09-22 1999-04-09 Kokusai Kogyo Co Ltd 深さ測定器
KR200403983Y1 (ko) * 2005-09-15 2005-12-19 이용호 배관길이 측정용 타겟
KR100893728B1 (ko) 2008-05-16 2009-04-17 김규현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163116B1 (ko) 2012-01-18 2012-07-06 한진정보통신(주)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 측정자
KR101332936B1 (ko) * 2013-03-05 2013-11-26 송문재 안전 지팡이
KR101664998B1 (ko) 2014-12-03 2016-10-11 (주)미르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1089B1 (ko) 2023-07-06 2023-11-10 신진유지건설 주식회사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원격 콘트롤을 위한 레버리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57042A1 (en) System for scanning, mapping and measuring conduits
KR102232861B1 (ko)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US20140132965A1 (en) Method for measuring cracks remotely and device thereof
KR101764640B1 (ko) 영상 기반 휴대용 표면 균열 측정 장치
KR20070000032A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CN102506737A (zh) 管道检测装置
ATE532033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aktualposition eines geodätischen instrumentes
KR20060136002A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US6209210B1 (en) Leveling rod
CH658921A5 (it) Procedimento di rilevamento stereofotogrammetrico di oggetti di grandi dimensioni in mare e su terraferma.
KR20180057155A (ko) 터널의 변위측정장치
KR102347965B1 (ko) 굽힘 각도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KR100458290B1 (ko)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구조물의 변위량 측정방법
KR100948293B1 (ko) 도통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도통 측정 방법
JP5268179B2 (ja) 伸縮長表示式測量用標尺
KR200399594Y1 (ko) 2차원 터널 변형 자동계측장치
KR102232580B1 (ko)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KR101796078B1 (ko) 항만시설용 침하 및 재해 감시 설비
CA2736826C (en) System for scanning, mapping and measuring conduits
WO2009102554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asure features in a conduit
KR102364861B1 (ko) 선택적 수평 조절에 따른 내부 트래킹 정보를 통한 매설 파이프 관경 측정 시스템
CN210483749U (zh) 一种可视二衬模筑系统
KR100866637B1 (ko) 도로 구조물 측벽 안전진단장치
KR100812127B1 (ko)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JP2011043464A (ja) 変位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