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839B1 - 드레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레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839B1
KR100711839B1 KR1020050111173A KR20050111173A KR100711839B1 KR 100711839 B1 KR100711839 B1 KR 100711839B1 KR 1020050111173 A KR1020050111173 A KR 1020050111173A KR 20050111173 A KR20050111173 A KR 20050111173A KR 100711839 B1 KR100711839 B1 KR 100711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in
water
upper portion
bottom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도
서만복
임석호
Original Assignee
서만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만복 filed Critical 서만복
Priority to KR1020050111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들을 위로 올려놓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고, 방수층을 안쪽으로 깊숙히 중첩시킬 수 있으며, 방수층이 매립되는 비노출형 방식뿐만 아니라 방수층이 노출되는 노출형 방식으로 시공하여도 배수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드레인 시스템은, 바닥 슬라브(210)에 매립되고, 배수관(200)이 연결되는 배수관 체결부(102)를 구비하는 하부도수판(100)과;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에 시공되어 상기 배수관 체결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방수층(220)을 압착하도록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고,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으로 낙하시키는 중간도수판(110)과; 유입되는 물을 상기 중간도수판으로 낙하시키도록 상기 중간도수판의 상부에 놓이는 배수덮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덮개의 외주에, 물을 집수하여 상기 배수덮개(130)쪽으로 보내도록 상부도수판(120)이 승강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루프, 드레인, 옥상, 방수층, 배수, 방수, 시공성

Description

드레인 시스템{Drain System}
도 1은, 종래 루프 드레인이 옥상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다른 예의 플로워 드레인이 실내 또는 일반 바닥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이 옥상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이 옥상에 다른 방법으로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이 옥상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이 일반 바닥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 하부도수판, 102, 302 : 배수관 체결부,
110 : 중간도수판, 120, 320 : 상부도수판,
130, 330 : 배수덮개, 200 : 배수관,
210 : 바닥 슬라브, 220 : 방수층,
310 : 중간도수링, 340 : 배수트랩,
342 : 저수부, 344 : 봉수덮개.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및 일반 바닥에 설치되는 드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관공정과 호환성을 이루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고, 방수층을 하부도수판의 내주부까지 안쪽으로 깊숙히 중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방수층이 매립되는 비노출형 방식뿐만 아니라 방수층이 매립되지 않는 노출형 방식으로 시공하여도 배수성이 우수한 드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콘크리트 슬라브(Concrete Slab)에 의하여 옥상 바닥을 시공할 경우에, 상기 옥상 바닥을 통해 빗물 등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누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옥상 바닥에 방수처리를 하게 된다. 방수공법으로, 아스팔트방수, 도막방수, 시트방수, 상기 시트방수와 상기 도막방수를 혼용하여 바닥면에 경질금속시트를 설치한 후 상기 경질금속시트 표면에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는 복합방수 등 다양한 방수공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옥상이나 발코니 등에 빗물 등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을 집수하여 배수할 수 있는 루프 드레인이 옥상배수구에 설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루프 드레인과 방수층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루프 드레인이 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루프 드레인의 대표적인 예가 한국 특허 제171704호 및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1344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루프 드레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10)에 매립되어 배수관(20)에 연결되는 하부도수판(30)과; 상기 하부도수판(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 슬라브(10)의 상면에 시공되는 방수층(12)의 끝단을 압착하고,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30)으로 낙하시키는 중간도수판(32)과; 상기 중간도수판(32)의 상부에서 체결수단(36)으로 상기 중간도수판(32)을 거쳐 하부도수판(30)에 체결되고, 유입되는 물을 상기 중간도수판(32)으로 낙하시키는 상부도수판(34)과; 그리고, 상기 상부도수판(34)의 상부에 놓이는 배수덮개(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14는 상기 방수층(12)의 상부에 적층되는 단열층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16은 상기 단열층(14)의 상부에 적층되는 마감층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루프 드레인에 따르면, 상기 마감층(16) 상면에서 배수덮개(38) 쪽으로 흐르는 물이, 상기 배수덮개(38)에 형성된 배수공들과, 상기 상부도수판(34) 및 중간도수판(32)의 중공들을 통하여 하부도수판(30)으로 흘러, 상기 하부도수판(30)에 연결되는 배수관(20)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배수과정에서, 방수층(12)의 끝단이 중간도수판(32)과 하부도수판(30) 사이에 협지되므로, 물이 바닥 슬라브(10) 쪽으로 누설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36)은 그 체결길이에 따라 상부도수판(34)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루프 드레인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체결수단(36)이 중간도수판(32)을 