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3586B1 -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3586B1
KR102553586B1 KR1020230029854A KR20230029854A KR102553586B1 KR 102553586 B1 KR102553586 B1 KR 102553586B1 KR 1020230029854 A KR1020230029854 A KR 1020230029854A KR 20230029854 A KR20230029854 A KR 20230029854A KR 102553586 B1 KR102553586 B1 KR 10255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transformer
buried box
cover
perfor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만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3002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5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으로서, 변압기를 설계하는 단계; 설계된 상기 변압기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기 변압기를 이상여부를 검수하는 단계; 검수된 상기 변압기를 설치위치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는,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은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박스; 상기 매설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덮어 상기 매설박스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덮개부; 상기 매설박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매설박스의 벽체를 밀봉 상태로 관통하는 입력 케이블로부터 입력된 교류의 전압을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변환시켜 상기 매설박스의 벽체를 밀봉 상태로 관통하는 출력 케이블로 출력하는 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에 해당되는 대상물은 설치를 위한 작업자의 취급에 앞서, 사전에 가공유닛을 통해 가공처리된다.

Description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Providing method of transformer for being laid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구비하여 빗물에 의한 변압부의 침수를 방지하며, 이러한 변압기 설치와 해체 등의 취급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오염방지, 위생요건 조성, 방역관리 등을 개선하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 개폐기, 통신기기 등과 같은 전기설비가 전봇대 등의 대형 지상 시설물의 상단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전기설비 관리자가 전봇대에 올라가서 전기 설비의 유지 보수를 하여야 하는 등, 전기설비의 유지 보수가 곤란하고 위험하였다. 또한, 현대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전기설비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도심 도처에 전봇대 등의 전기설비 관련 시설물이 대거 등장하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변압기의 취급측면에 있어서, 작업자가 직접적 혹은 장비를 이용하여 설치 해체 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작업자는 대상물에 오염으로 인해 작업자에게 오염이 전이되거나 작업성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엇보다 위생적, 방역적 환경이 적절하게 확보되지 못하여 작업자 개인 혹은 작업자들의 단체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710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박스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거나 밀폐시킴으로써 매설박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를 냉각시키는 공조부와 매설박스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변압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채용함으로써 빗물에 의한 변압부의 침수를 방지하는 방수 기능과 매우 적은 전기 에너지의소비만으로 지하의 밀폐 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에 해당되는 대상물의 오염물 제거관리 방역적 관리가 수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리가 체계적인 수단에 의하여 연속적이고 효율적인 가공 프로세서를 통해 쳬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변압 일단 설치되고 난 상태가 아닌, 구조물에 설치 전, 혹은 구조물에서 해체 후에, 오염물 제거관리와 방역소독 관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취급되는 대상물에 대한 규격을 고려하여 연속적인 투입과 가공으로 취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압기를 포함하는 대상물의 규격에 따라 오염과 방역 위생 관리 전반의 효과저적인 관리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으로서, 변압기를 설계하는 단계; 설계된 상기 변압기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기 변압기를 이상여부를 검수하는 단계; 검수된 상기 변압기를 설치위치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는,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은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박스; 상기 매설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덮어 상기 매설박스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덮개부; 상기 매설박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매설박스의 벽체를 밀봉 상태로 관통하는 입력 케이블로부터 입력된 교류의 전압을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변환시켜 상기 매설박스의 벽체를 밀봉 상태로 관통하는 출력 케이블로 출력하는 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에 해당되는 대상물은 설치를 위한 작업자의 취급에 앞서, 사전에 가공유닛(100)을 통해 가공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박스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거나 밀폐시킴으로써 매설박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를 냉각시키는 공조부와 매설박스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변압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채용함으로써 빗물에 의한 변압부의 침수를 방지하는 방수 기능과 매우 적은 전기 에너지의소비만으로 지하의 밀폐 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를 냉각시키는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변압기에 해당되는 대상물의 오염물 제거관리 방역적 관리가 수반되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이러한 관리가 체계적인 수단에 의하여 연속적이고 효율적인 가공 프로세서를 통해 쳬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기변압 일단 설치되고 난 상태가 아닌, 구조물에 설치 전, 혹은 구조물에서 해체 후에, 오염물 제거관리와 방역소독 관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섯째, 취급되는 대상물에 대한 규격을 고려하여 연속적인 투입과 가공으로 취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압기를 포함하는 대상물의 규격에 따라 오염과 방역 위생 관리 전반의 효과저적인 관리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분해도이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평면도이다.
도 6-7은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8-9는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배면도이다.
도 10-11은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내부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기기 덮개(24)의 조립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공조부(3)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급기부(33)와 배기부(34) 각각의 분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급기부(33)와 배기부(34) 각각의 내부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급기부(33)와 배기부(34)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공조부(3)가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공조부(3)가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요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변압기, 변압기, 통신기기 등과 같은 전기설비에 물이 침투될 경우에 누전(electric leakage) 등으로 인하여 전기설비가 고장날 수 있다. 특히, 고압 변압기(high voltage transformer), 고압 개폐기(high voltage switchgear) 등과 같이 열이 많이 발생되는 전기설비는 열로 인해 열화되거나 고장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변압부에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변압부를 냉각시킬 수 있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를 사용하거나 관리하는 자를 포괄하여 "사용자"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는 매설박스(1), 덮개부(2), 공조부(3), 냉각부(4), 제어부(5), 및 변압부(transformingunit)(1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분해도를 참조하면서 상기된 구성 요소들간의 조립 과정 및 연결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는 상기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다른 추가적인구성 요소가 등장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사시도이고, 도 4-5는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평면도이고, 도 6-7은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우측면도이고, 도 8-9는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배면도이다. 도 2, 4, 6, 8에는 덮개부(2)의 모든 상판(221-224), 및 모든 덮개(24, 25)가 닫혀진 상태에서의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5, 7, 9에는 덮개부(2)의 기기 상판(222), 보조 상판(224), 및 기기 덮개(24)는 닫혀져 있고 공조 상판(221), 출입 상판(223), 및 출입 덮개(25)가 열려진 상태에서의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변압부(100)는 도 1-9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에 내장되는 기기로서 지하에 매설된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다. 변압부(100)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매설박스(1)의 벽체를 밀봉 상태로 관통하는 입력 케이블로부터 입력된 교류의 전압을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변환시켜 매설박스(1)의 벽체를 밀봉 상태로 관통하는 출력 케이블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변압부(100)는 입력 케이블로부터 입력된 전류가 흐르는 일차코일, 출력 케이블로 출력되는 교류가 흐르는 이차 코일, 일차 코일과 이차 코일이 감겨져 있는 철심, 전면이 밀폐된 탱크의 형상으로 코일들과 철심을 수용하며 그 내부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유가 충진되어 있는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변압부(100)의 전압 변환 과정에서의 전기 에너지의 손실은 열로 방출되기 때문에 변압부(100)가 매우 높은 전압을 변환하면 그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상의 고압 변압기가 지하에 매설된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고압 변압기가 지상으로부터 사라지게 되어 도심의 미관이 수려해지고 도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지상 시설물로 인한 보행자의 불편, 차량 사고 위험, 지상 폭발 위험 등이 없어 안전하다. 이러한 변압부(100)와 외부 전기설비는 매설박스(1)의 벽체를 밀봉 상태로관통하는 전력 케이블로 연결된다. 도 1, 3을 참조하면, 변압부(100)의 외면에는 외부 전기설비로부터 변압부(100)로 전류가 흘러 들어오는 입력 단자들과 변압부(100)로부터 외부 전기설비로 전류가 흘러 나가는 출력 단자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러한 단자들에 연결된 전력 케이블들이 매설박스(1)의 하측 벽체를 밀봉 상태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밀봉 부재(11)가 매설박스(1)의 하측 벽체에 압입되어 있다.
매설박스(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의 측 방향과 하 방향의 가장 바깥 쪽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의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된다. 매설박스(1)는 그 상면이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그 측면과 하면이 지하에 매설된다. 도 1,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매설박스(1)의 내측면은 매설박스(1)의 상면으로부터 덮개부(2)의 측면 높이와 동일한 일정 깊이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있어 덮개부(2)는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돌출 부위에 안착되는 형태로 매설박스(1)의 내부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은 매설박스(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의 매설박스(1)의 내측면 상단의 내부 수평 면적이 매설박스(1)의 내측면 상단 아래의 내부 수평 면적보다 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형상으로 인해 매설박스(1)의 내측면에는 계단 형태의 돌출 부위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덮개부(2)의 상면도 매설박스(1)의 상면과 마찬가지로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어 보행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매설박스(1)의 설치 환경 내지 설치자 의도에 따라 매설박스(1)의 상면은 지표면보다 높거나 평행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특히, 매설박스(1)는 그 내부의 전기 설비들이 지하의 습기, 물, 미생물 등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concrete) 등과 같이 방수와 내구성이 뛰어난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된 재료 이외에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매설박스(1)를 지하에 매설하는 작업을 할 때, 매설박스(1)가 함몰되지 않도록 매설박스(1)가 설치될 지하면을 잡석다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2)는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돌출 부위에 탑재되며 매설박스(1)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덮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상방향의 가장 바깥 쪽 부분에 위치하며, 덮개부(2)의 상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보도 또는 차도의 역할을 한다.
덮개부(2)는 보행자, 자동차 등의 하중에 견딜 수 있으면서도 어떤 조건에서도 변형되지 않는 단단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는 금속,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2)는주변 보도와의 조화를 위해 주변 보도에 사용되는 블록 등이 탑재될 수 있는 박스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덮개부(2)는 덮개부(2)의 둘레와 매설박스의 상면측 개방 부위의 둘레가 밀봉 상태로결합됨으로써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공조부(3)에 의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환기되거나 밀폐될 수 있도록 공조부(3)와 밀봉 상태로 연통한다. 덮개부(2)는 공조부(3)와 밀봉 상태로 연통함으로써변압부(100)의 방열을 위해 변압부(100)로 빗물이 침투될 가능성이 없을 때, 즉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 빗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없을 때에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환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조부(3)만에 의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환기되거나 밀폐될 수 있기 때문에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거나 밀폐시키는 구조가 간단하여 거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의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의 관리가 매우 간편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덮개부(2)는 덮개 프레임(21), 상판(22), 덮개 홀더(23), 기기 덮개(24), 출입 덮개(25), 및 지지대(26)로 구성된다.
도 10-11은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내부도이고,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에는 매설박스(1)가 제거된 상태에서 위에서 내려다보는 방향의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내부가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매설박스(1)가 제거된 상태에서 밑에서 올려다보는 방향의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공조부(3)의 배기부(34)의 중심을 덮개부(2)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선에직각을 이루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1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어떤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배치되었는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는 도 2-9와 그것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는 도 10-12를비교해 보면, 덮개부(2) 아래의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는 변압부(100), 공조부(3)의 팬(fan)(35), 냉각부(4)의 수냉기(42), 제어부(5)가 도 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부(2) 아래의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는 변압부(100)의 받침대(101), 수냉기(42)를 보호하기 위해 수냉기(42)의 모서리를 감싸는 수냉기(42)의 모서리 라인과 동일한 형상의 수냉기 프레임(71), 덮개부(2)의 출입구를 통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디딜 수 있는 발판(72), 사용자가 타고 내려가거나 올라갈 수 있는 사다리(73)가 도 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수냉기 프레임(71)은 발판(72)과 함께 계단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는 배수 펌프(6)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펌프(6)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의 공조부(3)의 고장 등으로 인해 매설박스(1)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고인 물의 높이가 임계 수위를 초과하여 상승하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고인 물을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바닥면에 고인 물의 수위가 임계 수위 이하로 하강할 때까지 매설박스(1)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공조부(3)의 고장 등으로 인해 매설박스(1)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변압부(100)의 침수가 방지될 수 있다.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물이 매설박스(1) 아래로 배출되면 매설박스(1) 아래의 토양의 침수로 인해 매설박스(1)가 함몰될 수 있기 때문에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물은 배수 펌프(6)에 의해 지상으로 배출됨이 바람직하다.
