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380B1 -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380B1
KR102615380B1 KR1020230118192A KR20230118192A KR102615380B1 KR 102615380 B1 KR102615380 B1 KR 102615380B1 KR 1020230118192 A KR1020230118192 A KR 1020230118192A KR 20230118192 A KR20230118192 A KR 20230118192A KR 102615380 B1 KR102615380 B1 KR 102615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ventilation member
buoyancy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
Priority to KR102023011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물막이장치는 제1벽체 ; 상기 제1벽체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벽체 ; 상기 제1벽체와 제2벽체 사이에 위치하는 차수벽 ; 상기 제2벽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통풍부재 ; 로 구성되고, 상기 통풍부재는 하면 일단부가 개구되고, 상면의 일측에 다수 구비되는 제1통풍구와 상기 통풍부재의 하면에 다수 구비되는 제2통풍구, 상기 개구된 부분의 하면 단부에서 퉁풍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더 높은 수위의 침수방지를 위하여 차수벽 내부에 보조차수벽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Flood prevention device using buoyancy}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건물이나 시설물의 출입구 또는 집중 호우시 물이 건물이나 시설물로 유입되는 위치에 설치하여, 집중 호우시 차수벽이 올라옴으로써 침수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마철 등에 발생하는 집중호우 시 저지대의 주택이나 건물, 시설물이 침수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에 따른 피해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모래주머니를 건물 및 시설물의 출입구나 주택 앞에 쌓아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래주머니 등은 수작업으로 일일이 쌓아야 하는 한계가 있고 물의 유입을 막기에도 역부족이다. 이에 집중호우 시 빗물의 유입을 막기 위하여 다양한 물막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가장 흔한 물막이 장치는 양쪽에 기둥을 세우고 차수벽을 세우는 물막이 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사람이 일일이 설치하고 해체해야 하는 기존의 물막이 장치는 건물 등에 사람이 없거나 기상 예측을 잘못 하는 경우 설치시기를 놓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으며, 전기장치 등을 이용하는 경우 빗물로 인한 고장 우려 등으로 자동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럽에서는 EU공개공보 WO200900139622A1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력을 이용하여 집중호우 시 자동으로 차수벽이 올라가서 물을 막아주는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장치 내부에 환기될 수 있는 통풍구 등이 없어서 비가 그친 후 내부 습기가 장시간 유지됨에 따라 곰팡이 등이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부력에 의하여 별도 동력원이 없이 작동되면서도 통풍 기능이 있는 물막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U공개공보 WO200900139622A1 SELF CLOSING FLOOD BARRIER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INTERLAND USING SAME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수벽이 올라가는 물막이 장치에 있어서 내부 환기가 되지 않아 곰팡이나 부식에 취약한 물막이 장치에 통풍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또한 차수벽이 올라가는 높이를 2단으로 함으로써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수위가 더 높은 수위까지 올라가는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대비하고자 한다.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물막이장치는 제1벽체 ; 상기 제1벽체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벽체 ; 상기 제1벽체와 제2벽체 사이에 위치하는 차수벽 ; 상기 제2벽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통풍부재 ; 로 구성되고,
상기 통풍부재는 하면 일단부가 개구되고, 상면의 일측에 다수 구비되는 제1통풍구와 상기 통풍부재의 하면에 다수 구비되는 제2통풍구, 상기 개구된 부분의 하면 단부에서 퉁풍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통풍부재는 제2벽체의 상부에서 차수벽쪽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벽체는 상기 제1통풍구와 상기 경사부를 통하여 흘러 내려온 빗물을 배수하는 다수의 배수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수벽은 하부에 부력을 받는 면적을 넓히고, 차수벽 상승시 걸림턱 역할을 하는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수벽은 내부에 보조차수벽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차수벽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빗물유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막이 장치의 내부에 통풍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내부에 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고, 기존 물막이 장치보다 침수 수위가 더 올라가는 경우에 차수벽이 더 높이 올라가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침수 수위가 더 높이 올라가는 경우에도 물막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율적인 물막이 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통풍부재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차수벽이 2단으로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통풍부재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차수벽이 2단으로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빗물이 건물 등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발명으로서 제1벽체와 제2벽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벽체와 제2벽체 사이에 차수벽이 내재하며, 상부에는 차수벽이 있는 내부에 통풍을 가능하게 해주는 통풍부재로 구성된다.
