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6724A - 스타프 거치대 - Google Patents

스타프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6724A
KR20160116724A KR1020150044897A KR20150044897A KR20160116724A KR 20160116724 A KR20160116724 A KR 20160116724A KR 1020150044897 A KR1020150044897 A KR 1020150044897A KR 20150044897 A KR20150044897 A KR 20150044897A KR 20160116724 A KR20160116724 A KR 20160116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xtension
coupled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6220B1 (ko
Inventor
노희아
Original Assignee
노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아 filed Critical 노희아
Priority to KR102015004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22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는 일 측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연장판에 결합되어 높이를 측정하는 눈금스타프를 감싸며 수용하는 수용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착탈가능하며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는 수직결합장치와, 상기 본체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하여 내측에 기포를 구비하는 수평장치와, 상기 연장판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레벨기의 영점을 표시하는 레벨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레이저디렉터가 결합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레벨기준판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타프 거치대{Staff Cradle}
본 발명은 스타프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스타프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몸체를 다수 분리하며 상부로 연장할 수 있고 마킹펜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비하여 스타프 거치대의 이동이 없이 마킹할 수 있는 스타프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현장 등에서 시공바닥면에 대한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평레벨을 측정하는 바, 이와 같이 수평레벨측정을 위해 측정레벨기 및 스타프가 사용되고 있다.
즉, 측정레벨기는 일방향 또는 360°방향으로 레이저를 조사하는데, 이 때 레이저는 수평방향으로 조사됨으로써 시공바닥면의 수평레벨을 맞추기 위한 기준이 된다.
종래 측정레벨기와 스타프를 이용하여 수평레벨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가 바닥에 삼각대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정레벨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기준으로 하여 콘크리트로 타설하고자 하는 시공바닥면까지의 이격거리를 미리 정하고, 기둥을 이루는 철근구조나 벽체나 옹벽을 만들기 위한 거푸집에 스타프를 기대거나 근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측정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기준으로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스타프의 눈금 부분에 마커를 이용하여 대응되는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에 지시선을 표시하는 것이며, 이후 지시선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바닥면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측정레벨기의 레이저 및 스타프를 이용하여 이격거리를 미리 정하고 정해진 이격거리를 지시하는 부분의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에 마커로 지시선을 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공현장에는 철근구조나 거푸집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타프의 눈금 부분에 측정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를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고, 또한 측정된 위치에 오는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에 지시선을 정확히 표시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철근구조 사이로 마커를 집어넣어 지시선을 표시할 경우 지시선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개의 지시선들 사이에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개의 시공현장에서는 20~30m2면적 단위로 기둥을 시공하고 있는바, 이에 따라 기둥을 수많은 철근구조가 존재하게 되고 수많은 거푸집이 설치되기 때문에, 이들 수많은 철근구조 및 거푸집들에 의해 측정레벨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 등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스타프에 제대로 조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측정레벨기의 레이저가 직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의 앞부분에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 등이 있을 경우에는 이들 철근구조 또는 거푸집에 레이저빔이 닿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수평레벨 측정이 정교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게 됨으로써 콘크리트를 타설하더라도 결국에는 시공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시선을 표시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스타프를 잡고 다른 작업자는 스타프의 특정 눈금에 대응되는 곳에 마커로 지시선을 표시하여야 하였으므로, 지시선을 표시하기 위하여 여러 작업자가 함께 움직여야 함으로써 인건비 가중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으며, 복잡한 철근구조 사이로 마커를 집어넣어 표시하여야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여 결국 지시선을 표시하는데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됨으로써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타프 거치대를 상부로 다수 연장시켜 높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스타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타프 거치대에 결합되는 스타프가 스타프 거치대에 밀접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타프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는 일 측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연장판에 결합되어 높이를 측정하는 눈금스타프를 감싸며 수용하는 수용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며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는 수직결합장치와, 상기 본체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하여 내측에 기포를 구비하는 수평장치와, 상기 연장판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레벨기의 영점을 표시하는 레벨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레이저디렉터가 