덮개 프레임(21)은 그 상면이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매설박스(1)의 상단을 덮음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매설박스(1)를 보호한다. 도 10,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프레임(21)은 매설박스(1)의 상단과 동일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 프레임의 형상으로 덮개 프레임(21)의 홈에 매설박스(1)의 상단이 끼워지는 형태로 매설박스(1)의 상단을 덮는다. 매설박스(1)가 콘트리트 등과 같이 외부 환경에 의한 물리적 풍화 작용, 화학적 풍화 작용에 의해 그 표면이 침식될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덮개 프레임(21)은 매설박스(1)의 상면을 외부로부터 차단시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판(22)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거나 회전되는 부재로서 그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얇게 제작되기 때문에 상판(22)의 모서리는 예리하여 어떤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가장 파손되기 쉬운 부위이다. 덮개 프레임(21)은 상판(22)을 수용하여 상판(22)의 모서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판(2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2)의 모서리는 상판(22)의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둥글게 가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덮개 프레임(21)의 내측 모서리도 이러한 상판(22)을 수용하기 위해 둥글게 가공되어 있고, 상단이 덮개 프레임(21)의 내측 하단에 맞닿아 있는 덮개 홀더(23)도 각 모서리가 둥글게 가공되어 있고, 덮개 홀더(23)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매설박스(1)의 내측면 상단의 모서리도 둥글게 가공되어 있다.
상판(22)은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덮개 홀더(23)에 탑재된 공조부(3), 기기 덮개(24), 및 출입 덮개(25)와 같은 상부 구성물들을 덮음으로써 이러한 상부 구성물들을 보호한다. 상판(22)은 덮개 프레임(21)과 함께 덮개부(2)의 상방향의 가장 바깥 쪽 부분에 위치하며, 상판(22)의 상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보도 또는 차도의 역할을한다. 상판(22)은 덮개 홀더(23)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형태로 개폐될 수도 있고, 덮개 홀더(23)에 일측이 회전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형태로 개폐될 수도 있다. 상판(22)은 하나의 일체형 평판으로 제작될 수도있으나, 복수 개의 판으로 분할됨으로써 사용자가 다루어야 하는 무게가 감소될 수 있고 상판(22)으로 복공판과같은 일반적인 상용 패널이 사용될 수 있어 제작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판(22)은 공조 상판(221), 기기 상판(222), 출입 상판(223), 및 보조 상판(224)으로 구성된다. 기기 상판(222)과 보조 상판(224)은 변압부(100)의 설치시에만 개방되나 공조 상판(221)은 공조부(3)의 점검 또는 교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시로 개폐될 수 있고, 출입 상판(223)도 마찬가지로 매설박스(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100), 수냉기(42) 등의 점검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시로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각상판의 개폐 빈도와 제작 비용의 절감을 고려하여 기기 상판(222)과 보조 상판(224)은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지거나 내려놓아지는 방식으로 개폐되고, 공조 상판(221)과 출입 상판(223)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것만으로 개폐될 수 있다. 공조 상판(221)과 출입 상판(223)이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지거나 내려놓아지는 방식으로 개폐될 경우에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고 위험과 상판(22)의 파손 위험이 높다.
공조 상판(221)은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공조부(3)를 덮음으로써 공조부(3)를 보호한다. 공조 상판(221)에 의해 덮여진 공조부(3)에 의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환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조 상판(221)은 비밀봉 상태로 공조부(3)를 덮는다. 공조 상판(221)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환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조 상판(221)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자형의 다수의 환기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상판(221)은 사각 평판의 형상으로 덮개 홀더(23)에 일측이 회전 결합되어 회전 결합된 부위를 축으로 하여 회전됨으로써 공조부(3)를 덮거나 노출시킨다.
공조 상판(221)의 하면 일측과 덮개 홀더(23)는 힌지(hinge) 등과 같은 회전 결합 소자에 의해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도 3,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상판(221)의 하면 일측과 덮개 홀더(23)는 두 개의 힌지에 의해 회전결합된다. 공조 상판(221)은 이 회전 결합 소자를 축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공조 상판(221)은 그 하면의 일측과 덮개 홀더(23)의 회전 결합 부위를 축으로 하여 그 하면이 공조부(3)의 상면에 밀착되어 수평이 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타측이 공조부(3)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공조부(3)를 덮을 수 있다. 또한, 공조상판(221)은 그 하면이 공조부(3)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직립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공조부(3)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공조부(3)를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다.
도 3, 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 상판(221)과 덮개 홀더(23) 사이에는 공조 상판(221)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공조 상판(221)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력 장치, 예를 들어 가스 스프링(gasspring)이 설치될 수 있다. 가스 스프링은 압축 가스(compressed gas)를 사용하는 스프링의 일종으로서 고압의가스 스프링은 매우 큰 양의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 에너지가 사용자의 인력을 증가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공조 상판(221)과 덮개 홀더(23) 사이에 이와 같은 조력 장치가 설치됨으로서 공조 상판(221)의 회전에 요구되는 사용자의 인력이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실수로 인한 공조 상판(221)과 덮개 홀더(23)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 위험도 사라지게 된다.
기기 상판(222)은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기기 덮개(24)를 덮음으로써 기기 덮개(24)를 보호한다. 도 1-9에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상판(222)은 두 개의 막대 형상의 받침을 갖는 사각 패널의 형상으로 기기 덮개(24)에탑재되어 기기 덮개(24)를 덮는다. 기기 상판(222)은 사용자에 의해 기기 덮개(24)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장소로이동됨으로써 기기 덮개(24)가 노출될 수 있다. 기기 상판(222)은 사각 패널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상판(22)으로 복공판과 같은 일반적인 상용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출입 상판(223)은 지표면과 수평을 이루면서 출입 덮개(25)를 덮음으로써 출입 덮개(25)를 보호한다. 도 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상판(223)은 사각형의 평판으로 덮개 홀더(23)에 일측이 회전 결합되어 회전 결합된 부위를 축으로 하여 회전됨으로써 출입 덮개(25)를 덮거나 노출시킨다. 출입 상판(223)의 하면 일측과 덮개 홀더(23)는 힌지 등과 같은 회전 결합 소자에 의해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도 3, 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상판(223)의 하면 일측과 덮개 홀더(23)는 두 개의 힌지에 의해 회전 결합된다. 출입 상판(223)은 이 회전 결합소자를 축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출입 상판(223)은 그 하면의 일측과 덮개 홀더(23)의 회전 결합 부위를 축으로 하여 그 하면이 출입 덮개(25)의 상면에 밀착되어 수평이 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타측이 출입 덮개(25)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출입 덮개(25)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출입 상판(223)은 그 하면이 출입 덮개(25)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직립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출입 덮개(25)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출입 덮개(25)를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다. 도 3,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상판(223)과 덮개 홀더(23) 사이에는 출입 상판(223)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출입 상판(223)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스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상판(224)은 기기 상판(222)과 덮개 프레임(21) 사이에 삽입되어 기기 덮개(24)에 탑재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패널이다. 기기 상판(222)의 형상은 기기 덮개(24)의 형상과 다르기 때문에 기기 상판(222)과 덮개 프레임(21) 사이에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며, 이 공간을 메우기 위해 보조 상판(224)이 기기 덮개(24)에 탑재된다. 보조 상판(224)은 기기 상판(222)과 함께 기기 덮개(24)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개 홀더(23)는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상단에 밀착 삽입되어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상단 아래의 돌출 부위에 밀봉 상태로 안착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환기구(ventilating opening), 하나의 기기구(appliance opening), 및 하나의 출입구(manway opening)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박스 형상의 프레임이다. 여기에서, 환기구란 공조부(3)를 통해 환기되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말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팬(35)에 의한 강제 공기 순환을 위해 급기구와 배기구가 별도로 존재한다. 기기구란 변압부(100)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를 말하며 이것을 통해 변압부(100)가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의 외부로부터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의 내부로 이동되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출입구란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를 말하며 이것을 통해 사용자가 매설박스(1)의 내부로 들어가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해 있는 변압부(100), 수냉기(42) 등을 점검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홀더(23)는 그 내부에 "T" 형의 격벽이 형성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덮개 홀더(23)의 내부는 세 개의 구역으로 분할된다. 즉, 덮개 홀더(23)는 외면이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상단에 밀착되어 접촉되는 수직 프레임, 하면이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상단 아래의 돌출 부위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 및 덮개 홀더(23)의 내부를 세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T" 형의 격벽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직 프레임, 수평 프레임, 및 격벽은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도 있고, 각각 분리하여 제작된 후에 용접 결합될 수도있다. 한편, "T" 형의 격벽은 세 개의 말단이 수직 프레임의 내면에 결합되어 있을 뿐이기 때문에 "T" 형의 격벽에 어떤 하중이 실릴 경우에 휘어지기 쉽다. 지지대(26)는 "T" 형의 격벽과 동일한 형상의 H형강으로 세 개의말단 각각이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상단 아래의 돌출 부위의 홈에 삽입되어 덮개 홀더(23)의 "T" 형의 격벽을지지한다.
