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836B1 -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 - Google Patents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836B1
KR101848836B1 KR1020160004288A KR20160004288A KR101848836B1 KR 101848836 B1 KR101848836 B1 KR 101848836B1 KR 1020160004288 A KR1020160004288 A KR 1020160004288A KR 20160004288 A KR20160004288 A KR 20160004288A KR 101848836 B1 KR101848836 B1 KR 10184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ventilation
transformer
side wall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172A (ko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주)
제룡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주), 제룡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0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8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E05Y2900/6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고, 변압장치를 수용키 위해 상부가 개방되어 측벽부와 저면부로 둘러싸인 수납부를 구비한 맨홀 함체; 상기 맨홀 함체의 개방 상부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맨홀 덮개부; 상기 측벽부의 외면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로의 우수 유입차단 및 상기 수납부로의 외기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된 환기부; 및 상기 저면부에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형성된 변압기 안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 몸체의 소재를 달리하거나 방열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경량화로 그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전력설비가 발생시키는 고온의 열을 맨홀 외부로 방출시켜 맨홀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전력설비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UNDERGROUND MANHOLE FOR TRANSFORMERS}
본 발명은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맨홀 내부에 전력설비, 배전설비 등을 수용시키고 방열 및 습도 조절을 위한 환기수단을 구비해 도로 또는 보도 하단의 지하에 매설하는 맨홀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전력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로, 전주 등의 전력설비가 늘어남에 따라 도심 경관을 저해, 공간 활용의 제약심화 및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전력설비 등을 지하에 매설하는 지중화가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지중화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SIDT, Solid Insulation Distribution Transformers) 맨홀은 침수상태에서도 운전이 가능해 설치 장소나 장마 등 기후환경으로부터 자유로우며, 특히 지상 전력기기의 지중화에 따른 도시환경 미관개선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다만, 변압기와 배전선로를 지중화하는 경우, 지상 전력설비와는 다른 문제점을 해소되어야 하는데, 우수 및 오수로부터의 침수, 방열에 따른 온도 유지 및 안정성 확보문제이다.
맨홀은 흡기구 및 배기구가 도로나 보도의 지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일조량이 많은 여름철에는 주위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지하에 매설된 전력설비 등의 방열을 저해시키거나 사용연한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많은 비가 내릴 경우, 지상으로 노출된 맨홀의 흡기구 및 배기구로 우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배수 관련 장치의 설치 또한, 필수적이다.
이와 더불어, 관로로 드나드는 케이블이 변압기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케이블들의 배치가 복잡해지기 쉬우며, 케이블 간의 간섭과 마찰 등의 발생으로 케이블이 파손될 가능성이 커지고, 원하는 케이블을 구별하기 쉽지 않아 유지보수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지중배전설비 매설형 맨홀은 다양한 종류의 배전설비들을 지중의 한 공간에 배치함과 아울러, 열의 원활한 배출과 오수 및 우수의 용이한 제거를 가능케 하는 특허문헌이 개시되었다.(한국등록특허 제10-1454188호)
상기 특허문헌은 지상의 안전성 확보와 공간 활용을 높이기 위해, 변압장치는 물론 배전설비들을 지중에 매설하는 데 있어, 특히 다양한 종류의 배전설비들을 한 공간에 배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맨홀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공 뿐만 아니라 배전설비에서 방출되는 열을 배기공으로 유도하는 송풍기를 구비함으로써, 방열기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기술적 특징이나, 외부 에너지원에 의해 구동되므로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커지고 고장 시 부품교체를 필요로 해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불리하며, 추가 설비가 많아져 지중에 더 큰 공간 확보를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압기가 설치되는 공간부에 수위감지센서를 장착해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 또다른 기술적 특징이나, 맨홀 내부에 물이 유입될 경우 그 자체로 맨홀 내부 습도가 높아지는 등 전력설비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어 이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지중 매설형 맨홀의 상기 문제점에 착안하여 우수 및 오수로부터의 침수방지, 방열에 따른 온도 유지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별도의 에너지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침수위험 최소화 및 방열기능이 강화된 맨홀을 고안하게 되었다.