결합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레벨기준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외부 일 측면에 상기 눈금이 표기되며 상기 연장판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눈금부와, 상기 눈금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판이 승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돌기를 구비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판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승강돌기에 결합되는 승강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일 측면을 관통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원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봉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연장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상부로 승강시킨 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일 측이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마킹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연장부와, 상기 제 1연장부에 상기 가이드봉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 1연장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 2연장부와, 상기 제 2연장부와 상기 가이드봉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부에 상기 수용장치가 결합되는 수용홀을 구비하는 제 3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제 3연장부의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판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눈금스타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용장치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용장치는 상기 제 3연장부 상단에 구비된 수용홀에 결합되는 거치봉과, 상기 거치봉이 일 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거치봉에서 회전하는 제 1거치부와, 상기 제 1거치부 내측에서 회전하며 상기 거치봉이 일 측면에 관통되는 제 2거치부와, 상기 제 1거치부에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눈금스타프가 결합된 후 상기 눈금스타프를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킹장치는 상기 가이드봉에 일 측이 결합되며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봉을 상부에 관통시키며 반원의 형상으로 하부로 연장되는 결합장치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마킹고정부와, 상기 마킹고정부의 하단에서 착탈가능하며 상기 마킹고정부의 내측에서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단에 자석으로 형성된 체결장치가 구비된 제 1회전부와, 상기 제 1회전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2회전부를 구비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 2회전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내측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며 전면에 마커펜을 구비하는 마커부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커펜의 타단부에 상기 마커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마커부의 탄성을 제공하는 신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킹고정부는 상기 마킹고정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장치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1회전부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상단에 구비된 상기 체결장치가 결합되도록 철로 형성된 제 1결합체와, 상기 가이드홀의 하부에 나선결합되어 착탈가능하며 상기 제 1회전부의 상단이 관통되어 상기 제 1회전부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하부에 결합되도록 철로 형성된 제 2결합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 2회전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기 마커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가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에 의하면, 본체의 내부에 고정장치가 구비된 다수의 연장부가 상하로 승강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용장치의 거치부가 회전하여 수용장치에 결합되는 눈금스타프가 본체의 외측에 밀접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3에 도시된 스타프 거치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서 연장판을 분리한 모습을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킹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판에서 회전하며 마킹을 하는 마킹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가 승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순서도.
도 9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용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3에 도시된 스타프 거치대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에서 연장판을 분리한 모습을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10)는 일 측면이 개방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판(200)과, 상기 연장판(2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100)와 상기 연장판(200)에 결합되어 높이를 측정하는 눈금스타프(20)를 감싸며 수용하는 수용장치(3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외부 일 측면에 상기 눈금이 표기되며 상기 연장판(200)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눈금부(110)와, 상기 눈금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판(200)이 승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돌기(121)를 구비하는 수용부(120)와, 상기 수용부(12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지지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눈금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 일 측면에 표기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는 상기 눈금부(110)가 지면에 닿았을 때 지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눈금부(110)가 구비된 상기 본체(100)의 일 측면의 모서리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지면에 상기 눈금부(110)가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눈금부(110)는 상기 본체(100)의 일 측면 중 장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눈금부(110)는 상기 본체(100)에서 상하로 승강되는 상기 연장판(200)에 구비된 눈금부(11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눈금부(110)는 상기 눈금스타프(20)를 결합시킬 