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588Y1 -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588Y1
KR200443588Y1 KR2020080010969U KR20080010969U KR200443588Y1 KR 200443588 Y1 KR200443588 Y1 KR 200443588Y1 KR 2020080010969 U KR2020080010969 U KR 2020080010969U KR 20080010969 U KR20080010969 U KR 20080010969U KR 200443588 Y1 KR200443588 Y1 KR 200443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uried
electrical equipment
undergroun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진
Original Assignee
강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진 filed Critical 강은진
Priority to KR2020080010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588Y1/ko
Priority to PCT/KR2009/004597 priority patent/WO201002148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이 개시된다.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은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의 일부는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되며, 상면의 둘레를 일주하는 형태의 틈이 마련된 매설 박스, 매설 박스의 내부에 위치한 전기 설비 박스를 상기 매설 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통하여 상기 매설 박스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전기 설비 박스가 매설 박스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매설 박스의 상면의 틈에 압입되는 패킹(packing)이 마련된 덮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Electric appliance container system with the functions of waterproof and heat radiation for being laid underground}
본 고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설비가 내장될 수 있는 컨테이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에 매설될 수 있는 형태의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옥외 변압기, 옥외 통신기기, 가로등 분전반 등과 같은 전기 설비가 전봇대 등의 대형 지상 시설물의 상단부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전기 설비 관리자가 전봇대에 올라가서 전기 설비의 유지 보수를 하여야 하는 등, 전기 설비의 유지 보수가 곤란하고, 위험하였다. 또한, 현대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전기 설비들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도심 도처에 전봇대 등의 전기설비 관련 시설물이 대거 등장하게 되었다. 그 결과, 전봇대 등의 전기설비 관련 시설물은 도심의 미관을 해치고, 도심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방해하고, 도심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본 고안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봇대 등의 전기설비 관련 시설물이 지상으로부터 사라지게 함으로써 도심의 미관이 수려해지고, 도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시설물 등의 전도 위험이 없어 시민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은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의 일부는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상면의 둘레를 일주하는 형태의 틈이 마련된 매설 박스; 상기 매설 박스의 내부에 위치한 전기 설비 박스를 상기 매설 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통하여 상기 매설 박스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전기 설비 박스가 상기 매설 박스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매설 박스의 상면의 틈에 압입되는 패킹(packing)이 마련된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에 따르면, 전기 설비 박스가 지하에 매설된 매설 박스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봇대 등의 전기설비 관련 시설물이 지상으로부터 사라지게 되어 도심의 미관이 수려해지고, 도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시설물 등의 전도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사용자는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에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만 조작함으로써 방수 상태로 밀봉되어 있는 매설 박스의 내부에 위치해 있는 전기 설비 박스가 자동으로 그 밀봉이 해제됨과 동시에 매설 박스의 외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된 전기 설비 박스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보수할 수 있다. 전기 설비 박스의 보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어 박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만 조작함으로써 매설 박스의 외부에 위치해 있는 전기 설비 박스가 매설 박스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그 이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매설 박스가 밀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은 매설 박스(1), 전기 설비 박스(2), 내부 하판(3), 슬라이딩 가드(sliding guard)(4), 내부 상판(5), 이동부(6), 제어 박스(7), 하부 덮개(8), 상부 덮개(9), 및 다수 개의 지지대들(10)로 구성된다.