제1벽체는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차수벽의 일측면에서부터 하면까지 접하도록 구성된다. 제2벽체는 차수벽의 타측면에 위치함으로써 제1벽체와 제2벽체는 차수벽을 내재시킨다. 제2벽체의 하단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빗물유입구가 다수 구비될 수 있다.
차수벽은 차수벽 하부에 구비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벽체, 상기 벽체 상단에서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상부커버로 구성된다.
블록은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기준으로 벽체보다 폭이 넓게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은 벽체보다 넓은 폭을 가짐으로서 빗물 유입시 부력을 받는 면적이 넓어 차수벽의 작동에 유리하고 차수벽이 올라갔을 때 후술하는 통풍부재의 하단에 걸려 차수벽이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제어해 주는 걸림턱 역할을 한다.
벽체는 블록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벽체는 집중호우 등으로 빗물이 유입될 때 부력에 의하여 차수벽이 올라가면 물막이 장치의 외부로 올라와서 빗물이 건물 등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직접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부커버는 벽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판으로서 상부커버의 측면 폭이 벽체의 측면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차수벽이 작동하지 않을 때 불순물이나 빗물이 내부로 들어오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차수벽은 도4에서와 같이 내부에 보조차수벽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보조차수벽을 추가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차수벽 내부에 보조차수벽이 위치하며, 차수벽의 바닥면은 보조차수벽 하단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위치에 빗물유입홀을 구비한다. 따라서 차수벽이 부력에 의하여 올라간 상태에서 빗물이 차수벽 내부로 더 유입되면 부력에 의하여 보조차수벽이 올라감으로써 침수 수위가 더 올라갈 경우 더 높은 수위까지 빗물이 건물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통풍부재는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각의 관 형상으로 구성되되 관의 아래쪽 일단부가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의 하면 단부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가 구비된다. 통풍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상부의 통풍부재와 하부의 빗물유입구와 더불어 통풍 기능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통풍부재의 상면에는 제1통풍구가 다수 구비되며, 하면에는 제2통풍구가 구비된다. 제1통풍구는 통풍부재 상면의 일정 위치에 구비되되, 경사부의 수평선상 안에 위치해야 한다.
제2통풍구는 통풍부재의 하면에 다수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제1통풍부재의 대각선 아래 방향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제1통풍구와 제2통풍구는 하단의 빗물유입구와 상하로 통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발명 내부에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가 올 때는 제1통풍부재를 통과한 빗물은 경사부를 타고 제2벽체의 배수홀을 타고 흘러내림으로써 차수벽으로 빗물이 직접 흘러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은 침수되지 않을 정도의 적은 강우량일 때 배누가 젖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통풍부재는 일부가 차수벽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제2벽체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통풍부재는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측면은 차수벽의 상부 및 차수벽의 상부커버에 접하고, 하단의 차수벽쪽으로 돌출된 부분은 차수벽이 올라왔을 때 블록이 걸려서 더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 역할을 한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평상시에 도3의 (a)와 같이 차수벽이 내려와서 외부에서는 차수벽이 보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며, 통풍부재의 제1통풍구와 제2통풍구 및 빗물유입구로 상하 공기가 순환되면서 내부는 건조된 상태로 유지된다.
집중호우 등으로 빗물이 빗물유입구로 유입되면 도3의 (b)와 같이 차수벽이 부력에 의하여 올라가기 시작하며, 끝까지 올라가면 ⒞에서와 같이 차수벽의 지지블록이 통풍부재의 하단에 걸려 더 이상 올라가지 않게 된다. 상부로 올라간 차수벽은 넘치는 빗물이 건물 등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막아준다.
제1통풍구로 유입되는 빗물은 통풍부재의 경사부를 타고 흘러 배수홀을 통하여 흘러내려간다. 비가 그치고 물이 빠지면 차수벽은 서서히 내려가지 시작하여 도3의 (a) 상태로 되돌아 간다.