덮개 홀더(23)의 세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는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는 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환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역을 "공조 구역"이라 호칭하고, 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역을 "기기 구역"이라 호칭하고,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역을 "출입 구역"이라고 호칭할 수도 있다. 덮개 홀더(23)의 기기구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를 최초로 설치할 때와 변압부(100)를 교체할 때 외에는 개방될 경우가 거의 없다. 한편, 공조부(3)는 먼지 등으로 인해 사용 기간에 비례하여 공조 성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변압부(100)에 비해 자주 교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덮개 홀더(23)의 환기구는 기기구에 비해 자주 개방될 수 있다. 덮개 홀더(23)의 출입구는 변압부(100), 수냉기(42) 등의 정기 점검을 위해 기기구와 환기구에 비해 더 자주 개방될수 있다. 게다가, 변압부(100)의 관리자와 도 1에 도시된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관리자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 홀더(23)의 내부를 세 개의 구역으로 분할함으로써 덮개 홀더(23)에 형성된 여러 다른 종류의 개구들마다의 특성에 맞는 개폐 방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구역이 서로 다른 관리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상판(221)과 출입 상판(223) 각각에 자물쇠 등과 같은 보안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관리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즉, 덮개 홀더(23)의 기기구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를 최초로 설치할 때와 변압부(100)를 교체할 때 외에는 거의개방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것을 덮는 기기 상판(222)과 기기 덮개(24)는 사용자에 의해 들어올려지거나 내려놓아지는 방식으로 개폐된다. 반면, 덮개 홀더(23)의 환기구와 출입구는 사용자에 의해 수시로 개폐될 수 있기때문에 이것을 덮는 공조 상판(221), 출입 상판(223), 출입 덮개(25)가 기기 덮개(24)와 같이 무거운 출입 덮개(25)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방식으로 덮개 홀더(23)의 출입구를 개폐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고 위험과 덮개 홀더(23), 출입 덮개(25) 등과 같은 구성물의 파손 위험이 높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공조 상판(221), 출입 상판(223), 출입 덮개(25)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덮개 홀더(23)의 환기구와 출입구가 개폐될 수 있다. 기기 덮개(24)는 덮개 홀더(23)에 탑재되어 덮개 홀더(23)의 기기구를 밀봉 상태로 덮는다. 도 1, 12에 도시된바와 같이, 기기 덮개(24)는 덮개 홀더(23)의 기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탑재되어 덮개 홀더(23)의 기기 구역의 수평 프레임과 밀봉 결합됨으로써 덮개 홀더(23)의 기기구를 밀봉 상태로 덮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기 덮개(24)는 덮개 홀더(23)의 기기 구역의 수평면 형상과 동일한 평판의 형상, 즉 사각 평판의 형상으로 그하면이 덮개 홀더(23)의 기기구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수평 프레임의 상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덮개 홀더(23)의 기기구를 밀봉 상태로 덮을 수 있다. 기기 덮개(24)는 기기 상판(222)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덮개 홀더(23)로부터 분리되어 다른 장소로 이동됨으로써 변압부(100)가 노출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기기 덮개(24)의 조립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변압부(100)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기 위해 기기 덮개(24)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덮개 홀더(23)의 기기구를 통해 변압부(100)를 내려놓아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기기 덮개(24)를 덮개 홀더(23)의 기기구의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시킨다. 이어서, 기기 덮개(24)에 상판(22)과 보조 상판(224)을 탑재시킨다.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100)는 교체를 위해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외부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상기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변압부(100)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기기 덮개(24)로부터 상판(22)과 보조 상판(224)을 들어올려 덮개 홀더(23)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기기 덮개(24)를 덮개 홀더(23)의 기기구의 둘레면으로부터 분리하여 덮개 홀더(23)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덮개 홀더(23)의 기기구를 통해 변압부(100)를 들어올려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돌출 부위에는 너트 형태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기기 덮개(24)와 덮개 홀더(23)에는 매설박스(1)의 홈들에 대응되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를 기기 덮개(24)와 덮개 홀더(23)의 구멍들 각각 에 통과시킨 후에 매설박스(1)의 홈들 각각에 체결함으로써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돌출 부위에 덮개 홀더(23)가 결합됨과 동시에 덮개 홀더(23)의 기기구의 둘레면에 기기 덮개(24)가 결합될 수 있다. 매설박스(1)와 덮개 홀더(23)의 결합 부위와 덮개 홀더(23)와 기기 덮개(24)의 결합 부위에 실리콘 등과 같은 방수제를 도포한후에 상기된 바와 같은 볼트 체결을 수행함으로써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돌출 부위와 덮개 홀더(23)는 밀봉상태로 결합될 수 있고 덮개 홀더(23)의 기기구의 둘레면과 기기 덮개(24)는 밀봉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출입 덮개(25)는 덮개 홀더(23)에 탑재되어 덮개 홀더(23)의 출입구를 밀봉 상태로 덮는다. 도 1, 3,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덮개(25)는 덮개 홀더(23)의 출입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탑재되어 덮개 홀더(23)의 출입 구역의 수평 프레임과 밀봉 결합됨으로써 덮개 홀더(23)의 출입구를 밀봉 상태로 덮는다. 보다 상세하게설명하면, 출입 덮개(25)는 덮개 홀더(23)의 기기 구역의 수평면 형상과 동일한 평판의 형상으로, 즉 사각 평판의 형상으로 덮개 홀더(23)에 일측이 회전 결합되어 회전 결합된 부위를 축으로 하여 회전됨으로써 덮개 홀더(23)의 출입구를 밀봉 상태로 덮거나 개방시킨다. 이와 같이, 출입 덮개(25)의 회전에 의해 덮개 홀더(23)의 출입구가 개폐되기 때문에 기기 덮개(24)에 적용된 볼트 체결에 의해 밀봉 상태로 덮개 홀더(23)와 결합될 수 없다.
출입 덮개(25)의 회전에 의해 덮개 홀더(23)와 출입 덮개(25)가 밀봉 결합될 수 있도록, 덮개 홀더(23)의 출입구 둘레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상측으로 꺾여져 올라가는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출입 덮개(25)의 하면에는덮개 홀더(23)의 출입구 둘레의 돌출 부위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형태의 방수 밴드가 부착되어 있다. 방수 밴드는 고무, 실리콘 등의 탄성을 갖는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출입 덮개(25)의 하면에 부착된 방수 밴드가 덮개홀더(23)의 출입구 둘레의 돌출 부위에 의해 눌리게 되면 덮개 홀더(23)의 출입구 둘레의 돌출 부위와 출입 덮개(25) 사이의 틈은 밀봉된다. 출입 덮개(25)의 하면 일측과 덮개 홀더(23)의 출입 구역의 수평 프레임의 상면은 힌지 등과 같은 회전 결합 소자에 의해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도 3,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덮개(25)의 하면 일측과 덮개 홀더(23)의 출입 구역의 수평 프레임의 상면은 두 개의 힌지에 의해 회전 결합된다. 출입덮개(25)는 이 회전 결합 소자를 축으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출입 덮개(25)는 그 하면의 일측과 덮개 홀더(23)의 출입 구역의 수평 프레임의 상면의 회전 결합 부위를 축으로 하여 그 하면에 부착된 방수 밴드가 덮개 홀더(23)의 출입구 둘레의 돌출 부위에 밀착되어 눌릴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타측이 출입구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덮개 홀더(23)의 출입구를 밀봉 상태로 덮을 수 있다. 또한, 출입 덮개(25)는 그 하면에 부착된 방수 밴드가 덮개 홀더(23)의 출입구 둘레의 돌출 부위로부터 분리되어 직립할 때까지 사용자에 의해 출입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덮개 홀더(23)의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있다. 도 3,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 덮개(25)와 덮개 홀더(23) 사이에는 출입 덮개(25)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출입 덮개(25)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인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스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매설박스(1)와 덮개 홀더(23)의 결합 부위가 밀봉되고, 덮개 홀더(23)와 기기 덮개(24)의 결합 부위가 밀봉된상태에서 공조부(3)에 의해 환기구가 차폐되고, 출입 덮개(25)에 의해 출입구가 차폐되면, 매설박스(1)의 내부공간은 밀폐되게 된다. 이와 같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면, 강우시에도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위치하는 변압부(100)에는 빗물이 침투할 수 없게 된다. 덮개 홀더(23)의 환기구는 공조부(3)에 의해 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공조 상판(221)은 공조부(3)를 밀봉 상태로 덮을 필요가 없다. 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 홀더(23)의 기기구와 출입구로의 빗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기 덮개(24)는 덮개 홀더(23)의 기기구를 밀봉 상태로 덮어야 하고 출입 덮개(25)는 덮개 홀더(23)의 출입구를 덮어야 한다.
공조부(3)는 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거나 밀폐시킴으로써 매설박스(1)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100)를 냉각시킨다. 공조부(3)는덮개부(2)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구와 밀봉 상태로 연통되도록 덮개부(2)에 탑재되어 공조부(3)로의 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거나 밀폐시킨다. 이에 따라, 공조부(3)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는 지하에 각종 설비가 매설되어 있는 도심에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 3, 5, 10-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부(3)는 덮개 홀더(23)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구와 밀봉 상태로 연통되도록 덮개 홀더(23)에 탑재되어 공조부(3)로의 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 거나 밀폐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공조부(3)는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탑재되어 덮개 홀더(23)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구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덮개 홀더(23)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구와 밀봉 상태로 연통되어 공조부(3)로의 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다. 공조부(3)는 물에 의해 녹이 슬지 않는 단단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부 (3)는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합금,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공조부(3)는 공조부(3)로의 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공조부(3)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관을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거나 흐를 수 없도록 함으로써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거나 밀폐시킨다. 한편, 공조부(3)는 하나의 환기관을 이용하여 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거나 밀폐시킬 수 있다. 다만, 하나의 환기관을 통해 매설박스(1)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가 순환하는 경우에 환기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환기관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서로 충돌할 수 있기 때문에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공조부(3)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에 따라 팬(35)을 이용하여 매설박스(1)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강제로 공기를 순환시킬 수 도 있다.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에 공기 순환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강제 공기 순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매설박스(1)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급기측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매설박스(1)의 외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하는 배기측이 분리되어 구성되며,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와 습도가 외부와 거의 동일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 홀더(23)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구는 매설박스(1)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구와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매설박스(1)의 외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출되는 배기구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공조부(3)의 적어도 하나의 환기관은 매설박스(1)의 외부공간으로부터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흐르는 급기관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매설박스(1)의 외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배기관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공조부(3)의 분해도이다. 도 1, 14를 참조하면, 공조부(3)는 하우징(31), 필터(32), 급기부(33), 배기부(34), 및 팬(35)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분해도를 참조하면서 상기된 구성요소들간의 조립 과정 및 연결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는 덮개 홀더(23)의 위에 설치되는 구성 요소들만 도시되어 있으며, 덮개 홀더(23)의 아래에 설치되는 팬(35)은 생략되어 있다. 하우징(31)은 덮개 홀더(23)에 탑재되어 급기부(33)와 배기부(34)를 비밀봉 상태로 덮음으로써 급기부(33)와 배기부(34)를 보호하면서 일부에만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보다 원활하게 환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급기부(33)와 배기부(34)로의 물의유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 10,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은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탑재되어 급기부(33)와 배기부(34)를 비밀봉 상태로 덮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우징(31)은 네 개의 측면 중 일부 측면에만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두 개의 측면과 상면은 밀폐되고 하면은 개방된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그 내부 공간에 급기부(33)와 배기부(34)가 위치하도록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결합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측면 하단에는 덮개 홀더(23)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다수의 결합편이형성되어 있다.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는 너트 형태의 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31)의 결합편들에는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의 홈들에 대응되는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를 하우징(31)의 결합편들의 구멍들 각각에 통과시킨 후에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의 홈들 각각에 체결함으로써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하우징(31)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31)을 통해보다 원활하게 환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급기부(33)와 배기부(34)로의 물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하우징(31)의 네 개의 측면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원형의 다수의 환기용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1)의 네 개의 측면들 중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측면이 다공면이다.
