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204B1 -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 - Google Patents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204B1
KR102310204B1 KR1020200074417A KR20200074417A KR102310204B1 KR 102310204 B1 KR102310204 B1 KR 102310204B1 KR 1020200074417 A KR1020200074417 A KR 1020200074417A KR 20200074417 A KR20200074417 A KR 20200074417A KR 102310204 B1 KR102310204 B1 KR 102310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tact
information
generate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전기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검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전부는,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구비하는 검전부 바디; 상기 검전부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작금구; 상기 검전부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조작금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의 전압 값을 감지하는 전압 센서; 상기 검전부 바디의 내부에 수영되고, 상기 전압 센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압 센서에서 상기 전압 값을 전달받아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전압 정보를 연산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제1 알림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Electricity detector with ground clamp control}
본 발명읜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에 관한 것이다.
검전기는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장치이다. 작업자는 검전기를 확인하고자 하는 특징 위치에 접촉시켜 해당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는 여부를 확인한다.
송전탑에서 접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접지 클램프를 조작하기 위한 접지봉과 함께 검전기를 동반하여 송전탑을 타고 올라간다.
작업자는 검전기를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 한 후 접지봉을 사용하여 접지 작업을 수행한다.
다만, 작업자가 검전기와 접지봉을 모두 소지한 채로 송전탑을 올라가므로, 작업자에게 체력적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검전기에는 전압이 발생되고 있다는 표시로 음향 신호 또는 광신호가 주로 사용되는데, 작업 환경에 따라 검전기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음향 신호 또는 광신호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검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검전기의 기능과 접지봉의 기능을 모두 갖는 일체형 구조의 검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송전탑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와 지상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모두 전압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의 검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전기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검전부; 및 상기 검전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작금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전부는, 상기 조작금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의 전압 값을 감지하는 전압 센서; 상기 전압 센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센서에서 상기 전압 값을 전달받아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전압 정보를 연산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제1 알림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금구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 상기 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크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하고,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연산한다.
또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1 알림 모듈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1 알림 모듈은 빛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검전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압 센서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센서에서 상기 전압 값을 전달받아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전압 정보를 연산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제2 알림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하고,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연산한다.
또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2 알림 모듈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2 알림 모듈은 빛을 발생시킨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전기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검전부; 상기 검전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작금구; 및 상기 검전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전부는, 상기 조작금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의 전압 값을 감지하는 전압 센서; 상기 전압 센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작동되는 제1 알림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압 센서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센서에서 상기 전압 값을 전달받아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전압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제2 알림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압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알림 모듈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 또는 빛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하고,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연산한다.
또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2 알림 모듈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 또는 빛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먼저, 검전부의 부분 중 전압을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와 접촉되는 부분이 접지 클램프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접지봉을 구비하지 않고 검전기로 접지 클램프를 조작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가 검전기 이외에 별도의 접지봉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작업자의 체력적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전기는 검전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는 검전부에서 측정된 정보를 전달받아 지상의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이에 따라, 송전탑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주변 환경에 의해 검전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지상의 작업자가 대신하여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상의 작업자가 송전탑의 작업자에게 측정 위치의 전압 발생여부를 알려줄 수 있고, 송전탑의 작업자는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전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접지선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작 금구가 접지 클램프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검전부 및 표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설명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측정 위치"라는 용어는,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위치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내지 도 3에 표시된 좌표 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어느 하나의 구성이 다른 하나의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통전은 도선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이라는 용어는, 어느 하나의 구성이 다른 하나의 구성이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방식으로 정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전기(1)의 구성에 대한 설명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검전기(1)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부(10) 및 로드부(10)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검전부(20)를 포함한다.
먼저, 로드부(10)에 대해 설명한다.
