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127B1 -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127B1
KR100812127B1 KR1020070117031A KR20070117031A KR100812127B1 KR 100812127 B1 KR100812127 B1 KR 100812127B1 KR 1020070117031 A KR1020070117031 A KR 1020070117031A KR 20070117031 A KR20070117031 A KR 20070117031A KR 100812127 B1 KR100812127 B1 KR 10081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ff
base plate
curvature
radiu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평
Original Assignee
(주) 일신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하이텍 filed Critical (주) 일신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117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량용 스태프의 수직 상태를 유지시키고, 스태프가 지면에 직접 닿지 않게 해서 스태프의 손상을 막으며, 베이스판이 먼저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 있고 그 위에서 스태프를 각도 이동시켜 수직상태를 맞추고, 수직상태에서 스태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사각의 판체(11) 중앙에 반구홈(12)이 형성되고, 반구홈(12)의 중앙에 홀(13)이 형성되며, 판체(11)의 저면에 돌기(14)가 다수개 형성되어 지면에 박혀 위치가 고정되는 베이스판(10); 상면은 편평하고 하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구형몸체(21)의 상면에 사각홈(22)이 형성되어 스태프(1)의 하단이 삽입되고, 반구형몸체(21)의 하단 중앙에 탄성고정체(23)의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하부로 돌출되며, 탄성고정체(23)의 타단은 베이스판(10)의 홀(13)을 관통하여 고정판(24)의 고정홀(25)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반구형몸체(21)의 곡률반경은 베이스판(10)의 반구홈(12)의 곡률반경보다 작아 반구홈(12)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유동대(20); 내측면(31)과 외측면(32)이 동일한 점에서 시작하여 상부를 향해 부채꼴 형상으로 퍼져 형성되고, 내측면(31)의 곡률반경은 반구형몸체(21)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측면(31)의 곡률반경은 베이스판(10)의 반구홈(12)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쐐기(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태프, 유동대, 베이스판, 고정쐐기