거쳐 하부도수판(30)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방수층(12)의 끝단이 상기 체결수단(36) 위치의 안쪽으로 더 연장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방수층(12)의 끝단이 들뜨기 쉽고, 이 경우에, 상기 방수층(12)과 하부도수판(30)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바닥 슬라브(10) 쪽으로 물이 스며들어, 건물 내부로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체결수단(36)으로 상부도수판(34)을 조립하게 되면, 방수층(12)을 시공한 후에, 중간도수판(32)과 하부도수판(30)에 체결수단(36)을 체결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체결공들을 맞추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방수층(12)의 상부에 적층되는 단열층(14)과 마감층(16)이 정확하게 시공되지 않을 경우에, 상부도수판(34), 중간도수판(32) 및 하부도수판(30)의 체결공들을 정확하게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상부도수판(34)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덮개(38) 쪽으로의 물의 집수가 마감층(16)의 구배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지만, 예컨대 단열층(14) 및 마감층(16)이 시공되지 않고, 상기 방수층(12)만으로 옥상 바닥이 마감되는 노출형으로 루프 드레인이 시공될 경우에, 상부도수판(34)의 상단의 위치가 방수층(12)의 상면 위치보다 높아, 배수덮개(38) 쪽으로 물의 집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배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161666호에는 옥상 또는 발코니와 같은 실외의 일반 바닥 또는 화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플로어 드레인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플로어 드레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10)에 배수관(20)과 연결되도록 매립되는 본체(50)와; 상기 본체(50)의 상부에 체결수단(54)으로 체결되어, 시공되는 방수층(12)의 끝단을 누르는 중간 플랜지(52)와; 상기 중간 플랜지(52)의 상부에 높이조절가능하게 체결되는 높이조절구(56)와;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구(56)의 상단에 체결되는 거름망(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있어서, 참조부호 18은 방수층(12)의 상부에 적층되고 표면에 타일이 설치된 모르타르층을 나타낸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플로어 드레인에 있어서는, 방수층(12)의 끝단을 누르는 중간 플랜지(52)가, 도 1의 루프 드레인에서와 마찬가지로 체결수단(54)으로 본체(50)에 결합되면, 방수층(12)의 끝단이 상기 체결수단(54) 위치의 안쪽으로 더 연장될 수 없고, 중간 플랜지(52)가 방수층(12)을 선접촉 구조로 누르게 되므로, 방수층의 누름효과가 미약하여 방수효과가 현저하게 저하된다. 또한, 방수층(12)을 시공한 후에, 본체(50)와 중간 플랜지(52)에 체결수단(54)을 체결하기 위하여 형성된 체결공들을 맞추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높이조절구(56)가 나사결합방식으로 중간 플랜지(52)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조립작업과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로어 드레인은 밑층으로부터 배수관을 타고 올라오는 냄새를 차단할 수 있는 봉수 구조를 일체로 채용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한 종래의 드레인 구조는 모두 볼트 또는 나사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시공상 상부도수판(34) 또는 높이조절구(56)가 나사결합된 중간 플랜지(52)의 변위가 필요한 경우에도 이러한 요구를 수용할 수 없어 편심조절성이 나쁜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드레인 구조는 대부분 많은 수의 부품을 사용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부품을 유지/취급/보관하는 데 따른 관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드레인 구조는 구체 및 누름층에 대하여 충분한 구배를 유도하지 못하여 충분한 배수 용적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나사체결부를 포함하지 않는 적은 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자기 정합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각 부품들을 방수시공 절차 및 타공정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하나씩 위로 올려놓는 방식(일명 포켓식)으로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관리성이 우수한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층을 거의 배수관 연결부에 이르도록 하부도수관의 내주면까지 안쪽으로 깊숙히 중첩시킴과 동시에 중간도수판의 누름에 의해 방수층의 탈락과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구체 및 누름층에 대하여 충분한 구배를 유도하여 충분한 배수 용적을 확보함으로써 방수성과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켓식으로 상부도수판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방수층이 매립되는 비노출형 방식뿐만 아니라 방수층이 노출되는 노출형 방식으로 시공하여도 배수성이 우수한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부도수판과 중간도수판이 포켓식으로 조립되므로 시공상의 문제로 인하여 하부도수판에 대하여 중간도수판의 변위가 필요한 경우 이를 쉽게 수용할 수 있어 편심조절성이 우수한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도수관과 배수뚜껑 사이에 배수트랩이 일체로 형성되어 봉수성을 갖는 플로어형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측이 바닥 슬라브에 매립되고,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관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측이 바닥 슬라브의 경사 구배와 일치하도록 제1가장자리부가 연장 형성된 하부도수판과;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에 시공되어 상기 배수관 체결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방수층을 제2가장자리부가 압착하도록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고,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으로 낙하시키는 중간도수판과; 유입되는 물을 상기 중간도수판으로 낙하시키도록 상기 중간도수판의 상부에 놓이는 배수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드레인 시스템은 비노출형으로 방수시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누름층의 경사 구배면을 따라 물을 집수하여 상기 배수덮개쪽으로 보내도록 제3가장자리부가 외주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배수덮개의 