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042B1 - 검전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검전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042B1
KR101943042B1 KR1020170097473A KR20170097473A KR101943042B1 KR 101943042 B1 KR101943042 B1 KR 101943042B1 KR 1020170097473 A KR1020170097473 A KR 1020170097473A KR 20170097473 A KR20170097473 A KR 20170097473A KR 101943042 B1 KR101943042 B1 KR 101943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unit
display unit
operato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식
정상근
김종현
권오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97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는 접지봉; 상기 접지봉 단부에 체결되어 접지대상을 고정하는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에 마련되어 상기 접지대상의 전기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검전부; 및 상기 검전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검전 접지장치{EARTHNING DEVICE HAVING ELECTROSCOPIC FUNCTION}
본 발명은 검전기능과 접지기능을 가지는 검전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접지 장치는 한 쌍의 접지봉과 접지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접지봉은 다단으로 된 검전 접지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끝단에 S자 형상의 걸쇠가 결합된다. 걸쇠와 검전 접지장치의 결합은 연결구 등이 이용된다. 접지선은 그 일단부에 철탑 또는 접지와 결합되는 철탑측 금구가 구비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전선과 결합되는 전선측 금구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선측 금구는 접지 고리와 볼트 조임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볼트 조임부는 그 하단부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접지 장치의 사용 방식을 설명한다. 먼저 검전기에 의해 전선상에 전류가 검출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철탑측 금구를 접지를 위해 철탑 또는 접지 상에 결합한다. 그리고, 접지봉을 접지선 전선측 금구의 홀에 연결하여 접지 고리를 전선에 건다. 그리고, 접지봉의 걸쇠를 볼트 조임부의 고리에 걸어 작업 반경에서 소정거리 이격된 전선상으로 위치시킨다. 이후, 접지봉을 회전시켜서 볼트 조임부를 조여 접지선을 전선에 고정시킨다.
한편, 검전기는 작업자가 변전 기기 및 송전 철탑에 올라가 전선 상에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작 전압의 존재나 미존재를 검출하는 데 이용되는 장치로, 접속 금구를 전선에 접속시키면 검출부는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검전기는 몸체를 이루는 봉 부분과, 봉 부분의 단부에 마련된 접속 금구, 및 검출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검전기 및 접지 장치에 의하면, 검전 작업과 접지 작업이 각각 별도의 장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변전기기 또는 철탑의 검전 및 접지에 양자를 모두 휴대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 특성상 철탑은 주로 산악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이 많고 또한 반복적인 검전, 접지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비의 중량이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양자를 모두 휴대하는 것은 작업자에게 큰 부담이 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3088호(2002.10.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전기 작업시 비접지부에 접지를 실시하기 전 전기의 흐름을 알 수 있는 검전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지봉, 상기 접지봉 단부에 체결되어 접지대상을 고정하는 클램프부, 상기 클램프부에 마련되어 상기 접지대상의 전기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검전부, 및 상기 검전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검전 접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검전부는 유도 전류를 인지 가능한 감지부재, 상기 감지부재에서 얻은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가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권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는 ㄷ자 형상의 조임몸체, 상기 조임몸체에 끼워지는 부재를 조이는 가압부재, 및 유도전류를 대지로 흘려 보내는 접지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봉은 손잡이 부분은 부도체로 이루어지고, 외측 환형봉 내부에 내측 환형봉이 삽입되는 구조로 길이조절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지대상의 전류 흐름량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전압표시부, 상기 검전부에서의 전기 흐름 여부 따라 작업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시각경고부, 및 상기 검전부에서의 전기 흐름 여부 따라 작업자에게 청각정보를 제공하는 청각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는 산업현장에서 각종 전기설비를 점검 및 수리, 유지보수 작업을 위한 접지 작업 시, 전선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경우 접지작업을 시도하기 전 시각적 경보와 청각적 경보를 울리게 하여 작업을 멈출 수 있게 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의 길이를 늘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의 클램프부를 상세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의 접지봉이 (a)늘어나기 전과 (b)늘어난 후를 상세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의 표시부를 상세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의 권선부재를 상세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산업현장에서 각종 전기설비를 점검 및 수리, 유지보수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접지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전선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고 작업을 하여야 하지만, 작업자의 실수나 그외 여타한 조건으로 인하여 전류가 차단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었고, 이는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 이상이나 작업자의 감전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검전 작업과 접지 작업이 각각 별도의 장비에 의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변전기 또는 철탑의 검전 및 접지에 양자를 모두 휴대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작업 특성상 철탑은 주로 산악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이 많고 또한 반복적인 검전, 접지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비의 중량이 작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양자를 모두 휴대하는 것은 작업자에게 큰 부담이 되었던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할 검전 접지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의 길이를 늘인 경우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의 클램프부(200)를, 도 4는 접지봉(100)이 (a)늘어나기 전과 (b)늘어난 후를 상세 도시한다. 그리고 도 5는 표시부(400)를, 도 6은 권선부재(330)를 각각 상세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는 접지봉(100), 상기 접지봉(100) 단부에 체결되어 접지대상(G)을 고정하는 클램프부(200), 상기 클램프부(200)에 마련되어 상기 접지대상(G)의 전기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검전부(300), 및 상기 검전부(300)에서 전달된 정보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표시부(400)를 포함한다.