Description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STAFF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량용 스태프의 수직 상태를 유지시키고, 스태프가 지면에 직접 닿지 않게 해서 스태프의 손상을 막으며, 베이스판이 먼저 지면에 밀착된 상태에 있고 그 위에서 스태프를 각도 이동시켜 수직상태를 맞추고, 수직상태에서 스태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량이라 함은 수평거리 및 방향을 측정하여 점들의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또한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지칭하는 말로써, 상기 측량의 결과는 각종 건축 설계와 시공의 기초가 되는 것인만큼 그 측량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이러한 측량이 줄자에서부터 항공 사진에 이르기까지 그 측량방법이 다양화되고, 또한 측량에 사용되는 기기들도 매우 첨단화된 것이 사실이나 일반적으로 골조측량에 의해 구해진 기준점으로부터 측량구역 내 지물의 위치나 지형을 구하는 등의 세부적인 측량에 있어서는 여전히 평판측량 등의 기본적인 측량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평판측량은 일정규격을 갖는 사각 형태의 평판을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된 삼각대 상에 고정시키고, 평판과 목표물을 시준하는 기구인 앨리데이드를 사용하여 관측 대상물의 방향 및 거리를 관측하여 현장에서 직접 도면을 작성하는 방법으로서 현장에서 직접 제도 및 보완이 이루어지므로 필요한 사항의 결측과 과실이 발생되지 않고 또한 측량방법이 매우 간단하여 작업이 신속한 잇점이 있다.
이러한 평판측량은 지상의 일정한 측점 위에 평판을 수평하게 세우고 측점의 위치를 도면 위에 정한다. 정해진 측점을 기준으로 하여 앨리데이드로 다음 측점을 시준하여 방향선을 그은 뒤, 줄자로 거리를 측정하여 일정한 축척으로 다른 측점의 위치를 도면 위에 정한다.
스태프는 수직인 상태로 유지하여야 측량이 정확하게 되나, 이러한 스태프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는 장치는 전무한 상태였다.
그리고 스태프의 수직을 감지하기 위하여 스태프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 고정클립이 본체 후방으로 형성되고, 본체에는 기포창이 형성되며, 기포창의 내측으로 기포가 형성되어 기포가 중심에 오면 스태프가 수직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수직감지장치가 있다.
그러나 일단 수직이 되고 나면 움직이지 않아야 하는데 수직인 상태로 유지하기가 힘이 들고, 이러한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자주 시각적으로 수직감지장치의 기포창을 쳐다보야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지면과 밀착되는 베이스판의 중앙에서 전후좌우 회동할 수 있는 유동대를 탄성고정체로 고정하여 스태프를 자유롭게 회동시킬 수 있게 하고, 수직인 상태에서 고정쐐기로 더 이상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자 하는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각의 판체 중앙에 반구홈이 형성되고, 반구홈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며, 판체의 저면에 돌기가 다수개 형성되어 지면에 박혀 위치가 고정되는 베이스판; 상면은 편평하고 하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구형몸체의 상면에 사각홈이 형성되어 스태프의 하단이 삽입되고, 반구형몸체의 하단 중앙에 탄성고정체의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하부로 돌출되며, 탄성고정체의 타단은 베이스판의 홀을 관통하여 고정판의 고정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반구형몸체의 곡률반경은 베이스판 반구홈의 곡률반경보다 작아 반구홈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유동대; 내측면과 외측면이 동일한 점에서 시작하여 상부를 향해 부채꼴 형상으로 퍼져 형성되고, 내측면의 곡률반경은 반구형몸체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측면의 곡률반경은 베이스판의 반구홈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판이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여지고, 그 위에 스태프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스태프가 지면에 직접 닿아 더럽혀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태프가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쐐기를 유동대와 반구홈 사이에 끼워넣으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유동대와 베이스판이 탄성고정체에 의해 연결되어 반구홈의 홀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베이스판의 저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지면에 박혀 베이스판이 유동할 수 없게 고정되어 안정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측정하고자 하는 곳의 지면위에 베이스판(10)을 올려놓고, 베이스판(10)에 탄성고정체(23)로 유동대(20)를 고정하며, 유동대(20)에 스태프(1)를 삽입하여 고정해 스태프(1)를 잡고 전후 좌우로 이동하면서 스태프에 고정된 수직감지기로 수직상태를 만들고, 수직상태에서 유동대(20)와 반구홈(12) 사이에 고정쐐기(30)를 넣어 더 이상 유동하지 않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베이스판(10)은 사각의 판체(11) 중앙에 반구홈(12)이 형성되고, 반구홈(12)의 중앙에 홀(13)이 형성된다. 반구홈(12)은 곡률반경이 유동대(20)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유동대(20)가 반구홈(12) 내에서 유동할 수 있게 해준다.
베이스판(10) 판체(11)의 저면에 돌기(14)가 다수개 형성되어 지면에 박혀 위치가 고정되는데 도움을 준다. 이 돌기(14)는 베이스판(10)의 저면에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유동대(20)는 상면이 편평하고 하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구형몸체(21)의 상면에 사각홈(22)이 형성되고, 이 사각홈(22)에 스태프(1)의 하단이 삽입된다.
따라서 스태프(1)의 눈금은 베이스판(10)의 저면과 유동대(20)의 사각홈(22) 바닥까지의 높이(h)이 미리 제품에 명시되어 그 높이(h)만큼을 스태프(1)의 측정길이에 더하여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스태프(1)를 이러한 본 발명의 위치 고정장치의 한 세트로 만들어 위 치고정장치의 높이(h) 만큼 수치를 스태프(1)에 미리 적용시켜 눈금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대(20)는 반구형몸체(21)의 하단 중앙에 탄성고정체(23)의 일단이 고정되고, 탄성고정체(23)의 타단은 하부로 돌출되어 베이스판(10)의 홀(13)을 관통하여 고정판(24)의 고정홀(25)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고정판(24)이 고정되기 위함 홈이 베이스판(10)의 저면에 형성되고, 고정판(24)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홀(25)에 탄성고정체(23)의 단부가 삽입되었을 때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다. 다른 방법으로 탄성고정체(23)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고정홀(25)에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해 서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반구형몸체(21)의 곡률반경은 베이스판(10)의 반구홈(12)의 곡률반경보다 작아 반구홈(12)의 내부에서 유동대(20)가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곡률반경을 결정하는 것은 유동대(20)가 움직일 수 있는 거리를 결정하는 것이 되므로 스태프(1)가 수직에서 30도 정도의 유동이 가능할 정도로 계산하여 정하면 된다.
고정쐐기(30)는 내측면(31)과 외측면(32)이 동일한 점에서 시작하여 상부를 향해 부채꼴 형상으로 퍼져 형성되고, 내측면(31)의 곡률반경은 반구형몸체(21)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측면(31)의 곡률반경은 베이스판(10)의 반구홈(12)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쐐기(30)를 다수개 형성하여, 스태프(1)를 이동시켜 수직상태에 이르면, 반구홈(12)과 유동대(20) 사이의 틈이 넓은 곳에 먼저 고정쐐기(30)를 밀어넣고, 다음에 좁은 곳의 틈에 고정쐐기(30)를 밀어넣어 아래로 밀리지 않게 고정 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스태프 10 : 베이스판
11 : 판체 12 : 반구홈
13 : 홀 14 : 돌기
20 : 유동대 21 : 반구형몸체
22 : 사각홈 23 : 탄성고정체
24 : 고정판 25 : 고정홀
30 : 고정쐐기 31 : 내측면
32 : 외측면