(1) 로드부(10)의 설명
로드부(10)는 일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고,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드부(10)는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와 최소한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10)에 의해서 작업자와 측정 위치가 이격되므로, 감전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 예에서, 로드부(10)는 연장 방향으로 그 길이가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드부(10)는 어느 하나의 중공형 로드 부재의 내부에 다른 하나의 로드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하나의 로드 부재가 어느 하나의 로드 부재에 삽입된 길이가 감소됨에 따라 로드부(10)의 전체 길이가 증가되고, 다른 하나의 로드 부재가 어느 하나의 로드 부재에 삽입된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로드부(10)의 전체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부(10)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로드부(10)는 내열성과 절연성을 구비하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드부(10)는 에폭시 글라스(epoxy glass)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드부(10)의 외주면에는 절연돌출부(11)가 형성된다.
절연돌출부(11)는 로드부(10)의 외주면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며, 상기 외주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다.
절연돌출부(11)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로드부(10)의 외주면을 타고 순간적인 전류가 흘러 작업자가 감전되거나, 로드부(10)의 외주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 등에 의해 작업자가 감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로드부(10)의 상측 단부에는 검전부(20)가 결합된다.
(2) 검전부(20)의 설명
검전부(20)는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신호로서 알려주도록 기능된다.
검전부(20)는 로드부(10)의 상측 단부와 결합되는 검전부 바디(21) 및 검전부 바디(21)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는 조작금구(22)를 포함한다.
검전부 바디(21)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구비하며, 검전부(20)의 외형을 형성한다. 검전부 바디(21)는 경량이면서도 내구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검전부 바디(21)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검전부 바디(21)는 상하 측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원형 단면을 구비하고, 원형 단면의 반지름이 상측을 향할수록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검전부 바디(21)의 상측 단부에는 조작금구(22)가 결합된다.
조작금구(22)는 측정 위치의 전압 측정 시 측정 위치와 접촉된다. 또한, 조작금구(22)는 접지선과 연결된 접지 클램프를 조작할 수 있도록 기능된다.
조작금구(22)는 검전부 바디(21)의 상측 단부와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디부(221) 및 바디부(22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후크부(222, 223)을 포함한다.
제1 후크부(222)는 바디부(221)의 외주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후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즉, 제1 후크부(222)는 바디부(221)의 외주면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후 하측을 향하도록 벤딩(bending)된다.
제2 후크부(223)는 바디부(221)의 외주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후 상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즉, 제2 후크부(223)는 바디부(221)의 외주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후 상측을 향하도록 벤딩(bending)된다.
작업자는 제1 및 제2 후크부(222, 223)를 접지 클램프와 맞물린 상태에서 로드부(10)를 회전시켜 접지 클램프를 조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접지선(100)이 도시된다.
종래의 접지선은 제1 및 제2 접지 클램프(110, 120)와 상기 제1 및 제2 접지 클램프(110, 120)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부(130)를 포함한다.
제1 접지 클램프(110)는 일 측을 향하여 개방된 제1 클램프 고리(111) 및 제1 클램프 고리(111)와 관통 결합되는 제1 클램프 조임부(112)를 구비한다.
제1 클램프 조임부(112)의 단부 중 제1 클램프 고리(111)의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조작링(112a)이 형성된다.
작업자는 조작금구(22)를 조작링과 맞물린 후, 로드부(10)를 회전시켜 제1 클램프 조임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클램프 조임부(112)가 회전됨에 따라 제1 접지 클램프(110)가 송전탑의 일 부분 또는 접지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접지를 위하여 제1 클램프 고리(112a)의 내부에 송전탑의 일 부분 또는 접지를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조작링(112a)에 제1 후크부(222) 또는 제2 후크부(223)를 건 후 로드부(10)를 회전시켜 제1 클램프 조임부(112)를 회전시킨다.
제1 클램프 조임부(112)가 회전됨에 따라, 제1 클램프 조임부(112)가 제1 클램프 고리(111)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가 증가되며, 이에 의해 제1 클램프 조임부(112)와 제1 클램프 고리(111)의 사이에 송전탑의 일 부분 또는 접지가 끼워질 수 있다.
제2 접지 클램프(120)는 제2 클램프 고리(121) 및 제2 클램프 조임부(122)를 구비한다. 제2 접지 클램프(120)는 상술한 제1 접지 클램프(110)의 조작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송전탑의 일 부분 또는 접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2 클램프 조임부(122) 양 단부 중 제2 클램프 고리(121)의 외부에 위치되는 단부에는 링 형태가 아닌 일자형 조작봉(122a)이 형성된다.
