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329B1 - 빗물받이 - Google Patents

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329B1
KR102444329B1 KR1020210114375A KR20210114375A KR102444329B1 KR 102444329 B1 KR102444329 B1 KR 102444329B1 KR 1020210114375 A KR1020210114375 A KR 1020210114375A KR 20210114375 A KR20210114375 A KR 20210114375A KR 102444329 B1 KR102444329 B1 KR 10244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eaves
collecting tank
suppor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현
Original Assignee
양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현 filed Critical 양승현
Priority to KR102021011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 E04D13/068Means for fastening gutter parts together
    • E04D13/0685Means for fastening gutter parts together in combination with hang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76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snow, ice or debris from gutters or for preventing accumulation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처마에 설치되어 지붕이나 옥상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한곳으로 모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는 빗물받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조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여 처마의 위치에 관계 없이 낙수되는 빗물을 모두 받아낼 수 있고, 집수조와 배수구와 배수관이 긴밀히 밀착되어서 배수되는 빗물이 누수되어 배수관의 외면을 타고 흐르지 않는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는 건축물의 처마를 따라 그 밑에 배치되어서 빗물이 담기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에 상하로 연결되어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 처마 아래의 구조물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를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하고, 상기 집수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빗물받이{Rainwater receiver}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처마에 설치되어 지붕이나 옥상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한곳으로 모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시키는 빗물받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집수조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여 처마의 위치에 관계 없이 낙수되는 빗물을 모두 받아낼 수 있고, 집수조와 배수구와 배수관이 긴밀히 밀착되어서 배수되는 빗물이 누수되어 배수관의 외면을 타고 흐르지 않는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이나 아파트 등 각종 건축물의 처마밑에는 지붕이나 옥상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한곳으로 모아 배수관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빗물받이가 설치된다
등록실용 20-0490589 "빗물받이", 공개실용 20-2020-0002118 "낙엽 유입방지부재를 구비한 지붕 처마용 함석 빗물받이 어셈블리" 등에서 보듯이, 빗물받이는 처마를 따라 그 밑에 배치되어 빗물이 담기는 집수조, 집수조에 담긴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기술은 집수조를 직접 처마 밑의 기둥과 같은 구조물에 직접 설치하거나, 구조물에 브라켓을 이용해 설치한다. 즉, 종래기술은 집수조와 처마 밑 구조물 간의 간격이 조절되지 않는 구조로서, 처마와 구조물 간의 간격이 멀면 별도로 프레임 등의 기구물을 준비해서 설치해야 한다. 그래서 자재비용과 설치비용의 증가, 설치 시간과 인력의 증가가 발생된다.
빗물받이의 집수조와 배수관은 조립결합되는데, 종래기술은 이들의 결합틈새를 통해 빗물이 누수되고, 누수된 빗물이 배수관의 외면을 타고 흘러 배수관과 주변을 더럽힌다.
그래서 집수조와 배수관의 결합틈새를 밀폐하여 빗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지지파이프와 지지프레임을 통해 집수조가 구조물에서 설치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집수조와 배수관의 결합틈새를 긴밀히 밀폐하여 빗물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고, 설치와 해체가 간편신속한 빗물받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는
건축물의 처마를 따라 그 밑에 배치되어서 빗물이 담기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에 상하로 연결되어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
처마 아래의 구조물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를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하고, 상기 집수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집수조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서 빗물은 통과시키고 낙옆은 차단하는 차단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어 체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며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삽입관통된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조여 고정시키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집수조의 하부에는 단부에 하부플랜지가 형성된 배수구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구의 하부플랜지와 결합되는 상부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 사이에는 방수패드가 개재되되,
상기 방수패드의 표면에는 물기의 침투를 반복하여 차단하는 구획돌기들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구획돌기들 각각에는 물기를 흡수하여 팽창하는 팽창심이 내장되고,