필터(32)는 하우징(31)의 다공면의 외측 또는 내측에 부착되어 공조부(3)로 유입되는 물질로부터 공기, 물 이외의 물질을 걸러낸다. 필터(32)는 공기와 물의 출입이 가능한 사각판 형태의 필터망과 이러한 필터망을 감싸는형태의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각 프레임에 필터망이 압입되어 필터망이 고정되게 된다. 필터망은 직물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하우징(31)은 일반적으로 금속 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공기만 통과되고 먼지, 토양 침식물 등과 같은 미세 물질이 통과될 수 없는 구멍들이 형성되도록 가공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주 교체될 수 없다. 필터(32)는 이러한 미세 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이러한 미세 물질의 퇴적으로 인한 공조부(3)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주 교체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급기부(33)와 배기부(34) 각각의 분해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급기부(33)와 배기부(34) 각각의 내부도이고,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급기부(33)와 배기부(34)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16에는 급기 덕트(331)가 제거된 상태에서 위에서 내려다보는 방향의 급기부(33)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에는 급기 덕트(331)의 중심을 급기 덕트(331)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선에 직각을 이루는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기부(33)와 배기부(34)는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그 각각을 통합하여 하나의 도면에도시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급기부(33)는 급기 덕트(331), 배관 개스킷(332), 급기관(333), 두 개의 가이드부재(334), 두 개의 밀봉 패킹(335), 두 개의 부상체(336), 및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분해도를 참조하면서 상기된 구성 요소들간의 조립 과정 및 연결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두 개의 가이드 부재(334), 두 개의 밀봉 패킹(335), 두 개의 부상체(336), 및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은 도14에 도시된 급기부(33)가 임계 수위를 초과하는 높이의 물에 잠겼는가의 여부에 따라 급기관(333)을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거나 흐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요소들이다. 아래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가이드 부재(334), 하나의 밀봉 패킹(335), 하나의 부상체(336), 및 하나의 급기 다공관(337)을 사용하여 급기관(333)을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거나 흐를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급기관(333)을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거나 흐를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구조의 채용으로 인해 이러한 요소들을 통한 환기능력은 급기관(333)의 환기 능력보다 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기관(333)의 환기 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두 개의 가이드 부재(334), 두 개의 밀봉 패킹(335), 두 개의 부상체(336), 및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급기관(333)을 통해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거나 흐를 수 없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가이드 부재(334), 하나의 밀봉 패킹(335), 하나의 부상체(336), 및 하나의 급기 다공관(337)이 사용될 수도 있고,보다 많은 개수의 가이드 부재(334), 밀봉 패킹(335), 부상체(336), 및 급기 다공관(337)이 사용될 수 있음을이해할 수 있다.
급기 덕트(331)는 급기관(333)과 적어도 하나의 급기 다공관(337)이 서로 연통하도록 급기관(333)의 상단과 적어도 하나의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 사이에 연결된다. 도 15,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덕트(331)는 전방향의 측면과 상면은 밀폐되고 하면에는 세 개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그 하면의 세 개의 개구들 중 중앙의 한 개의 개구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하나의 급기관(333)의 상단이 결합됨으로써 급기관(333)의 상단과 연결되고 양단의 두 개의 개구의 둘레면에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이 일 대 일로 결합됨으로써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급기 덕트(331)는 덕트 상판(3311), 덕트 개스킷(3312), 및 덕트 하판(3313)으로 구성된다.
덕트 상판(3311)은 전 방향의 측면과 상면은 밀폐되고 하면은 개방된 사각박스의 형상으로 하단이 덕트 하판(3313)에 결합된다. 덕트 개스킷(3312)은 네 개의 일자 프레임이 직각으로 연결된 사각프레임의 형상으로 덕트상판(3311)과 덕트 하판(3313) 사이에 삽입되어 덕트 상판(3311)과 덕트 하판(3313) 사이의 틈을 밀봉시킨다.덕트 하판(3313)은 세 개의 원형의 개구가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상면이 덕트 상판(3311)의 하단에 결합되고 세 개의 원형의 개구 중 중앙의 한 개의 원형의 개구의 둘레면에 하나의 급기관(333)의 상단이 밀봉 상태로 결합되고 양단의 두 개의 원형의 개구의 둘레면에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이 밀착된다.
덕트 상판(3311)의 하단의 둘레에는 덕트 상판(331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꺾여져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상판(3311)의 결합편, 덕트 개스킷(3312), 및 덕트하판(3313)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를 덕트 상판(3311)의 결합편, 덕트개스킷(3312), 및 덕트 하판(3313)의 구멍들 각각에 차례로 통과시킨 후에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덕트 상판(3311), 덕트 개스킷(3312), 및 덕트 하판(3313)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 상판(3311)과 덕트 하판(3313)은 그 사이의 틈이 밀봉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각박스의 형상의 급기 덕트(331)의 하면의 세 개의 개구에 밀봉 상태로 급기관(333)의 상단이 결합되고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이 결합되기 때문에 도 15-17에 도시된 공조부(3)로 낙하되는 빗물은직접 급기관(333)으로 유입될 수 없고 급기 덕트(331)의 밀폐된 상면에 충돌한 후에 흘러서 각 급기 다공관(337)의 하부의 구멍들에 유입되거나 직접 각 급기 다공관(337)의 하부의 구멍들에 유입되게 된다. 도 15-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급기 다공관(337)의 상부는 급기 덕트(331)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각 급기 다공관(337)의 상부의 구멍들로 빗물이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빗물이 급기관(333)으로 유입되기 위해서는 빗물이 각급기 다공관(337)의 하부의 구멍들에 유입되어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를 경유하여 급기 덕트(331)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야 한다. 급기 덕트(331)의 내부 공간은 각 급기 다공관(337)의 하부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각 급기 다공관(337)의 하부의 구멍들에 유입된 빗물이 급기 덕트(33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기 어렵다. 그 결과, 도 15-17에 도시된 공조부(3)로 낙하되는 빗물이 급기관(333)으로 유입되기 어렵다.
배관 개스킷(332)은 그 중심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급기 덕트(331)의 중앙 개구의 둘레면과 급기관(333)의 상단 사이에 삽입되어 급기 덕트(331)의 중앙 개구의 둘레면과 급기관(333)의 상단 사이의 틈을 밀봉시킨다.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개스킷(332)의 개구 주위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급기관(333)의 상단의 둘레에는 급기관(333)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직각으로 꺾여져 연장되는 배관 개스킷(332)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다.
급기 덕트(331), 배관 개스킷(332),및 급기관(333)의 상단 결합편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를 급기 덕트(331), 배관 개스킷(332), 및 급기관(333)의 상단 결합편의 구멍들 각각에 차례로 통과시킨 후에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급기 덕트(331), 배관 개스킷(332), 및 급기관(333)의 상단 결합편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기덕트(331)와 급기관(333)은 그 사이의 틈이 밀봉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급기관(333)은 덮개 홀더(23)의 상측에서 상단이 급기 덕트(331)의 세 개의 개구들 중 중앙의 개구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어 급기 덕트(33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고, 하단이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한다. 도 15,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관(333)은 전 방향의 측면은 밀폐되고 상면과 하면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상단이 급기 덕트(331)의 중앙 개구의 둘레면에 배관 개스킷(332)이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급기 덕트(331)의 중앙 개구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고 하단이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에 용접으로 결합됨으로서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에 밀봉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급기관(333)의 하단이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에 용접되어 결합될 경우에 급기관(333)이 덮개 홀더(23)로부터 분리되기가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 공조부(3)는 급기관(333)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을 교체함으로써 교체될 수 있다.
두 개의 가이드 부재(334) 각각은 각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 측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되면서 각 부상체(336)의 돌출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여 각 부상체(3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즉, 좌측 가이드 부재(334)는 좌측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 측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되면서 좌측 부상체(336)의 돌출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여 좌측 부상체(3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가이드 부재(334)는 우측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 측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되면서 우측 부상체(336)의 돌출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여 우측 부상체(3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각 부상체(336)는 그것의 돌출봉이 각 가이드 부재(334)의 통로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기 때문에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에서 흔들림 없이 각 급기 다공관(337)에 유입된 빗물의 양에 정확하게 비례하여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평상시에는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의 밀봉이 방지되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환기되는 기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강우시에는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의 개방이 방지되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의 빗물 유입이 확실하게차단될 수 있다.
도 15-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부재(334)는 상면이 급기 덕트(331)의 양단 개구 각각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며 그 중심에 원기둥 형상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 형상의 외프레임과 외프레임의 환기통로의 내면에 말단들이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그 중심에 원기둥 형상의 안내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십자 스포크(spoke) 형상의 내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각 가이드 부재(334)의 상면은 급기 덕트(331)의 양단 개구 각각의 둘레면에 용접으로 결합됨으로써 급기 덕트(331)의 양단 개구 각각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같이, 각 가이드 부재(334)는 외프레임의 원기둥 형상의 환기 통로의 내부가 내프레임의 십자 스포크 형상에 의해 분할됨으로써 형성되는 삼각기둥 형상의 통로들을 통해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고, 이러한 환기 통로의 내부의 내프레임 중심에 형성된 안내 통로의 내면에 각 부상체(336)의 돌출봉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각 부상체(33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두 개의 밀봉 패킹(335) 각각은 그 중심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 형상으로 그 상면이 각 가이드 부재(334)의 하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된다. 즉, 좌측 밀봉 패킹(335)의 상면은 좌측 가이드 부재(334)의 하면에 결합되고, 우측 밀봉 패킹(335)의 상면은 좌측 가이드 부재(334)의 하면에 결합된다. 각 밀봉 패킹(335)은 고무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방수 물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상면이 각 가이드 부재(334)의 하면에 방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됨으로써 각 가이드 부재(334)의 하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고무 소재의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가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밀봉 패킹(335)의 구멍은 밀봉되게 된다. 따라서, 밀봉 패킹(335)의 방수 능력은 부상체(336)가 밀봉 패킹(335)을 누르는 힘에 의해 결정된다. 부상체(336)가 밀봉 패킹(335)을 누르는 힘은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의 물에 의해 부상체(336)에 작용하는 부력에 의해 결정되므로, 각 부상체(336)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면과 마찰 없이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상태에서 최대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두 개의 부상체(336) 각각은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을 통해 유입된 빗물의 양에 따라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즉, 좌측 부상체(336)는 좌측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좌측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을 통해 유입된 빗물의 양에 따라 좌측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부상체(336)는 우측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우측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을 통해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우측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도 15-17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상체(336)는 물에 의한 부력보다 무게가 가벼우며 일측에 돌출봉이 형성되어 있는 구형의 볼(ball)일 수 있다. 부상체(336)는 빗물에 뜰 수있도록 물보다 비중이 작은 소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상체(336)는 플라스틱, 스티로폼, 고무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부상체(336)의 무게를 보다 더 가볍게 하기 위하여 부상체(336)의 내부가 비어 있을 수도 있다.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 각각은 상단이 급기 덕트(331)의 하면의 양단 개구 각각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단이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밀착되어 급기관(333)과 평행하게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 위에 직립하여 설치된다. 즉, 좌측 급기 다공관(337)은 상단이 급기 덕트(331)의 하면의 좌측단 개구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밀착되어 급기관(333)과 평행하게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 위에 직립하여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급기 다공관(337)은 상단이급기 덕트(331)의 하면의 우측단 개구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밀착되어 급기관(333)과 평행하게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 위에 직립하여 설치된다.