조작봉(122a)에 제1 후크부(222) 또는 제2 후크부(223)를 건 후 로드부(10)를 회전시켜 제2 클램프 조임부(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후크부(222) 또는 제2 후크부(223)가 조작링 또는 조작봉과 맞물리는 구조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전부 바디(21)의 내부에는 전압 센서(23), 제1 제어부(24) 및 제1 알림 모듈(25)이 구비된다.
전압 센서(23)는 조작금구(22)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조작금구(22)가 측정 위치와 접촉되는 경우, 조작금구(22)를 통해 측정 위치의 전압 값을 측정한다.
접촉 위치에 전압이 형성되는 경우, 조작금구(22)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압 센서(23)는 조작금구(2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측정 위치의 전압을 측정한다.
전압 센서(23)에서 측정된 전압 값은 전압 센서(23)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제어부(24)로 전달된다. 제1 제어부(24)는 정보의 입력, 출력 및 연산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제어부(2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CPU), 인쇄회로기판(PCB)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제어부(24)는 전압 센서(23)에서 전압 값을 전달받아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전압 정보를 연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받은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제1 제어부(24)는 전압 정보를 조작금구(22)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받은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제1 제어부(24)는 전압 정보를 조작금구(22)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연산한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은 측정 위치의 주변에 설치되는 설비의 전압 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은 0 볼트일 수 있다.
제1 알림 모듈(25)은 제1 제어부(24)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 제어부(24)에서 연산된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알림 모듈(25)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부저(buzzer)일 수 있다. 전압 정보가 조작금구(22)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1 알림 모듈(25)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1 알림 모듈(25)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체일 수 있다. 전압 정보가 조작금구(22)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1 알림 모듈(25)은 빛을 발생시킨다.
측정 위치에서 전압이 발생되는 것으로 연산된 경우 제1 알림 모듈(25)에서 알림음 또는 빛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송전탑의 작업자가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전압 센서(23)는 제1 이동 통신 모듈(26)과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이동 통신 모듈(26)은 전압 센서(23)에서 감지된 전압 값을 통신 신호로 전환하여 후술할 표시부(30)의 제2 이동 통신 모듈(32)로 송신한다.
제1 이동 통신 모듈(26)은 소정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 예를 들어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무선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및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제2 이동 통신 모듈(32)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검전부(20)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며, 검전부(20)에 구비된 배터리는 전압 센서(23), 제1 제어부(24), 제1 알림 모듈(25) 및 제1 이동 통신 모듈(26)과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압 센서(23), 제1 제어부(24), 제1 알림 모듈(25) 및 제1 이동 통신 모듈(26)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3) 표시부(30)의 설명
표시부(30)는 지상의 작업자에게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는 여부를 알려주는 구성요소로서, 검전부(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표시부(30)는 표시부 바디(31), 제2 이동 통신 모듈(32), 제2 제어부(33) 및 제2 알림 모듈(34)을 포함한다.
표시부 바디(31)는 내부에 소정 공간을 구비하며, 표시부(30)의 외형을 형성한다. 표시부 바디(31)는 경량이면서도 내구성이 높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 바디(31)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 바디(31)는 지상의 작업자가 휴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 바디(31)의 내부에는 제1 이동 통신 모듈(26)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 통신 모듈(32)이 구비된다.
제2 이동 통신 모듈(32)은 제1 이동 통신 모듈(26)로부터 측정 위치의 전압 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2 이동 통신 모듈(32)은 제2 제어부(33)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제어부(33)는 정보의 입력, 출력 및 연산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제어부(33)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처리장치(CPU), 인쇄회로기판(PCB)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제어부(33)는 제2 이동 통신 모듈(32)에서 전압 값을 전달받아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전압 정보를 연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받은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제2 제어부(33)는 전압 정보를 조작금구(22)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달받은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제2 제어부(33)는 전압 정보를 조작금구(22)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연산한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은 측정 위치의 주변에 설치되는 설비의 전압 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은 0 볼트일 수 있다.