한편, 도4에서와 같이 제2차수벽을 구비하는 경우 빗물이 유입되면 차수벽이 부력에 의하여 올라가며, 차수벽이 끝까지 올라간 이후에도 계속 빗물이 유입되면 그 빗물은 빗물유입홀을 통하여 차수벽 내부로 들어가기 시작한다. 이 때 보조차수벽은 차수벽 내부로 들어온 물의 부력에 의하여 올라가기 시작하여 더 높은 수위까지 빗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비가 그치면 물이 빠지기 시작하면서 제1차수벽은 서서히 아래로 내려오고, 완전히 내려온 상태에서 통풍부재 및 빗물유입구에 의하여 환기가 되므로 습기에 의하여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일이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0 제1벽체 120 제2벽체 121 배수홀
130 빗물유입구 210 블록 220 벽체
230 상부커버 240 빗물유입홀 250 보조차수벽
300 통풍부재 310 제1통풍구 320 제2통풍구
330 경사부

Claims (5)

  1. 제1벽체 ;
    상기 제1벽체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벽체 ;
    상기 제1벽체와 제2벽체 사이에 위치하는 차수벽 ;
    상기 제2벽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통풍부재 ; 로 구성되고,
    상기 통풍부재는 단면이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면의 일측에 다수 구비되는 제1통풍구, 상기 통풍부재의 하면에 다수 구비되는 제2통풍구, 상기 개구된 부분의 하면 단부에서 퉁풍부재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통풍구는 경사부의 수직선상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2통풍구는 상기 제1통풍구와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제2벽체는 상기 제1통풍구와 상기 경사부를 통하여 흘러 내려온 빗물을 배수하는 다수의 배수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차수벽은 하부에 부력을 받는 면적을 넓히고, 차수벽 상승시 걸림턱 역할을 하는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차수벽은 내부에 보조차수벽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차수벽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빗물유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KR1020230118192A 2023-09-06 2023-09-06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KR102615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192A KR102615380B1 (ko) 2023-09-06 2023-09-06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8192A KR102615380B1 (ko) 2023-09-06 2023-09-06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380B1 true KR102615380B1 (ko) 2023-12-19

Family

ID=8938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8192A KR102615380B1 (ko) 2023-09-06 2023-09-06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3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722A (ko) * 2010-10-08 2012-04-18 히데키 후지타 차수 장치
KR20130064841A (ko) * 2011-12-09 2013-06-19 김동현 재난대비용 물 저지 펜스
KR200479998Y1 (ko) * 2014-09-23 2016-03-30 대구도시철도공사 트렌치 커버
KR101699947B1 (ko) * 2016-04-25 2017-01-25 박범식 지붕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722A (ko) * 2010-10-08 2012-04-18 히데키 후지타 차수 장치
KR20130064841A (ko) * 2011-12-09 2013-06-19 김동현 재난대비용 물 저지 펜스
KR200479998Y1 (ko) * 2014-09-23 2016-03-30 대구도시철도공사 트렌치 커버
KR101699947B1 (ko) * 2016-04-25 2017-01-25 박범식 지붕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공개공보 WO200900139622A1 SELF CLOSING FLOOD BARRIER AND METHOD FOR PROTECTING A HINTERLAND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101B1 (ko) 지하철 환기구의 침수방지장치
US6623209B1 (en) Automatic flood gate
EP2257691B1 (en) Automatic flooding protection for underground ventilation ducts
KR10167396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US6631588B1 (en) Clog-free roof drain cover
JP5235339B2 (ja) 換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家屋の換気構造
JP4727756B1 (ja) 床下浸水防止構造
US20030082008A1 (en) Flood gate for door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JP3532462B2 (ja) 浮力式床面止水装置
US20110268506A1 (en) Flood defens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2011202472A (ja) 道路側溝用集水桝およびそれを備えた雨水流出抑制施設
KR102047325B1 (ko) 부력을 이용한 방수문 가동구조
KR102615380B1 (ko)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ES2671328T3 (es) Umbral con dispositivo adicional para reducir el efecto barrera
KR100676369B1 (ko)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KR20210104328A (ko)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JP3717454B2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JP7324719B2 (ja) 送気ダクトの流入水排水構造
KR200490589Y1 (ko) 빗물받이
KR101497070B1 (ko) 도시 홍수 저감을 위한 옥상 빗물 저류 침투 시스템
JP3730896B2 (ja) 建物
KR100919284B1 (ko) 창틀배수장치를 이용한 창틀시공방법
KR101183561B1 (ko) 루프 환기 제어시스템
JP2004360430A (ja) 浮力による水防板の注水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