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995B1 -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995B1
KR100873995B1 KR1020080020674A KR20080020674A KR100873995B1 KR 100873995 B1 KR100873995 B1 KR 100873995B1 KR 1020080020674 A KR1020080020674 A KR 1020080020674A KR 20080020674 A KR20080020674 A KR 20080020674A KR 100873995 B1 KR100873995 B1 KR 100873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terminal
receiving groo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장원
Original Assignee
(주)세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명이엔지 filed Critical (주)세명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020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1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plain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에 관한 것으로, 전방으로 개구된 수납홈을 갖추고, 벽면에 매설되는 케이스와; 전단이 수납홈의 입구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가 상면에 개구형성된 플러그접속부와, 플러그접속부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수납홈을 개폐하는 도어부로 이루어진 아웃렛부와; 단자삽입구에 배치되어, 플러그단자와 통전되는 아웃렛단자를 갖춘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접속부의 후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플러그의 코드가 삽탈가능하게 절개형성된 코드통과홈이 도어부에 형성되며, 플러그접속부가 수납홈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수납홈의 입구에 돌출되어 걸림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부가 수납홈의 전방으로 회전되 인출되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은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웃렛부에 고정되어, 아웃렛부를 강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과; 도어부가 벽면에 수평배치되도록 아웃렛부가 수납홈에 인입되면 돌출된 플런저가 걸림돌기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케이스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의 자력으로 이동하면서 아웃렛부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플런저으로 된 고정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의 전기공급을 제어하는 입력수단과; 플러그접속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아웃렛단자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구멍을 갖춘 측정단자가 보강된 구조로서, 플러그가 플러그접속부에 접속된 상태에서도 아웃렛부의 회전이 가능해져서, 단자삽입구로의 이물질 침투가 더욱 방지되는 한편, 플러그가 완전히 은폐되므로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플러그가 보호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Multy-Tap Type Outlet of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아웃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웃렛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시에만 플러그접속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멀티탭타입 아웃렛은, 외부 전력선으로부터 댁내로 인입되어 벽면에 매설되는 전력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접속시켜 다수의 전기기구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플러그접속부가 전면에 항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단자삽입구로 이물질이 침투하여 접속불량이 발생하거나, 아이들이 젓가락 등의 쇠붙이를 단자삽입구에 집어넣으면 쇠붙이와 아웃렛단자가 접속되어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상기 아웃렛이 욕실과 같이 물방울이 많이 튀는 장소에 설치되면, 물방울이 단자삽입구 내부로 침투하여 누전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화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 20-0284640과 같이 아웃렛부를 회전식으로 형성시켜 사용시에만 아웃렛부를 회전시켜 플러그접속부가 노출되도록 케이스에 내설하였다.
그런데, 상기 플러그가 아웃렛에 접속되면,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로 플러그접속부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여전히 이물질 및 물방울이 플러그접속부에 침투되어 누전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화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회전식 아웃렛을 포함한 종래의 아웃렛은,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므로, 접속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플러그단자의 휨이 발생된다.
다시 말해, 상기 플러그단자에 휨이 발생하면, 아웃렛단자로부터의 탈착도 어려울 뿐더러 원상태로 복구시키는 것도 어려웠다.
