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589Y1 -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589Y1
KR200490589Y1 KR2020180003283U KR20180003283U KR200490589Y1 KR 200490589 Y1 KR200490589 Y1 KR 200490589Y1 KR 2020180003283 U KR2020180003283 U KR 2020180003283U KR 20180003283 U KR20180003283 U KR 20180003283U KR 200490589 Y1 KR200490589 Y1 KR 200490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mp
reinforcing member
rain gutter
colle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영
Original Assignee
오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영 filed Critical 오창영
Priority to KR2020180003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5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snow, ice or debris from gutters or for preventing accumul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는 빗물받이는 건축물 처마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빗물받이집수조와, 상기 빗물받이집수조에 결합되어 빗물받이집수조에 집수된 빗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배수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빗물받이집수조에 삽입된 덮개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망부에는 복수의 덮개망통공이 관통 형성된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받이{A Rainwater Gutter}
본 고안은 각종 건축물의 처마에 설치되어 지붕이나 옥상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한곳으로 모아 배수관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빗물받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홈통에 있어서, 낙엽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 등이 배수구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등 각종 건축물의 처마밑에는 지붕이나 옥상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한곳으로 모아 배수관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빗물받이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빗물받이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빗물받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처마밑 끝단에 다수의 지지대(14)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조(12)와, 상기 집수조(12)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16)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배수관(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축물의 지붕으로 낙하된 빗물은 상기 집수조(12)로 모이고, 집수조(12)로 모인 빗물은 배수구(16)를 통해 배수관(18)을 배출된다.
상기 빗물받이는 집수조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낙엽과 같은 이물질이 집수조에 다량의 쌓이곤 하였다. 상기 빗물받이 집수조에 각종 이물질을 적재된 상태에서 비나 눈이 오게 되면, 빗물과 이물질이 동시에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며, 배수구 및 배수관이 이물질에 의해 막혀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빗물받이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빗물받이 집수조에 덮개망(20)을 덮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빗물받이 홈통(10)의 집수조(12) 상부길이와 동일 길이로 절단한 덮개망(20)을 빗물받이 홈통(10)의 집수조(12) 상단에 얹고, 상기 덮개망(20)의 간극 사이를 통하여 상기 집수조(12)를 건축물의 처마밑과 고정설치시키는 지지대(14)에 바인드 끈(30) 등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묶어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덮개망(20)을 집수조(12)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도 2에 도시한 빗물받이는 이물질이 집수조(12)로 내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덮개망(20)의 설치가 번거롭고, 덮개망(20)의 가장자리와 집수조(12) 상단 사이에 틈새가 생길 수 있고 이 틈새를 통하여 이물질이 집수조(12) 내로 모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20-033988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덮개망의 설치가 간단하고, 이물질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고안은 건축물 처마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빗물받이집수조와, 상기 빗물받이집수조에 결합되어 빗물받이집수조에 집수된 빗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배수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빗물받이집수조에 삽입된 덮개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망부에는 복수의 덮개망통공이 관통 형성된 빗물받이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빗물받이집수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를 가지는 판상의 집수조내측판과, 상기 집수조내측판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집수조내측판과 마주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를 가지는 집수조외측판과, 폭 방향 양단이 집수조내측판과 집수조외측판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공이 형성된 판상의 집수조하판과, 상기 집수조내측판으로부터 내향 연장되어 건축물 처마에 결합되는 판상의 집수조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부는 상기 배수공의 하부로 집수조하판에 연결된 배수관을 가지며; 상기 덮개망부는 집수조하판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하는 판상의 덮개망상면부와, 상기 덮개망상면부의 폭 방향 양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 집수조내측판 및 집수조외측판과 마주하며 하단이 집수조하판에 접하는 덮개망측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집수조플랜지의 상부에 위치하여 집수조플랜지와 함께 건축물 처마에 결합되는 판상의 보강부재상판과, 보강부재상판의 폭 방향 외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내향 이격된 위치에서 보강부재상판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판상의 보강부재측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부재측판은 하향 