제2 알림 모듈(34)은 제2 제어부(33)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 제어부(33)에서 연산된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알림 모듈(34)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부저(buzzer)일 수 있다. 전압 정보가 조작금구(22)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2 알림 모듈(34)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2 알림 모듈(34)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체일 수 있다. 전압 정보가 조작금구(22)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2 알림 모듈(34)은 빛을 발생시킨다.
측정 위치에서 전압이 발생되는 것으로 연산된 경우 제2 알림 모듈(34)에서 알림음 또는 빛을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송전탑의 작업자가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표시부(30)에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며, 표시부(30)에 구비된 배터리는 제2 이동 통신 모듈(32), 제2 제어부(33) 및 제2 알림 모듈(34)과 통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이동 통신 모듈(32), 제2 제어부(33) 및 제2 알림 모듈(34)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전기(1)를 사용함에 따른 효과의 설명
먼저, 검전부(20)의 부분 중 측정 위치와 접촉되는 부분이 접지 클램프(110, 120)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접지봉을 구비하지 않고 검전기(1)로 접지 클램프를 조작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가 검전기(1) 이외에 별도의 접지봉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송전탑 승탑 시 작업자의 체력적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검전기(1)는 검전부(20)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표시부(30)를 구비한다. 상기 표시부(30)는 검전부(20)에서 측정된 정보를 전달받아 지상의 작업자에게 알려준다.
이에 따라, 송전탑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주변 환경에 의해 검전부(2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도, 지상의 작업자가 대신하여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상의 작업자가 송전탑의 작업자에게 측정 위치의 전압 발생여부를 알려줄 수 있고, 송전탑의 작업자는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검전기
10: 로드부
20: 검전부
21: 건전부 바디
22: 조작금구
221: 바디부
222: 제1 후크부
223: 제2 후크부
23: 전압 센서
24: 제1 제어부
25: 제1 알림 모듈
26: 제1 이동 통신 모듈
30: 표시부
31: 표시부 바디
32: 제2 이동 통신 모듈
33: 제2 제어부
34: 제2 알림 모듈

Claims (13)

  1.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부;
    절연체로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의 외주면을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며, 상기 외주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로드부의 외주면을 타고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절연 돌출부; 및,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검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전부는,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구비하는 검전부 바디;
    상기 검전부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작금구;
    상기 검전부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조작금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의 전압 값을 감지하는 전압 센서;
    상기 검전부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압 센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압 센서에서 상기 전압 값을 전달받아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전압 정보를 연산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제1 알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부는,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하고,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연산하며,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측정 위치 주변 설비의 전압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금구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 상기 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후크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후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후크부를 포함하는,
    검전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1 알림 모듈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검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1 알림 모듈은 빛을 발생시키는,
    검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전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압 센서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센서에서 상기 전압 값을 전달받아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전압 정보를 연산하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2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제2 알림 모듈을 포함하는,
    검전기.
  7. 제6항에 있어서,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하고,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연산하는,
    검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2 알림 모듈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검전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2 알림 모듈은 빛을 발생시키는,
    검전기.
  10.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로드부;
    절연체로 형성되며 상기 로드부의 외주면을 원주 방향을 따라 감싸며, 상기 외주면에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로드부의 외주면을 타고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절연 돌출부;
    상기 로드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검전부; 및,
    상기 검전부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전부는,
    상기 로드부의 단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을 구비하는 검전부 바디;
    상기 검전부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조작금구;
    상기 검전부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조작금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의 전압 값을 감지하는 전압 센서; 및,
    상기 검전부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압 센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전압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작동되는 제1 알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전압 센서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센서에서 상기 전압 값을 전달받아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인 전압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아 작동되는 제2 알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하고,
    전달받은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측정 위치에 전압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연산하며,
    상기 기 설정된 기준 값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측정 위치 주변 설비의 전압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전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전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알림 모듈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검전기.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정보가 상기 조작금구와 접촉된 부분에 전압이 발생된 것으로 연산된 경우, 상기 전압 정보를 전달받은 제2 알림 모듈은 소정 데시벨 이상의 알림음 또는 빛을 발생시키는,
    검전기.