외주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상부도수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도수판, 중간도수판 및 상부도수판의 제1 내지 제3 가장자리부는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측이 바닥 슬라브에 매립되고,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관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측이 바닥 슬라브의 경사 구배와 일치하도록 제1가장자리부가 연장 형성된 하부도수판과;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에 시공되어 상기 배수관 체결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방수층을 제2가장자리부가 압착하도록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고,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으로 낙하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 중간도수링과; 누름층의 경사 구배면을 따라 물을 집수하여 중앙으로 보내도록 제3가장자리부가 외주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앙부가 중간도수링의 중공부에 연결되는 상부도수판과; 상기 상부도수판을 따라 유입되는 물을 상기 중간도수판으로 낙하시키도록 상기 상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는 반구형 배수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측이 바닥 슬라브에 매립되고,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관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측이 바닥 슬라브의 경사 구배와 일치하도록 제1가장자리부가 연장 형성된 하부도수판과;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에 시공되어 상기 배수관 체결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방수층을 제2가장자리부가 압착하도록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고,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으로 낙하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 중간도수링과; 누름층의 경사 구배면을 따라 물을 집수하여 중앙으로 보내도록 제3가장자리부가 외주부에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가 중간도수링의 중공부에 연결되며, 내주면에 위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저수부를 갖는 상부도수판과; 상기 상부도수판에 의하여 집수되는 물을 상기 중간도수링으로 낙하시키도록 상기 상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며, 저면에 상기 저수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봉수덮개를 구비하여 배수트랩을 형성하는 평판형 배수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드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수판의 하단부는 상기 중간도수링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제1실시예>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 제1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은, 하부도수판(100)과, 중간도수판(110)과, 그리고 배수덮개(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도수판(100)은 옥상이나 발코니 등의 바닥 슬라브(210)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물을 배수관(200)으로 낙하시키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구비하며, 그 하단부는 상기 배수관(200)에 연결되는 배수관 체결부(102)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부는 접시형 날개가 위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상기 중간도수판(110)은 상기 하부도수판(100)의 상부에 놓이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100)으로 낙하시키도록 상하로 관통되는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도수판(100)의 상단부 구조와 대응하여 그 가장자리부가 접시형으로 위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상기 하부도수판(100)과 중간도수판(110)의 각 가장자리부의 경사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220)의 시공시 배수관 체결부(102)의 내주면으로 상기 방수층(220)의 끝단부가 용이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유도함과 아울러, 상기 중간도수판(110)에 의하여 상기 방수층(220)을 누르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방수층의 탈락과 들뜸 현상을 방지하여 방수효율을 높이도록 제공된다.
상기 배수덮개(130)는 상기 중간도수판(110)의 중공 상부를 덮도록 상기 중간도수판(110)의 상부에 놓이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중간도수판(110)으로 낙하시키도록 다수의 배수공(132)을 구비한다. 상기 배수덮개(130)는 예컨대, 종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도수판(110)의 중공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배수덮개(130)의 하단에 삽입되어 상기 배수덮개(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걸림돌기(112)가 위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제1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배수덮개(130)의 외주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물을 집수하여 상기 배수덮개(130) 쪽으로 보내는 상부도수판(1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승강구조에 의하여 상부도수판(120)의 설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도수판(120)의 가장자리부는 누름층 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접시형으로 위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200)에 하부도수판(100)의 배수관 체결부(102)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도수판(100)과 일체로 바닥 슬라브(210)를 타설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하부도수판(100)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구배에 맞추어 바닥 슬라브(210)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바닥 슬라브(210)의 양생후, 상기 하부도수판(100)의 배수관 체결부(102)의 내주면으로 방수층(220)의 끝단이 밀착되도록 상기 바닥 슬라브(210)의 상면에 방수층(220)을 시공한다.