연장되어 집수조내측판과 덮개망측면부 사이로 삽입되고, 보강부재측판으로부터 폭 방향 외향 연장된 보강부재연장부는 덮개망상면부의 상부로 연장되어 위치하며 덮개망상면부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는 빗물받이는 덮개망의 설치가 간단하고, 낙엽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 등이 배수구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빗물이 덮개망으로 떨어질 때 덮개망에 빗물이 부딪혀 빗물받이 외측으로 빗물이 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빗물받이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다른 기술에 의한 빗물받이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빗물받이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빗물받이에 구비되는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빗물받이에 구비되는 덮개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르는 빗물받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르는 빗물받이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빗물받이에 구비되는 일부 구성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빗물받이에 구비되는 덮개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A"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B" 방향을 폭 방향으로, "C"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명하며, 폭 방향으로 건물을 향하는 쪽을 내측으로 반대쪽을 외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는 빗물받이(100)는 건축물 처마에 설치된다. 상기 빗물받이(100)는 빗물받이집수조(110)와, 배수관부(140)와, 덮개망부(120)와, 보강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는 집수조하판(113)과, 집수조내측판(111)과, 집수조외측판(115)과, 집수조플랜지(112)와, 덮개판부(도시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수조하판(11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하판(11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배수공(1131)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1131)이 복수로 형성된 경우, 복수의 배수공(1131)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 집수조내측판(1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내측판(111)은 상기 집수조하판(113)의 폭 방향 내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내측판(111)은 상기 집수조하판(113)의 폭 방향 내측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외측판(115)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외측판(115)은 상기 집수조하판(113)의 폭 방향 외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외측판(115)은 상기 집수조하판(113)의 폭 방향 외측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외측판(115)은 상기 집수조내측판(111)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집수조내측판(111)과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플랜지(112)는 상기 집수조내측판(111)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플랜지(112)는 상기 집수조내측판(111)의 상단으로부터 폭 방향 내향 연장되며 길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플랜지(112)는 폭 방향 내향 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는 상기 집수조플랜지(112)가 건축물 지붕 단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건축물 지붕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플랜지(112)의 상부로 예를 들면 기와가 적층된다.
상기 집수조외측판(115)의 상단에는 집수조절곡판부(117)와, 집수조연장판부(119)와, 집수조걸림판부(1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조절곡판부(117)는 판상이며, 상기 집수조외측판(115)의 상단에서 폭 방향 외향 절곡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연장판부(119)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다. 상기 집수조연장판부(119)는 상기 집수조절곡판부(117)의 폭 방향 외측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걸림판부(114)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다. 상기 집수조걸림판부(114)는 상기 집수조연장판부(119)에서 절곡되어 폭 방향 내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걸림판부(114)는 상기 집수조절곡판부(117)와 마주하며 집수조절곡판부(117)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덮개판부는 빗물받이집수조(110)의 길이 방향 양단에 길이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덮개판부는 하단이 상기 집수조하판(113)에 결합되고, 폭 방향 양측이 집수조내측판(111)과 집수조외측판(115)에 각각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덮개판부는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집수조연장판부(119)를 덮는 높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에서 빗물은 집수조하판(113)의 상부 및 집수조내측판(111)과 집수조외측판(115) 사이로 집수된다.
상기 배수관부(140)는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배수관부(140)는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에 집수된 빗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상기 배수관부(140)는 배관결합부(141)와 배수관(1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관결합부(141)는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의 폭 방향 외측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배관결합부(141)는 상기 배수공(1131)이 형성된 위치에서 빗물받이집수조(110)의 폭 방향 외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결합부(141)는 상기 집수조외측판(115)의 폭 방향 외측과, 집수조연장판부(119)의 폭 방향 외측과, 집수조걸림판부(114)의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배관결합부(141)에는 집수조걸림판부(114)의 상부를 지나 단부가 집수조걸림판부(114)의 폭 방향 내측 단부에 걸리도록 걸림부(141a)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41a)는 단부가 하향 연장되고 폭 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배관결합부(141)는 상기 걸림부(141a)가 집수조걸림판부(114)에 걸리며 고정 구비된다.