매설 박스(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의 측 방향과 하 방향의 가장 바깥 쪽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의 일부는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 박스(1)는 그 측면과 하면의 대부분이 지하에 매설되고, 상면은 지표면보다 소정 높이(약 5 ~ 10 센티미터) 이상 올라오도록 설치된다. 다만, 매설 박스(1)의 설치 환경 내지 설치자 의도에 따라 매설 박스(1)의 상면은 지표면보다 낮거나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매설 박스(1)는 그 내부의 전기 설비들이 지하의 습기, 물, 미생물 등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concrete) 등과 같이 방수와 내구성이 뛰어난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된 재료 이외에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매설 박스(1)를 지하에 매설하는 작업을 할 때, 매설 박스(1)가 함몰되지 않도록 매설 박스(1)가 설치될 지하면을 잡석 다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설비 박스(2)는 전기 설비가 포함된 박스로서, 지하에 매설된 매설 박스(1)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전기 설비의 예로는 옥외 변압기, 옥외 통신기기, 가로등 분전반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전기 설비 박스(2)는 분전함, 단자함 등으로 호칭된다. 이와 같이, 전기 설비 박스(2)가 지하에 매설된 매설 박스(1)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봇대 등의 전기설비 관련 시설물이 지상으로부터 사라지게 되어 도심의 미관이 수려해지고, 도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시설물 등의 전도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전기 설비 박스(2) 내의 전기 설비와 매설 박스(1) 외부의 전기 설비가 서로 전기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위하여, 매설 박스(1)는 전기 설비 박스(2) 내의 전기 설비와 매설 박스(1) 외부의 전기 설비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매장되어 있다. 특 히, 이와 같은 매장 케이블은 매설 박스(1) 내부에서의 전기 설비 박스(2)의 상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다만, 전기 설비 박스(2) 내의 전기 설비와 매설 박스(1) 외부의 전기 설비간의 전기적 소통이 무선으로 가능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유선 케이블이 반드시 매설 박스(1)에 매장될 필요는 없다. 매설 박스(1) 외부의 전기 설비의 예로는 발전소의 전기 설비, 매설 박스(1) 이외의 또 다른 매설 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설비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매설 박스(1)는 접지 케이블 등의 기타 전기 설비 보호를 위한 케이블 등이 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 하판(3)은 매설 박스(1)의 내부 하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매설 박스(1)에 내장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평판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판(3)은 매설 박스(1)의 내부 하면의 형상을 갖는 금속판으로 제작될 것이다. 내부 하판(3)에는 매설 박스(1)에 내장된 전기 설비 박스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6)가 탑재(mount)된다. 특히, 내부 하판(3)은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된 재료 이외에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슬라이딩 가드(4)는 매설 박스(1)의 내부 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매설 박스(1)의 측면 상에 평행하게 내장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가드(4)는 매설 박스(1)의 측면 상에 평행하게 부착되는 다수 개의 금속 막대들이거나 매설 박스(1)의 전 측면 상에 평행하게 부착되는 금속판으 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매설 박스(1)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슬라이딩 가드(4)가 금속 막대들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매설 박스(1)의 내부 사각형 공간의 4 개의 모서리들 각각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4 개의 금속 막대들일 것이다. 특히, 슬라이딩 가드(4)는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면서 마찰계수가 작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된 재료 이외에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내부 상판(5)은 매설 박스(1)의 내부, 특히 내부 하판(3)의 상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매설 박스(1)에 내장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평판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상판(5)은 내부 상판(5)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금속판으로 제작된다. 내부 상판(5) 상에는 전기 설비 박스(2)가 탑재된다. 특히, 내부 상판(5)은 내부 하판(3)과 마찬가지로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면서 마찰계수가 작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된 재료 이외에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내부 하판(3)은 매설 박스(1)의 내부 하면에 부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를 갖고 있으나, 내부 상판(5)은 내부 하판(3)의 상면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매설 박스(1)의 내부 상하를 이동한다.
내부 상판(5)은 다음과 같이 슬라이딩 가드(4)를 이용하여 매설 박스(1)의 내부 상하를 원활하게 이동한다. 내부 상판(5)은 내부 하판(3)에 설치된 구동 기구(61)에 의해 지지되며, 그 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매설 박스(1)의 측면에 부착 된 슬라이딩 가드(4)와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내부 상판(5)은 구동 기구(61)의 신장 및 수축 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가드(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와 같은 내부 상판(5)의 이동에 의해, 내부 상판(5)에 탑재된 전기 설비 박스(2)는 매설 박스(1)에 내장된 상태로부터 매설 박스(1)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반대로 매설 박스(1)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부터 매설 박스(1)에 내장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6)는 제어 박스(7)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매설 박스(1)의 내부에 위치한 전기 설비 박스(2)를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통하여 매설 박스(1)의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매설 박스(1)의 외부에 위치한 전기 설비 박스(2)를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통하여 매설 박스(1)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동부(6)는 내부 하판(3)에 탑재되어, 이 내부 하판(3)을 받침대로 하여 내부 상판(5)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전기 설비 박스(2)를 이동시키게 된다.