때는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눈금부(110)가 구비된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판(200)이 상하로 승강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 양면에 복수개의 승강돌기(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수용부(12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가 바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와 상기 수용부(120)가 막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본체(100)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20)에 상기 연장판(200)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바닥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장판(2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130)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체(210)와, 상기 고정체(2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20)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수용부(12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승강돌기(121)에 결합되는 승강홈(227)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부(220)와, 상기 연장부(220)를 일 측면을 관통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원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봉(231)을 구비하는 가이드부(230)와, 상기 연장부(220)를 상기 가이드부(230)에 의하여 상부로 승강시킨 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40)와, 상기 가이드부(230)에 일 측이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연장부(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마킹장치(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체(21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상기 지지부(130)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고정체(21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연장부(221)와, 상기 제 1연장부(221)에 상기 가이드봉(231)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 1연장부(22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 2연장부(222)와, 상기 제 2연장부(222)와 상기 가이드봉(231)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부에 상기 수용장치(300)가 결합되는 수용홀(224)을 구비하는 제 3연장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연장부(220)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길이는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연장부(221)는 상기 고정체(2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연장부(221)가 상하로 승강될 때 상기 제 2연장부(222)와 상기 제 3연장부(223)도 상기 제 1연장부(221)와 동일하게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연장부(223)의 길이는 제 2연장부(222)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2연장부(222)가 상부로 승강된 후 상기 제 3연장부(223)가 상기 본체(100)에서 벗어나며 승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연장부(221)가 상기 제 2연장부(222)보다 길이가 크게 형성되면 상기 제 1연장부(221)가 상기 본체(100) 상단에서 상기 제 2연장부(222)를 상부로 승강시킬 때 상기 제 2연장부(222)는 상기 본체(100)가 아닌 상기 제 1연장부(221)의 상단에서 승강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본체(100)와 상기 제 1연장부(221)를 고정한 후 상기 제 2연장부(222)를 승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연장부(221)를 상기 제 2연장부(222)보다 높이가 작도록 형성하면 상기 제 1연장부(221)를 상부로 승강한 후 상기 본체(100)와 상기 제 1연장부(221)의 단차에 상기 제 2연장부(222)의 하단이 걸려 상기 본체(100)만을 잡고 상기 제 2연장부(222)를 승강하여 최대한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연장부(220)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봉(231)이 관통되는 삽입판(2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장부(221)와 상기 제 2연장부(222)에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삽입판(225)의 전면에는 상기 가이드봉(231)과 더불어 뒤면에는 제 2연장부(222)가 상기 본체(100) 외측에서 연장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송봉(2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연장부(22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연장부(221)와 상기 제 2연장부(222)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연장부(221)와 상기 제 2연장부(222)와는 달리 하부에 상기 이송봉(228)과 가이드봉(231)이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연장부(223)는 상부에 상기 수용장치(300)가 결합되는 수용홀(2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홀(224)은 상기 제 3연장부(223)의 내측에 구비된 삽입판(225)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눈금스타프(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용장치(300)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홈(227)은 상기 본체 (100)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승강돌기(121)에 결합되도록 상기 승강돌기(12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의 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20)가 승강할 때 이동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30)는 상기 본체(100)에서 외측에 구비된 각각의 상기 연장부(220)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으며 직경이 다른 다수의 가이드봉(231)이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가이드봉(231)은 각각의 연장부(220)마다 직경이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연장부(221)에 구비된 가이드봉(231)의 직경이 5cm 이면 제 2연장부(222)에 구비된 가이드봉(231)의 직경은 4cm로 제 1연장부(221)에 구비된 가이드봉(23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연장부(221)가 상부로 상승한 후 고정되면 제 2연장부(222)가 상승하며 제 2연장부(222)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봉(231)이 제 1연장부(221)에 구비된 가이드봉(231) 내부에서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231)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40)는 상기 연장부(220)를 상기 가이드부(230)에 의하여 상부로 승강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20)와 상기 연장부(220) 