급기 다공관(337)은 방수가 요구되는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과 하단은 급기 덕트(331)와 덮개 홀더(23)에 밀봉 상태로 결합될 필요가 없다. 심지어,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과 급기 덕트(331)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틈이 존재할 수도 있고, 급기 다공관(337)의 하단과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틈이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기 다공관(337)은 가이드 부재(334)와 함께부상체(336)가 흔들림 없이 상하 이동이 되도록 안내하면서 도 15에 도시된 공조부(3)에 낙하되는 빗물을 수용하여 부상체(336)에 부력을 가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급기 다공관(337)의 채용에 의해 공조부(3)의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고 대상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공조부(3)의 교체, 수리, 및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도 15-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급기 다공관(337)은 전 방향의 측면에는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하면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급기 덕트(331)의 하면의 양단 개구 각각의 둘레면과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 상단이 가이드 부재(334)의 하부 측면 둘레에 끼워짐으로써 상단이 급기 덕트(331)의 하면의 양단 개구의 둘레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하단이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밀착되게 되고, 그 결과 급기관(333)과 평행하게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직립하여 설치될수 있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공조부(3)가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도 15에 도시된 공조부(3)가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19를 참조하면,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의 각 부상체(336)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거나 밀봉되도록 함으로써 급기관(333)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이러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된다. 즉, 좌측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의좌측 부상체(336)의 상하 이동에 의해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거나 밀봉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의 우측 부상체(336)의 상하 이동에 의해 우측 급기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거나 밀봉된다.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는 급기 덕트(331)의 양단 개구 각각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된 가이드 부재(334)와 가이드 부재(334)의 하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는 밀봉 패킹(335)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각 밀봉 패킹(335)의 구멍이 개방되거나 밀봉되면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거나밀봉된다. 도 18-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 및 우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 모두가 밀봉되어야 급기관(333)을 통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으며, 이것들 중 어느 하나라도 개방되어 있으면 급기관(33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 각 부상체( 336)가 하강하여 각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와 각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 사이에 의해 빈 공간이 형성되면 각 급기 다공관(337)과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급기관(333)을 통하여 외부와 환기될 수 있다.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을 통해 유입된 물의 높이에 비례하여 부상체(336)는 상승하기 때문에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에 물이 없거나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에 물이 유입되어 각 급기 다공관(337)이임계 수위 미만 높이의 물에 잠길 때까지는 각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과 각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게 된다.
즉, 좌측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에 물이 없거나 좌측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에 물이 유입되어 좌측 급기다공관(337)이 임계 수위 미만 높이의 물에 잠길 때까지는 좌측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과 좌측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에 물이 없거나 우측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에 물이 유입되어 우측 급기 다공관(337)이 임계 수위 미만 높이의 물에 잠길 때까지는 우측 부상체(336)의 구형의외면과 우측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우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게 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 각 부상체(336)가 상승하여 각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가 각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밀봉되어 급기관(333)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없게 된다.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에 물이 유입되어 각 급기 다공관(337)이 임계 수위를 초과하는 높이의 물에 잠기면 각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이 각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를 누를 때까지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 각 부상체(336)가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밀봉되게 된다. 즉, 좌측 급기 다공관(337)이 임계 수위를 초과하는 높이의 물에 잠기면, 좌측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을 통해 유입된 물의 수위에 비례하는 높이만큼 상승되는 좌측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이 좌측 밀봉 패킹(335)의구멍의 둘레를 누름으로써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밀봉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급기 다공관(337)이 임계 수위를 초과하는 높이의 물에 잠기면, 우측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을 통해유입된 물의 높이에 비례하는 높이만큼 상승되는 우측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이 우측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를 누름으로써 우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밀봉되게 된다.
각 급기 다공관(337)이 임계 수위를 초과하는 높이의 물에 잠긴 후에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로부터 물이배출되어 각 급기 다공관(337)이 임계 수위 미만 높이의 물에 잠기게 되면 각 부상체(336)는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로부터 떨어져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각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과 각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게 된다.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배기부(34)도 이러한 급기부(33)의 동작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공조부(3)는 비가 올 동안에만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고 평상시에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조부(3)에 의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은 방수가 되면서도 외부와의 환기를 통해 자동으로 온도, 습도 등이 외부와 유사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에 따른 공조부(3)는 평상시에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환기되도록 하여 매설박스(1)의내부 공간에 설치된 변압부(100)를 자연 대류에 의해 냉각시키고 습도 등을 외부와 유사한 상태로 유지하는 공조 기능과 강우 등으로 인해 공조부(3)로 물이 유입될 때에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여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변압부(100)의 침수를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따른 공조부(3)는 공조 기능 외에 방수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대상물의 내부 공간의 방수를 위한 별도 지상 시설물의 설치 없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대상물의 내부 공간의 공조와 방수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설비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설치하면 과열과 과습으로 인한 전기설비의 고장률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설비가 최적의 상태에서 동작되므로 전기설비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 및 우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라도 개방되어 있으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급기관(333)을 통한 공기 유입이 차단되기 위해서는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부위 및 우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 모두가 밀봉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좌측 급기다공관(337)과 우측 급기 다공관(337)이 수평면에 설치될 경우에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우측 급기 다공관(337)은 동일한 높이의 물에 잠기게 되며, 그 결과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 및 우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는 동시에 개방되거나 밀봉되게 된다. 따라서,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 및 우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의 밀봉이 보다 정확하게 제어되기 위해서는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우측 급기 다공관(337)이 수평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부상체(336)의 구형의 외면이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트(331)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각 밀봉 패킹(335)의 구멍의 둘레를 누름으로써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밀봉되기 때문에 각 부상체(336)가 각 부상체(336)의 직경의 1/2 미만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각 밀봉 패킹(335)의 구멍은 밀봉되게 된다. 다만, 각 부상체(336)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을 통해 급속하게 유입되는 물에 순간적으로 각 부상체(336)가 잠길 수 있다. 각 부상체(336)가 빗물에 잠기면 빗물이 급기관(333)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각 부상체(336)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에 유입되는물에 각 부상체(336)가 잠기게 될 가능성은 점점 희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각 부상체(336)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에 최대 유속으로 유입되는 물에 잠길 수 있는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각 부상체(336)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에 최대 유속으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의 물에 잠길 수 없게 된다. 여기에서,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최대 유속이란 도 15-17에 도시된 공조부(3)가 설치되는 장소의 강우로 인한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의 최대 유속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상체(336)는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면과 마찰 없이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상태에서 최대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즉, 각 부상체(336)의 직경은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경과 근사하다. 부상체(336)의 직경의 1/2 미만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밀봉 패킹(335)의 구멍이 밀봉될 뿐만 아니라 부상체(336)의 직경은 급기 다공관(337)의 내경과 근사하기 때문에 밀봉 패킹(335)의 구멍이 밀봉될 때까지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높이는 부상체(336)의 직경의 1/2 미만으로 상승되고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로유입된 물은 급기 다공관(337)의 내경과 근사한 직경을 갖는 부상체(336)의 직경의 1/2 부위, 즉 가장 넓은 부위에 의해 가로막히게 된다. 그 결과, 부상체(336)의 직경의 1/2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는 급기 다공관(337)의상부의 구멍들로부터 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사라지게 된다. 게다가, 급기 덕트(331)의 내부 공간은 각 급기 다공관(337)의 하부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급기관(333)으로의 빗물 유입은 완벽하게 차단되게 된다.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이 클 경우에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로 빠르게 물이 유입되기 있기 때문에 비가 내리기 시작하자마자 부상체(336)가 상승하여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가 즉시밀봉될 수 있다. 다만,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의 크기에 비해 부상체(336)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로 유입된 물에 부상체(336)가 잠기어 급기관(333)으로 물이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이 작을 경우에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로 천천히 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로 유입된 물에 부상체(336)가 잠기게 될 가능성은 희박하게 된다. 다만, 부상체(336)의 크기에 비해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 부상체(336)가 천천히 상승하게 되어 비가 내리기 시작한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부위가 밀봉되므로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의 밀봉의 반응성이 떨어질 수 있다.
각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의 밀봉의 반응성과 부상체(336)의 침수 위험을 교량하여 각 급기 다공관(337)의 구멍들이 최적의 크기를 갖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도 15를 참조하면, 배기부(34)는 배기 덕트(341), 배관 개스킷(342), 배기관(343), 두 개의 가이드 부재(344), 두 개의 밀봉 패킹(345), 두 개의 부상체(346), 및 두 개의 배기 다공관(347)으로 구성된다. 급기 덕트(331),배관 개스킷(332), 급기관(333), 두 개의 가이드 부재(334), 두 개의 밀봉 패킹(335), 두 개의 부상체(336), 및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은 급기 동작을 수행하나, 배기 덕트(341), 배관 개스킷(342), 배기관(343), 두 개의 가이드 부재(344), 두 개의 밀봉 패킹(345), 두 개의 부상체(346), 및 두 개의 배기 다공관(347)은 배기 동작을수행한다.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두 실시예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배기 동작에 관련된 기본적인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 15-17에 대해 상술된 바와 같은 설명으로 갈음하기로한다.
배기 덕트(341)는 배기관(343)과 두 개의 배기 다공관(347)이 서로 연통하도록 배기관(343)의 상단과 두 개의배기 다공관(347)의 상단 사이에 연결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배기 덕트(341)는 덕트 상판(3411), 덕트 개스킷(3412), 및 덕트 하판(3413)으로 구성된다. 배관 개스킷(342)은 그 중심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배기 덕트(341)의 중앙 개구의 둘레면과 배기관(343)의 상단 사이에 삽입되어 배기 덕트(341)의 중앙 개구의 둘레면과 배기관(343)의 상단 사이의 틈을 밀봉시킨다. 배기관(343)은 덮개 홀더(23)의 상측에서 상단이 배기 덕트(341)의 세 개의 개구들 중 중앙의 개구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어 배기 덕트(34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고, 하단이 덮개 홀더(23)의 배기구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한다.
두 개의 가이드 부재(344) 각각은 각 배기 다공관(347)의 상단 측에 설치되어 공기가 통과되면서 각 부상체(346)의 돌출봉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하여 각 부상체(346)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두 개의 밀봉 패킹(345) 각각은 그 중심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판 형상으로 그 상면이 각 가이드 부재(344)의 하면에 결합된다. 각 밀봉 패킹(345)의 구멍의 둘레가 각 부상체(346)의 구형의 외면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각 밀봉 패킹(345)의 구멍은 밀봉되게 된다. 두 개의 부상체(346) 각각은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각 배기 다공관(347)의 구멍들을 통해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두 개의 배기 다공관(347) 각각은 상단이 배기 덕트(341)의 하면의 양단 개구 각각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단이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밀착되어 배기관(343)과 평행하게 덮개 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 위에 직립하여 설치된다.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 공간에서의 각 부상체(346)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거나 밀봉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관(343)을 통하여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외부로 공기가 유출되거나 이러한 공기의 유출이 차단된다. 즉,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 공간에서 각 부상체(346)가 하강하여 각 밀봉 패킹(345)의 구멍의 둘레와 각 부상체(346)의 구형의 외면 사이에 의해 빈 공간이형성되면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가 개방되어 배기관(343)을 통하여 매설박스(1)의내부 공간으로 외부로 공기가 유출된다.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 공간에서 각 부상체(346)가 상승하여 각밀봉 패킹(345)의 구멍의 둘레가 각 부상체(346)의 구형의 외면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가 밀봉되어 배기관(343)을 통한 공기의 유출이 차단된다. 도 18-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및 우측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모두가 밀봉되어야 배기관(343)을 통한 공기의 유출이 차단될 수 있으며, 이것들 중 어느 하나라도 개방되어 있으면 배기관(343)을 통해 공기가 유출될 수 있다. 도 1, 14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기부(33)의 좌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 및 우측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배기부(34)의 좌측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및 우측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모두가 밀봉되어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밀폐될 수 있으며, 이것들 중 어느 하나라도 개방되어 있으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환기될 수 있다.