또한, 휨이 발생한 플러그단자는, 아웃렛단자에 재접속되면, 접속면이 고르지 못해 일부에 접촉저항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접속면에 고열이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을 내포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아웃렛에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로 아웃렛부를 회전시켜, 단자삽입구 및 플러그가 은폐되는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으로 개구된 수납홈을 갖추고, 벽면에 매설되는 케이스와; 전단이 수납홈의 입구에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가 상면에 개구형성된 플러그접속부와, 플러그접속부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수납홈을 개폐하는 도어부로 이루어진 아웃렛부와; 단자삽입구에 배치되어, 플러그단자와 통전되는 아웃렛단자를 갖춘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접속부의 후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플러그의 코드가 삽탈가능하게 절개형성된 코드통과홈이 도어부에 형성되며, 플러그접속부가 수납홈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수납홈의 입구에 돌출되어 걸림돌기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부가 수납홈의 전방으로 회전되 인출되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단은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웃렛부에 고정되어, 아웃렛부를 강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과; 도어부가 벽면에 수평배치되도록 아웃렛부가 수납홈에 인입되면 돌출된 플런저가 걸림돌기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케이스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와; 솔레노이드의 자력으로 이동하면서 아웃렛부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걸림돌기와 맞물리는 플런저으로 된 고정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의 전기공급을 제어하는 입력수단과; 플러그접속부의 상면에 설치되며, 아웃렛단자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구멍을 갖춘 측정단자가 보강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플러그가 플러그접속부에 접속된 상태에서도 아웃렛부의 회전이 가능해져서, 단자삽입구로의 이물질 침투가 더욱 방지되는 한편, 플러그가 완전히 은폐되므로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플러그가 보호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은, 케이스(100), 아웃렛부(200), 아웃렛단자(300), 토션스프링(400), 고정수단(500), 입력수단(600) 및 측정단자(7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100)는, 전방으로 개구된 수납홈(110)을 갖추고, 벽면(W)에 수납홈(110)이 노출되도록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110)의 입구에는 스토퍼(111)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수납홈(110)의 하단에는, 아웃렛부(200)가 수납홈(110)에 안착되면 전력선(L)이 수납되는 전력선수납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아웃렛부(200)는, 플러그(P)가 접속되는 플러그접속부(220)와 플러그접속부(220)에 직각으로 연결형성되는 도어부(230)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을 이루고서, 회전축(210)을 매개로 수납홈(110)의 입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접속부(220)는, 전단이 수납홈(110)의 입구에 회전축(21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단자(P1)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221)가 상면에 개구형성되며, 전력선(L)이 수납되는 전력선수납홈(2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부(230)는, 도어부(230)의 일부에서 상방으로 관통되는 코드통과홈(231)이 형성되어, 코드(C)가 코드통과홈(231)을 관통하여, 코드(C)에 의해 간섭없이 회전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아웃렛에 플러그(P)가 접속되면, 코드통과홈(231)을 통과해 코드(C)만 외부로 노출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코드통과홈(231)은, 도어부(230)의 일부에서 상방으로 수직형성되었지만, 측방으로 수평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아웃렛부(2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수납홈(110)외로 인출되면, 스토퍼(111)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이 되지 않도록, 플러그접속부(220)의 후단에는 걸림돌기(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렛단자(300)는, 플러그단자(P1)가 단자삽입구(221)에 삽입되면 통전되도록 단자삽입구(221)의 하방에 배치되어 아웃렛부(200)에 내설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아웃렛단자(300)는, 가요성재질의 전도체로 형성되어 플러그 단자(P1)가 삽입되면 플러그단자(P1)를 조이면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일단은 케이스(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웃렛부(200)에 고정되어, 아웃렛부(200)가 수납홈(110)의 전방으로 항시 회전되 인출되도록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아웃렛부(200)를 강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500)은, 솔레노이드(510)와 플런저(5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510)란, 일반적으로 스위치나 계전기와 같은 여러가지 기구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선을 나선형으로 촘촘하고 균일하게 원통형으로 길게 감아 만들어서 전류를 흘리면 원통의 외부에서는 자기장이 거의 0이고 내부에는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수납홈(110)에 수평배치된 플러그접속부(220)의 후방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상기 솔레노이드(510)는 도어부(230)가 벽면(W)에 수평배치되도록 아웃렛부(200)가 수납홈(110)에 인입되면, 돌출된 플런저(520)가 