하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이송판이 동시에 이송될 수 있는 고정장치(24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가이드봉(231)을 관통한 다수의 연장부(220)에도 연장고정장치(242)가 구비되어 각각 가이드봉(2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40)에 의하여 작업자가 상기 눈금스타프(20)를 잡고 레벨을 측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인원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연장고정장치(242)는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연장부(220) 내부를 관통하는 가이드봉(231)에 압력을 가하여 고정될 수 있는 판스프링 등 다양한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마킹장치(250)는 각각의 상기 연장부(220) 하부에 삽입되어 마킹을 하려는 위치의 연장부(220)에 마킹장치(2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장치(300)는 상기 제 3연장부(223) 상단에 구비된 수용홀(224)에 결합되는 거치봉(310)과, 상기 거치봉(310)이 일 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거치봉(310)에서 회전하는 제 1거치부(320)와, 상기 제 1거치부(320) 내측에서 회전하며 상기 거치봉(310)이 일 측면에 관통되는 제 2거치부(330)와, 상기 제 1거치부(320)에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눈금스타프(20)가 결합된 후 상기 눈금스타프(20)를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3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면에 상기 눈금스타프(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타프 거치대(1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스타프 거치대(10)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는 수직결합장치(400)와, 상기 연장판(200)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0)에 레벨기의 영점을 표시하는 레벨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레이저디렉터(530)가 결합되는 결합홀(510)을 구비하는 레벨기준판(5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결합장치(400)는 상기 본체(100)의 뒷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자석으로 형성되어 각각 구비되는 제 1수직결합장치(410)와, 상기 본체(100)의 뒷측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제 2수직결합장치(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수직결합장치(420)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본체(100)의 뒷면에 억지끼움할 수 있고 상기 본체(100)의 뒷면에 결합된 후 상하로 슬라이딩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수직결합장치(420)의 뒷면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수직결합장치(410)와 상기 제 2수직결합장치(420)의 자석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수직결합장치(410)는 상기 본체(100)와 간격을 유직하기 위하여 별도의 간격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벨기준판(500)은 상기 연장판(200)의 전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레벨기준판(500)의 후면에는 소정의 두께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510)이 구비되어 레이저를 수광하는 레이저디렉터(530)가 나선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기준판(500)은 후면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손잡이를 구비하여 손잡이에 힘을 가하면 집게와 같이 전면이 열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판(20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벨기준판(500)의 일 측면에는 본체(100)에 구비된 눈금부(110)에 따라 영점을 조절할 수 있는 레벨표시(520)가 구비되어 눈금부(110)를 영점으로 기준을 잡고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이 영점이 아니고 소정의 높이에 영점을 측정하여야 할 때 상기 레벨기준판(500)의 레벨표시(520)를 눈금부(110)에 위치하도록 하여 영점으로 기준을 잡고 기준점부터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킹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판에서 회전하며 마킹을 하는 마킹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마킹장치(250)는 상기 마킹장치(250)는 상기 가이드봉(231)에 일 측이 결합되며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결합부(251)와, 상기 가이드봉(231)을 상부에 관통시키며 반원의 형상으로 하부로 연장되는 결합장치(252)와, 상기 결합부(251)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220)의 외측에 형성되는 마킹고정부(253)와, 상기 마킹고정부(253)의 하단에서 착탈가능하며 상기 마킹고정부(253)의 내측에서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단에 체결장치(254c)가 구비된 제 1회전부(254a)와, 상기 제 1회전부(254a)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2회전부(254b)를 구비하는 회전부(254)와, 상기 제 2회전부(254b)의 하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힌지부(255)와, 상기 힌지부(255)의 내측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며 전면에 마커펜(257)을 구비하는 마커부(256)와, 상기 힌지부(255)를 기준으로 상기 마커펜(257)의 타단부에 상기 마커부(256)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마커부(256)의 탄성을 제공하는 신축부(25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1)는 상기 가이드봉(231)을 내부에 관통시키며 형성되는 결합장치(2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252)는 각각의 상기 연장부(220)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봉(231)을 내부에 관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장치(252)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로는 반원의 형상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51)는 상기 결합장치(252)의 상부에 구비된 원형의 형상이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가 반원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상부보다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251)는 각각의 상기 연장부(220)의 하단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220)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부(251)와 상기 결합장치(252)가 이탈되지 않도록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킹고정부(253)는 상기 결합부(251)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22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51)의 하부에 결합되므로 상기 가이드봉(231)과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봉(231)과의 소정의 간격은 가이드봉(231)과 연장부(220)의 간격보다 