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121B1 -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121B1
KR101961121B1 KR1020160180933A KR20160180933A KR101961121B1 KR 101961121 B1 KR101961121 B1 KR 101961121B1 KR 1020160180933 A KR1020160180933 A KR 1020160180933A KR 20160180933 A KR20160180933 A KR 20160180933A KR 101961121 B1 KR101961121 B1 KR 101961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tripod
base
coupled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602A (ko
Inventor
여원찬
길창석
김명기
황우석
Original Assignee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토정보공사 filed Critical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to KR102016018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1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26Details
    • G01C9/30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of bub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1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 G01C3/14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with binocular observation at a single point, e.g. stereoscopic type
    • G01C3/16Measuring ma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01C5/04Hydrostatic levelling, i.e. by flexibly interconnected liquid containers at separated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26Details
    • G01C9/32Means for facilitating the observation of the position of the bubble, e.g.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3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of the tubular type, i.e. for indicating the level in one direc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삼각대, 상기 삼각대에 수직 결합되는 수직폴, 상기 삼각대의 상부와 상기 수직폴의 하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삼각대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조정하는 삼각대 수평조정모듈과 상기 수직폴을 수직으로 배치하도록 조정하는 수직폴 수직조정모듈을 포함하는 정준대 및 상기 수직폴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폴 수직조정모듈을 통해 상기 수직폴의 자세가 조절될 때 원형기포가 기준영역으로 조정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APPARATUS FOR CIRCULARLY ADJUSTING VERTICALITY THROUGH BUBBLE}
본 발명은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준기를 통해 시준될 때 보다 정밀하게 측점을 제공할 수 있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적 측량은 1 필지에 대하여 그 소유자, 지번, 지목, 경계, 면적 등을 조사 측정하는 측량기술로서, 지적공부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적공부는 토지대장, 임야대장, 공유지연명부, 대지권등록부, 지적도, 임야도 및 경계점좌표등록부 등 지적측량 등을 통하여 조사된 토지의 표시와 해당 토지의 소유자 등을 기록한 대장 및 도면(정보처리시스템을 통하여 기록·저장된 것 포함)을 말한다.
시준기는 대물 렌즈의 초점에 빛을 넣는 슬릿(slit)을 놓고 이곳을 통과하는 빛을 평행 광선속(光線束)으로 하는 기계를 말하고, 측점과의 거리와 높이를 포함하는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준기는 무한원(無限遠) 광원 장치로서 광학 기계의 제작 및 조정에 이용되고 있다.
지적 측량 과정에서, 시준기는 측점을 시준 하는데, 즉, 측점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측점은 측정을 할 때 기준이나 목표가 되는 점. 측점에는 나무말뚝, 돌말뚝, 콘크리트 말뚝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점은 측량 작업에 이용되는 점을 나타내는 일반 명칭에 해당할 수 있다.
종래의 지적 측량에 사용되는 측량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03356호에서 개시된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측량장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3612호에서 개시된 자동식 GPS 측량 설치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7915호에서 개시된 지표의 정밀한 수준측량이 가능한 토털스테이션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5318호에서 개시된 다단식 측량용 폴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기술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3356호는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측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측정대상위치를 측량구에 대하여 수평 기울어짐에 대한 자동보정이 가능하고 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거나 경사면 등과 같이 측정이 어려운 지점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3612호는 자동식 GPS 측량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GPS 수신기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GPS 수신기의 수평 상태가 상시 자동 유지될 수 있어 취득되는 위치좌표의 측정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7915호는 지표의 정밀한 수준측량이 가능한 토털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지형 측량을 위한 토털스테이션 설치 시 토털스테이션의 수평 위치를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맞춰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지표의 정밀한 수준측량이 가능한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5318호는 다단식 측량용 폴에 관한 것으로, 폴의 내부로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관, 연결관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외주면으로 제 1, 2경사면과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봉, 