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2174B1 -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2174B1
KR101382174B1 KR1020130118960A KR20130118960A KR101382174B1 KR 101382174 B1 KR101382174 B1 KR 101382174B1 KR 1020130118960 A KR1020130118960 A KR 1020130118960A KR 20130118960 A KR20130118960 A KR 20130118960A KR 101382174 B1 KR101382174 B1 KR 10138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ventilation
opening
rainwat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케이비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3011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2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환기구에 설치되어 빗물 유입시 상기 지하 환기구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하 환기구를 폐쇄시키며, 복수 개의 환기공을 갖는 폐쇄프레임; 및 부력작용부재가 상기 폐쇄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평상시 상기 환기공를 개방시키며, 빗물 유입시 차오르는 빗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환기공를 폐쇄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빗물 유입시 지하 환기구를 용이하게 자동개폐시킬 수 있는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APPARATUS FOR INTERCEPTING WATER IN UNDERGROUND VENTILATOR}
본 발명은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빗물 유입시 지하 환기구를 용이하게 자동개폐시킬 수 있는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역사나 지하 전력구 또는 지하 공동구 등의 각종 지하시설물에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적정위치에 지상과 연통되는 환기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환기구는 통상 도로 옆의 보도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그 입구가 노면으로부터 그리 높지 않게 위치된다.
한편, 지하 환기구는 지하시설물 내부의 공기정화를 위한 공기통로로서 설치된 것이지만, 때때로 오수나 토사 등의 이물질 침입통로로도 기능하게 되어 지하시설물 내지는 그 이용자들에게 불가피하게 큰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장마철에 집중호우나 국지적 폭우가 내릴 경우 강우량이 도로의 배수한계를 초과하여 도로가 침수되는 일이 빈번히 발생되며, 이 경우 노면과 유사한 높이를 갖는 지하 환기구로 빗물이 넘쳐 들어가게 되어 지하 환기구가 배수로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지하시설물에 심각한 침수피해를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지하시설물이 변전소 연결 전력구일 경우에는 변전소까지도 침수시킬 우려가 있고, 전력구내의 조명이나 각종 배전반 및 제어케이블 등이 침수되어 복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그와 연결된 많은 지역에 정전사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평소에는 지하 환기공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다가 장마철 등에 많은 비가 내려 도로의 침수가 우려될 경우에는 환기공를 적절히 폐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9-7945호를 들 수 있다.
실용신안공개번호 제1999-7945호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감속기의 원동축을 정 또는 역으로 회전시키면 종동축에 설치된 암(arm)이 회전되면서 링크를 당기거나 밀어줌으로써 환기구내에 힌지(hinge) 결합된 차수문을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링크식 환기구용 차수문은 환기공의 개방시 차수문이 벽 쪽으로 완전히 젖혀지지 않기 때문에 환기공의 개방상태가 불량하고, 구조상 각 구성 부품들에 무리한 하중이 걸려 개폐작업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별도의 개폐용 공구가 반드시 요구되며, 특히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므로 국지적 폭우시 현장에 출동하여 폐쇄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지하시설물이 어느 정도 침수되는 것은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별도의 구동장비 없이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용이하게 개폐시키는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구동장비가 없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 및 설계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는, 복수 개의 환기공을 갖는 폐쇄프레임 및 환기공을 개폐시키는 부력작용부재를 가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환기공는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작용부재는 계단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공 및 상기 개폐수단의 상호 접면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적어도 복수 개의 수밀용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 환기공이 폐쇄프레임과 부력작용부재가 구비된 개폐수단으로 구성되어, 제작비 절감 및 시설 관리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환기공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수밀용 패킹이 이중으로 형성되어 환기공 폐쇄시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력작용부재가 계단형으로 형성되어 부력을 높일 수 있으며, 폐쇄시 수밀성을 함께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공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하부 개폐수단이 빗물의 수위에 따라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환기공(110)의 개폐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하부 개폐수단(200)이 유입된 빗물의 수위에 따라 폐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지하 환기구(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홍수가 일어날 때 개방된 상태로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면 그레이팅(20)보다 아래에 위치한 수직형 환기구를 갖는 지하 환기구(10)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빗물 유입시 지하 환기구(10)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지하 환기구(10)를 폐쇄시키며, 복수 개의 환기공(110)을 갖는 폐쇄프레임(100); 및 부력작용부재(210)가 폐쇄프레임(1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평상시 환기공(110)을 개방시키며, 빗물 유입시 차오르는 빗물의 부력에 의해 환기공(110)을 폐쇄시키는 개폐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폐쇄프레임(100)은 지하 환기구(10) 전체를 커버하는 것으로, 환기공(110)은 지하 환기구(10)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환기공(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봤을때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개폐수단(200)이 환기공(110) 폐쇄시 수직으로 형성된 상태에 비해 수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작용부재(210)는 개폐수단(200)의 환기공(110) 폐쇄시 외측에 위치되며, 계단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나의 면으로 형성된 것에 비하여 부력을 순차적으로 높여가며 환기공(110)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환기공(110) 및 개폐수단(200)의 상호 접면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적어도 복수 개의 수밀용 패킹(300)이 구비된다.
수밀용 패킹(300)은 환기공(110)의 테두리와 개폐수단(200)의 테두리 부위에 모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밀용 패킹을 복수 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해 수문역할을 하는 개폐수단(200)이 작동하는 것으로, 별도의 전기장치가 필요치 않으며, 이로 인한 구조의 간소화 및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
평상시에는 지하 환기구(10)와 연통된 환기공(110)이 개방되어 있으며, 환기공(110)이 구비된 폐쇄프레임(100)은 지하 환기구(10) 내부의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 그레이팅(20)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면 내부에 형성된 배수구(30)를 통해 물이 배출되며, 배수구(30)를 통한 물의 배출량 이상으로 물이 유입될 경우 내부로 물이 차오르게 된다.(상황에 따라 배수구를 폐쇄하기도 함)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형성된 개폐수단(200)이 차오르는 물의 부력에 의해 서서히 환기공(110)을 폐쇄하게 되며, 우수의 환기공(110)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우수의 양이 많아지면 상부에 형성된 개폐수단(200)도 차오르는 물의 부력에 의해 서서히 환기공(110)을 폐쇄하게 되며, 우수의 환기공(110)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환기공(110)의 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환기공(110)과 이에 대응되는 개폐수단(200)의 크기 및 형상도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폐쇄시에는 수밀용 패킹(300)에 의해 밀폐력이 향상되며, 환기공(110) 내부로의 우수차단 효과를 높이게 된다.
차오른 물이 배출될 경우 폐쇄된 개폐수단(200)은 다시 개방된 상태가 된다.
10 : 지하 환기구 20 : 그레이팅
30 : 배수구
100 : 폐쇄프레임 110 : 환기공
200 : 개폐수단 210 : 부력작용부재
300 : 수밀용 패킹

