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195A -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 Google Patents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195A
KR20150029195A KR20130108037A KR20130108037A KR20150029195A KR 20150029195 A KR20150029195 A KR 20150029195A KR 20130108037 A KR20130108037 A KR 20130108037A KR 20130108037 A KR20130108037 A KR 20130108037A KR 20150029195 A KR20150029195 A KR 20150029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ottom plate
cable
manhole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422B1 (ko
Inventor
김강식
김동명
이병성
최선규
오기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10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4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본체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바닥판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의 상부를 컵 형상으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챔버가 구비되어 상기 맨홀본체의 수용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챔버의 내부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형상으로써 지하에 매설되어 일측 측벽에 전력케이블이 인입되는 케이블인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측벽에는 상기 전력케이블이 인출되는 케이블인출구가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외기흡입구가 구비되고 타측 상부에는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외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맨홀본체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어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내부지지벽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수평하도록 상기 내부지지벽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하로 이어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바닥판 및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전력기기 및 상기 전력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챔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MANHOLE STRUCTURE FOR FLOODING PREVENTION}
본 발명은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본체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바닥판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의 상부를 컵 형상으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챔버가 구비되어 상기 맨홀본체의 수용부로 물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챔버의 내부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가 진행됨에 다라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도심 근처에 전주 등의 전력설비와 같은 시설물들이 대거 등장하게 됨으로써 도심의 미관을 해치고 도심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방해하며,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전력설비 등을 지하로 매설하는 지중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전선은 지하에 매설하고 있지만, 관련 전력설비 등은 침수, 습기, 온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해 대부분 지상에 설치하는 실정이다.
지상에 각종 전력설비 등을 설치함으로 인해 보행자가 통행하는데 방해가 되고, 상가의 경우 상권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가 앞에는 사실상 전력설비 등의 설치가 어려웠다. 또한 행정관청에서는 민원, 보행자 통행권, 도시미관 등을 위해 보도상에는 점용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으며, 실제 설비가 필요한 장소에서 멀리 떨어진 인근 녹지나 빈 공간에 허가를 내주기 때문에 불필요한 추가설비 공사가 필요하므로 인해 초기 투자비가 많이 투입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 실정이다.
기존 맨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하 저장고 역할을 하는 맨홀을 땅속에 매설하고 상기 맨홀 내부에 전력 설비나 기타설비를 수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전력설비나 기타설비에서 발생되는 열과 습기를 해결하기 위해 지상의 흡기구 및 배기구를 이용하여 자연 대류 방식으로 환기되도록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맨홀은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가 도로나 보도의 지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 지열이 흡기구로 유입되므로 전력설비 및 기타설비의 방열에 도움을 주지 못하여 전력설비나 기타설비의 수명을 단축하는 용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비가 많이 오면 지면에 물이 차면서 흡, 배기구로 우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배수관련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되는 기술적인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0443588호(방수 및 방열 기능을 갖춘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시스템, 2009.02.26. 등록)가 있다.