다음에, 상기 하부도수판(100)의 상부에 대응하는 방수층(220)의 상부를 누르도록, 상기 방수층(220)의 상부에 중간도수판(110)을 올려 놓는다.
다음에, 상기 중간도수판(110)의 상부에 배수덮개(130)를 올려놓음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층(220)이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형으로, 드레인 시스템을 시공하는 것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층(2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비노출형으로 드레인 시스템을 시공할 경우, 예컨대 상기 중간도수판(110)의 가장자리까지 상기 방수층(220)의 상부에 방수보호 모르타르층(230)을 적층하고, 상기 방수보호 모르타르층(230)의 상부에 단열층(240)을 적층하며, 상기 단열층(240)의 상부에 누름층(250)을 적층하며, 상기 누름층(250)에 접합되도록 상 부도수판(120)을 배수덮개(130)에 끼움으로써, 비노출형 드레인 시스템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방수보호 모르타르층(230)은 중간도수판(110)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구배에 맞추어 시공되고, 상기 누름층(250)은 상부도수판(120)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구배에 맞추어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공된 제1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에 따르면, 상부도수판(120)의 적용 유무에 따라 비노출형 또는 노출형으로 드레인 시스템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비노출형이나 노출형의 어느 방법으로 드레인 시스템이 시공되더라도, 상부도수판(120)이나 중간도수판(110)의 위치가 옥상의 바닥면보다 낮게 위치하여, 상기 상부도수판(120)의 경사구조나 중간도수판(110)의 경사구조에 의하여 물이 용이하게 집수되어 배수덮개(130) 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시스템의 시공과정에서, 부품들을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공들을 맞추고 체결수단이나 자체 체결구조로 부품들을 나사결합할 필요없이, 방수시공 절차에 따라 부품들을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올려놓기만 하면 되므로, 드레인 시스템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 제2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은, 하부도수판(300)과, 중간도수링(310)과, 상부도수판(320)과, 그리고 배수덮개(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도수판(300)은 제1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부도수판 (300)과 동일한 구조로 바닥 슬라브(210)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중공을 구비하며, 배수관(200)이 연결되는 배수관 체결부(302)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도수판(300)의 가장자리부는 위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상기 중간도수링(310)은 상기 하부도수판(300)의 상부에 놓이는 것으로서, 바닥 슬라브(210)의 상면에 시공되어 상기 배수관 체결부(302)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방수층(220)을 압착하게 된다. 상기 방수층(220)에 대한 압착률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중간도수링(310)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도수판(300)의 상면에 면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도수링(310)은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300)으로 낙하시키도록 중공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도수판(320)은, 물을 집수하도록 상기 중간도수링(310)의 상부에 놓이는 것으로서, 그 가장자리부가 접시형으로 위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상기 상부도수판(320)은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부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굴곡된 하단부의 걸림돌기(332)가 상기 중간도수링(310)의 중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도수판(320)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332)는 다수 개 형성될 수 있고, 대안으로서 원형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배수덮개(330)는, 상기 상부도수판(320)에 의하여 집수되는 물을 상기 중간도수링(310)으로 낙하시키도록 다수의 배수공(332)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도수판(320)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상기 배수덮개(330)는 예컨대,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시스 템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수관(200)에 하부도수판(300)의 배수관 체결부(302)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도수판(300)과 일체로 바닥 슬라브(210)를 타설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하부도수판(300)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구배에 맞추어 바닥 슬라브(210)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바닥 슬라브(210)의 양생후, 상기 하부도수판(300)의 배수관 체결부(302)의 내주면으로 방수층(220)의 끝단이 밀착되도록 상기 바닥 슬라브(210)의 상면에 방수층(220)을 시공한다.
다음에, 상기 하부도수판(300)의 상부에 대응하는 방수층(220)의 상부를 누르도록, 상기 방수층(220)의 상부에 중간도수링(310)을 올려 놓는다.