넓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킹고정부(253)의 상부에는 수평장치(259)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장치(259)는 기포를 사용하여 상부에 구비된 원형표시부에 기포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마킹고정부(253)가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장치(259)는 상기 마킹고정부(253)에 구비된 별도의 홀에 삽입되어 분리가능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54)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마킹고정부(253)의 하단에 삽입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마킹고정부(253)의 하단에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54)는 상기 연장부(220)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마킹고정부(253)의 하단에 억지끼움하는 제 1회전부(254a)와 상기 제 1회전부(254a)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후 단부에서 하단으로 연장되어 제 1회전부(254a)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2회전부(254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킹고정부(253)는 상기 마킹고정부(253)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장치(254c)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홀(253c)과, 상기 가이드홀(253c)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1회전부(254a)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상단에 구비된 상기 체결장치(254c)가 결합되도록 철로 형성된 제 1결합체(253a)와, 상기 가이드홀(253c)의 하부에 나선결합되어 착탈가능하며 상기 체결장치(254c)가 관통되어 상기 제 1회전부(254a)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하부에 결합되도록 철로 형성된 제 2결합체(25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부(254)는 상기 마킹고정부(253)에서 착탈가능한 제 2결합체(253b)에 의하여 상기 마킹고정부(253)에서 분리가 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254)의 높이를 조절할 때는 상기 제 1회전부(254a)가 상기 가이드홀(253c)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제 1결합체(253a)와 체결장치(254c)가 결합되고 상기 제 1회전부(254a)를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제 2결합체(253b)에 결합되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255)는 상기 제 2회전부(254b)의 하단에 구비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 힌지부(255)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255)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 2회전부(254b)의 상부에는 높이조절장치(260)가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장치(260)를 회전하며 상기 힌지부(25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장치(260)는 내측에 나선형으로 구비되어 상부를 회전하면 상기 힌지부(255)의 상단이 상기 제 2회전부(254b)의 하단에서 걸리게 한 후 상단을 상부로 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255)는 또 다른 실시예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 측면이 소정의 크기로 개방되어 상기 마커부(256)가 착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커부(256)는 상기 힌지부(255)의 하단에 구비된 관통홀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며 상기 마커부(256)에 의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의 벽이나 철근에 마킹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마커부(256)의 일 단부에는 흑연심, 잉크 등의 인쇄재료가 구비되는 마커펜(257)을 전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커펜(257)의 위치는 상기 회전부(254)의 크기가 제 1연장부(221)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마커펜(257)의 위치가 상기 지지부(130)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의 기준점이 0이라고 할 경우 상기 마커펜(257)은 제 1연장부(221)에 의하여 0의 기준점에 마킹을 할 수 없으므로 제 1연장부(221)의 길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254)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마커펜(257)의 위치가 지지부(130)의 위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신축부(258)는 상기 힌지부(255)를 기준으로 상기 마커펜(257)의 타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마커펜(257)이 수평으로 이동한 후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신축부(258)는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258)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스타프 거치대(10)에서 멀리 있는 철근이나 벽체에 상기 마커펜(257)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마킹펜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마킹을 할 때 벽체의 형태에 방해를 받지 않고 본체(100)를 바닥에 지지한 후 마킹펜만을 회전하며 수평으로 마커펜(257)을 이동시켜 마킹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서리에 마킹을 할 때는 한 쪽 벽체에 마킹을 하기 위하여 본체(100)를 바닥에 지지한 후 마킹펜으로 벽체에 마킹을 해야하고 다른 벽체를 할 때는 본체(100)를 회전시켜 다시 레벨을 측정하여 마킹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마킹펜을 본체(100)에서 회전시킨 후 마커펜(257)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모서리 벽체에 마킹을 할 수 있으므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킹펜에 의하여 철근이 다수 구비되는 건설현장에서 철근 사이에 레벨을 마킹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가 승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10)는 본체(100)에서 다수의 연장부(220)가 순차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가이드봉(231)을 관통시켜 상부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20)는 상기 가이드봉(231)의 하단에 결합된 상기 이송판에 의하여 상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수평 방향이 잡힌 후 상기 마킹장치(2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연장부(220)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커펜(257)으로 영점을 잡을 때는 각각의 연장부(220)의 간격을 넓히지 않고 마킹을 하면 마커펜(257)이 고정체(210)의 하부와 동일한 위치에서 영점을 잡을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연장부(221)의 연장고정장치(242)를 조작하여 제 1연장부(221)가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봉(231)에서 상기 제 2연장부(222)와 상기 제 3연장부(223)와 함께 상부로 상승될 수 있다.