도 1-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6)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부(6)는 구동 기구(61) 및 모터(62)로 구성된다. 구동 기구(61)는 내부 하판(3)의 상면과 내부 상판(5)의 하면을 X 자 형태로 교차하여 지지하면서, 그 교차 지점은 서로 체결되어 이 교차 지점을 중심으로 움직임이 가능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크로스 지지대들과 이 크로스 지지대들의 하단 각각을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원통 기어로 구현된다. 이 크로스 지지대들의 하단은 원통 기어에 물리는 기어 형태를 갖는다. 원통 기어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로스 지 지대들의 하단은 원통 기어를 따라 모이게 되고, 원통 기어가 상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크로스 지지대들의 하단은 원통 기어를 따라 벌어지게 된다. 즉, 원통 기어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X 자 형태의 크로스 지지대들은 그 폭이 좁아지면서 높이가 증가하게 되고, 원통 기어가 상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폭이 넓어지면서 높이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크로스 지지대들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 상판(5)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구동 기구(61)의 형태는 내부 하판(3)을 받침대로 하여 내부 상판(5)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도 1-2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모터(62)는 제어 박스(7)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구동 기구(61)를 구동시킨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62)의 고장에 대비하기 위하여 유압 모터(hydraulic motor)를 사용한다. 유압 모터는 전동 모터 또는 엔진 등에 의해서 생성된 회전 에너지를 압력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 압력 에너지를 다시 회전 에너지를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유압 모터의 동력원에 해당하는 전동 모터 또는 엔진 등이 고장이 난 경우에 전동 모터 또는 엔진에서 발생되는 유압 대신에 모터(62)에 연결된 튜브(63)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된 유압을 사용함으로써 회전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모터(62)에 연결된 튜브(63)의 외부 입구는 제어 박스(7)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박스(7)에 마련된 입구에 공기, 물, 기름 등의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모터(62)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튜브(63) 는 전기 설비 박스(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연질의 재료로 제작된다. 또한, 모터(62)의 동력원이 전동 모터인 경우에 이 전동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은 전기 설비 박스(2)에 출입되는 전력의 일부를 추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다만, 전기 설비 박스(2)의 무게가 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정도인 경우에 이동부(6)는 전동 모터 또는 엔진 등에서 요구하는 전기 에너지 내지 화학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지렛대, 도르래 등의 기계적 기구를 이용하여 인력으로 매설 박스(1)에 내장된 전기 설비 박스(2)를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통하여 매설 박스(1)의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매설 박스(1)의 외부에 위치한 전기 설비 박스(2)를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통하여 매설 박스(1)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 박스(7)는 인력이 입력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이상 설명된 형태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동부(6)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 박스(7)는 이동부(6)에 의한 전기 설비 박스(2)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전기 설비 박스(2)의 정당한 사용 권한을 갖는 사용자만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장치로 구성된다. 제어 박스(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기적인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고, 기계적인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전자의 예로는 모터(62)의 구동을 시작 또는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스위치는 전선(64)을 통하여 모터(62)와 연결된다. 후자의 예로는 사용자의 인력을 이용하여 모터(62) 또는 구동 기구(61)를 구동시키는 기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전기 설비 박스(2)가 고전압의 전기 설비이거나, 고가의 전기 설비인 경우에 전기 설비 박스(2)의 정당한 사용 권한을 갖는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전기 설비 박스(2)의 이동을 제어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어 박스(7)의 보안 장치는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은 보안 장치는 제어 박스(7)의 문을 잠그는 자물쇠와 이것을 여는 열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열쇠는 통상적인 기계적인 열쇠일 수도 있고, 비밀 번호 등과 같은 전자적인 열쇠일 수도 있다.