KR1020200074417A 2020-06-18 2020-06-18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 KR10231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417A KR102310204B1 (ko) 2020-06-18 2020-06-18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417A KR102310204B1 (ko) 2020-06-18 2020-06-18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204B1 true KR102310204B1 (ko) 2021-10-08

Family

ID=7811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417A KR102310204B1 (ko) 2020-06-18 2020-06-18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13B1 (ko) 2022-05-24 2023-09-18 고진복 검전기가 내장된 전동공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4267A (ja) * 1991-02-19 1992-09-21 Hitachi Cable Ltd 高電位部の物理量測定装置
JPH09149518A (ja) * 1995-11-27 1997-06-06 Fujikura Ltd 高圧線の課電表示装置
JP2000335286A (ja) * 1999-05-25 2000-12-05 East Japan Railway Co 検電器付き接地装置
KR20030085349A (ko) * 2002-04-30 2003-11-05 한국산업안전공단 고전압전선로에의 접근감지에 따른 무선경보장치
KR200338127Y1 (ko) * 2003-10-27 2004-01-13 한국전력공사 검전기능을 갖춘 발, 변전소용 접지용구의 절연봉
KR20130014085A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전력공사 검전기 기능을 구비한 접지 장치
JP2018017677A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圧検出器及び電圧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4267A (ja) * 1991-02-19 1992-09-21 Hitachi Cable Ltd 高電位部の物理量測定装置
JPH09149518A (ja) * 1995-11-27 1997-06-06 Fujikura Ltd 高圧線の課電表示装置
JP2000335286A (ja) * 1999-05-25 2000-12-05 East Japan Railway Co 検電器付き接地装置
KR20030085349A (ko) * 2002-04-30 2003-11-05 한국산업안전공단 고전압전선로에의 접근감지에 따른 무선경보장치
KR200338127Y1 (ko) * 2003-10-27 2004-01-13 한국전력공사 검전기능을 갖춘 발, 변전소용 접지용구의 절연봉
KR20130014085A (ko) * 2011-07-29 2013-02-07 한국전력공사 검전기 기능을 구비한 접지 장치
JP2018017677A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圧検出器及び電圧検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13B1 (ko) 2022-05-24 2023-09-18 고진복 검전기가 내장된 전동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0204B1 (ko) 접지 클램프 조작부를 구비하는 검전기
AU2017359558B2 (en) Safety system
CN103344818B (zh) 非接触式验电器和验电方法
JPH09502262A (ja) 電気的マーカーを検知する導体ロケータのアダプタ
US6600426B1 (en) Alarm system for detecting hazards due to power transmission lines
KR20160070098A (ko)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427804B2 (ja) 信号線付き親綱とこれを用いた安全帯フック掛け検知装置
CN111192432B (zh) 工作斗安全距离监测方法、装置、工作斗及绝缘斗臂车
KR100450573B1 (ko) 고전압전선로에의 접근감지에 따른 무선경보장치
US6252409B1 (en) Directional short circui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30011354A1 (en) Grounding clamp with high voltage detection device
WO2017083901A1 (en) Voltage detection device
KR101943042B1 (ko) 검전 접지장치
JP2000199755A (ja) コンクリ―トポ―ル内の鉄筋破断検知装置及び方法
KR101873578B1 (ko) 크레인 대각 실시간 측정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JP6912364B2 (ja) 充電近接感知装置、充電近接感知方法、充電近接感知システム
JP2016173758A (ja) 検出用器具
US20160291074A1 (en) Circuit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urrent in geophysical survey systems
KR200282722Y1 (ko) 고전압전선로에의 접근감지에 따른 무선경보장치
EP3821265B1 (en) Conductor test equipment
JP2000241102A (ja) 充電部距離測定方法および充電部近接警報装置
EP3809545A1 (en) Device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device behind a surface
KR101351504B1 (ko) 휴대형 지뢰탐지장치
KR20010027792A (ko) 고가형 건설장비의 전선 접촉 경보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6255989A (ja) 架空電線接近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