Claims (4)

  1. 지하 환기구에 설치되어 빗물 유입시 상기 지하 환기구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하 환기구를 폐쇄시키며,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두 개의 환기공을 갖는 폐쇄프레임; 및
    계단형으로 형성된 부력작용부재가 상기 폐쇄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평상시 상기 환기공를 개방시키며, 빗물 유입시 차오르는 빗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환기공를 폐쇄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폐쇄프레임은,
    어느 하나의 상기 환기공이 형성된 상부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환기공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의 하부에서 상기 환기공의 외측방향으로 평행하게 절곡된 면이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된 면과 하부로 절곡되어 다른 하나의 상기 환기공이 형성된 하부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환기공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환기공 및 상기 개폐수단의 상호 접면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는 복수 개의 수밀용 패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118960A 2013-10-07 2013-10-07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KR101382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960A KR101382174B1 (ko) 2013-10-07 2013-10-07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8960A KR101382174B1 (ko) 2013-10-07 2013-10-07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2174B1 true KR101382174B1 (ko) 2014-04-07

Family

ID=5065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8960A KR101382174B1 (ko) 2013-10-07 2013-10-07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2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5916A (zh) * 2020-01-20 2020-05-15 华侨大学 一种气墙阻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592A (ja) * 1996-11-15 1998-05-26 Nasu Denki Tekko Kk 換気孔の雨水流入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0592A (ja) * 1996-11-15 1998-05-26 Nasu Denki Tekko Kk 換気孔の雨水流入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5916A (zh) * 2020-01-20 2020-05-15 华侨大学 一种气墙阻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101B1 (ko) 지하철 환기구의 침수방지장치
KR101125007B1 (ko) 지중맨홀 배수 및 환풍 시스템에 의한 지상 지중배전 전력설비에 대한 지하 매립형 지중배전선로
KR100505057B1 (ko) 지대가 낮은 건축물 지하 주차장 우수유입 방지구조물
CN203834424U (zh) 一种地下建筑物防水浸系统
KR20150040441A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100822433B1 (ko)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KR101409265B1 (ko) 셔터식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KR101382174B1 (ko)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KR101707530B1 (ko) 차수문
CN212867066U (zh) 一种浮箱式车库防洪门
KR20120131919A (ko) 침수 방지용 구조물
CN209837238U (zh) 一种具有升降式防护挡板的排水槽
KR101707671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KR101381773B1 (ko) 오물유입방지 및 역류방지용 일체형 맨홀 커버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101400760B1 (ko) 환기구 개폐시스템
JP3105835B2 (ja) 換気口用防水装置
KR100811136B1 (ko) 건축물 단지의 지하구조물에 설치하는 빗물 차단장치
KR102161403B1 (ko) 능동형 악취 차단장치
KR100531031B1 (ko)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KR102672319B1 (ko) 배수시설용 맨홀 커버 구조체
KR101134845B1 (ko) 수문용 배수시스템
KR200420164Y1 (ko) 하수도용 덮개 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