하부 덮개(8) 및 상부 덮개(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의 상 방향의 가장 바깥 쪽 부분으로서 지표면 위에 위치하며, 지하에 매설된 매설 박스(1)의 상면을 덮는다. 하부 덮개(8)는 전기 설비 박스(2)가 매설 박스(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밀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부 덮개(8)는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평판으로서 전기 설비 박스(2)가 매설 박스(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매설 박스(1)의 상면을 덮는다. 특히, 하부 덮개(8)와 매설 박스(1)가 접촉되는 부분의 일부 내지 전체에는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밀봉하기 위한 기구가 마련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밀봉하기 위한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밀봉하기 위한 기구는 매설 박스(1)의 상면 상의 틈(11)과 하부 덮개(8)의 하면 상의 고무 패킹(rubber packing)(81)으로 구성된다. 특히, 하부 덮개(8)의 하면 상 의 고무 패킹(81)은 하부 덮개(8)가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완벽하게 밀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 박스(1)의 상면 상의 틈(11)의 넓이보다 약간 더 큰 넓이를 갖는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설 박스(1)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설 박스(1)의 상면에는 이 상면의 둘레를 일주하는 형태의 틈(11)이 마련된다. 하부 덮개(8)의 하면에는 전기 설비 박스(2)가 매설 박스(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매설 박스(1)의 상면의 틈(11)에 압입되는 고무 패킹(81)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틈(11)과 고무 패킹(81)의 형태는 암수 관계로 제작된다. 매설 박스(1)의 상면 상의 틈(11)에 하부 덮개(8)의 하면 상의 고무 패킹(81)이 압입되는 경우에 고무 패킹(81)의 탄성으로 인하여 매설 박스(1)의 상면을 일주하는 틈에 고무 패킹(81)이 압착되게 되고, 그 결과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가 밀봉되게 된다.
또한, 하부 덮개(8)에는 전기 설비 박스(2)에서 발생된 열을 매설 박스(1)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82)이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상에 노출되는 하부 덮개(8)의 상면에는 상기된 바와 같은 방열판(82)이 마련되고, 매설 박스(1)의 내부와 접해 있는 하부 덮개(8)의 하면에는 전기 설비 박스(2)에서 발생된 열을 수집하기 위한 집열판(83)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하부 덮개(8)의 하면에 설치된 집열판(83)이 매설 박스(1) 내의 전기 설비 박스(2)에서 발생된 열을 수집하고, 하부 덮개(8)의 상면에 설치된 방열판(82)이 이와 같이 수집된 열을 외부로 방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82) 및 집열판(83)은 방열 및 집열 을 위한 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요철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덮개(8), 방열판(82), 및 집열판(83)은 일체형의 구조물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부식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면서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된 재료 이외에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수냉 방식 등 다른 방열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부 덮개(8)의 상면에는 전기 설비 박스(2)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박스(7)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부 덮개(9)는 하부 덮개(8)의 상면에 설치된 제어 박스(7)와 방열판(82)을 덮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덮개(9)는 하부 덮개(8)의 상면에 설치된 제어 박스(7)와 방열판(82)을 덮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평판으로서 상부 덮개(9)의 상면에는 제어 박스(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문, 방열판(82)의 열을 차단하기 위한 목재 패널 등이 마련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덮개(8) 또는 상부 덮개(9) 중 어느 하나의 가장 자리는 매설 박스(1)가 지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2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의 상면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덮개(8)의 가장 자리에는 하부 덮개(8)의 상면에 설치된 방열판(82)의 방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환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 덮개(9)에는 방열판(82)의 열을 차단하는 목재 패널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의 주위를 통행하거나, 상부 덮개(9)에 직접 접촉해 있는 행인 등을 방열판(82)의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도 1-2에 도시된 전기 설비 박스(2)가 지상에 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지지대들(10)은 내부 상판(5) 및 하부 덮개(8) 사이에 설치되어 내부 상판(5) 및 하부 덮개(8)를 연결한다. 내부 상판(5)의 상승 내지 하강에 따라 이 지지대들(10)에 의해 내부 상판(5)과 연결된 하부 덮개(8)는 동시에 상승 내지 하강하게 되고, 하부 덮개(8)의 상승 내지 하강에 따라 매설 박스(1)의 상면에 마련된 틈(11)과 하부 덮개(8)의 하면에 마련된 패킹(81)의 분리 내지 결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지지대들(10)은 전기 설비 박스(2)가 매설 박스(1)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기 설비 박스(2)에 접근할 수 있도록 내부 상판(5) 및 하부 덮개(8)를 연결하는 형상을 갖는 금속 막대이다. 도 1-2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지지대들(10)은 내부 상판(4)의 상면의 공간 중, 전기 설비 박스(2)의 측면을 연장한 공간을 제외한 공간, 즉 내부 상판(4)의 4 개의 모서리들 각각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 박스(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만 조작함으로써 방수 상태로 밀봉되어 있는 매설 박스(1)의 내부에 위치해 있는 전기 설비 박스(2)가 자동으로 그 밀봉이 해제됨과 동시에 매설 박스(1)의 외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에 노출된 전기 설비 박스(2)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보수할 수 있다. 