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580B1 -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580B1
KR102232580B1 KR1020200101771A KR20200101771A KR102232580B1 KR 102232580 B1 KR102232580 B1 KR 102232580B1 KR 1020200101771 A KR1020200101771 A KR 1020200101771A KR 20200101771 A KR20200101771 A KR 20200101771A KR 102232580 B1 KR102232580 B1 KR 10223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
inner sphere
link uni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철
Original Assignee
더본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본테크(주) filed Critical 더본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10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G01B5/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internal di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01B3/08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extensi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은, 맨홀 내부에 장입되어, 맨홀 내 연결된 관로의 직경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 유닛; 링크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며, 맨홀 내부와 평행을 유지하는 제1로드 유닛; 및 링크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어 임의 각도 조절에 대한 틸팅을 형성하는 제2 로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Description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System for measuring pipe diameter by using selective tension function}
본 발명은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내부 측정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장치의 틸팅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맨홀의 상황과 관로의 환경에 따라 장치의 각도를 조절하는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측정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하수관로는 가정이나 산업 시설에서 발생한 폐수를 폐수처리장까지 이동시키는 매우 핵심적인 사회 시반 시설물로서 문제가 발생할 시, 환경적인 문제와 함께 악취, 위생문제와 같은 불편뿐만 아니라 도로침하의 원인으로도 작용하여 시민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설이다. 이러한 하수관로는 공적인 하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물로서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필요로 한다.
맨홀은 하수관로 내의 점검, 청소, 장해물의 제거, 보수 등을 위한 장비 및 사람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고, 악취 및 부패성 가스의 환기 등을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하수관로의 기점, 합류점, 지름과 방향 구배가 변하는 곳 등의 중간 점에 설치되는 하수도 시설물이다.
맨홀은 지하로 매설됨에 따라 시공 후 맨홀 내로 들어가 조사를 해야 하는 불편과 번거로움 및 밀폐공간에서의 안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유인 작업의 경우, 안전성과 보수 작업에 대한 시간에 따른 비용이 소요됨으로 인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이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들어가 작업해야 하는 상황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기술적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 측정자(등록번호 제10-1163116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경 측정자에 관한 것으로서, 지상과 수직으로 하강하여 하수관 내부의 높이를 측정하는 내부틀; 내부틀의 외측 둘레를 감싸고 있으며 일측면에 눈금표시가 구비된 외부틀; 및 하수관 상부의 지면과 수평으로 밀착되어 외부틀을 고정시키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내부틀 하단에 하수관경 측정자를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하수관으로 들어가지 않고 하수관 깊이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의 폭 및 하수관을 관통하는 파이프의 관경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등록번호 제10-0893728호, 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하수관 검사시 L자 스타프를 이용하여 하수관의 관저고와 관경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하수관 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의 경우, 하수관의 관저고, 관경 등의 측정시 관의 상단측 및 하단측과 정확히 직각을 유지하면서 측정을 할 수 있는 L자 스타프를 이용하여 관경은 물론 관저고 등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측정수단을 구현함으로써, 하수관의 각종 상태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으며, 검사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한편, 하수관의 내부 촬영을 위한 카메라, 깊이 측정을 위한 레이저 장비, 수평 확인을 위한 수평계, 토사량 확인을 위한 심도측정기 등과 같은 부속장비를 구비함으로써, 하수관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등록번호 제10-1664998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는, 수직프레임;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직각을 이루며 결합되는 상측프레임; 수직프레임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총심도측정프레임; 상측프레임의 하방에서 상측프레임에 평행하게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토피거리측정프레임; 토피거리측정프레임의 하방에서 토피거리측정프레임에 평행하게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내경프레임; 상측내경프레임의 하방에서 상측내경프레임에 평행하게 수직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내경프레임; 수직프레임 또는 상측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측정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 상측프레임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연장프레임; 상측내경프레임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내경연장프레임; 및 하측내경프레임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내경연장프레임을 포함하며, 버니어캘리퍼스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맨홀의 토피거리, 변실크기, 총심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맨홀로부터 분기되어 설치되는 하수관의 직경, 관상고, 관분기 방향 등을 측정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들 특허문헌들의 경우, 사람이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관로의 관경, 관로의 깊이들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동된 기술의 시도를 하고 있지만, 관로의 경우 맨홀로부터 다양한 깊이와 너비로 접합되어 형성되며, 내부를 카메라나 레이저로 측정하기 전 미리 관경이 측정되어야 하는 기초작업인 점에서 그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수평을 측정하는 장치가 일측으로만 형성되는 경우, 관경에 대한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 질 수 있으며, 정확한 관경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내부로의 출입 등을 통한 확인이 필요한 시점이다.