냉각부(4)는 제어부(5)의 제어에 따라 매설박스(1)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된 배관을 통해 매설박스(1)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변압부(100)를 냉각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냉각부(4)는 물탱크(41), 수냉기(42), 및 배관(43)으로 구성된다. 물탱크(41)는 매설박스(1)의 외부에 위치하며 그 내부에 매설박스(1)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냉각되는 물이 저장되어 있다. 물탱크(41)는 전체 면이 밀폐된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매설박스(1)의 네 개의 측면들 중 일 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매설박스(1)에는 그것의 일 측면에밀착되는 물탱크(41)를 지지하기 위한 일정 폭의 돌출 부위가 일정 높이로 매설박스(1)의 측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물탱크(41)는 매설박스(1)와 함께 지하에 매설되므로 매설박스(1)의 측면 둘레의 돌출 부위와 그 주위의 잡석, 토사 등에 의해 지지되어 매설박스(1)의 일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탱크(41)에 저장된 물의 냉각을 위해, 매설박스(1)에는 덮개부(2)에 유입된 빗물이 매설박스(1)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설박스(1)의 네 개의 측면들 각각에는 덮개부(2)에 유입된 빗물이 유출되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덮개 홀더(23)는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상단에 밀착 삽입되어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상단 아래의 돌출 부위에 밀봉 상태로 안착 결합된다. 매설박스(1)의 내측면의 상단 아래의 돌출 부위에 밀봉 상태로 결합하는 덮개홀더(23)의 하부 모서리에는 덮개부(2)에 유입된 빗물이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틈새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덮개 홀더(23)의 틈새와 맞닿아 있는 매설박스(1)의 부분에도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2)에 유입된 빗물은 덮개 홀더(23)의 틈새와 매설박스(1)의 틈새를 통과하여 매설박스(1)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물탱크(41)의 외면은 덮개 홀더(23)의 틈새와 맞닿아 있는 매설박스(1)의 틈새를 통해 유출된 빗물에 의해 냉각되고, 물탱크(41)의 외면의 냉각에 의해 물탱크(41)에 저장된 물은 냉각되어 급수관(431)을 통하여 수냉기(42)로 공급된다. 강우시에 물탱크(41) 주위의 잡석, 토사 등에는 지표면을 통하여 유입된 빗물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물탱크의 외면은 매설박스(1)의 틈새를 통해 유출된 빗물 외에도 물탱크(41) 주위의 잡석, 토사 등에 유입된 빗물에 의해 냉각될 수도 있다. 물탱크(41)에 저장된 물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물탱크(41)에저장된 물과 물탱크(41)의 외면과의 접촉 면적을 가급적 넓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물탱크(41)의 내부는 다양한 형태로 꼬여진 배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냉기(42)는 제어부(5)의 제어에 따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물탱크(41)로부터 유입된 물을 냉각수로 이용하여 매설박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100)를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매설박스(1)의 외부에 위치한 물탱크(41)로부터 유입된 물을 냉각수로 이용함으로써 변압부(100)의 냉각에 따른 전기에너지의 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냉기(42)는 냉매를 압축하고 물탱크(41)로부터 유입된 물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킴으로써 응축된 냉매의 기화 과정에서의 열 흡수를 이용하여 변압부(100)를 냉각시킨다. 예를 들어, 수냉기(42)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변압부(1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냉매로는 R-22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냉 방식의 특징은 매설박스(1)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물탱크(41)의 물을 이용하여 변압부(100)를 냉각시키는 데에 있다. 한편, 냉매의 압축, 응축, 및 기화에 따른 냉각 방식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된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배관(43)은 물탱크(41)와 수냉기(42) 사이에 연결되어 물탱크(41)와 수냉기(42) 사이에 물을 순환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관(43)은 급수관(431) 및 배수관(432)으로 구성된다. 급수관(431)은 물탱크(41)와 수냉기(42)사이에 연결되어 물탱크(41)에 저장된 물을 수냉기(42)에 공급한다. 급수관(431)은 일단이 물탱크(41)에 밀봉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이 수냉기(42)에 밀봉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물탱크(41)와 수냉기(4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432)은 물탱크(41)와 수냉기(42) 사이에 연결되어 수냉기(42)로부터 배출된 물을 물탱크(41)에 공급한다. 배수관(432)은 일단이 물탱크(41)에 밀봉 상태로 결합되고 타단이 수냉기(42)에 밀봉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물탱크(41)와 수냉기(4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10, 11을 참조하면, 이러한 급수관(431)과 배수관(432)이 밀봉 상태로 매설박스(1)의 하측 벽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밀봉 부재(44)가 매설박스(1)의 하측 벽에 압입되어 있다.
제어부(5)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밀폐 여부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공조부(3)와 냉각부(4) 중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는 마이컴(micro comput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5)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밀폐 여부에 따라 공조부(3)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매설박스의 외부 공간 사이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연 대류에 의해 변압부(100)가냉각되도록 하거나, 공조부(3)를 구동시킴으로써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매설박스(1)의 외부 공간 사이의강제 공기 순환에 의해 변압부(100)가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에 따라 공조부(3)의 팬(35)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매설박스(1)의 외부 공간사이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연 대류에 의해 변압부(100)가 냉각되도록 하거나, 공조부(3)의 팬(35)을 구동시킴으로써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매설박스(1)의 외부 공간 사이의 강제 공기 순환에 의해 변압부(100)가 냉각되도록 하거나, 냉각부(4)를 구동시킴으로써 냉매의 기화 과정에서의 열 흡수에 의해 변압부(100)가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부(3)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강제 공기 순환을 위해 앞에서 설명된 공조부(3)의구성 요소에 팬(35)과 근접 센서(338, 348)가 추가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서(338, 348)는 도6에 도시된 공조부(3)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35)은 덮개 홀더(23)의 하측에서 덮개홀더(23)의 공조 구역의 수평 프레임에 설치된다. 한편,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냉각을 매설박스(1)의 내부공간의 온도에 따라 간헐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온도 센서가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근접 센서(70)는 각 다공관(337, 347)의 상단 측에 설치되어 이것과 각 부상체(336, 346) 사이의 근접도를 검출한다. 온도 센서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검출한다. 온도 센서는 이것의 외형 내지 내부 구조에 어떤 기술적 특징을 갖는 요소가 아니며, 이것에 대한 설명만으로 본 실시예가 이해될 수 있기 때문에 도면이 복잡해짐을피하기 위하여 도 1로부터 생략된다. 팬(35)은 제어부(5)의 제어에 따라 덮개 홀더(23)의 하측에서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에 결합되어 급기관(333)을 통해 매설박스(1)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며 덮개 홀더(23)의 하측에서 덮개 홀더(23)의 배기구의 둘레면에 결합되어 배기관(343)을 통해 매설박스(1)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서 급기관(333)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 내에서 강제 순환되어 배기관(34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은 급기부(3)와 배기부(4)에 의해 강우시에 밀폐되기 때문에 팬(35)은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팬(35)과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의 사이가 많이 벌어져 있을수록 팬(35)의 효율이 감소되므로 가급적 팬(35)과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은 가급적밀착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팬(35)은 급기 팬(351), 배기 팬(352), 및 팬 케이스(353)로 구성된다. 급기 팬(351)은 덮개홀더(23)의 하측에서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 또는 비밀봉 상태로 결합되며 급기관(333)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에 의해 급기관(333)을 통해 매설박스(1)의 외부로부터공기를 흡입하여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한다. 급기 팬(351)은 그것의 효율 향상을 위해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에 밀봉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배기 팬(352)은 덮개 홀더(23)의 하측에서 덮개 홀더(23)의 배기구의 둘레면에 비밀봉 상태로 결합되며 배기관(343)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에 의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343)을 통해 매설박스(1)의 외부로 배출한다. 팬 케이스(353)는 급기 팬(351)과 배기 팬(352)을 수용한 상태로 대상물(100)의 내면에 결합되어 각 팬(351, 352)이 덮개 홀더(23)의 급기구의 둘레면과 덮개 홀더(23)의 배기구의 둘레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강우시에 급기 팬(351)과 배기 팬(352)의 구동은 제어부(5)의 제어에 따라 정지된다.제어부(5)의 고장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강우시에도 급기 팬(351)과 배기 팬(352)이 구동될 수 있다. 급기 팬(351)의 구동은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에서 부상체(336)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급기팬(351)이 비정상적으로 구동하더라도 급기 팬(351)의 모터 온도 상승, 불필요한 전력 소모 외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배기 팬(352)의 구동은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에서 부상체(346)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작용하기 때문에 배기 팬(352)이 비정상적으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된 문제 외에도 배기 팬(352)의 구동에 의해 부상체(346)가 하강하여 부상체(346)의 구형의 외면과 밀봉 패킹(345)의 구멍의 둘레 사이가 벌어져서 밀봉 패킹(345)의 구멍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각 배기 다공관(347)의 구멍들을 통해 유입된 물에 의해 발생되는 각 부상체(346)의 부력보다 작은 풍력이 각배기 다공관(347)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각 부상체(346)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틈이 배기 팬(352)과 덮개 홀더(23)의 배기구의 둘레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배기 다공관(347)의 구멍들을 통해유입된 물에 의해 발생되는 각 부상체(346)의 부력보다 작은 풍력이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각 부상체(346)에 작용하기 때문에 각 부상체(346)의 구형의 외면이 각 밀봉 패킹(345)의 구멍의 둘레를 누르는 상태에서 배기 팬(352)이 구동되더라도 배기 팬(352)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배기 팬(352)과 덮개 홀더(23)의 배기구의 둘레면의 사이의 틈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즉, 각 부상체(346)의 구형의 외면이 각 밀봉 패킹(345)의구멍의 둘레를 누르는 상태에서 배기 팬(352)의 구동에 의해 각 부상체(346)가 하강하지 않게 되며, 그 결과 부상체(346)의 구형의 외면과 밀봉 패킹(345)의 구멍의 둘레 사이가 벌어지지 않게 된다.
제어부(5)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에서의 각 부상체(336)의 위치와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에서의 각부상체(346)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가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밀봉을 나타내는가에 따라 팬(35)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과 두 개의 배기 다공관(347)이 수평면에 설치될 경우에두 개의 급기 다공관(337)과 두 개의 배기 다공관(347)은 동일한 높이의 물에 잠기게 되며, 그 결과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는 동시에 개방되거나 밀봉되게 된다.이 경우, 제어부(5)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에서의 각 부상체(336)의 위치와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에서의 각 부상체(346)의 위치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가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의 밀봉을 나타내는가에 따라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모두의 밀봉으로 판정하여 팬(3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아니면, 제어부(5)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에서의 각 부상체(336)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가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의 밀봉을 나타내는가에 따라 급기 팬(351)의 구동을 제어하고,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에서의 각 부상체(346)의 위치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의 밀봉을 나타내는가에 따라 배기 팬(352)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근접 센서(338, 348)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 측과 각 배기 다공관(347)의 상단 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는 각 부상체(336)의 근접도를 검출하고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는 각 부상체(346)의 근접도를 검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센서(338, 348)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 측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338)와 각 배기 다공관(347)의 상단측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348)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즉, 근접 센서(338)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상단 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334)에 삽입되어 근접 센서(338)와 각 부상체(336) 사이의 근접 거리를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근접 센서(348)는 각 배기 다공관(347)의 상단 측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344)에 삽입되어 근접 센서(348)와 각 부상체(346)의 근접 거리를 검출한다.