나사산에 체결되어 상, 하로 이동하는 작동부재, 나사봉과 작동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작동부재에 의해 상, 하로 이동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압착편으로 구성되어 연결관을 구속, 해제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폴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함으로써 산악지역이나 기타 장애물이 많은 지역에서도 원활한 측량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위의 기술들은 지적 측량에 관한 기술이지만, 가장 중요한 측점기(즉, 스테이션: station)에 관한 정확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만일 측점기 자체의 정밀함이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되면, 정확한 지적 측량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시준기를 통해 시준될 때 보다 정밀하게 측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측점기에 해당하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103356호(2011.12.30) 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3612호(2006.12.05)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57915호(2012.06.07) 4.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5318호(2002.11.0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준기를 통해 시준될 때 보다 정밀하게 측점을 제공할 수 있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준대를 구성하는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 제1 및 제2 베이스들을 통해 삼각대와의 수평 및 수직폴과의 수직을 조정할 수 있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준대를 통해 삼각대와의 수평 및 수직폴과의 수직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삼각대 또는 수직폴의 순간적인 흔들림을 측정하여 시준기에게 일시 시준의 정지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흔들림 센서를 포함하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는 삼각대, 상기 삼각대에 수직 결합되는 수직폴, 상기 삼각대의 상부와 상기 수직폴의 하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삼각대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조정하는 삼각대 수평조정모듈과 상기 수직폴을 수직으로 배치하도록 조정하는 수직폴 수직조정모듈을 포함하는 정준대 및 상기 수직폴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폴 수직조정모듈을 통해 상기 수직폴의 자세가 조절될 때 원형기포가 기준영역으로 조정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를 포함한다.
상기 정준대는 상기 수직폴을 삽입 결합하는 돌기형 암 커넥터(projected female connector) 및 상기 돌기형 암 커넥터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 결합된 수직폴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스크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준대는 상기 돌기형 암 커넥터를 중앙에서 결합하는 제1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 수직조정모듈은 상기 제1 베이스의 외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수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준대는 상기 제1 베이스에 있는 돌기형 암 커넥터의 외부에 배치되고 직선 왕복하는 기포를 통해 상기 제1 베이스의 수평을 측정하는 직선형 수평측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준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하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삼각대와 나사산 결합하는 나사산 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준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평면 운동하는 기포를 통해 상기 제2 베이스의 수평을 측정하는 원형 수평측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는 평면 운동하는 기포를 통해 상기 수직폴의 수직을 측정하는 원형 수직측정모듈, 상기 원형 수평측정모듈의 외부에 돌출되어 상기 수직폴과 억지끼움을 통해 결합하는 억지끼움 암들(tight fit arms) 및 상기 억지끼움 암들에 의한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는 상기 원형 수직측정모듈에 있는 기포에 대한 순간적인 흔들림을 감지하여 외부에 있는 시준기에 시준 일시멈춤 신호를 제공하는 흔들림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는 시준기를 통해 측정되는 측점기, 상기 측점기를 결합 지지하는 수직폴 및 상기 수직폴의 중단에 결합되고 상기 측점기를 향하여 원형기포에 관한 기준영역을 표시하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는 시준기를 통해 시준될 때 보다 정밀하게 측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는 정준대를 구성하는 상호 이격되어 결합된 제1 및 제2 베이스들을 통해 삼각대와의 수평 및 수직폴과의 수직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는 정준대를 통해 삼각대와의 수평 및 수직폴과의 수직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삼각대 또는 수직폴의 순간적인 흔들림을 측정하여 시준기에게 일시 시준의 정지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흔들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정준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관측할 때 도시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정준대의 제1 상부측면에서 제2 하부측면 방향(즉, 대각선 방향)으로 관측할 때 도시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정준대의 제1 정측면에서 제2 정측면 방향으로 관측할 때 도시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가 수직폴로부터 분리될 때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가 수직폴에 결합된 때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준기를 통해 측점되는 측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시준기는 지적 측량 과정에서 측점기(station)와의 거리와 높이를 포함하는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지만, 일 실시예에서, 대물 렌즈의 초점에 빛을 넣는 슬릿(slit)을 놓고 이곳을 통과하는 빛을 평행 광선속(光線束)으로 하는 기계로 구현될 수 있다.