도 8의 (c)는 상기 제 1연장부(221)의 연장고정장치(242)를 고정한 후 상기 제 2연장부(222)에 구비된 고정장치(241)를 조작하여 상기 제 2연장부(222)와 상기 제 3연장부(223)를 상부로 연장하여 연장길이를 늘릴 수 있다.
도 8의 (d)는 상기 제 2연장부(222)를 상기 본체(100)의 최상단까지 연장한 후 상기 제 3연장부(223)가 상기 본체(100)에서 이탈되도록 연장하여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3연장부(223)는 연장부(220)의 전면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봉(231)과 후면에 구비된 상기 이송봉(228)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와 고정되므로 상기 제 3연장부(223)는 상기 본체(100)에서 분리되지 않고 높은 벽체나 깊은 웅덩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곳까지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연장부(223)가 상기 본체(100)의 높이에서만 연장되면 높이에 한계가 있으므로 깊은 웅덩이와 같은 곳은 레벨을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 3연장부(223)가 상기 가이드봉(231)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에서 이탈되지만 분리되지 않고 상기 연장고정장치(242)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웅덩이의 레벨을 측정해도 상기 스타프 거치대(10)를 떨어뜨리거나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3연장부(223)가 상기 본체(100)에서 이탈되는 것과 같은 원리로 제 2연장부(222)도 상기 본체(100)에서 이탈되어 더 높은 위치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용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용장치(300)는 연장판(200) 상부에 결합되는 수용장치(300)의 전면에 눈금이 표기된 눈금스타프(2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장치(300)는 상기 제 3연장부(223) 상단에 구비된 수용홀(224)에 결합되는 거치봉(310)과, 상기 거치봉(310)이 일 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거치봉(310)에서 회전하는 제 1거치부(320)와, 상기 제 1거치부(320) 내측에서 회전하며 상기 거치봉(310)이 일 측면에 관통되는 제 2거치부(330)와, 상기 제 1거치부(320)에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눈금스타프(20)가 결합된 후 상기 눈금스타프(20)를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치봉(310)은 상기 제 3연장부(223)의 상부에 결합된 삽입판(225)에 구비된 수용홀(224)에 하단이 거치될 수 있으며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홀(224)은 눈금스타프(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용장치(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봉(310)은 상기 눈금스타프(20)에 따라 상기 수용홀(224)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봉(310)에 의하여 상기 연장판(200)이 상부로 상승할 때 상기 수용장치(300)도 같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홀(224)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거치봉(310)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내측면에 다수의 볼이 구비된 볼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봉(310)의 하단은 상기 수용홀(224)에 거치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홀(224)이 나선결합으로 결합되는 너트 타입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거치봉(310)의 하단을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수용장치(300)를 회전하며 상기 거치봉(310)을 상기 수용홀(224)에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홀(224)는 상기 눈금스타프(20)가 결합되지 않고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눈금부(110)에 의하여 레벨을 측정할 때는 상기 수용장치(300)를 분리하여 상기 수용홀(224)에 레이저디렉터(530) 및 수평장치(259)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거치부(320)는 상기 거치봉(310)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1상판(321)과, 상기 거치봉(3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판(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하판(322)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상판(321)과 제 1하판(322)의 단부는 상기 제 1상판(321)과 상기 제 1하판(322)을 연결하는 제 1고정봉(3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거치부(320)는 상기 거치봉(31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고정봉(323)에는 상기 눈금스타프(20)를 고정하는 체결부(34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거치부(330)는 상기 거치봉(31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회전봉(334)이 상기 거치봉(310)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거치부(3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거치부(330)는 상기 회전봉(334)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2상판(331)과, 상기 회전봉(334)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 2하판(33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상판(331)과 상기 제 2하판(332)을 연결하는 제 2고정봉(333)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봉(334)이 상기 거치봉(310)에서 회전할 때 상기 제 2거치부(33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40)는 제 1고정봉(323)에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밴드로 구비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눈금스타프(20)가 상기 수용장치(300)에 결합된 후 상기 체결부(340)를 상기 수용장치(300)와 상기 눈금스타프(20)를 동시에 감싸며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40)에서 상기 눈금스타프(20)를 체결하면 상기 제 1거치부(320)와 상기 제 2거치부(330)가 각각 다른 방면으로 회전하며 상기 눈금스타프(20)와 체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거치부(320)와 상기 제 2거치부(330)에 의하여 상기 눈금스타프(20)는 상기 본체(100)와 상기 거치봉(310)의 단차만큼 회전하여 상기 눈금스타프(20)가 상기 본체(100)에 밀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장치(300)의 상기 제 1거치부(320)와 상기 제 2거치부(330)가 회전하지 않으면 상기 본체(100)와 상기 거치봉(310)의 간격에 의하여 상기 수용장치(300)에 체결된 상기 눈금스타프(20)의 하부가 상기 본체(100)가 소정의 간격으로 벌어질 수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340)에 의하여 상기 제 1거치부(320)와 상기 제 2거치부(330)가 각각 다른 방면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1고정봉(323)과 상기 제 2고정봉(333)이 상기 본체(100)와 상기 거치봉(310)의 간격만큼 회전하여 상기 눈금스타프(20)가 상기 본체(100)와 상기 거치봉(310)의 간격만큼 이동하여 상기 눈금스타프(20)의 하부가 상기 본체(100)에 밀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타프 거치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스타프 거치대 20: 눈금스타프