제어부(5)는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는 각 부상체(336)의 근접도, 즉 근접 센서(338)에 의해 검출된 근접 거리로부터 각 급기 다공관(337)의 내부 공간에서의 각 부상체(336)의 위치를 측정하고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이동하는 각 부상체(346)의 근접도, 즉 근접 센서(348)에 의해 검출된 근접 거리로부터 각 배기 다공관(347)의 내부 공간에서의 각 부상체(346)의 위치를 측정한다.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의 밀봉 여부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의 밀봉 여부는 공조부(3)로 유입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부상체(336, 346)의 구형의 외면이 각 밀봉 패킹(335, 345)의 구멍의 둘레를 누름으로써 각 다공관(337, 347)과 덕트(331, 341)의 연결 부위가 밀봉되기 때문에 각 다공관(337, 347)의 내부 공간에서의 각 부상체(336, 346)의 위치는 각 다공관(337, 347)과 덕트(331, 341)의 연결 부위의 밀봉 여부를 오차 없이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근접 센서(338, 348)는 비접촉으로 매우 정확하게 각 부상체(336, 346)의 근접도를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검출 방식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상기된 바와 같은 검출 방식은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의 밀봉 여부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의 밀봉 여부를 매우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5)는 상기된 측정 결과가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밀봉을 나타내면 급기 팬(351)과 배기팬(35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중 어느 하나라도 밀봉되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공기 순환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중적어도 하나가 밀봉된 것으로 판정되면 각 팬(51, 52)의 과열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5)는 급기 팬(351)과 배기 팬(35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5)는 상기된 측정 결과가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모두의 개방을 나타내고 대상물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 이하이면 급기 팬(351)과 배기 팬(35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된 측정 결과가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모두의 개방을 나타내고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를 초과하고 제 2 임계 온도 이하이면 급기 팬(351)과 배기 팬(352)을 구동시킨다. 여기에서, 제 1 임계 온도란 장기간(예를 들어, 24시간) 유지될 경우에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100)를 열화시킬 수 있는 최저 온도를 말하며, 제 2 임계 온도란 단기간(예를 들어, 1시간)에 변압부(100)를 열화시킬 수 있는 최저 온도를 말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과열로 인한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변압부(100)의 열화, 고장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각 팬(51, 52)의 구동에 따른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모두의 개방을 나타내고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를 초과하고 제 2 임계 온도 이하인 경우에 급기 팬(351)과 배기 팬(352)이 구동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를 초과하고 제 2 임계 온도 이하인 경우에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에 강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변압부(100)를 급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1 임계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의 개방과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의 개방에 따라 발생되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사이의 자연 대류에 의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변압부(1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5)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밀폐 여부와 상관없이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 2임계 온도를 초과하면 냉각부(4)의 수냉기(42)를 구동시킨다.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여러 가지 원인으로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100)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 2 임계온도를 초과하면 냉각부(4)의 수냉기(42)를 구동시킨다. 한편, 제어부(5)는 상기된 측정 결과가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모두의 개방을 나타내고 대상물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 2 임계 온도를 초과하면 냉각부(4)의 수냉기(4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급기 팬(351)과 배기 팬(35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은 가장 급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는 각 급기 다공관(337)과 급기 덕트(331)의 연결 부위와 각 배기 다공관(347)과 배기 덕트(341)의 연결 부위 모두의 개방을 나타내고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를 초과하고 제 2 임계 온도 이하인 경우에 급기 팬(351)과 배기 팬(352)이 구동되고,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제 2 임계 온도를 초과하면 냉각부(4)의 수냉기(42)가 구동된다. 냉각부(4)의 수냉기(42)는 동일한 시간에 공조부(3)의 팬(35)에 비해 매우 많은 양의 전력을 소비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온도에 따라 냉각부(4)의 구동 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변압부(100)의 과열시에 변압부(100)를 급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고, 자연 대류에 의한 냉각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냉각부(4)의 수냉기(42)와 공조부(3)의 각 팬(351, 352)의 구동에 따른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따르면, 빗물의 유입량에 따라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을 환기시키거나밀폐시킴으로써 변압부(100)를 냉각시키는 공조부(3)와 매설박스(1)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변압부(100)를 냉각시키는 냉각부(4)를 채용함으로써 빗물에 의한 변압부(100)의 침수를 방지하는 방수 기능과 매우 적은 전기 에너지의 소비만으로 지하의 밀폐 공간에 위치하는 변압부(100)를 냉각시키는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열이 많이 발생되는 고압 변압기가 지하에 설치될 수 있어 지상의 도심 환경이 보다 쾌적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 전기설비의 침수나 파손 등으로 인한 화재, 감전,폭발 등이 사라지게 되어 도심 시민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나아가, 매설박스(1)의 내부 공간의 밀폐 여부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공조부(3)와 냉각부(4)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변압부(100)의 냉각에 따른 전기에너지의 소비가 보다 더 절감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함께 도 20 내지 도 23를 참조하면,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으로서, 변압기를 설계하는 단계; 설계된 상기 변압기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기 변압기를 이상여부를 검수하는 단계; 검수된 상기 변압기를 설치위치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변압기에 해당되는 대상물은 설치를 위한 작업자의 취급에 앞서, 사전에 가공유닛(100')을 통해 가공처리된다. 상기 가공유닛(100')은, 제1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10')와, 상기 제1 구동력과 다른 제2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20')와,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대상물이 이송되는 이송모듈(50')과, 상기 이송모듈(50')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대상물에 살균 처리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모듈(105')과, 상기 제1 분사모듈(105')과 대향하도록, 상기 이송모듈(50')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대상물 살균처리액을 분사하는 제2 분사모듈(20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는 상기 이송모듈(50')의 투입측에 위치된 제1 몸체부(311')와, 상기 제1 몸체부(311') 상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외관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촬영부(312')와, 상기 제1 몸체부(311') 상에서 상기 제1 촬영부(312')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 촬영부(312')의 외관 촬영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에 대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 유체토출부(313')를 포함하는, 투입측 분사모듈(310')과,상기 대상물이 투입되는 상기 이송모듈(50')의 배출측에 위치된 제2 몸체부(411')와, 서, 상기 제2 몸체부(411') 상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외관 촬영을 수행하는 제2 촬영부(412')와, 상기 제2 몸체부(411') 상에서 상기 제2 촬영부(412')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2 촬영부(412')의 외관 촬영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에 대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 유체토출부(413')를 포함하는, 배출측 분사모듈(410')과, 살균처리액이 도포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이송모듈(50')을 통해 거치되는 거치모듈(55')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거치모듈(55')은 둘레방향 회동이 일정범위 가능하다. 이를 통해 대상물의 둘레부에 대한 유체 분사가 고르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거치모듈(55')은 상기 대상물이 위치된 상태로 이송수단에 의하여 목적지로 이송되며, 상기 대상물은 서로 상이한 규격으로 다수로 상기 이송모듈(50')에 투입되며, 상기 제1 분사모듈(105')과 상기 제2 분사모듈(205')은, 서로 상이한 규격별 상기 대상물에 대응하는 대응동작을 통해 상기 살균처리액이 도포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촬영부(312')는 상기 대상물이 이송모듈(50')에 투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외관의 오염도를 촬영한다. 상기 제1 유체토출부(313')는 기 설정된 온도로 히팅된 히팅유체를 분사한다. 상기 제1 유체토출부(313')는 상기 제1 몸체부(311')에서 각각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대각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대상물을 쫓아 일정 거리까지 진퇴되며, 상기 히팅유체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유체토출부(413')는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된 냉각유체를 분사한다. 상기 제2 유체토출부(413')는 상기 제2 몸체부(411')에서 각각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대각방향으로 회동되고, 배출되는 상기 대상물을 쫓아 일정 거리까지 전진하며, 상기 냉각유체를 분사한다.
상기 제1 유체토출부(313')와 상기 제1 분사모듈(105') 사이에는 제1 차단커버(510')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히팅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유체토출부(313')와 상기 제2 분사모듈(205') 사이에는 제2 차단커버(520')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히팅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제2 유체토출부(413')와 상기 제1 분사모듈(105') 사이에는 제3 차단커버(530')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냉각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유체토출부(413')와 상기 제2 분사모듈(205') 사이에는 제4 차단커버(540')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냉각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차단커버(510')는, 제1 커버몸체(511')와, 상기 제1 커버몸체(511') 내부에 다수로 장착되고,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히팅 유체를 흡수하는 제1 흡수패드(5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차단커버(520')는 제2 커버몸체(521')와, 상기 제2 커버몸체(521') 내부에 다수로 장착되고,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히팅 유체를 흡수하는 제2 흡수패드(52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차단커버(530')는, 제3 커버몸체(531')와, 상기 제3 커버몸체(531') 내부에 다수로 장착되고,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냉각 유체를 흡수하는 제3 흡수패드(532')가 구비된다.
상기 제4 차커버(540')는, 제4 커버몸체(541')와, 상기 제4 커버몸체(541') 내부에 다수로 장착되고,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냉각 유체를 흡수하는 제4 흡수패드(54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흡수패드(512') 내지 상기 제4 흡수패드(542')는 장착과 탈거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모듈(105')은 상기 제1 흡수패드(512')에 대한 상기 히팅유체 분사를 통해, 상기 제1 흡수패드(512')가 건조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분사모듈(205')은 상기 제2 흡수패드(522')에 대한 상기 히팅유체 분사를 통해, 상기 제2 흡수패드(522')가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대상물은 제1 크기의 제1 대상물(10')과,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의 제2 대상물(20')과, 상기 제2 크기보다 큰 제3 대상물(3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모듈(50')은 상기 제1 대상물(10') 내지 상기 제3 대상물(30')이 순차적으로 연속 투입되고, 상기 제1 분사모듈(105')과 상기 제2 분사모듈(205')의 상기 대응동작은 상기 제1 분사모듈(105')이 상기 제1 대상물(10')에 대하여 제1 이격거리 이동상태에서 살균처리액을 분사하는 제1 대응동작과, 상기 제2 분사모듈(205')이 상기 제2 대상물(20')에 대하여 제2 이격거리 이동상태에서 살균처리액을 분사하는 제2 대응동작과, 상기 제3 분사모듈이 상기 제3 대상물(30')에 대하여 제3 이격거리 이동상태에서 살균처리액을 분사하는 제3 대응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이격거리 이동상태는 상기 제2 이격거리 이동상태 보다 더 이격된 거리이며, 상기 제2 이격거리 이동상태는 상기 제3 이격거리 이동상태 보다 더 이격된 거리이다. 상기 제1 분사모듈(105')은, 상기 제1 구동부(10')와 연동되고 일측에 위치되는 제1 분사몸체(110')와, 상기 제1 구동부(10')와 연동되는 타측에 위치되는 제3 분사몸체(130')와, 상기 제1 구동부(10')와 연동되고, 상기 제1 분사몸체(110')와 상기 제2 분사몸체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분사몸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분사모듈(205')은, 상기 제2 구동부(20')와 연동되고, 일측에 위치되는 제4 분사몸체(240')와, 상기 제2 구동부(20')와 연동되고, 타측에 위치되는 제6 분사몸체(260')와, 상기 제2 구동부(20')와 연동되고, 상기 제4 분사몸체(240')와 상기 제6 분사몸체(260') 사이에 위치되는 제5 분사몸체(25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분사몸체(110')는 제1 여유공간을 두고 상기 제2 분사몸체(120')와 배치되며, 상기 제2 분사몸체(120')는 제2 여유공간을 두고 상기 제3 분사몸체(130')와 배치되며, 상기 제4 분사몸체(240')는 제3 여유공간을 두고 상기 제5 분사몸체(250')와 배치되며, 상기 제5 분사몸체(250')는 제4 여유공간을 두고 상기 제6 분사몸체(260')와 배치된다.