접지봉(100)은 손잡이 부분은 부도체로 이루어지고, 외측 환형봉(110) 내부에 내측 환형봉(120)이 삽입되는 구조로 길이조절 가능하다. 여기서, 외측 환형봉(110)은 내측 환형봉(120)을 수용하는데, 도시된 바와 달리 내측 환형봉(120) 내에 다시 또다른 환형봉이 삽입되는 안테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30)는 외측 환형봉(110) 내부에서 내측 환형봉(12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내측 환형봉(120)의 위치 고정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외측 환형봉(110)과 내측 환형봉(120)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마련되고, 그들이 겹쳐지는 부분에 고정볼트 역할을 하는 고정부재(130)가 체결될 수 있다.
클램프부(200)는 ㄷ자 형상의 조임몸체(210), 조임몸체(210)에 끼워지는 부재를 조이는 가압부재(220), 및 유도전류를 대지로 흘려 보내는 접지 클램프(250)를 포함한다.
조임몸체(210)는 ㄷ자 형상으로로 마련되고, 그 사이로 접지 대상물을 끼워 나비볼트인 가압부재(220)를 조임으로써 접지 대상물을 접지시킬 수 있다. 체결부재(230)는 조임몸체(210)의 측면 일측에 결합볼트(240)에 의해 결합되어, 연결선(251)으로 접지 클램프(250)가 체결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연결선(251)은 결합볼트(240)와 함께 체결부재(230)에 결합되고, 접지 클램프(250)는 세 개가 마련되어 접지 대상물에 삼상 전류가 흐르는 경우 각 상별로 전기를 흘려보낼 수 있다.
검전부(300)는 유도 전류를 인지 가능한 감지부재(310), 감지부재(310)에서 얻은 정보를 표시부(400)에 전달하는 연결부재(320), 및 연결부재(320)가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권선부재(330)를 포함한다.
감지부재(310)는 유도 전류를 인지 할 수 있는 부재로, 유도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통해 접지 대상의 접지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320)는 감지부재(31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표시부(400)에 전달한다. 연결부재(320)는 전기가 통하는 전선으로써 감지부재(310)에 흐르는 유도전류를 표시부(400) 쪽으로 보낼 수 있다.
권선부재(330)는 연결부재(320)를 감아 정리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릴부재(331)와 탄성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릴부재(331)는 외면에 연결부재(320)가 감기는 롤로써, 양측 단부가 외측 환형봉(11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332)는 릴부재(331)에 삽입되는 태엽장치로써, 연결부재(320)에 장력이 가해져 릴부재(331)가 풀어지는 경우, 릴부재(331)가 다시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권선부재(330)는 연결부재(320)와 표시부(400)가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 권선부재(330) 내부로 연결부재(320)를 통과시켜 표시부(400)와 연결되게 하는 것이다.
표시부(400)는 접지대상(G)의 전류 흐름량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전압표시부(420), 검전부(300)에서의 전기 흐름 여부 따라 작업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시각경고부(430), 및 검전부(300)에서의 전기 흐름 여부 따라 작업자에게 청각정보를 제공하는 청각경고부(450)를 포함한다.
표시판(410)은 전기적 회로 장치를 구비하는 패널로써, 후술할 전압표시부(420), 시각경고부(430), 작동표시부(440), 청각경고부(450), 전원공급부(460) 등이 마련되고, 외측 환형봉(110) 일측에 돌출될 수 있다.
전압표시부(420)는 감지부재(31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해석하여 접지대상(G)을 흐르는 전류의 전압을 읽어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를 통해 접지대상(G)의 끊어짐이나 위험성 등을 판단 가능하다.
시각경고부(430)는 접지대상(G)이 비접지 상태인 경우 작업자에게 이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LED 광원을 이용한 램프일 수 있다. 이 역시 감지부재(31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해석하여 접지대상(G)의 접지여부를 판단하고 램프를 발광시킬 수 있다.