측점기는 측점으로 단순화하여 호칭될 수 있고,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측점기의 용어 사용은 종래의 일반적인 측점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해당하는 측점기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로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100)는 삼각대(110), 삼각대 고정용 스타모듈(120), 수직폴(130), 정준대(140) 및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를 포함한다.
삼각대(110)는 3개의 다리들로 구성된 지지대에 해당하고, 삼각대 고정용 스타모듈(120)을 이용하여 삼각대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삼각대(110)는 삼각대(110) 상부에 있는 주요 구성요소들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여기에서, 주요 구성요소들은 수직폴(130), 정준대(140) 및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를 포함한다. 삼각대(110)는 삼각대(110)의 상부에 정준대(1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삼각대 고정용 스타모듈(120)은 삼각대(110) 하부 촉을 밴드로 고정시킬 수 있고, 삼각대(110)가 지지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삼각대 고정용 스타모듈(120)은 삼각대(110)가 지지될 수 있도록 3개의 다리들을 연결할 수 있고, 삼각대(110) 하부 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직폴(130)은 삼각대(11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정준대(140)를 통해 삼각대(110)와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일측에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를 분리 가능하게 거치하여 정확한 수직과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폴(130)은 실내측정용 수직폴 또는 실외측정용 수직폴로 구성될 수 있고, 실내 또는 실외에서의 측량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규격화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m용 수직폴의 규격은 길이 30cm에 두께 30mm에 해당할 수 있고, 5m용 수직폴의 규격은 길이 30cm에 두께 44.5mm에 해당할 수 있다. 수직폴(130)의 규격 허용치는 플러스 1mm 또는 마이너스 1mm 정도에 해당한다. 또한, 수직폴(130)은 알루미늄(Aluminum) 재질의 막대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흑색 하드-아노다이징(Hard-Anodizing) 열처리를 통해 변색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정준대(140)는 삼각대(110)의 상부와 수직폴(130)의 하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준대(140)는 삼각대(11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수직폴(130)의 하부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정준대(140)는 삼각대 수평조절모듈(222)과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을 포함한다.
삼각대 수평조절모듈(222)은 삼각대(110)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삼각대 수평조절모듈(222)은 삼각대(110)의 상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정준대(140)가 삼각대(110)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은 수직폴(130)을 수직으로 배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은 정준대(140)에 삽입 결합되는 수직폴(130)을 수직으로 배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하, 정준대(140)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는 'ㄱ'의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폴(130)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원형기포의 위치를 기초로 수직폴(130)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40)는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을 통해 수직폴(130)의 자세가 조절될 때 원형기포가 기준영역으로 조정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있는 정준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1에 있는 정준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관측할 때 도시되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정준대의 제1 상부측면에서 제2 하부측면 방향(즉, 대각선 방향)으로 관측할 때 도시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정준대의 제1 정측면에서 제2 정측면 방향으로 관측할 때 도시되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정준대(140)는 돌기형 암 커넥터(210), 스크류 고정부재(212), 제1 베이스(220), 삼각대 수평조정모듈(222),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 직선형 수평측정모듈(226), 제2 베이스(230) 및 원형 수평측정모듈(232)을 포함한다.
돌기형 암 커넥터(projected female connector)(210)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외부에 나사산 결합된 스크류 고정부재(212)를 포함한다. 돌기형 암 커넥터(210)는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수직폴(130)을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수직폴(130)을 스크류 고정부재(212)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돌기형 암 커넥터(210)는 스크류 고정부재(212)를 돌리면서 삽입 결합된 수직폴(130)의 자세를 고정시킬 수 있고, 여기에서, 수직폴(130)의 자세는 수직폴(130)의 수평 또는 수직폴(130)의 수직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베이스(220)는 중앙에 돌기형 암 커넥터(210)를 결합시킬 수 있고, 제1 베이스(220)의 외부에 삼각대 수평조정모듈(222),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 및 직선형 수평측정모듈(226)을 포함한다.