상기 배수관(143)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배수관(143)은 일측이 상기 배관결합부(141)에 연결되며 상단이 상기 배수공(1131)의 하부로 집수조하판(113)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배수관(143)은 상단에 측방으로 연장된 플랜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플랜지가 나사못과 같은 수단으로 집수조하판(11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망부(120)는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덮개망부(120)는 상기 집수조내측판(111)과 집수조외측판(115) 사이에서 집수조하판(113) 상부로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망부(120)는 단면이 "┏┓"자 형태로 형성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덮개망부(120)는 덮개망상면부(121)와 덮개망측면부(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망상면부(1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덮개망상면부(121)는 상기 집수조하판(113)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덮개망상면부(12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덮개망통공(1211)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망상면부(12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망상면부(121)는 중심부가 낮은 만곡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덮개망상면부(121)가 중심부가 낮은 만곡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덮개망상면부(121)에 쌓이는 이물이 폭 방향 양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폭 방향 양측의 틈새 사이로 들어가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덮개망상면부(121)의 높이는 집수조절곡판부(117)와 나란하거나 집수조절곡판부(117)보다 낮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망상면부(121)의 높이는 집수조절곡판부(117)와 나란하거나 집수조절곡판부(117)보다 낮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덮개망부상면부(121)에 쌓인 낙엽과 같은 이물이 바람에 의하여 덮개망상면부(12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덮개망측면부(123)는 판상이며, 상기 덮개망상면부(121)의 폭 방향 양단에서 하향 절곡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덮개망측면부(123)에는 폭 방향으로 관통된 측면부통공(1231)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망상면부(121)의 폭 방향 양단에 구비된 덮개망측면부(123)는 각각 집수조내측판(111) 및 집수조외측판(115)과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덮개망측면부(123)는 하단이 상기 집수조하판(113)에 접하여 구비된다.
폭 방향 양측의 상기 덮개망측면부(123)는 각각 집수조내측판(111)과 집수조외측판(115)에 접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집수조내측판(111)과 집수조외측판(115)으로부터 틈새를 가지고 이격될 수도 있다. 틈새는 1㎜보다 작게 하며, 더 크더라도 2㎜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틈새를 2㎜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낙엽 등의 이물이 틈새로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덮개망부(120)는 집수조하판(113)의 상부에서 상기 집수조외측판(115)과 집수조내측판(111) 사이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집수조하판(113)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덮개망부(120)는 빗물받이집수조(11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서 집수조하판(113) 상부이며 집수조외측판(115)과 집수조내측판(111) 사이로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삽입되고, 덮개망부(120)가 삽입된 후 덮개판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덮개망부(120)가 구비됨으로써 낙엽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 등이 배수공(1131)으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재(130)는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130)는 빗물이 덮개망부(120)의 상부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며,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로부터 덮개망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부재(130)는 보강부재상판(131)과, 보강부재측판(133)과, 보강부재연장부(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부재상판(131)은 판상이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보강부재상판(131)은 폭 방향 내향 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상판(131)은 상기 집수조플랜지(112)와 마주하여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상판(131)은 상기 집수조플랜지(1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집수조플랜지(112)와 함께 건축물 처마에 결합된다.
상기 보강부재측판(133)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측판(133)은 상기 보강부재상판(131)의 폭 방향 외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측판(133)은 상기 보강부재상판(131)의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측판(133)은 하향 연장되어 집수조내측판(111)과 덮개망측면부(123)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보강부재연장부(13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연장부(135)는 상기 보강부재측판(133)으로부터 폭 방향 외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재연장부(135)는 상기 보강부재상판(131)의 폭 방향 외측 단부에서 폭 방향 외향 연장되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재연장부(135)는 상기 덮개망상면부(121)의 상부로 연장되어 위치하며 폭 방향 외측 단부가 덮개망상면부(121)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빗물받이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빗물받이