Claims (1)

  1. 사각의 판체(11) 중앙에 반구홈(12)이 형성되고, 반구홈(12)의 중앙에 홀(13)이 형성되며, 판체(11)의 저면에 돌기(14)가 다수개 형성되어 지면에 박혀 위치가 고정되는 베이스판(10);
    상면은 편평하고 하부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반구형몸체(21)의 상면에 사각홈(22)이 형성되어 스태프(1)의 하단이 삽입되고, 반구형몸체(21)의 하단 중앙에 탄성고정체(23)의 일단이 고정되어 타단이 하부로 돌출되며, 탄성고정체(23)의 타단은 베이스판(10)의 홀(13)을 관통하여 고정판(24)의 고정홀(25)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반구형몸체(21)의 곡률반경은 베이스판(10)의 반구홈(12)의 곡률반경보다 작아 반구홈(12)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유동대(20);
    내측면(31)과 외측면(32)이 동일한 점에서 시작하여 상부를 향해 부채꼴 형상으로 퍼져 형성되고, 내측면(31)의 곡률반경은 반구형몸체(21)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외측면(31)의 곡률반경은 베이스판(10)의 반구홈(12)의 곡률반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쐐기(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KR1020070117031A 2007-11-16 2007-11-16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KR10081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031A KR100812127B1 (ko) 2007-11-16 2007-11-16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031A KR100812127B1 (ko) 2007-11-16 2007-11-16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127B1 true KR100812127B1 (ko) 2008-03-12

Family

ID=3939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031A KR100812127B1 (ko) 2007-11-16 2007-11-16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1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02B1 (ko) * 2013-03-20 2014-12-31 이강주 난간지주 고정구
KR20180137232A (ko) * 2017-06-16 2018-12-27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수준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6909A (ja) 1985-05-21 1986-11-26 Taihei Kogyo Kk レベリングパツト設置装置
JPH07208990A (ja) * 1994-01-07 1995-08-11 Sokkia Co Ltd 不要光を除去して三次元座標を測定する三次元座標測定方法及び三次元座標測定装置
JPH09287951A (ja) * 1996-02-22 1997-11-04 Asahi Optical Co Ltd 測量用スタッ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6909A (ja) 1985-05-21 1986-11-26 Taihei Kogyo Kk レベリングパツト設置装置
JPH07208990A (ja) * 1994-01-07 1995-08-11 Sokkia Co Ltd 不要光を除去して三次元座標を測定する三次元座標測定方法及び三次元座標測定装置
JPH09287951A (ja) * 1996-02-22 1997-11-04 Asahi Optical Co Ltd 測量用スタッ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02B1 (ko) * 2013-03-20 2014-12-31 이강주 난간지주 고정구
KR20180137232A (ko) * 2017-06-16 2018-12-27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수준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
KR101956890B1 (ko) * 2017-06-16 2019-03-11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수준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5883B2 (ja) 測量用標尺
US104881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tiling
GB2381583A (en) Measuring and level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1125877B2 (en) Multi-directional laser level
US7530174B1 (en) Wading rod level assembly
KR101373222B1 (ko) 곡면부 두께 측정 장치
CA2737719C (en) Prism tripod
KR100812127B1 (ko)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JP3179152U (ja) 曲尺
KR101961121B1 (ko)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US59339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in hanging framed pictures and achieving proper alignment
KR101896643B1 (ko) 작업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1546670B1 (ko) 주향과 경사의 동시측정이 가능한 클리노미터
US9151609B2 (en) Footer square apparatuses
JPH1194503A (ja) 深さ測定器
JP2018021867A (ja) ターゲットポール及び測量システム
US20130160313A1 (en) Offset measurer
JP5268179B2 (ja) 伸縮長表示式測量用標尺
KR200483831Y1 (ko) 수평자
CN202676159U (zh) 一种高度定位标尺
US9709398B2 (en) Footer square apparatuses
CN209470657U (zh) 一种平整度测试仪
US20150354955A1 (en) Corner Level
JPH10293023A (ja) 水準測量用定規
KR20160116724A (ko) 스타프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