삼각대 수평조정모듈(222)은 제1 베이스(220)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고, 삼각대(110)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량자는 삼각대(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정준대(140)의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삼각대 수평조정모듈(222)을 조정하여 정준대(140)가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은 제1 베이스(220)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베이스(220)의 수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량자는 정준대(140)의 돌기형 암 커넥터(210)에 삽입 결합된 수직폴(130)의 수직(또는 수평)이 맞지 않는다면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을 조정하여 제1 베이스(220)의 수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정준대(140)는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을 조정하여 제1 베이스(220)의 수평을 제어함으로써 돌기형 암 커넥터(210)에 삽입 결합된 수직폴(130)을 수직으로 배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직선형 수평측정모듈(226)은 제1 베이스(220)에 있는 돌기형 암 커넥터(2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직선으로 왕복하는 기포를 통해 제1 베이스(220)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직선형 수평측정모듈(226)의 규격은 60'' / 2mm 이내에 해당한다.
정준대(140)는 직선형 수평측정모듈(226) 내에서 직선으로 왕복하는 기포의 흔들림(또는 기울기)을 측정하여 제1 베이스(220)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수평 결과에 따라 수직폴 수직조정모듈(224)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베이스(230)는 제1 베이스(220)의 하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나사산 암 커넥터 및 원형 수평측정모듈을 포함한다.
제2 베이스(230)는 나사산 암 커넥터를 통해 삼각대(110)와 나사산 결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준대(140)는 제2 베이스(230)의 나사산 암 커넥터를 통해 삼각대(11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고, 정준대(140)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해 삼각대 수평조정모듈(222)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정준대(140)는 제1 베이스(220)와 제2 베이스(230)를 특정 간격만큼 단차가 존재하도록 배치할 수 있고, 단차가 존재하는 제1 베이스(220)와 제2 베이스(230)는 서로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원형 수평측정모듈(232)은 제2 베이스(230)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형 수평측정모듈(232)은 제1 베이스(220)의 외부에 배치되고 평면 운동하는 기포를 통해 제2 베이스(230)의 수평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준대(140)는 제1 베이스(220)와 제2 베이스(230) 간의 단차가 있고 이격적으로 결합되어 배치됨으로써 직선형 수평측정모듈(226)과 원형 수평측정모듈(232)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있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1에 있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가 수직폴로부터 분리될 때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있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가 수직폴에 결합된 때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는 원형 수직측정모듈(510), 억지끼움 암들(520), 밴드(530) 및 흔들림 센서(540)를 포함한다.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는 수직폴(13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수직폴(130)의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원형 수직측정모듈(510)은 투명 소재로 원형의 관으로 제작될 수 있고,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형 수직측정모듈(510)은 중앙에 원형으로 표시된 표시모듈을 통해 수직폴(130)의 수직을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측량자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 상부에 있는 원형 수직측정모듈(510)에 표시된 붉은 색 원형표시에 푸른색 원형표시가 포함되도록 조정함으로써 수직폴(130)의 수직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원형 수직측정모듈(510)은 평면 운동하는 기포를 통해 수직폴(130)의 수직을 측정할 수 있다.
억지끼움 암들(tight fit arms)(520)은 원형 수평측정모듈(510)의 외부에 돌출되어 수직폴(130)과 억지끼움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밴드(530)는 억지끼움 암들(520)에 의한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흔들림 센서(540)는 원형 수직측정모듈(510)에 있는 기포에 대한 순간적인 흔들림을 감지하여 외부에 있는 시준기(710)에 시준 일시멈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흔들림 센서(540)는 카메라(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흔들림 센서(540)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순간적인 흔들림의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수학식]
Y = f(T, t, A, a)
Y : 순간적인 흔들림의 발생여부로서, 발생의 경우에는 1의 값을 가지고, 비발생의 경우에는 0의 값을 가짐
f() : 4가지의 입력들을 통해 1 또는 0의 값을 출력
T : 기준 시간 구간 (예: 2초)
t : 이산적인 기포 영상들을 획득하는 시간 주기 (예: 0.5초)
A : 기준 면적
a : T 시간 동안 t 간격으로 얻어진 영상들에 있는 기포를 오버레이했을 때의 전체 기포의 면적
결과적으로, Y는 기준 시간(T) 동안에 주기(t) 별로 생성된 N 개(N = T / t)의 기포에 관한 영상들을 통해 전체 기포의 면적(a)이 기준 면적(A) 이상인지 여부에 관한 결과로서, 그렇다면, 1의 값을, 그렇지 않다면, 0의 값을 가짐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준기를 통해 측점되는 측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100)는 시준기(710), 측점기(720), 수직폴(130) 및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를 포함한다.