다음에, 상기 방수층(220)의 상부에 방수보호 모르타르층(230)을 적층하고, 상기 방수보호 모르타르층(230)의 상부에 단열층(240)을 적층하며, 상기 단열층(240)의 상부에 누름층(250)을 적층한다. 상기 누름층(250)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간도수링(310)의 상부에 상부도수판(320)을 올려놓고 상기 상부도수판(320)과 방수층(220) 사이에 누름층(250)이 채워지도록 한다. 상기 누름층(250)은 상부도수판(320)의 외측 가장자리부의 구배에 맞추어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수판(320)의 상부에 배수덮개(330)를 올려놓음으로써, 본 제2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의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공된 제2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도수판(320)의 위치가 옥상의 바닥면보다 낮게 위치하여, 상 기 상부도수판(320)의 경사구조에 의해 물이 용이하게 집수되어 배수덮개(330) 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시스템의 시공과정에서, 부품들을 나사결합할 필요없이, 부품들을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올려놓기만 하면 되므로, 드레인 시스템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플로어형 드레인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플로어형 드레인 시스템은 화장실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주로 실내에 설치되며, 누름층(250)의 상부에 바닥마감층, 즉 타일(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안전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배수구의 경사구배가 실외의 배수구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다.
제3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은, 제2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하부도수판(300)과, 중간도수링(310)과, 상부도수판(320)과, 배수덮개(330)를 구비하고 있다. 제3실시예는 상기 상부도수판(320)과 배수덮개(330)에 걸쳐 배수트랩(340)이 구비되어 있고, 배수덮개(330)가 평판형이며 배수공(332)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 전술한 제2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과 다르다. 따라서, 본 제3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제2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제3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340)은, 상기 상부도수판(320)의 하단부 내주면에 위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저수부(342)와, 상기 배수덮개(330)의 저면에서 상기 저수부(342)의 내부로 연장되는 봉수덮개(3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부(342)에 대한 봉수덮개(344)의 근접성을 위하여, 상기 봉수덮개(344)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덮개(330)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부(342)가 설치된 상부도수판(320)의 하단부는 상기 중간도수링(310)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부도수판(320)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제3실시예의 드레인 시스템은, 상기 배수트랩(340)에 의하여 이루어진 물의 U자형 흐름에 따른 봉수효과에 의하여 배수관(200)을 통해 악취나 벌레 등이 올라오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기능을 더 가지게 되므로, 배수관(200)에 배수트랩 구조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시스템에 의하면, 제1실시예의 상부도수판의 적용 유무에 따라 비노출형 또는 노출형으로 드레인 시스템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드레인 시스템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측 가장자리가 접시형으로 위로 경사진 상부도수판(120 또는 320)의 위치가, 옥상의 바닥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본 발명의 드레인 시스템이 시공되므로, 상기 경사구조에 의하여 물이 용이하게 집수되어 배수덮개(130 또는 330) 쪽으로 유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 시스템의 시공과정에서, 부품들을 나사결합할 필요없이, 부품들을 아래에서 위로 차례로 올려놓기만 하면 드레인 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고, 방 수층(220) 위로 적층되는 구조물들의 치수를 정확하게 맞추지 않고도 드레인 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드레인 시스템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트랩(340)이 구비될 경우, 배수관(200)에 배수트랩 구조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므로, 배수관(200)의 레이아웃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하부도수판과 중간도수판이 포켓식으로 조립되므로 시공상의 문제로 인하여 하부도수판에 대하여 중간도수판의 변위가 필요한 경우 이를 쉽게 수용할 수 있어 편심조절성이 우수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하측이 바닥 슬라브에 매립되고,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관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측이 바닥 슬라브의 경사 구배와 일치하도록 제1가장자리부가 연장 형성된 하부도수판과;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에 시공되어 상기 배수관 체결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방수층을 제2가장자리부가 압착하도록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고,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으로 낙하시키는 중간도수판과;
    유입되는 물을 그 내부로 낙하시키도록 다수의 배수공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도수판의 상부에 놓이는 배수덮개와;
    누름층의 경사 구배면을 따라 물을 집수하여 상기 배수덮개쪽으로 보내도록 제3가장자리부가 외주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앙부가 상기 배수덮개의 외주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상부도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도수판, 중간도수판 및 상부도수판의 제1 내지 제3 가장자리부는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하측이 바닥 슬라브에 매립되고,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관 체결부를 구비하 며, 상측이 바닥 슬라브의 경사 구배와 일치하도록 제1가장자리부가 연장 형성된 하부도수판과;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에 시공되어 상기 배수관 체결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방수층을 제2가장자리부가 압착하도록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고,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으로 낙하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 중간도수링과;
    누름층의 경사 구배면을 따라 물을 집수하여 중앙으로 보내도록 제3가장자리부가 외주부에 연장 형성되고, 중앙부가 중간도수링의 중공부에 연결되는 상부도수판과;
    상기 상부도수판을 따라 유입되는 물을 상기 중간도수판으로 낙하시키도록 상기 상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는 반구형 배수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시스템.