작동표시부(440)는 표시판(410)에 구비된 각종 경보장치 등이 원활히 작동되는지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장치로, 시각 경보장치 또는 청각 경보장치가 동작되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청각경고부(450)는 접지대상(G)이 비접지 상태인 경우, 즉 유도전류가 흐르는 경우 작업자에게 이를 청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청각경고부(450)는 예를 들어 감지부재(310)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해석하여 접지대상(G)의 접지여부를 판단하고 작동되는 부져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표시부(400)에 설치된 각종 경보 또는 표시장치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물질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이들의 변화로 방출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소형 전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전 접지장치는 전기작업 시 전기의 흐름을 알 수 있는 검전부(300)를 이용하여 전기작업 전에 비접지부의 전기의 흐름의 유, 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검전부(300)를 이용함에 있어 표시부(400)에서 시각 및 청각적으로 유도전류가 전선에 흐르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산업현장에서 각종 전기설비를 점검 및 수리, 유지보수 작업을 위한 접지 작업 시, 전선에 전기가 흐르고 있는 경우 접지작업을 시도하기 전 시각적 경보와 청각적 경보를 울리게 하여 작업을 멈출 수 있게 하여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접지봉 110: 외측 환형봉
120: 내측 환형봉 130: 고정부재
200: 클램프부 210: 조임몸체
220: 가압부재 230: 체결부재
240: 결합볼트 250: 접지 클램프
300: 검전부 310: 감지부재
320: 연결부재 330: 권선부재
331: 릴부재 332: 탄성부재
400: 표시부 410: 표시판
420: 전압표시부 430: 시각경고부
440: 작동표시부 450: 청각경고부
460: 전원공급부 G: 접지대상

Claims (5)

  1. 손잡이 부분은 부도체로 이루어지고, 외측 환형봉 내부에 내측 환형봉이 삽입되는 구조로 길이조절 가능한 접지봉;
    ㄷ자 형상의 조임몸체, 상기 조임몸체에 끼워지는 부재를 조이는 가압부재, 및 유도전류를 대지로 흘려 보내는 접지 클램프를 구비하고, 상기 접지봉 단부에 체결되어 접지대상을 고정하는 클램프부;
    유도 전류를 인지 가능한 감지부재, 상기 감지부재에서 얻은 정보를 표시부에 전달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가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권선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부에 마련되어 상기 접지대상의 전기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검전부; 및
    상기 검전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권선부재 내부로 상기 연결부재를 통과시켜 상기 표시부와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마련된 검전 접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접지대상의 전류 흐름량을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전압표시부;
    상기 검전부에서의 전기 흐름 여부 따라 작업자에게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시각경고부; 및
    상기 검전부에서의 전기 흐름 여부 따라 작업자에게 청각정보를 제공하는 청각경고부;를 포함하는 검전 접지장치.
KR1020170097473A 2017-08-01 2017-08-01 검전 접지장치 KR101943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473A KR101943042B1 (ko) 2017-08-01 2017-08-01 검전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473A KR101943042B1 (ko) 2017-08-01 2017-08-01 검전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042B1 true KR101943042B1 (ko) 2019-04-17

Family

ID=6628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473A KR101943042B1 (ko) 2017-08-01 2017-08-01 검전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787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포스코 접지 장치, 이를 이용한 접지 방법 및 접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88Y1 (ko) 2002-10-28 2003-02-06 한국전력공사 탈 부착형 고리를 갖는 검전기
KR200343260Y1 (ko) * 2003-10-30 2004-03-04 한국전력공사 접지기 기능을 겸비한 검전기 세트
KR20130014085A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전력공사 검전기 기능을 구비한 접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88Y1 (ko) 2002-10-28 2003-02-06 한국전력공사 탈 부착형 고리를 갖는 검전기
KR200343260Y1 (ko) * 2003-10-30 2004-03-04 한국전력공사 접지기 기능을 겸비한 검전기 세트
KR20130014085A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전력공사 검전기 기능을 구비한 접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787A (ko) * 2020-04-06 2021-10-14 주식회사 포스코 접지 장치, 이를 이용한 접지 방법 및 접지 시스템
KR102378274B1 (ko) * 2020-04-06 2022-03-25 주식회사 포스코 접지 장치, 이를 이용한 접지 방법 및 접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501B1 (ko) 모니터링이 가능한 가공배전라인 연결기기
US9089723B2 (en) Safety Protection apparatus for personnel on oil drilling derricks
KR102131877B1 (ko)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US6600426B1 (en) Alarm system for detecting hazards due to power transmission lines
CN110244101B (zh) 高压电缆固定施工点多功能防外力破坏监控系统及方法
KR101943042B1 (ko) 검전 접지장치
KR101959949B1 (ko) 배전선로 관리 자동화 시스템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CN211375742U (zh) 隧道电缆火灾监控装置
JP5501653B2 (ja) 事故点探査装置
KR102310204B1 (ko)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
CN107247177B (zh) 远方遥控配网验电及接地线检测装置
US20030011354A1 (en) Grounding clamp with high voltage detection device
CN109406836A (zh) 一种持续接触型声光验电器
KR102112281B1 (ko) 지중배전라인 지지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CN207020242U (zh) 一种接触式高压验电器
CN113625112A (zh) 电缆故障定位方法及定位仪
KR100660156B1 (ko) 가스배관을 도파체로 하는 무선 타공사 감시 시스템
JP3013236B2 (ja) 検電装置
CN213146048U (zh) 一种带料管道焊缝的便携式检测装置
JPH062149Y2 (ja) 絶縁操作棒付地絡事故検出装置
KR100660157B1 (ko) 폐-루프 방식에 의한 타공사 감시 시스템
CN107907733A (zh) 一种接触式高压验电器
CN210222229U (zh) 一种检测接触网接地状态的装置
CN216209319U (zh) 一种用于回路电阻测量的电压接线操作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