상기 제1 구동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여유공간에 진입하는 제1 진입구조체(140')와, 상기 제1 구동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여유공간에 진입하는 제2 진입구조체(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진입구조체(140')는, 상기 제1 이격거럭 이동상태와 상기 제2 이격거리 이동상태로 위치됨에 잇어, 상기 제1 분사몸체(110')와 상기 제2 분사몸체(120')가 상호간의 충돌하는 제1 상태와, 설정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제2 상태가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진입구조체(150')는, 상기 제2 이격거럭 이동상태와 상기 제3 이격거리 이동상태로 위치됨에 잇어, 상기 제2 분사몸체(120')와 상기 제3 분사몸체(130')가 상호간의 충돌하는 제3 상태와, 설정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제4 상태가 방지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 진입구조체(150')는, 상기 제2 이격거럭 이동상태와 상기 제3 이격거리 이동상태로 위치됨에 잇어, 상기 제2 분사몸체(120')와 상기 제3 분사몸체(130')가 상호간의 충돌하는 제3 상태와, 설정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제4 상태가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진입구조체(140')와 상기 제2 진입구조체(150')는, 상기 제1 분사몸체(110') 내지 상기 제3 분사몸체(130') 상호간을 연동시켜 상기 제1 상태 내지 상기 제4 상태가 복합적을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집입구조체(140')는, 상기 제1 분사몸체(110')가 접하는 제1 하단접면체(142')와, 상기 제2 분사몸체(120')가 접하는 제1 상단접면체(141')와, 상기 제1 하단접면체(142')와 상기 제1 상단접면체(141')가 연동되는 제1 중간연동체(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중간연동체(143')는 상기 제1 하단접면체(142')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1 중간연동체(143')는 상기 제1 상단전면체(141')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제2 분사몸체(120')의 위치가 보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진입구조체(150')는 상기 제2 분사몸체(120')가 접하는 제2 하단접면체(152')와, 상기 제3 분사몸체(130')가 접하는 제2 상단접면체(151')와, 상기 제2 하단접면체(152')와 상기 제2 상단접면체(151')가 연동되는 제2 중간연동체(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중간연동체(153')는 상기 제2 하단접면체(152')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2 중간연동체(153')는 상기 제2 상단접면체(151')를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유동시켜, 상기 제3 분사몸체(130')의 위치가 보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하단접면체(142'), 상기 제2 하단접면체(152'), 상기 제1 상단전면체(141') 및 상기 제2 상단접면체(151')는 엘라스토머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단접면체(142'), 상기 제1 상단접면체(141')는 상기 제1 중간연동체(143')에서 틸트동작 혹은 진퇴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 하단접면체(152'), 상기 제2 상단접면체(151')는 상기 제2 중간연동체(153')에서 틸트동작 혹은 진퇴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상단접면체(141')와 상기 제2 하단접면체(152')는, 상기 제2 분사몸체(1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응하는 연동동작을 통해 상기 제2 분사몸체(120')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도록 동작한다.
아울러 이를 토대로하는 변압기가 설치되는 전신주의 위치조절이 자유로운 고압 배전선로 셋업방법을서, 상기 고압 배전선로 시스템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로서상기 고압 배전선로 시스템은, 전신주(1')의 양측에 고정되는 장착대(10')와, 상기 장착대(10')에 일단이지지되고 타단에 배전케이블(2', 3')이 연결되는 배전케이블 애자(20') 및, 상기 장착대(10')의 상측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단에 점프케이블(4')이 지지되는 라인포스트 애자(30')를 포함하는 대상물을 사용하여 상기 장착대(10')에 배전케이블(2', 3')과 점프케이블(4')을 절연상태로 지지하며, 상기 대상물은 설치를 위한 작업자의 취급에 앞서, 사전에 가공유닛(100')을 통해 가공처리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매설박스 2 : 덮개부
21 : 덮개 프레임 22 : 상판
23 : 덮개 홀더 24 : 기기 덮개
25 : 출입 덮개 26 : 지지대

Claims (2)

  1. 삭제
  2.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으로서, 변압기를 설계하는 단계; 설계된 상기 변압기를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기 변압기를 이상여부를 검수하는 단계; 검수된 상기 변압기를 설치위치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는 전 방향의 측면과 하면은 밀폐되고 상면은 개방된 맨홀 형태로 지하에 매설되는 매설박스; 상기 매설박스의 상면의 개방 부위를 덮어 상기 매설박스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덮개부; 상기 매설박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매설박스의 벽체를 밀봉 상태로 관통하는 입력 케이블로부터 입력된 교류의 전압을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변환시켜 상기 매설박스의 벽체를 밀봉 상태로 관통하는 출력 케이블로 출력하는 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기에 해당되는 대상물은 설치를 위한 작업자의 취급에 앞서, 사전에 가공유닛(100')을 통해 가공처리되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닛(100')은,
    제1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10')와,
    상기 제1 구동력과 다른 제2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20')와,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고, 투입된 상기 대상물이 이송되는 이송모듈(50')과,
    상기 이송모듈(50')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대상물에 살균 처리액을 분사하는 제1 분사모듈(105')과,
    상기 제1 분사모듈(105')과 대향하도록, 상기 이송모듈(50')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대상물에 살균처리액을 분사하는 제2 분사모듈(205')과,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는 상기 이송모듈(50')의 투입측에 위치된 제1 몸체부(311')와, 상기 제1 몸체부(311') 상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외관 촬영을 수행하는 제1 촬영부(312')와,
    상기 제1 몸체부(311') 상에서 상기 제1 촬영부(312')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1 촬영부(312')의 외관 촬영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에 대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1 유체토출부(313')를 포함하는 투입측 분사모듈(310')과,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는 상기 이송모듈(50')의 배출측에 위치된 제2 몸체부(411')와, 서, 상기 제2 몸체부(411') 상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외관 촬영을 수행하는 제2 촬영부(412')와,
    상기 제2 몸체부(411') 상에서 상기 제2 촬영부(412') 양측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2 촬영부(412')의 외관 촬영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물에 대한 유체를 분사하는 제2 유체토출부(413')를 포함하는 배출측 분사모듈(410')과,
    살균처리액이 도포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이송모듈(50')을 통해 거치되는 거치모듈(55')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모듈(55')은 상기 대상물이 위치된 상태로 이송수단에 의하여 목적지로 이송되며,
    상기 대상물은 서로 상이한 규격으로 다수로 상기 이송모듈(50')에 투입되며,
    상기 제1 분사모듈(105')과 상기 제2 분사모듈(205')은, 서로 상이한 규격별 상기 대상물에 대응하는 대응동작을 통해 상기 살균처리액이 도포되도록 하되,
    상기 제1 촬영부(312')는 상기 대상물이 이송모듈(50')에 투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대상물에 대한 외관의 오염도를 촬영하고,
    상기 제1 유체토출부(313')는 기 설정된 온도로 히팅된 히팅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제1 유체토출부(313')는 상기 제1 몸체부(311')에서 각각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대각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대상물을 쫓아 일정 거리까지 진퇴되며, 상기 히팅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제2 유체토출부(413')는 기 설정된 온도로 냉각된 냉각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제2 유체토출부(413')는 상기 제2 몸체부(411')에서 각각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대각방향으로 회동되고, 배출되는 상기 대상물을 쫓아 일정 거리까지 전진하며, 상기 냉각유체를 분사하고,
    상기 제1 유체토출부(313')와 상기 제1 분사모듈(105') 사이에는 제1 차단커버(510')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히팅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유체토출부(313')와 상기 제2 분사모듈(205') 사이에는 제2 차단커버(520')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히팅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 유체토출부(413')와 상기 제1 분사모듈(105') 사이에는 제3 차단커버(530')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냉각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 유체토출부(413')와 상기 제2 분사모듈(205') 사이에는 제4 차단커버(540')가 구비되어, 상기 살균 처리액과 상기 냉각 유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KR1020230029854A 2023-03-07 2023-03-07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KR10255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854A KR102553586B1 (ko) 2023-03-07 2023-03-07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9854A KR102553586B1 (ko) 2023-03-07 2023-03-07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3586B1 true KR102553586B1 (ko) 2023-07-10

Family

ID=8715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9854A KR102553586B1 (ko) 2023-03-07 2023-03-07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35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461A (ja) * 1999-10-29 2003-04-08 サントル ディノヴァシオン スュー ラ トランスポルト ダネルジー デュ ケベック 接地冷却形配電変圧器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47101B1 (ko) 2008-08-18 2010-03-10 강은진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20150040773A (ko) * 2013-10-07 2015-04-15 강은진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변압기
KR102324459B1 (ko) * 2021-03-09 2021-11-11 대우공업 (주) 초고장력강 롤포밍 가변 성형 시스템
KR20220088046A (ko) * 2020-12-18 2022-06-27 이창훈 컨베이어 벨트 방식의 플라즈마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3461A (ja) * 1999-10-29 2003-04-08 サントル ディノヴァシオン スュー ラ トランスポルト ダネルジー デュ ケベック 接地冷却形配電変圧器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47101B1 (ko) 2008-08-18 2010-03-10 강은진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20150040773A (ko) * 2013-10-07 2015-04-15 강은진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변압기
KR20220088046A (ko) * 2020-12-18 2022-06-27 이창훈 컨베이어 벨트 방식의 플라즈마 살균 장치
KR102324459B1 (ko) * 2021-03-09 2021-11-11 대우공업 (주) 초고장력강 롤포밍 가변 성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098B1 (ko)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변압기
US11561023B2 (en) Ventilation system for manhole vault
KR200443588Y1 (ko)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US8033753B2 (en) Automatic flooding protection for underground ventilation ducts
US10962253B2 (en) Systems for circulating air inside a manhole vault
KR100753688B1 (ko) 맨홀 장치
WO2016056789A1 (ko) 방수 기능을 갖는 공조 장치
KR100947101B1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EP2075886B1 (en) Underground transformer substation
KR10167396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CN108493823B (zh) 全地埋预装式智能绿色变电站
US20110030388A1 (en) Humidity control of an electrical device
KR101125007B1 (ko) 지중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에 의한 지상 지중배전 전력설비에 대한 지하 매립형 지중배전선로
KR101596813B1 (ko)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EP4068540A1 (en) Underground equipment
KR101848836B1 (ko)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
US20200395742A1 (en) System supporting variable speed drive
KR20170003322A (ko) 배전반
WO2010021480A2 (ko)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KR102553586B1 (ko)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KR102125422B1 (ko)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KR101763771B1 (ko)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WO2009133416A1 (en) Station for locating electrical equipment, with increased protection against penetration by water
WO2007052899A1 (en) Case assembly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
KR20130006906U (ko) 방습기능을 갖는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