그 외에도, 맨홀 내공간으로 우수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다른 기술적 해결수단을 통해 변압기의 사용연한을 높일 수 있는 맨홀을 고안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454188호(등록공고일자: 2014.11.04)
본 발명은 이런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맨홀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몸체의 소재를 달리하거나 방열의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경량화로 그 설치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전력설비가 발생시키는 고온의 열을 맨홀 외부로 방출시켜 맨홀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 및 오수로부터의 맨홀의 침수를 막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맨홀 덮개부와 맨홀 함체의 결합력을 높이고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도 자연력에 의해 우수가 맨홀 몸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맨홀의 침수를 막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홀 내부에 변압기 및 전력 케이블의 설치는 물론, 설비에 대한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가지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맨홀 내부에 변압기를 설치할 수 있는 안착부와 변압기에서 분리되어 설치되는 케이블 고정장치 등을 마련하여 전력설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맨홀 덮개부의 개폐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맨홀 내부에 설치된 변압기 및 전력 케이블 등의 전력설비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은 지중에 매설되고, 환기창이 대향되게 마련되는 측벽 및 바닥판으로 둘러싸여 변압장치 수납실이 형성된 통체 형상의 맨홀 함체부와, 상기 맨홀 함체부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요홈에 맞물리도록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가 하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맨홀 함체부의 상부를 수밀하게 개폐시키는 맨홀 덮개부와, 상기 측벽의 외측에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일정한 용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는 통체로서, 측면에는 상기 환기창과 연접되어 환기창과 연통되는 통기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고, 벽면이 하부로 갈수록 맨홀 함체부의 측벽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그레이팅이 결합되고, 하단에 배수관이 설치되어 상기 수납실로의 우수 유입차단 및 외기 출입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환기부 및,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1단 변압기 안착부와, 제1단 변압기 안착부에 적층 결합되며 몸통 외주면에 케이블 삽입구가 형성되는 제2단 변압기 안착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고열전도의 자철광 골재를 첨가한 콘크리트 재질로 맨홀을 제작함으로써, 수납실에 설치된 전력설비, 특히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빠르게 발산시켜 맨홀 내부의 온도상승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 콘크리트보다 우수한 강도와 수밀성을 갖는 고성능 콘크리트 재질로 맨홀을 제작함으로써, 구조물의 강도가 강해져 결과적으로 벽체 두께를 줄이는 등의 경량화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 덮개부의 돌기부가 맨홀 함체의 요홈에 2열 구조로 결합되어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 덮개부의 돌기부가 맨홀 함체의 요홈에 장착되어 요철결합되므로, 장착성과 밀착성이 향상되어, 맨홀의 방수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한 가변식 통기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외부 동력에 의하는 경우보다 자연력을 이용하여 고장이 발생될 여지가 줄어들고 화재 및 폭발 가능성이 배제됨은 물론, 운용비용이 절감되며 별도의 전력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아 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한 가변식 통기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줄어들고, 이러한 사고 발생으로 의해 문제시되는 토양 및 수질오염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맨홀로 현장 설치시공이 용이하나, 무게의 경량화를 위해 제2단 변압기 안착부는 회전이 가능하게 별도 제작되어 제1단 변압기 안착부에 적층 결합시켜 사용됨으로써, 케이블 이동경로지점을 임의로 변경가능하고, 그에 대응되는 맨홀 함체의 케이블 관로에 설치하는 경우, 케이블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잔 고장 발생빈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과 일체형인 제1단 변압기 안착부와 달리, 제2단 변압기 안착부를 다단으로 분리시킴으로써, 기존의 일체형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져 고중량에 따른 설치 및 운반 상의 어려움을 크게 해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맨홀 함체의 정면도(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맨홀 덮개부의 상세도,
도 4a 내지 도 4e는 도 1의 환기부의 상세도,
도 5a 내지 도 5e는 도 1의 변압기 안착부의 상세도,
도 6은, 맨홀에 변압기가 안착된 맨홀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이, 맨홀(10)은 맨홀 함체부(100), 맨홀 덮개부(200), 환기부(300) 및 변압기 안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맨홀(10)은 환기구 및 변압기 안착부(400)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맨홀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맨홀 함체의 정면도(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맨홀 함체부(100)는 지중에 매설될 수 있고, 개방된 상부, 측벽(110) 및 바닥판(120)이 구비될 수 있다. 개방된 상부는 변압장치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110)와 바닥판(120)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바로 변압장치를 수용키 위한 수납실(130)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측벽 중 적어도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측벽(110)에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환기창(150)이 형성된다.