걸림돌기(222)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00)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520)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철심이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510)에 자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플런저(520)는 걸림돌기(222)에 맞물리도록 이의 상방에 배치되어 아웃렛부(200)의 회전을 저지하고, 솔레노이드(510)에 자력이 발생되면 플런저(520)는 솔레노이드(510)의 내부로 끌어 당겨져서 아웃렛부(200)는 토션스프링(400)에 의해 회전되어 수납홈(110)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600)은, 푸쉬스위치가 적용되어 한번 눌리면 접점이 눌려 통전되고, 다시 한번 눌리면 접점이 떨어져서 단전되도록 솔레노이드(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수단(600)을 조작하여 접점의 접속여부에 따라 통전되거나 단전되어 솔레노이드(510)로의 전력의 공급여부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600)은, 푸쉬스위치 뿐만 아니라 텀블러스위치등 조작을 통해 접점이 붙었다 떨어지는 방식의 다양한 스 위치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측정단자(700)는, 아웃렛단자(300)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구멍(710,720)을 갖추고서 플러그접속부(220)의 상면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한 쌍의 단자구멍(710,720)에는 아웃렛단자(300)와 연결되는 전력선(L)에 또 다른 전력선(미인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전체(미인출)가 내삽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전압계나 멀티미터 등과 같은 전압 또는 전류의 측정이 가능한 공지의 측정장치의 프로브를 단자구멍(710,720)내의 도전체에 각각 접속하면 통전여부를 통해 단선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의 작용을 순차적으로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이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아웃렛부(200)는, 도어부(230)가 전방에 배치되어 수납홈(110)을 폐쇄하고, 플런저(520)에 걸림돌기(222)가 걸려 회전이 저지되지만, 항시 전방으로 회전되어 인출가능하도록 수납홈(110)에 설치된다(도 2).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입력수단(600)을 한번 누르면, 눌려진 동안 전류가 흐르게 되어 플런저(520)는 솔레노이드(5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222)가 플런저(520)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아웃렛부(200)는 토션스프링(400)의 탄성에 의해 회전되다가, 스토퍼(111)에 걸림돌기(222)가 맞물려서 회전이 저지되면서, 플러그접속부(220)가 전방으로 노출되고, 입력수단(600)을 다시 한번 눌러 플런저(520)를 솔레노이드(510) 외부로 노출시킨다(도 3).
상기 플러그접속부(220)가 전방으로 노출되면, 플러그단자(P1)를 단자삽입구(221)에 맞추어 삽입한다. 상기 단자삽입구(221)에 플러그단자(P1)가 삽입되면, 플러그단자(P1)와 아웃렛단자(300)가 접속되어 해당 전기기구로 전력이 공급된다(도 4).
마지막으로, 상기 플러그(P)가 아웃렛에 접속되면, 해당 전기기구의 코드(C)를 코드통과홈(231)에 배치한 뒤, 입력수단(600)을 다시 눌러 플런저(520)를 솔레노이드(510)에 삽입하고, 도어부(230)를 밀어 회전시켜 아웃렛부(200)를 수납홈(110)에 원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입력수단(600)을 다시 누르면, 솔레노이드(510)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아 플런저(520)은 돌출되어 걸림돌기(22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아웃렛부(200)의 회전이 저지된다(도 5).
한편, 상기 아웃렛에 연결된 정상상태의 전기기구에 전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력선(L)이 단선되거나 또는 아웃렛단자(300)와 전력선(L)의 접속불량인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은, 상기 케이스(100) 또는 아웃렛부(200)에 측정단자(700)가 노출되게 설치되므로 전력이 비정상적으로 공급될 경우엔 측정장치의 프로브를 측정단자(700)에 연결하여 측정장치로 전력선(L)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력선(L)의 단선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은, 도어부(230)에 코드통과홈(231)이 형성되어 코드(C)가 코드통과홈(231)을 통과하도록 설치되므로, 플러 그(P)가 접속된 상태에서도 아웃렛부(200)를 회전시켜 수납홈(110)에 안착시킬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접속부(220) 및 플러그접속부(220)에 접속된 플러그(P)를 은폐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단자삽입구(221)로의 이물질 침투를 더욱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은, 아웃렛에 플러그(P)가 접속된 상태에서도 회전되므로, 플러그(P)가 완전히 은폐되어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플러그(P)에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플러그(P)가 보호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은, 수납홈(110) 및 플러그접속부(220)에 전력선수납홈(112,223)이 더욱 형성되어, 아웃렛부(200)가 수납홈(110)에 안착되면, 전력선(L)은 전력선수납홈(112,223)에 안착되므로 아웃렛부(200)의 회전에 전력선(L)이 영향을 미치지 않아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은, 측정단자(700)가 설치되어, 아웃렛이 정상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 전력선(L)의 단선인지, 아웃렛단자(300)의 접속불량인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신속한 수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의 개략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케이스, 110:수납홈,
111:스토퍼, 112:전력선수납홈,
200:아웃렛부, 210:회전축,
220:플러그접속부, 221:단자삽입구,
222:걸림돌기, 223: 전력선수납홈,
230:도어부, 231:코드통과홈,
300:아웃렛단자,
400:토션스프링, 500:고정수단,
510:솔레노이드, 520:플런저,
600:입력수단, 700:측정단자,
710,720:단자구멍, C:코드,
L:전력선, P:플러그,
P1:플러그단자, W:벽면.