100: 본체 200: 연장판
210: 고정체 220: 연장부
230: 가이드부 240: 고정부
250: 마킹장치 260: 높이조절장치
300: 수용장치 400: 수직결합장치
500: 레벨기준판

Claims (9)

  1. 일 측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승강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판과,
    상기 연장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연장판에 결합되어 높이를 측정하는 눈금스타프를 감싸며 수용하는 수용장치와,
    상기 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착탈가능하며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를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는 수직결합장치와,
    상기 본체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하여 내측에 기포를 구비하는 수평장치와,
    상기 연장판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에 레벨기의 영점을 표시하는 레벨기에서 수평 방향으로 조사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레이저디렉터가 결합되는 결합홀을 구비하는 레벨기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프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 일 측면에 상기 눈금이 표기되며 상기 연장판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눈금부와,
    상기 눈금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판이 승강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돌기를 구비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을 감싸며 결합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프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승강돌기에 결합되는 승강홈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를 일 측면을 관통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원형으로 형성된 가이드봉을 구비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연장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의하여 상부로 승강시킨 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일 측이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연장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마킹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프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체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1연장부와,
    상기 제 1연장부에 상기 가이드봉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 1연장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 2연장부와,
    상기 제 2연장부와 상기 가이드봉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부에 상기 수용장치가 결합되는 수용홀을 구비하는 제 3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프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제 3연장부의 상부에 삽입되는 삽입판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눈금스타프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용장치가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프 거치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는 상기 제 3연장부 상단에 구비된 수용홀에 결합되는 거치봉과,
    상기 거치봉이 일 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거치봉에서 회전하는 제 1거치부와,
    상기 제 1거치부 내측에서 회전하며 상기 거치봉이 일 측면에 관통되는 제 2거치부와,
    상기 제 1거치부에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눈금스타프가 결합된 후 상기 눈금스타프를 체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프 거치대.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장치는 상기 가이드봉에 일 측이 결합되며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결합부와,
    상기 가이드봉을 상부에 관통시키며 반원의 형상으로 하부로 연장되는 결합장치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마킹고정부와,
    상기 마킹고정부의 하단에서 착탈가능하며 상기 마킹고정부의 내측에서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단에 자석으로 형성된 체결장치가 구비된 제 1회전부와, 상기 제 1회전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제 2회전부를 구비하는 회전부와,
    상기 제 2회전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내측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며 전면에 마커펜을 구비하는 마커부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커펜의 타단부에 상기 마커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마커부의 탄성을 제공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프 거치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고정부는 상기 마킹고정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장치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 1회전부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상단에 구비된 상기 체결장치가 결합되도록 철로 형성된 제 1결합체와,
    상기 가이드홀의 하부에 나선결합되어 착탈가능하며 상기 제 1회전부의 상단이 관통되어 상기 제 1회전부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하부에 결합되도록 철로 형성된 제 2결합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프 거치대.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 2회전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기 마커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프 거치대.