맨홀 함체부(100)는, 자철광 골재를 첨가한 고성능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맨홀 함체부(100)는 강도와 수밀성이 우수한 고성능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맨홀(10)은 견고하고 강해지며 물리적 내구성이 또한 높아진다. 또한, 고성능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할 경우, 일반 맨홀에 비해서 구조물의 강도는 높아져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여 무게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가져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함체부(100)는, 열전도성 높은 자철광(magnetite) 골재를 사용함으로써, 수납실(130)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전달하여 방열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일 예시로써 콘크리트 재료에 자철광 골재를 첨가시, 체적비 42%가 되었을 때 열전도는 2.5배 수준으로 증가한다.
맨홀 함체부(100)는, 고정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측벽(110)의 내측면에 고압측 분기장치 및 저압측 분기장치를 설치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시로써 고정부재(140)는 고압측 분기장치 및 저압측 분기장치를 맨홀 함체부(100)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너트 또는 볼트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맨홀 함체부(100)는, 냉각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핀은, 맨홀 함체부(100)의 연직 하중을 받는 판상의 면상부재 중 수평부분에 주름 잡혀 붙어있는 지느러미 형상일 수 있다. 냉각 핀은, 외부 공기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열전도를 높여 맨홀 함체부(100)의 냉각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냉각 핀은, 측벽(110) 내지 바닥판(12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맨홀 함체부(100)는, 환기구조를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4각 형상으로 마주보는 2면이 서로 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함체부(100)는 일 예시로서 수납실(130)에 500kVA 용량의 변압기를 설치 시 수납실(130)의 내측 사이즈는 폭 2,360mm X 깊이 1,300mm X 높이 1,600mm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맨홀 덮개부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3a에 예시된 것과 같이, 맨홀 덮개부(200)는, 맨홀 함체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고, 돌기(210a)를 포함할 수 있다. 맨홀 함체부(100)는, 요홈(210b)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210a)와 요홈(210b)은, 각각 2열로 배치되어 서로 요철결합할 수 있다. 돌기(210a)는, 맨홀 덮개부(200)의 하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요홈(210b)은, 돌기(210a)에 대응되어, 맨홀 함체부(10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돌기(210a)와 요홈(210b)은, 요철결합으로 서로 장착성과 밀착성이 향상되어, 맨홀(10)의 수밀성과 방수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맨홀 함체부(100)는, 수납실(130)로의 우수 및 오수 유입을 막기 위해 요철결합과 별개로, 맨홀 덮개부(200)의 접합면에 대응되는 상부 테두리에 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은, 폴리머 계통으로, 맨홀 함체부(10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홈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덮개부(200)는, 여러 형상의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 번째, 도 3b를 참조하면, 맨홀 덮개부(200)는, 4각의 판 형상으로, 맨홀 덮개부의 상면에 고리부가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리부는, 맨홀 함체부(100)로부터 맨홀 덮개부(200)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핸들링할 수 있는 걸쇠용 고리일 수 있다.
두 번째, 도 3c를 참조하면, 맨홀 덮개부(200)는, 일 측에 경첩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첩장치는, 맨홀 함체부(100)와 맨홀 덮개부(200)의 일 측면에 결합되어 맨홀 덮개부(200)를 일정범위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시켜, 맨홀 덮개부(200)를 개폐가능하게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세 번째, 도 3d를 참조하면, 맨홀 덮개부(200)는, 단일커버 또는 이중커버 타입으로, 프레임(220) 및 개폐커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커버(230)는 유지보수덮개로, 이중커버 타입일 경우 변압기의 수에 대응되어 분할 형성된 덮개일 수 있다. 개폐커버(230)는 프레임(220)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는 유압 또는 공압식 실린더 또는 힌지결합체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도 1의 환기부(300)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4a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함체부(100)의 환기창(150)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환기통로(340)가 형성됨으로써, 노면 상부의 지상 공간과 상기 맨홀 함체부(100)를 연통시키는 챔버와, 챔버 상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310)과, 챔버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관 및 상기 환기창과 챔버가 연통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경사 창살(324)이 형성되는 통기 프레임으로 이루어져서, 측벽(110)의 외측단에 구비되고, 수납실(130)로의 우수 및 오수 유입차단 및 수납실(130)로의 외기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환기부(300)는, 그레이팅(310), 통기 프레임(320), 배수공(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b에 예시된 것과 같이, 그레이팅(310)은, 환기부(300)의 상부로, 노면에 연통된 개방면에 결착될 수 있다. 그레이팅(310)의 강도는 정하중 20톤을 만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그레이팅(310)은, 결속부재(311) 및 완충제(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부재(311)는, 환기부(300)에 그레이팅(310)을 결착하여 고정시키며, 그레이팅(31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완충제(312)는, 폴리머 계통으로, 환기부(300)의 측면과 그레이팅(310) 사이에 삽입결합될 수 있다. 완충제(312)는, 노면에 접해 있는 그레이팅(310)에 외부 진동 및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하며, 그레이팅(310)의 유격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레이팅(310)은, 메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쉬는, 그물망처럼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 있는 원단으로, 수납실(130)로 외부 이물질이 침입되지 못하도록 그레이팅(3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메쉬는 사이즈 10~75일 수 있다.