시준기(710)는 측량자가 수직폴(130)을 이용하여 결정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준기(710)는 측량 과정에서 측점기(720)와의 거리 및 높이를 포함하는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측점기(720)는 시준기(710)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수직폴(130)은 측점기(720)를 결합 지지할 수 있고, 수직폴(130) 일측에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서, 측량자는 수직폴(130)에 결합된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를 이용하여 수직폴(130)에 대한 수직과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는 억지끼움 암들(520)을 통해 수직폴(130)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수직폴(130)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밴드(53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측량자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의 상부에 있는 원형 수직측정모듈(510)의 원형기포가 기준영역으로 조정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직폴(150)의 자세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측량자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150)를 사용하여 원형 수직측정모듈(510)의 정확한 0포인트를 맞출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직폴(130)의 수직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110: 삼각대 120: 삼각대 고정용 스타모듈
130: 수직폴 140: 정준대
150: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
210: 돌기형 암 커넥터 212: 스크류 고정부재
220: 제1 베이스 222: 삼각대 수평조절모듈
224: 수직폴 수직조정모듈 226: 직선형 수평측정모듈
230: 제2 베이스 232: 원형 수평측정모듈
510: 원형 수직측정모듈 520: 억지끼움 암들
530: 밴드 540: 흔들림 센서
710: 시준기 720: 측점기

Claims (9)

  1. 삼각대;
    상기 삼각대에 수직 결합되는 수직폴;
    상기 삼각대의 상부와 상기 수직폴의 하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삼각대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조정하는 삼각대 수평조정모듈과 상기 수직폴을 수직으로 배치하도록 조정하는 수직폴 수직조정모듈을 포함하는 정준대; 및
    상기 수직폴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폴 수직조정모듈을 통해 상기 수직폴의 자세가 조절될 때 원형기포가 기준영역으로 조정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며 흔들림 센서를 통해 원형 수직측정모듈에 있는 기포에 대한 순간적인 흔들림을 감지하여 외부에 있는 시준기에 시준 일시멈춤 신호를 제공하는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를 포함하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준대는
    상기 수직폴을 삽입 결합하는 돌기형 암 커넥터(projected female connector); 및
    상기 돌기형 암 커넥터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삽입 결합된 수직폴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스크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준대는
    상기 돌기형 암 커넥터를 중앙에서 결합하는 제1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폴 수직조정모듈은 상기 제1 베이스의 외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수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준대는
    상기 제1 베이스에 있는 돌기형 암 커넥터의 외부에 배치되고 직선 왕복하는 기포를 통해 상기 제1 베이스의 수평을 측정하는 직선형 수평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준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하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삼각대와 나사산 결합하는 나사산 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2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준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외부에 배치되고 평면 운동하는 기포를 통해 상기 제2 베이스의 수평을 측정하는 원형 수평측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폴 결합형 기포 측정기는
    평면 운동하는 기포를 통해 상기 수직폴의 수직을 측정하는 상기 원형 수직측정모듈의 외부에 돌출되어 상기 수직폴과 억지끼움을 통해 결합하는 억지끼움 암들(tight fit arms); 및
    상기 억지끼움 암들에 의한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60180933A 2016-12-28 2016-12-28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KR101961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33A KR101961121B1 (ko) 2016-12-28 2016-12-28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933A KR101961121B1 (ko) 2016-12-28 2016-12-28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02A KR20180076602A (ko) 2018-07-06