전기 설비 박스(2)의 보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제어 박스(7)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만 조작함으로써 매설 박스(1)의 외부에 위치해 있는 전기 설비 박스(2)가 매설 박스(1)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그 이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매설 박스(1)가 밀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매설 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밀봉하기 위한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매설 박스(1)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2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의 상면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2에 도시된 전기 설비 박스(2)가 지상에 노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의 일부는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되며, 상기 상면의 둘레를 일주하는 형태의 틈이 마련된 매설 박스;
    상기 매설 박스의 내부에 위치한 전기 설비 박스를 상기 매설 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통하여 상기 매설 박스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전기 설비 박스가 상기 매설 박스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매설 박스의 상면의 틈에 압입되는 패킹(packing)이 마련된 덮개를 포함하는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 박스의 내부 하면 상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내부 하판; 및
    상기 내부 하판의 상면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전기 설비 박스가 탑재(mount)되는 내부 상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내부 하판에 탑재되어 상기 내부 상판을 상승 내지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상판과 상기 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상판과 상기 덮개를 연결하는 지지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상판의 상승 내지 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대들에 의해 상기 내부 상판과 연결된 상기 덮개는 동시에 상승 내지 하강하게 되고, 상기 덮개의 상승 내지 하강에 따라 상기 틈과 상기 패킹의 분리 내지 결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상기 전기 설비 박스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매설 박스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지상에 노출되는 상기 덮개의 상면에는 상기 방열판이 마련되고, 상기 매설 박스의 내부와 접해 있는 상기 덮개의 하면에는 상기 전기 설비 박스에서 발생된 열을 수집하기 위한 집열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2020080010969U 2008-08-18 2008-08-18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KR200443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969U KR200443588Y1 (ko) 2008-08-18 2008-08-18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PCT/KR2009/004597 WO2010021480A2 (ko) 2008-08-18 2009-08-18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969U KR200443588Y1 (ko) 2008-08-18 2008-08-18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588Y1 true KR200443588Y1 (ko) 2009-02-26

Family

ID=4134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969U KR200443588Y1 (ko) 2008-08-18 2008-08-18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588Y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869B1 (ko) * 2009-05-04 2009-10-20 유한회사 지명 전기 맨홀과 연계되는 지중 배전함.
KR100978210B1 (ko) 2010-04-07 2010-08-25 김병철 배전함 지중 승하강 장치
KR101036490B1 (ko) * 2010-10-15 2011-05-24 대신파워텍 (주) 매립형 가로등 분전반
WO2011119143A1 (en) * 2010-03-22 2011-09-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dular data center
KR101300252B1 (ko) * 2012-03-09 2013-09-10 김병철 계장계측 원방감시 및 수배전제어반 지중승하강 장치
CN105790099A (zh) * 2014-12-23 2016-07-20 许成钰 防水散热低压电器控制箱
CN108365550A (zh) * 2016-05-13 2018-08-03 宁波高新区天视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火灾报警器的配电室及其监控方法
KR20180102723A (ko) * 2017-03-07 2018-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 제어를 통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의 방열을 위한 장치 및 이의 방열 방법
CN108551742A (zh) * 2018-04-20 2018-09-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机架式服务器的组装系统以及组装方法
KR101917948B1 (ko) * 2017-03-07 2018-11-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의 방열을 위한 장치 및 이의 방열 방법
CN108879450A (zh) * 2018-09-28 2018-11-23 琦洲电气有限公司 一种地埋式箱式变电站
CN108963802A (zh) * 2018-09-28 2018-12-07 琦洲电气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低压开关柜
KR102127145B1 (ko) * 2019-11-26 2020-06-26 주식회사 에스와이피앤디 지하 매설 설비
CN112118698A (zh) * 2020-10-16 2020-12-22 温州宇岚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经济发展用承载数据传输的地面下沉式信号柜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869B1 (ko) * 2009-05-04 2009-10-20 유한회사 지명 전기 맨홀과 연계되는 지중 배전함.