등록번호 제10-1163116호 등록번호 제10-0893728호 등록번호 제10-1664998호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관경 측정 장치의 임의 각도 조절을 통해 틸팅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틸팅 시 이탈이나 임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틸팅된 각도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장력이 가해지는 위치에서 틸팅이 발생되도록 하고 장력은 선택적으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은 맨홀 내부에 장입되어, 상기 맨홀 내 연결된 관로의 직경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 유닛(link unit); 상기 링크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맨홀 내부와 를 유지하는 제1로드 유닛(rod unit); 및 상기 링크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임의 각도 조절에 대한 틸팅을 형성하는 제2 로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링크 유닛은, 상향 볼록하게 제공되며, 상향 중공부가 형성되는 인사이드 스페이스부; 부분적으로 상향 구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상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을 따라 움직이는 이너 스피어(inner sphere)부; 및 상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의 하부 플랜지(flange)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임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엣지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엣지 홀딩부는,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최대 반경보다 작되, 탄성력을 통해 확장되어 선택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탄성력에 의해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엣지 홀딩부는, 상기 이너 스피어부와 접촉하는 내주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브랜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브랜치부는,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움직임이 발생됨에 따라 구조의 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외주면에 대한 가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엣지 홀딩부는, 각각의 브랜치부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브랜치부가 상기 이너 스피어부와 접촉하여 구조 변형이 발생되면, 내부에 소정의 내부압을 유지하는 이너 키핑(inner keep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의 상부에 상기 이너 스피어부가 배치되어, 상기 이너 스피어부 각각은 상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 각각에 접촉되어 상기 소정의 각도로 틸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로드 유닛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고정 배치되고, 상기 링크 유닛에 평행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2로드 유닛의 하단부에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링크 유닛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복수 개의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복수 개의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 각각은, 상기 제1로드 유닛의 일 측면과 상기 제2로드 유닛의 일 측면과 상기 링크 유닛의 일 측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장력이 인가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드 루프; 및 일단이 상기 제2로드 유닛의 하단부에 고정 제공되어, 타단에 인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가드 루프를 따라 장력이 인가되어 상기 링크 유닛의 임의 각도 조절을 통해 상기 제2로드 유닛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텐션 스트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로드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2로드 유닛과 직교하며, 상기 맨홀 내부에 장입되는 버티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버티컬부는,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버티컬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평 방향 길이 연장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드 익스텐션(wide extens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의 내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홀딩부; 및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외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제공되고,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상부에 이격된 두개의 홀을 구비하는 걸림부가 제공되며, 상기 홀딩부가 상기 걸림부에 구속되어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회전저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관경 측정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링크 유닛을 통해 목적하는 방향으로의 틸팅이 제공되도록 한다.