본 발명은, 맨홀본체를 지하에 매설하고, 맨홀본체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을 뒤집힌 컵 형상으로 커버하는 챔버가 구비되어 상기 맨홀본체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상기 챔버의 내부로는 유입되지 않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맨홀본체의 수용부에 내부지지벽에 의해 부상되도록 설치되는 바닥판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챔버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의 방열성능 및 통기성이 우수한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형상으로써 지하에 매설되어 일측 측벽의 하부에 전력케이블이 인입되는 케이블인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측벽의 하부에는 상기 전력케이블이 인출되는 케이블인출구가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외기흡입구가 구비되고 타측 상부에는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외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맨홀본체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케이블인입구 및 케이블인출구의 위치보다 더 높이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어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내부지지벽과,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수평하도록 상기 내부지지벽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하로 이어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바닥판 및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전력기기 및 상기 전력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지지벽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맨홀본체의 케이블인입구에서 케이블인출구로 이어지는 방향에 수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타측 벽면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방열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둘레면 중 어느 한 곳이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기흡입구로 흡입된 외기를 상기 바닥판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흡입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로 흡입된 외기를 상기 공간부의 타측으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흡기덕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투명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맨홀본체를 지하에 매설하고, 맨홀본체의 수용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을 뒤집힌 컵 형상으로 커버하는 챔버가 구비되어 상기 맨홀본체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더라도 상기 챔버의 내부로는 유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맨홀본체의 수용부에 내부지지벽에 의해 부상되도록 설치되는 바닥판이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챔버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의 방열성능 및 통기성이 우수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평상시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침수시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에서 환기 및 방열 유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과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를 설명하면, 수용부(110)가 형성된 하우징 형상으로써, 지하에 매설되어 일측 측벽의 하부에 전력케이블이 인입되는 케이블인입구(120)가 형성되고 타측 측벽의 하부에는 상기 전력케이블이 인출되는 케이블인출구(130)가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외기배출구(150)가 구비되고 타측 상부에는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외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맨홀본체(100)와,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에서 상기 케이블인입구 및 케이블인출구의 위치보다 더 높이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어지는 관통홀(510)이 형성되는 내부지지벽(500)과,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에 수평하도록 상기 내부지지벽(500)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하로 이어지는 복수의 통공(210)이 형성되는 바닥판(200) 및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전력기기 및 상기 전력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110)의 내측에서 상기 바닥판(20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챔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맨홀본체(100)는 상부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상기 외기배출구(150)와 외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기배출구(150)를 통하여 맨홀본체(100)의 수용부(110)로 외기가 유입되고, 상기 챔버(300)의 공간부(310)에 설치되는 전력기기나 제어기 등을 냉각한 후에 가열된 외기가 상기 외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외기배출구(150)와 외기배출구는 상기 공간부(310)에 설치되는 전력기기나 제어기 등의 유지 및 보수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지지벽(500)은,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기배출구(15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수용부(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통된다고 하면, 상기 외기의 유통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벽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지지벽(500)은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면에서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하여 공기의 유통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바닥판(200)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내부지지벽(500)에 형성되는 관통홀(510)은 상기 맨홀본체(100)의 케이블인입구(120)에서 케이블인출구(130)로 이어지는 방향, 즉 상기 외기배출구(150)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수용부(110)의 저면에서 유통되어 외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유로와 수평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관통홀(510)을 통하여 상기 전력케이블을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수용부(110)의 저면에 우수 등이 유입될 때 상기 우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바닥판(200)은 상하로 이어지는 복수의 통공(210)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지지벽(500)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0)를 상부층과 하부층으로 나누게 된다.
방기 바닥판(200)은 상기 전력기기나 제어기 등의 큰 중량의 설비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며 통기성이 우수한 것을 이용하여, 일예로 그레이팅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챔버(300)는 하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부(310)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바닥판(2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바닥판(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력기기나 제어기 등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챔버(300)는 컵을 뒤집어서 바닥판(200)의 상부에 덮은 형상으로 결합된다.
특히, 상기 챔버(300)의 타측 벽면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 방열벽(320)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벽(320)이 상기 외기배출구와 가까이 설치됨으로서 상기 공간부(310)에 배치되는 전력기기나 제어기 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방열벽(320)을 통해 외기배출구로 원활히 방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챔버(300)의 상부에는 투명창(330)이 구비되어 상기 맨홀본체(100)의 외부에서 상기 챔버(3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공간부(3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기배출구(150)로 흡입된 외기를 상기 바닥판(200)의 통공(210)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310) 내측으로 흡입하는 유입구(4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410)로 흡입된 외기를 상기 공간부(310)의 타측으로 토출하는 토출구(420)가 구비되는 흡기덕트(400)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에서 환기 및 방열 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는, 상기 외기배출구(15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 이 공기는 맨홀본체(100)의 내측 벽면과 챔버(300)의 벽면 사이를 통해 상기 수용부(110)의 하부까지 유통되고, 여기에서 상기 덕트의 유입구(410)를 통해 상기 챔버(300)의 공간부(31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내부지지벽(500) 중에서 상기 수용부(110)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가 처음 접하게 되는 내부지지벽(500)은, 상기 공기가 상기 공간부(310)로 유입되지 않고 수용부(110)의 하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배출구까지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흡기덕트(400)에 의해 공간부(3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과 열교환 되어 전력기기 및 제어기에서 발생한 열을 상기 외부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게 되며, 상기 챔버(300)의 타측벽면이 방열벽(320)으로 형성되어 이러한 방열 성능을 더욱 향상하게 된다.