WO2011119143A1 (en) * 2010-03-22 2011-09-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dular data center
GB2485096A (en) * 2010-03-22 2012-05-0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odular data center
GB2485096B (en) * 2010-03-22 2014-03-1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Modular data center
US8854809B2 (en) 2010-03-22 2014-10-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dular data center
KR100978210B1 (ko) 2010-04-07 2010-08-25 김병철 배전함 지중 승하강 장치
KR101036490B1 (ko) * 2010-10-15 2011-05-24 대신파워텍 (주) 매립형 가로등 분전반
KR101300252B1 (ko) * 2012-03-09 2013-09-10 김병철 계장계측 원방감시 및 수배전제어반 지중승하강 장치
CN105790099A (zh) * 2014-12-23 2016-07-20 许成钰 防水散热低压电器控制箱
CN108365550B (zh) * 2016-05-13 2020-08-14 宁波高新区天视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火灾报警器的配电室
CN108365550A (zh) * 2016-05-13 2018-08-03 宁波高新区天视光电科技有限公司 具有火灾报警器的配电室及其监控方法
KR101917948B1 (ko) * 2017-03-07 2018-11-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을 이용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의 방열을 위한 장치 및 이의 방열 방법
KR20180102723A (ko) * 2017-03-07 2018-09-18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 제어를 통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의 방열을 위한 장치 및 이의 방열 방법
KR101928167B1 (ko) * 2017-03-07 2019-02-2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동 제어를 통한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의 방열을 위한 장치 및 이의 방열 방법
CN108551742B (zh) * 2018-04-20 2020-05-2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机架式服务器的组装系统以及组装方法
CN108551742A (zh) * 2018-04-20 2018-09-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机架式服务器的组装系统以及组装方法
CN108879450A (zh) * 2018-09-28 2018-11-23 琦洲电气有限公司 一种地埋式箱式变电站
CN108963802A (zh) * 2018-09-28 2018-12-07 琦洲电气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的低压开关柜
KR102127145B1 (ko) * 2019-11-26 2020-06-26 주식회사 에스와이피앤디 지하 매설 설비
WO2021107628A1 (ko)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에스와이피앤디 지하 매설 설비
CN114731036A (zh) * 2019-11-26 2022-07-08 韩国安全产业株式会社 地埋设备
EP4068540A4 (en) * 2019-11-26 2023-12-20 Korea Safety Industry Co., Ltd. UNDERGROUND DEVICE
CN114731036B (zh) * 2019-11-26 2023-12-26 韩国安全产业株式会社 地埋设备
CN112118698A (zh) * 2020-10-16 2020-12-22 温州宇岚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经济发展用承载数据传输的地面下沉式信号柜
CN112118698B (zh) * 2020-10-16 2022-11-29 温州宇岚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经济发展用承载数据传输的地面下沉式信号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588Y1 (ko)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KR100947101B1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JP5855772B2 (ja) 手動型地下埋設式電気設備コンテナシステム
KR102292098B1 (ko)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변압기
WO2010021480A2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101525985B1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0978210B1 (ko) 배전함 지중 승하강 장치
CN114731036B (zh) 地埋设备
KR101300252B1 (ko) 계장계측 원방감시 및 수배전제어반 지중승하강 장치
KR101125007B1 (ko) 지중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에 의한 지상 지중배전 전력설비에 대한 지하 매립형 지중배전선로
EP2075886B1 (en) Underground transformer substation
CN108493823B (zh) 全地埋预装式智能绿色变电站
CN112615273B (zh) 一种基于物联网的节能散热型高低压成套配电柜
CN101170243A (zh) 埋入式非晶合金预装变电站
KR101195008B1 (ko) 힌지형 지중 방수함 장치
CN105246278A (zh) 一种可升降地藏式一体化机柜
WO2015054765A1 (pt) Sistema de infraestrutura subterrâneo elevatório para abrigo de equipamentos
JP2006006020A (ja) 可動形作業用ボックス装置
CN104164892A (zh) 一种电缆隧道多功能检查井
KR20150029195A (ko)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CN116565712B (zh) 一种防潮式高低压开关柜
KR102553586B1 (ko)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KR102309942B1 (ko) 전력 지중화 구간에 설치되는 인출식 지중 매립형 배전반
CN112234570A (zh) 一种浅埋式地面电力电缆槽盒
KR101651376B1 (ko) 관정 및 간이상수도의 상부보호 기계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