둘째, 링크 유닛의 엣지 홀딩부를 배치하여 탄성력을 통해 선택적 삽입이 일어나도록 하는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관경 측정 장치를 연결하는 텐션 스트링과 텐션 스트링을 가드하는 가드 루프를 통해 장력이 인가되고 장력에 대하여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과 제1로드 유닛, 제2로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엣지 홀딩부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의 내부에 걸림부와 홀딩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내부 단면도와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이너 스피어부의 최대 직경에 비해 엣지 홀딩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부에서 슬라이딩 되어 연장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의 또 다른 내부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과 제1로드 유닛, 제2로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엣지 홀딩부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의 내부에 걸림부와 홀딩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내부 단면도와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이너 스피어부의 최대 직경에 비해 엣지 홀딩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부에서 슬라이딩 되어 연장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의 또 다른 내부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은 맨홀 내부에 장입되어, 맨홀 내 연결된 관로의 직경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유닛(link unit, 100), 제1로드 유닛(rod unit, 200), 제2로드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수관의 내부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하수관의 관경과 같은 기본사양을 측정하는 작업이 필수적인데, 기본사양 측정을 위해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작업임에도 종래의 많은 관경을 측정하는 방식은 관경의 상태에 따라 측정값에 많은 오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측정값에 대하여 신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장치의 각도를 조절함으로 인하여 하수관로의 상태에 따른 관경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종래의 장치로는 측정할 수 없고,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환경에서도 무인으로 관경측정이 가능할 수 있다.
링크 유닛(100)의 경우,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링크 유닛(100)은 장치가 맨홀과 수평을 유지하며 장입되어질 때, 장치의 하부에서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장치의 하부에서 위치함으로 인하여 맨홀 환경에 대한 적절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로드 유닛(200)은 링크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며, 맨홀 내부와 평행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2로드 유닛(300)의 경우, 링크 유닛(100)의 상부에 제공되어 임의 각도 조절에 대한 틸팅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로드 유닛(300)은 링크 유닛(100)을 통하여 틸팅을 형성할 수 있으며, 링크 유닛(100)의 움직임을 통하여 틸팅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링크 유닛(100)의 각도가 조절됨으로 제1로드 유닛(200)은 맨홀과의 평행을 유지하며 제2로드 유닛(300)이 맨홀의 환경에 대하여 틸팅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로드 유닛(300)은 링크 유닛(100)이 제공하는 틸팅 각도를 통해 틸팅이 형성되며, 제2로드 유닛(300)은 링크 유닛(100)을 통해서만 틸팅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맨홀의 환경 또는 맨홀과 연결된 관로의 상황에 제1로드 유닛(200)의 맨홀과의 평행 상태와 제2로드 유닛(300)의 각도는 달라질 수 있으나, 제1로드 유닛(200)에 대비하여 제2로드 유닛(300)에 각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100)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 이너 스피어부(120), 엣지 홀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경우, 상향 볼록하게 제공되며, 중공부가 형성되어지는데, 중공부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며 하부에 입구에 해당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는 상향 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상향 중공부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중공부는 입구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이너 스피어부(120)의 경우, 외주면이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에 형성된 중공부의 내주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너 스피어부(120)는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에 형성된 내주면의 빈 공간, 즉 중공이 형성된 중공부에 제공되어,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내주면의 공간에서 움직임을 형성하며, 이너 스피어부(120)의 외주면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을 따라 움직임이 형성되어 진다.