상기 구획돌기들의 외측으로는 침투되는 물기를 상기 팽창심으로 유도하는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는 지지프레임이 지지파이프를 따라 이동 및 고정하여 구조물과 집수조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처마의 돌출길이에 맞게 집수조의 위치를 지지파이프의 조임볼트를 통해 부착부재에 간편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고, 집수조도 지지프레임의 고정볼트를 통해 간편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 가능하여 빗물받이의 설치와 유지보수가 효율적이고, 집수조와 배수관의 결합틈새는 방수패드를 통해 긴밀하게 밀폐되어 빗물의 누수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제푸므ㅇ로서, 산어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빗물받이가 처마 밑에 설치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1에 도시도니 빗물받이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방수성이 강화된 방수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는 집수조(10), 배수관(20), 차단망(30), 지지파이프(40), 지지프레임(50), 부착부재(70)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집수조(10)는 건축물의 처마(1)를 따라 그 밑에 배치되어서 처마(1)에서 낙수되는 빗물이 담긴다.
상기 집수조(10)는 상부가 개방된 단면이 'ㄷ'자 모양이나 반원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바닥에는 담긴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11)가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배수구(11)의 하단에는 배수관(20)과 결합되는 하부플랜지(13)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관(20)은 상기 집수조(10)의 배수구(11)와 연결되어서, 집수조(10)에 담기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수관(20)의 상부에는 상기 집수조(10) 배수구(11)의 하부플랜지(13)와 결합되는 상부플랜지(23)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플랜지(13)와 상부플랜지(23)는 볼트나 클램프 등의 통해 결합된다.
상기 하부플랜지(13)와 상부플랜지(23) 사이에는 방수패드(60)가 개재되어서 이들의 틈새를 밀폐시킨다.
상기 방수패드(60)는 빗물과 접촉될수록 틈새를 보다 긴밀하게 밀폐시키는 구조를 갖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차단망(30)은 상기 집수조(10)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서, 낙엽처럼 부피가 큰 이물질이 집수조(10)에 담기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차단망(30)은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서 상부면에는 빗물은 통과시키면서 부피가 큰 물질은 통과시키지 않는 구멍(31)들이 형성되고, 양측의 다리는 상기 집수조(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집수조(10) 바닥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파이프(40)는 건축물의 처마(1) 아래에 있는 구조물(3)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상기 집수조(10)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파이프(40)를 따라 이동 및 고정되어서, 상기 집수조(10)의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지지프레임(50)은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상기 집수조(10)를 수용하여 받치는 받침대(51)와, 상기 받침대(51)의 양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파이프(40)과 통과하는 홀더(53)와, 상기 홀더(53)에 스크류결합되어서 홀더(53)를 통과하는 상기 지지파이프(40)를 조여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부재(70)는 건축물의 처마(1) 아래의 구조물(3)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파이프(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착부재(70)는 브라켓(71), 지지패널(72) 및 조임볼트(79)로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71)은 상기 구조물(3)에 고정되어 체결된다. 상기 건축물의 구조물(3)에는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서, 상기 구조물(3)의 체결공에 볼트로 고정체결되는 상기 브라켓(71)은 일정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72)은 상기 브라켓(71)에 마주보는 두 수직부(73)와, 두 수직부(73)를 연결하는 수평부(75)를 포함하여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수직부(73) 중 하나는 연결부(76)를 통해 상기 브라켓(71)에 연결된다. 상기 두 수직부(73)에는 상기 지지파이프(40)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관통공(74)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76)는 상기 브라켓(71)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조임볼트(79)는 상기 수평부(75)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지지패널(72)을 관통하는 상기 지지파이프(40)를 조여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도3을 참조하여 방수패드(60)의 방수강화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방수패드(60)에는 상기 집수조(10)의 하부플랜지(13)와 상기 배수관(20)의 상부플랜지(23)와의 밀착력을 높이며, 반복적으로 물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구획돌기(61)들이 양측 표면에 돌출형성된다.
상기 구획돌기(61)들 각각에는 팽창심(63)이 내장된다. 상기 팽창심(63)은 물기를 흡수하면 팽창하고, 흡수된 물기가 증발하면 수축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팽창심(63)으로는 압축 스펀지, 팽창유리, 하이드로겔 젤 등이 사용도리 수 있다.
상기 구획돌기(61)들의 외측으로는 침투되는 물기를 상기 팽창심(63)으로 유도하는 유도홈(62)이 형성된다.
이처럼, 복수의 구획돌기(61), 팽창심(63) 및 유도홈(62)이 구비된 상기 방수패드(60)는 배수되는 빗물이 하부플랜지(13)와 상부플랜지(23)의 결합틈새로 침투를 시도되는 경우에, 빗물은 최내측에 배치된 구획돌기(61)의 유도홈(62)으로 유입되어 팽창심(63)과 접촉되어 팽창심(63)을 팽창시키고, 팽창심(63)의 팽창에 따라 구획돌기(61)도 팽창되어 하부플랜지(13)와 상부플랜지(23)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하고, 최내측의 구획돌기(61)를 침투하여 내측 두 번째 구획돌기(61)에 도달된 물기는 이 구획돌기(61)의 유도홈(62)으로 유입되어 팽창심(63)과 해당 구획돌기(61)를 팽창시켜 하부플랜지(13)와 상부플랜지(23)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다. 이러한 팽창과 밀착 과정이 반복되서 종국에는 빗물은 방수패드(60)를 벗어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장기간 경과하여 방수패드(60)의 수밀성이 약해지더라도 팽창심(63)의 팽창으로 방수패드(60)의 구획돌기(61)가 강제로 하부플랜지(13)와 상부플랜지(23)에 밀착되도록 하여서 강력한 방수성이 유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빗물받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집수조 11 : 배수구
13 : 하부플랜지 20 : 배수관
23 : 상부플랜지 30 : 차단망
40 : 지지파이프 50 : 지지프레임
51 : 받침대 53 : 홀더
55 : 고정볼트 60 : 방수패드
61 : 구획돌기 62 : 유도홈
63 : 팽창심 70 : 부착부재
71 : 브라켓 72 : 지지패널
79 : 고정볼트