통기 프레임(320)은, 측벽(110)와 연통된 환기부(300)의 개방면에 결착될 수 있다. 통기 프레임(320)은, 그레이팅(310)을 통하여 외기와 수납실(130) 간의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통기 프레임(320)은, 공기를 순환시켜 수납실(130)의 온도조절 역할도 가질 수 있다.
통기 프레임(320)은, 프레임 틀과 경사 창살(324)로 이루어진다.
프레임 틀은, 측벽(110)와 연통된 환기구(300)의 개방면에 대응되어 내측으로 끼움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경사 창살(324)은, 수납실(130)의 내부 중심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가 형성되게 설치된다. 경사 창살(324)은, 노면의 그레이팅(310)로부터 유입된 우수 및 오수가 수납실(130)로 유입되지 못하면서도 환기는 유지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통기 프레임(320)은, 고정식 통기 프레임(321) 또는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식 통기 프레임(321)과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는, 서로 측벽(110)와 연통된 환기부(300)의 개방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고정식 통기 프레임(321)은, 경사 창살(324)의 경사가 일정하며, 경사 창살(324)의 경사각은 환기통로(340) 방향으로 10~80도 일 수 있다.
도 4d에 예시된 것과 같이,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은, 부력을 이용하여 경사 창살(324)을 각도 조절할 수 있다.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의 경사 창살(324)은 평상시에는 고정식 통기 프레임(321)과 마찬가지로 환기통로(340) 방향으로 10~80도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많은 비가 와 노면 측에 위치한 그레이팅(310)으로부터 우수 및 오수가 유입되는 속도가 배수공(330)으로 유출되는 속도보다 빠를 경우, 환기통로(340)에 물이 차오르고, 차오른 물의 부력에 의해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의 경사 창살(324)이 회전하며 고정된 경사 창살(324)과 맞물려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이 밀폐되면서 수납실(130)로 물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시로써,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은, 홀수개의 경사 창살(324)을 구비할 수 있다. 유동 가능한 경사 창살(324)은 홀수 번째이며, 고정된 경사 창살(324)은 짝수 번째의 것일 수 있다. 유동 가능한 경사 창살(324)은 서로 끝단이 연결되어, 환기통로(340)에 물이 차올라 부력이 발생시 최하단의 유동 가능한 경사 창살(324)의 회전에 따라 나머지 유동 가능한 경사 창살(324)도 같이 고정된 경사 창살(324)과 맞물려질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력에 의한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은 우수 및 오수가 환기통로(340)로 낙하시 유입되는 우수 및 오수보다 배수공(330)으로 배출되는 양이 적어 환기통로(340)에 빗물이 차더라도 자연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수납실로 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은, 수납실(130)로 물의 유입을 차단해 맨홀(10)과 맨홀 내부에 설치된 전력설비의 사용연한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변식 통기 프레임(322)은, 외부 동력에 의하는 경우보다 고장이 발생될 여지가 줄어 화재 및 폭발 가능성이 배제됨은 물론, 운용비용이 절감되며 별도의 전력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아 설비 및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e에 예시된 것과 같이, 통기 프레임(320)은, 메쉬(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쉬(323)는, 그물망처럼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 있는 원단으로, 수납실(130)로 외부 이물질이 침입되지 못하도록 통기 프레임(320)의 일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일예시로서 메쉬(323)는 사이즈 10~75일 수 있다.
배수공(330)은, 환기부(30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배수공(330)은 환기부(3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면에 모인 우수 및 오수를 맨홀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된 구멍일 수 있다.
환기통로(340)는, 환기부(300)의 내측에 마련되어, 환기부(300)의 내부에 모인 우수 및 오수를 모을 수 있다.