이너 스피어부(120)는,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 내에서 움직임이 형성되되 좌우, 트위스트되는 움직임이 제공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엣지 홀딩부(130)의 경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하부 플랜지에 배치되어 이너 스피어부(120)의 임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 홀딩부(130)는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하부에 입구로 형성된 부분의 플랜지에 배치되며, 이너 스피어부(120)의 임의 움직임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엣지 홀딩부(130)는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력을 통해 이너 스피어부(120)의 임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엣지 홀딩부(110)의 경우, 이너 스피어부(120)의 최대 반경보다 작되, 탄성력을 통해 확장되어 선택적으로 삽입된 후, 탄성력에 의해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너 스피어부(120)는 그 형태가 구면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구면이 가지는 최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엣지 홀딩부(130)는 이너 스피어부(120)의 최대 반경에 비해 작은 반경으로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력에 의해 이너 스피어부(12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스피어부(120)의 직경 D1에 비해 엣지 홀딩부(130)가 형성되는 위치는 D2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엣지 홀딩부(13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지며, 탄성력에 의해 확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확장되는 경우, 이너 스피어부(12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경우, 이너 스피어부(120)의 최대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져 이너 스피어부(120)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엣지 홀딩부(130)의 경우, 이너 스피어부(120)가 인사이트 스페이스부(110)의 내부에서 움직임을 제공하는 경우에도 임의 움직임을 통하여 이너 스피어부(120)가 이탈되어질 수 있는데, 탄성력을 가지는 엣지 홀딩부(130)를 통하여 이너 스피어부(120)의 임의 움직임에서부터 견고하게 잡아주어, 선택적 틸팅이 발생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링크 유닛(100)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제공하는 것은, 이너 스피어부(120)에 해당하며, 이너 스피어부(120)가 임의적으로 움직임을 제공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탈을 방지하는 것은 엣지 홀딩부(130)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엣지 홀딩부의 경우, 이너 스피어부(120)와 접촉하는 내주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각각이 이너 스피어부(12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브랜치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랜치부(131)는, 이너 스피어부(120)의 움직임이 발생됨에 따라 구조의 변형이 발생되며, 이너 스피어부(120)의 외주면에 대한 가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브랜치부(131)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 홀딩부(130)의 내주면에 복수 개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이너 스피어부(120)와 접촉되는데, 접촉되는 브랜치부(131)는 이너 스피어부(120)가 움직임으로 인해 변형이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엣지 홀딩부(130)에서 브랜치부(131)는 이너 스피어부(120)와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하는데, 접촉이 발생되면 브랜치부(13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접촉부위에 대한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변형은 위부의 눌림이나 이너 스피어부(120)의 움직임으로 인해 힘의 방향에 따라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브랜치부(131) 각각은 이너 스피어부(120)의 내주면을 가압하는데 이너 스피어부(120)가 구 형태를 가져 각각은 브랜치부(131)가 이너 스피어부(120) 내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력과 변형형태는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브랜치부(13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브랜치부(131) 각각은 이격되어 형성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된 형태를 이루기에 브랜치부(131) 각각의 사이에는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엣지 홀딩부(130)는, 각각의 브랜치부(131) 사이에 제공되며, 복수 개의 브랜치부(131)가 이너 스피어부(120)와 접촉하여 구조 변형이 발생되면, 내부에 소정의 내부압을 유지하는 이너 키핑(inner kipping)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키핑부(132)는, 복수 개의 브랜치부(131) 사이에서 내부에 외부로부터 차단되는 압력을 가지며, 복수 개의 브랜치부(131)의 변형이 발생하면 이너 스피어부(120)는 각각의 브랜치부(131) 사이에 압력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100)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상부에 이너 스피어부(120)가 배치되며, 이너 스피어부(120) 각각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에 접촉되어 소정의 각도로 틸팅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스피어부(120)는 하부에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를 배치하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는 내주면에 이너 스피어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어 하나의 링크 유닛(100)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링크 유닛(100)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이너 스피어부(120)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각도를 변형하게 되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는 이너 스피어부(120)의 움직임을 제공하는 동시에 이너 스피어부(120)의 틸팅 각도에 대한 제한 각도도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너 스피어부(120)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는 하나의 몸체를 이루며, 함께 움직이며, 이너 스피어부(120)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가 한 몸체를 이루는 각각은 다른 이너 스피어부(120)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와 연결되어 각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제한 각도는 엣지 홀딩부(130)로 인함이 아니며, 상부에 제공되는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내주면에 제공되는 이너 스피어부(120), 또한 이너 스피어부(120)의 하부에 제공되는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로 인해 틸팅 각도가 제한적일 수 있다. 