110: 빗물받이집수조 120: 덮개망부
130: 설치부재 140: 배수관부

Claims (3)

  1. 건축물 처마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배수공(113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빗물받이집수조(110)와,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에 결합되어 빗물받이집수조(110)에 집수된 빗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배수관부(140)로 이루어지고, 보강부재(130)와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에 삽입된 덮개망부(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망부(120)에는 복수의 덮개망통공(121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빗물받이집수조(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를 가지는 판상의 집수조내측판(111)과, 상기 집수조내측판(111)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집수조내측판(111)과 마주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를 가지는 집수조외측판(115)과, 폭 방향 양단이 집수조내측판(111)과 집수조외측판(115)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공(1131)이 형성된 판상의 집수조하판(113)과, 상기 집수조내측판(111)으로부터 내향 연장되어 건축물 처마에 결합되는 판상의 집수조플랜지(112)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부(140)는 상기 배수공(1131)의 하부로 집수조하판(113)에 연결된 배수관(143)을 가지며;
    상기 덮개망부(120)는 집수조하판(113)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하는 판상의 덮개망상면부(121)와, 상기 덮개망상면부(121)의 폭 방향 양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각각 집수조내측판(111) 및 집수조외측판(115)과 마주하며 하단이 집수조하판(113)에 접하는 덮개망측면부(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부재(130)는 집수조플랜지(112)의 상부에 위치하여 집수조플랜지(112)와 함께 건축물 ㅂ처마에 결합되는 판상의 보강부재상판(131)과, 보강부재상판(131)의 폭 방향 외측 단부에서 폭 방향으로 내향 이격된 위치에서 보강부재상판(131)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판상의 보강부재측판(1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부재측판(133)은 하향 연장되어 집수조내측판(111)과 덮개망측면부(123) 사이로 삽입되고, 보강부재측판(133)으로부터 폭 방향 외향 연장된 보강부재연장부(135)는 덮개망상면부(121)의 상부로 연장되어 위치하며 덮개망상면부(121)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망상면부(121)는 중심부가 낮은 만곡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3. 삭제
KR2020180003283U 2018-07-17 2018-07-17 빗물받이 KR200490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83U KR200490589Y1 (ko) 2018-07-17 2018-07-17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83U KR200490589Y1 (ko) 2018-07-17 2018-07-17 빗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589Y1 true KR200490589Y1 (ko) 2019-12-04

Family

ID=6883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283U KR200490589Y1 (ko) 2018-07-17 2018-07-17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5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329B1 (ko) * 2021-08-30 2022-09-16 양승현 빗물받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65A (ja) * 1992-10-07 1994-04-26 Minamikiyuushiyuu Fujitakenzou Kogyo Kk 雨水用樋
KR200339883Y1 (ko) 2003-10-14 2004-01-28 김상용 이물질 분리용 빗물받이 홈통의 덮개망
KR101506294B1 (ko) * 2014-06-10 2015-03-27 이재성 처마 빗물받이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7065A (ja) * 1992-10-07 1994-04-26 Minamikiyuushiyuu Fujitakenzou Kogyo Kk 雨水用樋
KR200339883Y1 (ko) 2003-10-14 2004-01-28 김상용 이물질 분리용 빗물받이 홈통의 덮개망
KR101506294B1 (ko) * 2014-06-10 2015-03-27 이재성 처마 빗물받이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329B1 (ko) * 2021-08-30 2022-09-16 양승현 빗물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4288B1 (en) Gutter filtering device
US6134843A (en) Gutter shield
US6944991B2 (en) Rain gutter cover
US4615153A (en) Leader filter
US7208081B2 (en) Gutter foam filter
KR101144709B1 (ko)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US5799445A (en) Roof gutter overflow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6223474B1 (en) Gutter drainer assembly
KR200490589Y1 (ko) 빗물받이
JP6910797B2 (ja) 軒先排水構造
JP2015021267A (ja) 建築物の排水構造
US6035580A (en) Self-priming drain guard siphon
US7836637B2 (en) Valley diverter for a gutter cover
JPH09279782A (ja) 湾曲網目体を有する雨樋
KR200339883Y1 (ko) 이물질 분리용 빗물받이 홈통의 덮개망
JP4455016B2 (ja) 雨樋
JP3017355U (ja) 雨 樋
JP5655120B1 (ja) 排水構造
KR200297678Y1 (ko) 산악지역 도로 구간내 배수구 이물질 유입방지 구조물
JP5092689B2 (ja) 屋根排水装置
JP3076322U (ja) 軒樋用カバ−
JPS5829210Y2 (ja) 軒樋
JP2002188252A (ja) 雨 樋
JP2601830Y2 (ja) 架空送電用中空鋼管製鉄塔の主柱材における水抜き孔防虫金具
AU734969B2 (en) Roof gutter system for excluding debr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