배수공(330)은, 메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쉬는, 그물망처럼 구멍이 촘촘하게 뚫려 있는 원단으로, 외부 이물질이 침입되지 못하도록 배수공(33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메쉬는 사이즈 10~75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1의 변압기 안착부(400)의 상세도이다. 도 5a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변압기 안착부(400)는 바닥판(120)에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변압기 안착부(400)는, 변압기를 안착하기 위해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며, 평면면적을 고려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5b 내지 도 5e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변압기 안착부(400)는, 콘크리트 또는 내부식성 구조용 강재의 재질로,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변압기 안착부(400)는, 제1단 변압기 안착부(410)와 제2단 변압기 안착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변압기 안착부(400)는, 2단으로 이루어져, 상하분리가능하다.
제1단 변압기 안착부(410)는, 바닥판(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로써, 제1단 변압기 안착부(410)는, 맨홀 함체부(100)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단 변압기 안착부(420)는, 제1단 변압기 안착부(410)의 상면에 적층결합될 수 있다.
제2단 변압기 안착부(420)는, 케이블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삽입구는, 케이블이 안착되는 통로로써, 제2단 변압기 안착부(420)의 몸통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삽입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열린 형상의 절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b 또는 도 5c에 예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 삽입구는, 관통공일 수 있다. 관통공은, 제2단 변압기 안착부(420)의 몸통을 관통할 수 있다.
도 5d 또는 도 5e에 예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 삽입구는, 개방 홈일 수 있다. 개방 홈은, 제2단 변압기 안착부(420)의 몸통의 일 측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시로써, 몸통의 일 측은, 몸통의 상면 또는 몸통의 측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5b 또는 도 5d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2단 변압기 안착부(420)는, 케이블 간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정된 제1단 변압기 안착부(410)의 상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안착부(400)는, 환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맨홀로 현장 설치시공이 용이하나, 무게의 경량화를 위해 제2단 변압기 안착부(420)는 회전이 가능하게 별도 다단으로 제작되고 결합시켜 사용됨으로써, 케이블 이동경로지점을 임의로 변경가능하고, 그에 대응되는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맨홀 함체의 케이블 관로로 연결시 설치 및 케이블 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잔 고장 발생빈도를 줄일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압기 안착부(400)는, 맨홀과 일체형인 제1단 변압기 안착부(410)와 달리, 제2단 변압기 안착부(420)를 다단으로 분리시킴으로써, 기존의 일체형에 비해서 무게가 가벼워져 고중량에 따른 설치 및 운반 상의 어려움을 크게 해소시킬 수 있다.
케이블 관로구는, 맨홀 함체부(100)의 4면 중 2면에 대칭되게 마련되어 고압 및 저압 케이블을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다. 케이블 관로구는, 맨홀 함체부(100)의 대칭된 2면의 벽체에 형성된 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맨홀
100 : 맨홀 함체부 110 : 측벽
120 : 바닥판 130 : 수납실
140 : 고정부재 150 : 환기창
200 : 맨홀 덮개부 210a : 돌기
210b : 요홈 220 : 프레임
230 : 개폐커버 300 : 환기부
310 : 그레이팅 311 : 결속부재
312 : 완충제 320 : 통기 프레임
321 : 고정식 통기 프레임 322 : 가변식 통기 프레임
323 : 메쉬 324 : 경사 창살
330 : 배수공 340 : 환기통로
400 : 변압기 안착부 410 : 제1단 변압기 안착부
420 : 제2단 변압기 안착부

Claims (11)

  1. 지중에 매설되고, 환기창이 대향되게 마련되는 측벽 및 바닥판으로 둘러싸여 변압장치 수납실이 형성된 통체 형상의 맨홀 함체부;
    상기 맨홀 함체부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요홈에 맞물리도록 요홈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가 하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맨홀 함체부의 상부를 수밀하게 개폐시키는 맨홀 덮개부;
    상기 측벽의 외측에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일정한 용적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되는 통체로서, 측면에는 상기 환기창과 연접되어 환기창과 연통되는 통기 프레임이 형성되어, 상기 수납실과 연통되고, 벽면이 하부로 갈수록 맨홀 함체부의 측벽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그레이팅이 결합되고, 하단에 배수관이 설치되어 상기 수납실로의 우수 유입차단 및 외기 출입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환기부; 및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제1단 변압기 안착부와, 제1단 변압기 안착부에 적층 결합되며 몸통 외주면에 케이블 삽입구가 형성되는 제2단 변압기 안착부로 이루어지는 변압기 안착부로 구성되는 맨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함체부는,
    자철광 골재를 첨가한 고성능 열전도성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함체부는,
    상기 측벽의 내면에 분기장치를 설치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맨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함체부는,