즉, 이너 스피어부(120)의 하부에 제공되는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볼록함으로 인하여 상부에 형성된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와 접촉하게 되며, 접촉함으로 인하여 틸팅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은, 제2로드 유닛(300)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고정 배치되고, 링크 유닛(100)에 평행하게 제공되어, 제2로드 유닛(300)의 하단부에 장력을 제공하여, 링크 유닛(10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복수 개의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로드 유닛(300)의 하단부 어느 한 곳에 고정된 후 링크 유닛(100)과는 평행하게 제공되고 제1로드 유닛(200)까지 제공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로드 유닛(300)에 고정된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400)은 장력을 제공하여 링크 유닛(100)을 각도를 조절하며 궁극적으로 제2로드 유닛(300)이 틸팅 되도록 할 수 있다.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4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로드 유닛(300)으로부터 제1로드 유닛(200)까지 평행하게 연결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복수 개의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400) 각각은, 가드 루프(410), 텐션 스트링(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 유닛(200)의 일측면과 제2로드 유닛(300)의 일측면과 링크 유닛(100)의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장력이 인가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드 루프(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드 루프(410)는, 각각의 유닛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어 장력에 대한 경로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 루프(41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링 형태로 링크 유닛(100), 제1로드 유닛(200), 제2로드 유닛(300)에 제공되는데, 가드 루프(410)는 각각의 유닛을 따라 평행하게 제공되며, 평행한 가드 루프(410)가 하나의 경로로 형성되어 장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텐션 스트링(420)의 경우, 일단이 제2로드 유닛(300)의 하단부에 고정 제공되어, 타단에 인장력이 인가되면, 가드 루프(410)를 따라 장력이 인가되어 링크 유닛(100)의 임의 각도 조절을 통해 제2로드 유닛(30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텐션 스트링(420)은 제1로드 유닛(200)의 상부까지 연결되어 제공되며, 작업자에 의하여 장력이 인가되어질 수 있으며, 상부에서 제2로드 유닛(200)까지 장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가드 루프(410)를 따라 장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은, 제2로드 유닛(300)의 하부에 제공되며, 제2로드 유닛(300)과 직교하며, 맨홀 내부에 장입되는 버티컬부(500)를 더 포함할수 있다,
버티컬부(500)는 제2로드 유닛(300)의 하부에 제공되어 배치되며, 제2로드 유닛(300)과는 직교하며 장치의 가장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티컬부(500)는 제2로드 유닛(300)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로드 유닛(300)과는 수직을 유지하며 연결되어질 수 있다.
버티컬부(500)의 경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로드 유닛(300)의 중앙에 연결되어 버티컬부(500)가 제2로드 유닛(300)으로부터 수직을 이루며, 버티컬부(500)의 각 일측과 타측이 평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티컬부(500)는 제2로드 유닛(300)에 연결되어 제2로드 유닛(300)의 틸팅에 따라 움직임을 제공하며, 제2로드 유닛(300)이 텐션 스트링(420)을 통해 틸팅 하면 따라 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버티컬부(500)의 경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배치되며, 버티컬부(500)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수평방향 길이 연장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드 익스텐션(wide extension)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드 익스텐션부(510)는, 버티컬부(500)로부터 연장되며, 버티컬부(500)의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어 각각이 버티컬부(500)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길이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티컬부(500)로부터 길이 연장되는 와이드 익스텐션부(510)는 각각이 선택적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버티컬부(500)로부터 선택적 연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드 익스텐션부(510)가 슬라이딩 되어 연장될 때, 와이드 익스텐션부(510)의 각각의 타단에서 와이드 익스텐션부(5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를 통해 와이드 익스텐션부(510)의 연장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며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와이드 익스텐션부(510)는 버티컬부(5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출될 때, 와이드 익스텐션부(510)의 각각의 외주면은 앞선 내주면과 