Claims (4)

  1. 건축물의 처마를 따라 그 밑에 배치되어서 빗물이 담기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에 상하로 연결되어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
    처마 아래의 구조물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를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하고, 상기 집수조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빗물받이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하부에는 단부에 하부플랜지가 형성된 배수구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배수관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구의 하부플랜지와 결합되는 상부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랜지와 상부플랜지 사이에는 방수패드가 개재되되,

    상기 방수패드의 표면에는 물기의 침투를 반복하여 차단하는 구획돌기들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구획돌기들 각각에는 물기를 흡수하여 팽창하는 팽창심이 내장되고,
    상기 구획돌기들의 외측으로는 침투되는 물기를 상기 팽창심으로 유도하는 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서 빗물은 통과시키고 낙옆은 차단하는 차단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어 체결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며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삽입관통된 상기 지지파이프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상기 지지파이프를 조여 고정시키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받이.
  4. 삭제
KR1020210114375A 2021-08-30 2021-08-30 빗물받이 KR10244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75A KR102444329B1 (ko) 2021-08-30 2021-08-30 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75A KR102444329B1 (ko) 2021-08-30 2021-08-30 빗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329B1 true KR102444329B1 (ko) 2022-09-16

Family

ID=8344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75A KR102444329B1 (ko) 2021-08-30 2021-08-30 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037B1 (ko) * 2022-11-10 2023-09-18 주식회사 더이지스이엔지 광촉매 기반 유해물질 및 악취물질 제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885A (ja) * 2000-04-03 2001-10-1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軒樋補強部材及び軒樋補強構造
KR200490589Y1 (ko) * 2018-07-17 2019-12-04 오창영 빗물받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885A (ja) * 2000-04-03 2001-10-1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軒樋補強部材及び軒樋補強構造
KR200490589Y1 (ko) * 2018-07-17 2019-12-04 오창영 빗물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037B1 (ko) * 2022-11-10 2023-09-18 주식회사 더이지스이엔지 광촉매 기반 유해물질 및 악취물질 제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4329B1 (ko) 빗물받이
JPH07173893A (ja) 漏水防止型フレーム付きパネルカーテンウォール
US7415802B2 (en) Bi-functional roof drain having integrated vent
CA2476898C (en) Ceiling leak capture and drainage system
JP2009102799A (ja) 屋根煙突貫通部の施工方法及び屋根煙突貫通部の防水構造
KR20210104328A (ko) 계단식 구조의 하부프레임으로 수밀성을 향상시킨 창틀의 배수구조
CN115126144A (zh) 一种装配式卫生间的分体式龙骨结构及其施工方法
EP052188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due to plumbing leaks in buildings
JP2002206317A (ja) 屋根上設置物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KR100711607B1 (ko) 건축지붕 누수방지 시설구조
KR102430783B1 (ko) 시트 융착 탈기반 시스템
KR100711839B1 (ko) 드레인 시스템
CN112502326A (zh) 防水装置以及具有该防水装置的内倾玻璃幕墙
CN219691182U (zh) 一种快装式集成卫浴模块
KR102604707B1 (ko)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CN209126277U (zh) 一种便于拆装的简易棚防水板
CN209958473U (zh) 一种竖向排水管的防漏器
KR100509270B1 (ko) 건축용 방수 연결 패널구조
KR970003927Y1 (ko) 발코니 배수구
JP2020158966A (ja) 屋根構造体
RU2083779C1 (ru) Водосборная панель
JPS6343305Y2 (ko)
KR200312669Y1 (ko) 빗물 배수장치가 설치된 옥상 환풍기
JPS6334061Y2 (ko)
JP2990228B2 (ja) 排水溝組込み型フラットサ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