도 2는, 평상시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침수시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기배출구(150)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310)에 설치되는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을 냉각하게 되며, 가열된 외기는 상기 외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에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외기배출구(150)를 통해 유입된 외기 이외에 상기 방열벽(320)을 통해 상기 외기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기배출구(150) 및 외기배출구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수용부(110)로 우수가 유입되면 상기 수용부(110)의 저면부터 우수가 차오르게 된다.
이 때, 상기 수용부(110)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입량이 상기 수용부(110)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능력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수용부(110) 내에서 우수가 지속적으로 차오르게 되는데, 상기 수용부(110) 내의 우수가 상기 바닥판(200)까지 차오르게 되면 상기 챔버(300)의 공간부(310)에는 기존에 존재하던 외기로 인하여 상기 공간부(310)에는 우수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챔버(300)는 뒤집힌 컵의 주위로 물이 차오르면 컵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로 인하여 컵 내부로는 물이 유입되지 않는 것과 같이, 상기 챔버(300)의 공간부(310)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챔버(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일실시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챔버(3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이다.
상기 챔버(300)의 공간부(310)에 상기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과 같은 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110) 및 공간부(310)에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해야 하며, 상기 수용부(110)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기배출구(150) 및 외기배출구를 통해 출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310)로는 상기 챔버(300)의 벽면에 완전밀폐가 가능한 출입문을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설비를 공간부(310)에 새로 설치하거나, 기존의 설비를 외부로 꺼낼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300)가 상기 바닥판(20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챔버(300)와 바닥판(20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챔버(300)를 들어 올려서 상기 공간부(310)에 부피가 큰 설비를 반입 및 반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300)의 일측을 상기 바닥판(200)에 힌지결합하고, 부피가 큰 설비를 반입하거나 반출 시에는 상기 챔버(300)의 타측과 바닥판(20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챔버(300)의 타측을 리프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챔버(300)에 형성된 공간부(310)로는 우수의 유입이 불가하게 되므로 공간부(310) 내의 전력기기 및 제어기 등의 설비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310)로 우수의 유입은 방지하면서도, 공기의 유통은 원할히 함으로써 냉각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챔버(300)의 타측 벽면이 방열벽(320)으로 형성되어 냉각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맨홀본체(100) 내부에 상기 바닥판(200)과 챔버(300)를 조립식으로 시공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의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 맨홀본체
110 : 수용부
120 : 케이블인입구
130 : 케이블인출구
140 : 외기흡입구
150 : 외기배출구
200 : 바닥판
210 : 통공
300 : 챔버
310 : 공간부
320 : 방열벽
330 : 투명창
400 : 흡기덕트
410 : 유입구
420 : 토출구
500 : 내부지지벽
510 : 관통홀

Claims (7)

  1.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형상으로써 지하에 매설되어 일측 측벽의 하부에 전력케이블이 인입되는 케이블인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측벽의 하부에는 상기 전력케이블이 인출되는 케이블인출구가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는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외기흡입구가 구비되고 타측 상부에는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외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맨홀본체;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상기 케이블인입구 및 케이블인출구의 위치보다 더 높이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어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내부지지벽;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수평하도록 상기 내부지지벽의 상부에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하로 이어지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바닥판; 및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전력기기 및 상기 전력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지지벽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맨홀본체의 케이블인입구에서 케이블인출구로 이어지는 방향에 수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타측 벽면이 열전도율이 우수한 방열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둘레면 중 어느 한 곳이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기흡입구로 흡입된 외기를 상기 바닥판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흡입하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로 흡입된 외기를 상기 공간부의 타측으로 토출하는 토출구가 구비되는 흡기덕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챔버의 상부에 투명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KR1020130108037A 2013-09-09 2013-09-09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KR102125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037A KR102125422B1 (ko) 2013-09-09 2013-09-09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037A KR102125422B1 (ko) 2013-09-09 2013-09-09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195A true KR20150029195A (ko) 2015-03-18