접촉하여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의 링크 유닛(100)은,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내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홀딩부(140); 및 이너 스피어부(120)의 외부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제공되고, 이너 스피어부(120)의 상부에 이격된 두개의 홀을 구비하는 걸림부(121)가 제공되며, 홀딩부(140)가 걸림부(121)에 구속되어 이너 스피어부(120)의 회전저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140)가 서로 이격된 두개로 형성됨에 따라 이너 스피어부(120)는 회전에 대한 저항이 발생하게 되며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140)와 걸림부(121)를 구비하지 않아 자유롭게 좌우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링크 유닛(100)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140)와 걸림부(121)가 제공되지 않은 링크 유닛(100)은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공하며, 도8에 미도시된 엣지 홀딩부(130)는 인사이드 스페이스부(110)의 플랜지에 제공되어 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링크 유닛
110: 인사이드 스페이스부
120: 이너 스피어부
121: 걸림부
130: 엣지 홀딩부
131: 브랜치부
132: 이너 키핑부
140: 홀딩부
200: 제1로드 유닛
300: 제2로드 유닛
310: 뎁스 익스텐션부
400: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
410: 가드 루프
420: 텐션 스트링
500: 버티컬부
510: 와이드 익스텐션부

Claims (10)

  1. 삭제
  2. 맨홀 내부에 장입되어, 상기 맨홀 내 연결된 관로의 직경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 유닛(link unit);
    상기 링크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맨홀 내부와 평행을 유지하는 제1로드 유닛(rod unit); 및
    상기 링크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임의 각도 조절에 대한 틸팅을 형성하는 제2 로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링크 유닛은,
    상향 볼록하게 제공되며, 상향 중공부가 형성되는 인사이드 스페이스부;
    부분적으로 상향 구형상을 가지며 상부가 상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의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을 따라 움직이는 이너 스피어(inner sphere)부; 및
    상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의 하부 플랜지(flange)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임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엣지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홀딩부는,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최대 반경보다 작되, 탄성력을 통해 확장되어 선택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탄성력에 의해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홀딩부는,
    상기 이너 스피어부와 접촉하는 내주면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각각이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브랜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브랜치부는,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움직임이 발생됨에 따라 구조의 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이너 스피어부의 외주면에 대한 가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 홀딩부는,
    각각의 브랜치부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브랜치부가 상기 이너 스피어부와 접촉하여 구조 변형이 발생되면, 내부에 소정의 내부압을 유지하는 이너 키핑(inner keeping)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의 상부에 상기 이너 스피어부가 배치되어, 상기 이너 스피어부 각각은 상기 인사이드 스페이스부 각각에 접촉되어 상기 소정의 각도로 틸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7. 맨홀 내부에 장입되어, 상기 맨홀 내 연결된 관로의 직경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제공되어, 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 유닛(link unit);
    상기 링크 유닛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맨홀 내부와 평행을 유지하는 제1로드 유닛(rod unit)
    상기 링크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임의 각도 조절에 대한 틸팅을 형성하는 제2 로드 유닛; 및
    상기 제2로드 유닛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고정 배치되고, 상기 링크 유닛에 평행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2로드 유닛의 하단부에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링크 유닛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복수 개의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텐션 어드져스팅 유닛 각각은,
    상기 제1로드 유닛의 일 측면과 상기 제2로드 유닛의 일 측면과 상기 링크 유닛의 일 측면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장력이 인가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드 루프; 및
    일단이 상기 제2로드 유닛의 하단부에 고정 제공되어, 타단에 인장력이 인가되면, 상기 가드 루프를 따라 장력이 인가되어 상기 링크 유닛의 임의 각도 조절을 통해 상기 제2로드 유닛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텐션 스트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9.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로드 유닛의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2로드 유닛과 직교하며, 상기 맨홀 내부에 장입되는 버티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티컬부는,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버티컬부로부터 슬라이딩되어 길이 연장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드 익스텐션(wide extension)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변형을 통한 관로 내부 측정이 가능한 관경 시스템.