  5. 하측이 바닥 슬라브에 매립되고,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관 체결부를 구비하며, 상측이 바닥 슬라브의 경사 구배와 일치하도록 제1가장자리부가 연장 형성된 하부도수판과;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에 시공되어 상기 배수관 체결부의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방수층을 제2가장자리부가 압착하도록 상기 하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고, 유입되는 물을 상기 하부도수판으로 낙하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 중간도수링과;
    누름층의 경사 구배면을 따라 물을 집수하여 중앙으로 보내도록 제3가장자리부가 외주부에 연장 형성되고, 하단부가 중간도수링의 중공부에 연결되며, 내주면 에 위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저수부를 갖는 상부도수판과;
    상기 상부도수판에 의하여 집수되는 물을 상기 중간도수링으로 낙하시키도록 상기 상부도수판의 상부에 놓이며, 저면에 상기 저수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봉수덮개를 구비하여 배수트랩을 형성하는 평판형 배수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수판의 하단부는 상기 중간도수링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시스템.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장자리부는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시스템.
KR1020050111173A 2005-11-21 2005-11-21 드레인 시스템 KR100711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73A KR100711839B1 (ko) 2005-11-21 2005-11-21 드레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73A KR100711839B1 (ko) 2005-11-21 2005-11-21 드레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839B1 true KR100711839B1 (ko) 2007-04-30

Family

ID=3818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173A KR100711839B1 (ko) 2005-11-21 2005-11-21 드레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38B1 (ko) * 2018-07-20 2019-10-04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3260A (ja) 1984-05-02 1985-11-19 東海防水株式会社 ドレインの漏水補修方法
JPS6125434U (ja) 1984-04-10 1986-02-15 東海防水株式会社 補修用のル−フドレイン
KR0134425Y1 (ko) * 1996-07-09 1999-02-18 최훈 루프드레인
KR0134017Y1 (ko) * 1996-07-09 1999-02-18 최훈 루프드레인
JP2000008557A (ja) 1998-06-19 2000-01-11 Sekisui Chem Co Ltd 自在ドレ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434U (ja) 1984-04-10 1986-02-15 東海防水株式会社 補修用のル−フドレイン
JPS60233260A (ja) 1984-05-02 1985-11-19 東海防水株式会社 ドレインの漏水補修方法
KR0134425Y1 (ko) * 1996-07-09 1999-02-18 최훈 루프드레인
KR0134017Y1 (ko) * 1996-07-09 1999-02-18 최훈 루프드레인
JP2000008557A (ja) 1998-06-19 2000-01-11 Sekisui Chem Co Ltd 自在ドレ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38B1 (ko) * 2018-07-20 2019-10-04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KR200383509Y1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KR100711839B1 (ko) 드레인 시스템
CN113863582A (zh) 倒置式屋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JP2528063B2 (ja) 排水金具の施工方法
KR20100007082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CN210164026U (zh) 一种装配式干法施工用双层排水地漏
JP2018154994A (ja) 排水溝構造、排水溝用金具、及び、排水溝構造の製造方法
CN209509341U (zh) 一种钢结构屋面与混凝土女儿墙交接处天沟
US4592676A (en) Arrangement for damming water and also for draining away the volume of water above a certain level in a vegetation-bearing stratum
KR200406975Y1 (ko) 루프 드레인
JP2002309726A (ja) 屋根の断熱防水構造
KR100939087B1 (ko) 누수를 신속처리할 수 있는 지하주차장의 상부 슬라브 구조
JP3886744B2 (ja) 住宅の陸屋根
CN215759913U (zh) 一种水泥预制活动房屋顶结构
CN220059091U (zh) 一种隔震结构
CN115012591B (zh) 一种建筑屋顶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JPH0137008Y2 (ko)
JP2000220260A (ja) 排水管及び防水層下の換気構造
CN217000541U (zh) 一种上人屋面出水口防水节点结构
JP3083960U (ja) 三角屋根における落雪融雪装置
US20230366198A1 (en) Drainage device
KR100537958B1 (ko) 건축물 옥상 방수구조
JP2000257178A (ja) フロントサッシ下部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