Claims (1)

  1. 전방으로 개구된 수납홈(110)을 갖추고, 벽면(W)에 매설되는 케이스(100)와; 전단이 수납홈(110)의 입구에 회전축(210)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플러그단자(P1)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구(221)가 상면에 개구형성된 플러그접속부(220)와, 플러그접속부(220)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수납홈(110)을 개폐하는 도어부(230)로 이루어진 아웃렛부(200)와; 단자삽입구(221)에 배치되어, 플러그단자(P1)와 통전되는 아웃렛단자(300)를 갖춘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접속부(220)의 후단에 걸림돌기(222)가 형성되고, 플러그(P)의 코드(C)가 삽탈가능하게 절개형성된 코드통과홈(231)이 도어부(230)에 형성되며, 플러그접속부(220)가 수납홈(1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수납홈(110)의 입구에 돌출되어 걸림돌기(222)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토퍼(111)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렛부(200)가 수납홈(110)의 전방으로 회전되 인출되도록,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일단은 케이스(100)에 고정되고 타단은 아웃렛부(200)에 고정되어, 아웃렛부(200)를 강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400)과; 도어부(230)가 벽면(W)에 수평배치되도록 아웃렛부(200)가 수납홈(110)에 인입되면 돌출된 플런저(520)가 걸림돌기(222)의 상방에 배치되도록 케이스(100)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510)와, 솔레노이드(510)의 자력으로 이동하면서 아웃렛부(200)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걸림돌기(222)와 맞물리는 플런저(520)로 된 고정수단(500)과; 케이스(100)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510)의 전기공급을 제어하는 입력수단(600)과; 플러그접속부(220)의 상면에 설치되며, 아웃렛단자(300)와 전기적으로 병렬연결되는 한 쌍의 단자구멍(710,720)을 갖춘 측정단자(7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KR1020080020674A 2008-03-05 2008-03-05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KR10087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674A KR100873995B1 (ko) 2008-03-05 2008-03-05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674A KR100873995B1 (ko) 2008-03-05 2008-03-05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995B1 true KR100873995B1 (ko) 2008-12-17

Family

ID=4037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674A KR100873995B1 (ko) 2008-03-05 2008-03-05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9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508Y1 (ko) 2000-03-31 2000-10-02 박순학 절전용 콘센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508Y1 (ko) 2000-03-31 2000-10-02 박순학 절전용 콘센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1680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US7009473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JP6291047B2 (ja) 電気器具および電気アセンブリ
US9214309B2 (en) Two-pole circuit breaker with trip bar apparatus and methods
TWI593201B (zh) 配線器具
KR101066902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퓨즈 내설형 전원박스
KR100859170B1 (ko) 공동주택의 감전방지형 콘센트박스
KR100859169B1 (ko) 공동주택의 인입선 보호형 콘센트
KR100960146B1 (ko) 공동주택의 가전기기 구동용 전기공급식 멀티탭
KR100873995B1 (ko) 공동주택의 멀티탭타입 아웃렛
KR100859166B1 (ko) 공동주택의 플러그단자 보호용 콘센트박스
KR101217322B1 (ko) 전원 접속기구
KR100858974B1 (ko) 전기구의 플러그접속을 위한 실내 콘센트박스
KR100858973B1 (ko) 공동주택의 플러그보호용 콘센트박스
KR100859168B1 (ko) 공동주택의 실내전기공급용 소켓
KR100874000B1 (ko) 공동주택 내설용전선 아웃렛박스
KR100867211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아웃렛구조
KR100857569B1 (ko) 공동주택의 전기구 전원공급라인 수용대
KR100873991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내 콘센트
KR100859859B1 (ko) 공동주택 설치용 멀티타입 콘센트
KR100858485B1 (ko) 다세대주택의 벽면매설형 콘센트박스
KR100857550B1 (ko) 공동주택의 안전사고 방지용 매설형 콘센트
DE102011081950B4 (de) Haushaltsgerät mit einer elektrischen Schutzvorrichtung
KR100860855B1 (ko) 플러그 접속위치 확인이 가능한 공동주택용 콘센트
KR100860856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형 아웃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