KR1020200101771A 2020-08-13 2020-08-13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KR10223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71A KR102232580B1 (ko) 2020-08-13 2020-08-13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71A KR102232580B1 (ko) 2020-08-13 2020-08-13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580B1 true KR102232580B1 (ko) 2021-03-26

Family

ID=7525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71A KR102232580B1 (ko) 2020-08-13 2020-08-13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5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503A (ja) * 1997-09-22 1999-04-09 Kokusai Kogyo Co Ltd 深さ測定器
KR100893728B1 (ko) 2008-05-16 2009-04-17 김규현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163116B1 (ko) 2012-01-18 2012-07-06 한진정보통신(주)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 측정자
KR101245258B1 (ko) * 2012-07-31 2013-03-19 테크노포스(주)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101664998B1 (ko) 2014-12-03 2016-10-11 (주)미르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847560B1 (ko) * 2017-08-23 2018-04-10 케이아이엠(주) 안전진단을 위한 내시경 카메라가 내장된 접이용 다방향 제원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503A (ja) * 1997-09-22 1999-04-09 Kokusai Kogyo Co Ltd 深さ測定器
KR100893728B1 (ko) 2008-05-16 2009-04-17 김규현 하수관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163116B1 (ko) 2012-01-18 2012-07-06 한진정보통신(주) 지상에서 작업 가능한 하수관 측정자
KR101245258B1 (ko) * 2012-07-31 2013-03-19 테크노포스(주)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101664998B1 (ko) 2014-12-03 2016-10-11 (주)미르 맨홀에 연결되는 상ㆍ하수관 측정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847560B1 (ko) * 2017-08-23 2018-04-10 케이아이엠(주) 안전진단을 위한 내시경 카메라가 내장된 접이용 다방향 제원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 et al. Distributed fibre optic sensing of strains on buried full-scale PVC pipelines crossing a normal fault
KR101914494B1 (ko) 동공 탐사 및 복구 시스템
KR101632914B1 (ko) 층별침하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51904B1 (ko)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의 토사침하 센싱모듈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425724B (zh) 地貌结构监测系统
KR102232580B1 (ko) 텐션을 통한 틸팅 각도 조절을 제공하는 관경 측정 시스템
KR100607456B1 (ko) 교량상부시설의 처짐측정용 안전진단장치
KR20150117373A (ko) 연약지반 개량공사에서 지하수위 및 지표면 침하량 측정 장치
KR102232861B1 (ko) 길이 연장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KR101356757B1 (ko) 지하매설용 상하수도관의 침하계측장치
KR102347964B1 (ko) 선택적 수평 조절에 따른 내부 트래킹 정보를 통한 매설 파이프 관경 측정 시스템
KR102347965B1 (ko) 굽힘 각도 조절을 통한 내부 관경 측정 시스템
KR101796078B1 (ko) 항만시설용 침하 및 재해 감시 설비
JP2014169982A (ja) 擁壁の傾斜測定装置及び傾斜測定方法、並びに擁壁の監視方法
KR102387581B1 (ko) 선택적 배치에 따른 독립적 주파수 조사를 통한 맨홀 내부 메저링 시스템
JP5602042B2 (ja) 離隔距離測定装置
JP3999180B2 (ja) 配管の相対位置検出装置
KR102151530B1 (ko)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관파일 수직도 측정방법
KR102238299B1 (ko) 고정 강도 향상을 통한 선택적 부착 기능을 구비하는 뎁스 메저링 시스템
KR102092033B1 (ko) 지중 관로의 연직변위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지중 관로의 매립 설치구조
JP4884817B2 (ja) ヘリコプタ設置による計測システム
US5937529A (en) Apparatus for measuring vertical displacement
JP4098041B2 (ja) 構造物の相対位置検出装置
JP2001304862A (ja) 管渠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20200012295A (ko) 각변위 센서를 이용한 연동형 지반 및 구조물 침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및 구조물 침하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