KR1020150044897A 2015-03-31 2015-03-31 스타프 거치대 KR101726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97A KR101726220B1 (ko) 2015-03-31 2015-03-31 스타프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97A KR101726220B1 (ko) 2015-03-31 2015-03-31 스타프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724A true KR20160116724A (ko) 2016-10-10
KR101726220B1 KR101726220B1 (ko) 2017-04-13

Family

ID=57146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897A KR101726220B1 (ko) 2015-03-31 2015-03-31 스타프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3254A (zh) * 2016-11-04 2017-01-11 东莞欧达电子有限公司 一种激光水平测试仪
CN111504266A (zh) * 2020-06-04 2020-08-07 邱俊 一种便携式可折叠的水准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277A (ja) * 1993-12-09 1995-06-20 Sekisui House Ltd コンクリート天端のレベル出し具
JPH1144094A (ja) * 1997-05-28 1999-02-16 Tokyu Koken Co Ltd マーカー付きレベル用標尺及びマーカー付きレベル用 標尺を使用したレベル墨出し方法
KR100418621B1 (ko) * 2001-06-12 2004-02-19 김진술 건축용 레벨 체크기
KR20140131755A (ko) * 2013-05-06 2014-11-14 노희아 레벨 측정용 스타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277A (ja) * 1993-12-09 1995-06-20 Sekisui House Ltd コンクリート天端のレベル出し具
JPH1144094A (ja) * 1997-05-28 1999-02-16 Tokyu Koken Co Ltd マーカー付きレベル用標尺及びマーカー付きレベル用 標尺を使用したレベル墨出し方法
KR100418621B1 (ko) * 2001-06-12 2004-02-19 김진술 건축용 레벨 체크기
KR20140131755A (ko) * 2013-05-06 2014-11-14 노희아 레벨 측정용 스타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3254A (zh) * 2016-11-04 2017-01-11 东莞欧达电子有限公司 一种激光水平测试仪
CN111504266A (zh) * 2020-06-04 2020-08-07 邱俊 一种便携式可折叠的水准仪
CN111504266B (zh) * 2020-06-04 2021-12-28 徐继红 一种便携式可折叠的水准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220B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5883B2 (ja) 測量用標尺
CN203643450U (zh) 混凝土塌落度的测量装置
CN104990541A (zh) 一种建筑工程用测量系统
KR101726220B1 (ko) 스타프 거치대
CN102829943A (zh) 一种落球试验机
KR20140131755A (ko) 레벨 측정용 스타프
CN213455234U (zh) 一种水工环地裂缝测量装置
CN203615880U (zh) 一种折弯机滑块加工面的直线度检测装置
KR100987035B1 (ko) 전자파 측정용 보조장치
KR101628794B1 (ko) 스타프 거치대
JP2004317406A (ja) 光波測定器用受光治具
CN106352841A (zh) 一种电梯围裙板的平面度检测装置
CN205012378U (zh) 一种土木施工用基钎
CN210240978U (zh) 一种建筑工程用测绘装置
CN211504162U (zh) 一种光学测量仪器的校准器
CN202582529U (zh) 一种露天矿坡面角度测量仪
CN210198254U (zh) 一种水工环地裂缝测量装置
CN102645142A (zh) 一种百分表支架
CN102759338A (zh) 一种使用无损测厚仪测量楼板厚度的方法
CN207620391U (zh) 一种泡沫混凝土浇筑标高控制装置
CN202676159U (zh) 一种高度定位标尺
KR102170676B1 (ko) 측량 기준점 표지구
CN207540492U (zh) 一种三角式获取移动测量稀疏点云准确地面定位点的装置
KR100812127B1 (ko) 측량용 스태프 위치 고정장치
CN106767223B (zh) 一种双固定式外径千分尺检测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