KR101961121B1 true KR101961121B1 (ko) 2019-07-17

Family

ID=6292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933A KR101961121B1 (ko) 2016-12-28 2016-12-28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033A (ko) 2020-05-18 2020-06-05 김경환 측량삼각대 목표점 및 수평 맞춤 보조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1618B (zh) * 2021-09-07 2023-07-25 深圳宏业基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垂直度检测装置
KR20240001744A (ko) 2022-06-24 2024-01-04 주식회사 바로티나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의 ui를 수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15312116A (zh) * 2022-08-04 2022-11-08 天津大学温州安全(应急)研究院 一种液位式自动水平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881B2 (ja) * 1993-03-03 2000-08-14 三洋電機株式会社 ガイドシャフトの固定装置
KR100427129B1 (ko) * 2001-12-28 2004-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러더의 스톡 및 핀틀 정렬 측정기
KR101087683B1 (ko) * 2009-10-26 2011-11-30 이양재 다용도 측량기
JP2013003477A (ja) * 2011-06-21 2013-01-07 Kiyoshi Noguchi カメラ用三脚に用いて雲台を水平にす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587Y2 (ja) * 1989-11-21 1994-06-08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液体供給具
JP3075881U (ja) * 2000-08-25 2001-03-06 株式会社ソキア 反射シート装置
US20020095318A1 (en) 2001-01-18 2002-07-18 Travis Parry Electronic ticket squirting
KR200433612Y1 (ko) 2006-09-27 2006-12-11 삼부기술 주식회사 자동식 gps 측량 설치대
KR101103356B1 (ko) 2009-12-10 2012-01-05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측량장치
KR20120057915A (ko) 2010-11-29 2012-06-07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지표의 정밀한 수준측량이 가능한 토털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5881B2 (ja) * 1993-03-03 2000-08-14 三洋電機株式会社 ガイドシャフトの固定装置
KR100427129B1 (ko) * 2001-12-28 2004-04-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러더의 스톡 및 핀틀 정렬 측정기
KR101087683B1 (ko) * 2009-10-26 2011-11-30 이양재 다용도 측량기
JP2013003477A (ja) * 2011-06-21 2013-01-07 Kiyoshi Noguchi カメラ用三脚に用いて雲台を水平にす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033A (ko) 2020-05-18 2020-06-05 김경환 측량삼각대 목표점 및 수평 맞춤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602A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121B1 (ko) 수직원형기포 조정 장치
CN111238453B (zh) 智能定位模块
CN107560594B (zh) 勘测装置、高度测量系统和用于测量高度的方法
US7196302B2 (en) Laser measuring method and laser measuring system having fan-shaped tilted laser beams and three known points of photodetection system
US6453569B1 (en) Surveying instrument and plumbing device for plumbing surveying instrument
KR101351070B1 (ko) 국가수준점을 기초로 한 지표면의 표고 측량 전용 수준 측량 시스템
CN200986436Y (zh) 检测可见激光束位置偏差的装置
US20120272536A1 (en) Survey Setting Point Indicating Device
US20150308825A1 (en) Laser beam horizontal trueness tes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US7946044B2 (en) Surveying instrument and a method therefor
US10067233B2 (en) Illuminance measuring system
KR101789211B1 (ko)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CN110411479B (zh) 一种激光垂准仪数字化校准系统及应用
US8215025B2 (en) Prism tripod
CN108426564A (zh) 建筑瓦工用免校准便捷式多用水平仪
KR101346203B1 (ko) 수준점 및 표고점을 기반으로 gps를 측량하는 기본측량시스템
US10514464B2 (en) Portable prism receiver and improved portable GPS receiver and measurement method using same
KR101144200B1 (ko) 일반도화기에서 사용되는 영상도화이미지의 데어터 수집시스템
CN102735262B (zh) 激光标线仪精度检测装置
KR101984507B1 (ko) 개량형 포터블 프리즘 수신장치와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CN106482743B (zh) 一种相对位置测量设备的快速检测方法
WO2020133970A1 (zh) 激光倾斜仪精度的测试方法、测试系统
CN110346769A (zh) 一种用于毫米波雷达测试的便携式测试架设备
KR101358983B1 (ko) 수준측량에서 수준노선 형성을 위한 수준점 정밀 측량시스템
KR101210539B1 (ko) 지표면의 수준측량과 지형 간 거리를 측량하는 측지정보 확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