    방열을 촉진하기 위하여, 상기 측벽 또는 바닥판 외측에 냉각 핀을 형성하여, 접촉면적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덮개부는,
    하나 이상의 개방 창을 가지는 프레임과, 상기 개방 창을 개폐시키는 개폐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방 창과 개폐커버는 변압기의 수에 대응되게 변압기의 상부 마다 구비되어 유지보수가 필요한 상황에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프레임에는 환기부로 유입된 우수 또는 오수가 상기 수납실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통기 프레임에 수납실의 내부를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창살을 더 포함하는, 맨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경사 창살은 환기부의 하부에서부터 차오르는 물의 부력으로 인하여 경사 각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삽입구는,
    상기 제2단 변압기 안착부의 몸통을 관통하는 관통공 또는
    상기 몸통의 일 측이 내측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개방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KR1020160004288A 2016-01-13 2016-01-13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 KR101848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288A KR101848836B1 (ko) 2016-01-13 2016-01-13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288A KR101848836B1 (ko) 2016-01-13 2016-01-13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172A KR20170085172A (ko) 2017-07-24
KR101848836B1 true KR101848836B1 (ko) 2018-05-29

Family

ID=5942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288A KR101848836B1 (ko) 2016-01-13 2016-01-13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944A (ko) 2020-12-08 2022-06-15 신성산전주식회사 지중 매설형 변압기, 개폐기 및 그의 설치 기초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155B1 (ko) * 2019-10-01 2021-04-26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중배전용 접지극부 전력기기 경량 기초대 및 그 기초대를 이용한 지중 전력 케이블 포설 시공방법
KR102271242B1 (ko) * 2019-10-18 2021-06-30 한국전력공사 반매입형 지상변압기
KR102271241B1 (ko) * 2019-10-18 2021-06-30 한국전력공사 반매입형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KR102274811B1 (ko) * 2019-10-31 2021-07-08 한국전력공사 지상기기
KR102424715B1 (ko) * 2019-12-19 2022-07-25 유치윤 작업자 안전을 위한 관로공사용 흙막이 구조물
CN112562971B (zh) * 2020-10-15 2024-05-14 广州银变电力设备有限公司 防水浸的变压器防护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459A (ja) * 1999-04-13 2000-10-24 Kubota Corp 減勢分岐管およびマンホール
KR101454188B1 (ko) * 2014-03-20 2014-11-04 실리기업 주식회사 지중배전설비 매립형 맨홀
KR101582094B1 (ko) * 2015-04-17 2016-01-04 덕산콘크리트(주) 송전용 선로덕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459A (ja) * 1999-04-13 2000-10-24 Kubota Corp 減勢分岐管およびマンホール
KR101454188B1 (ko) * 2014-03-20 2014-11-04 실리기업 주식회사 지중배전설비 매립형 맨홀
KR101582094B1 (ko) * 2015-04-17 2016-01-04 덕산콘크리트(주) 송전용 선로덕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944A (ko) 2020-12-08 2022-06-15 신성산전주식회사 지중 매설형 변압기, 개폐기 및 그의 설치 기초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172A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36B1 (ko)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
JP5943548B2 (ja) 地下換気ダクト用の自動洪水保護
CN2926320Y (zh) 地下式变电站
KR102292098B1 (ko)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변압기
US6061976A (en) Protective shelter
KR101125007B1 (ko) 지중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에 의한 지상 지중배전 전력설비에 대한 지하 매립형 지중배전선로
EP2075886B1 (en) Underground transformer substation
US10971910B2 (en) Recessed protective apparatus for outdoor electrical outlets
US20200112122A1 (en) Electrical ground box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20150029195A (ko)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CN209929087U (zh) 箱式变压器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US6513342B1 (en) Water tight air vent for telecommunications micro-cell vault
KR200378435Y1 (ko) 다단식 맨홀
FR2776431A1 (fr) Poste electriqu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ventilation
KR101643725B1 (ko) 지중 전력 설비 매립형 구조물의 시공방법
US20220170285A1 (en) Multiplex water cutoff wall
CN105514825A (zh) 一种新型箱式变电站
KR101521052B1 (ko) 파이프 조립형 우수받이
KR20120053105A (ko) 배수구조를 갖는 맨홀장치
KR100536067B1 (ko) 건축물 기초의 외단열 구조
KR102596466B1 (ko) 침수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형 배전스테이션
KR101382174B1 (ko)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KR102615380B1 (ko)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