KR102125422B1 KR102125422B1 (ko) 2020-06-23

Family

ID=5302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037A KR102125422B1 (ko) 2013-09-09 2013-09-09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4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24A (ko) 2016-12-16 2018-06-26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맨홀 침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16758B1 (ko) * 2019-09-27 2020-05-29 주식회사 수엔테크 빗물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빗물 재이용 장치
CN113186979A (zh) * 2021-04-19 2021-07-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德州供电公司 用于分隔环网箱体与检查井的分隔板装置及其安装方法
KR102387992B1 (ko) * 2021-09-16 2022-04-18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내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466B1 (ko) 2021-11-18 2023-11-02 한국전력공사 침수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하형 배전스테이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777A (ko) * 2005-01-18 2006-07-21 류성석 맨홀 장치
KR100990982B1 (ko) * 2010-07-20 2010-10-29 (주)파이프텍코리아 지중 배관용 신축장치 일체형 맨홀 유닛
KR101125007B1 (ko) * 2010-10-15 2012-03-27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중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에 의한 지상 지중배전 전력설비에 대한 지하 매립형 지중배전선로
KR101256985B1 (ko) * 2012-02-23 2013-04-24 강은진 수동형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3777A (ko) * 2005-01-18 2006-07-21 류성석 맨홀 장치
KR100990982B1 (ko) * 2010-07-20 2010-10-29 (주)파이프텍코리아 지중 배관용 신축장치 일체형 맨홀 유닛
KR101125007B1 (ko) * 2010-10-15 2012-03-27 대원전기 주식회사 지중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에 의한 지상 지중배전 전력설비에 대한 지하 매립형 지중배전선로
KR101256985B1 (ko) * 2012-02-23 2013-04-24 강은진 수동형 지하 매설식 전기 설비 컨테이너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24A (ko) 2016-12-16 2018-06-26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맨홀 침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16758B1 (ko) * 2019-09-27 2020-05-29 주식회사 수엔테크 빗물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빗물 재이용 장치
CN113186979A (zh) * 2021-04-19 2021-07-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德州供电公司 用于分隔环网箱体与检查井的分隔板装置及其安装方法
KR102387992B1 (ko) * 2021-09-16 2022-04-18 (주)해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 내 친환경 상하수도 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422B1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9195A (ko)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KR20150040773A (ko)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변압기
US20220412657A1 (en) Underground equipment
KR101125007B1 (ko) 지중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에 의한 지상 지중배전 전력설비에 대한 지하 매립형 지중배전선로
KR101596813B1 (ko) 지중배전선로의 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
CN104158106B (zh) 一种高防护地埋式配电舱
KR20170085172A (ko) 지중 매설형 변압기용 맨홀
CN205141491U (zh) 智能预装地埋式变电站
KR200470198Y1 (ko) 환기장치 및 침수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JP2005337695A (ja) 集合住宅における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の設置構造
KR101584168B1 (ko) 조명등용 배전반
ES2641713T3 (es) Módulo de ingeniería de construcción
KR20120120104A (ko) 환기장치 및 침수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KR20120006169A (ko) 환기장치 및 침수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JP5877359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209882434U (zh) 一种金属传导散热系统及浅埋式移动通信微型基站
CN105322494B (zh) 一种具有良好散热通道的电缆沟井
KR20120046401A (ko) 태양광과 기온변화를 이용한 자연환기 상수도 및 하수도 관거맨홀
CN206135280U (zh) 地埋景观式变电站
CN205248659U (zh) 一种配电箱
JP2008281285A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建物
ES2311370B1 (es) Registro enterrado para nodo final de telecomunicaciones.
KR102553586B1 (ko) 지하 매설식 지중전선의 인입 인출선에 연결되는 변압기 제공방법
CN213125180U (zh) 一种户外散热型配电柜
KR20120054148A (ko) 태양 광과 바람을 이용한 자연환기 관거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