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700Y1 - 적층 플러그 - Google Patents

적층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700Y1
KR200171700Y1 KR2019990016660U KR19990016660U KR200171700Y1 KR 200171700 Y1 KR200171700 Y1 KR 200171700Y1 KR 2019990016660 U KR2019990016660 U KR 2019990016660U KR 19990016660 U KR19990016660 U KR 19990016660U KR 200171700 Y1 KR200171700 Y1 KR 200171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terminal
outlet
plug terminal
low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호욱
Original Assignee
허호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호욱 filed Critical 허호욱
Priority to KR2019990016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7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6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mounted on directly pluggable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기기등에서 콘센트에 끼워 전원을 전기 기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플러그를 적층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공간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층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비교적 부피가 큰 멀티 콘센트를 벽에 설치된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지 않고도, 벽에 설치된 2구 콘센트등에서 다수의 전기 기기용 전원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적층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 커버(2)와 하부 베이스(3)로 이루어진 하우징(4)과, 상기한 하부 베이스(3)에 설치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된 플러그 단자(5)와, 상기한 상부 커버(2)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플러그 단자(5) 위치에 형성되어 다른 플러그 단자(5)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관통공(6)과, 상기한 관통공(6)으로 다른 플러그 단자(5)가 삽입될 때 플러그 단자(5)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전선(W)을 통해 전기 기기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접속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 플러그{The multi-layer plug}
본 고안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기기등에서 콘센트에 끼워 전원을 전기 기기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플러그를 적층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공간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적층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등과 같은 주택 또는 사무실등에서는 가전 기기 또는 사무용 기기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벽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가전 기기 또는 사무용 기기등에서 소정 길이의 전선을 통해 인출된 플러그를 상기한 콘센트에 결합시켜 가전 기기 또는 사무용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일반적인 플러그는 일측으로 전선이 삽입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상기한 전선과 연결된 플러그 단자가 돌출되도록 사출물로 일체 형성된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플러그의 본체와 전선이 분리 형성되어, 상기한 전선과 플러그를 간헐 결합/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형 플러그도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플러그는, 통상적으로 벽에 설치된 콘센트가 2구 콘센트이기 때문에, 하나의 콘센트에 2개의 전기 제품(가전 기기, 사무용 기기등)만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가정등에서는 각 방 및 거실에 하나씩 콘센트를 설치하게 되는 바, 실질적으로 하나의 방 또는 거실에 2개 이상의 전기 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한 콘센트에, 별도의 3구 또는 4구 멀티 콘센트를 끼워 사용하게 된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콘센트(50)에 2개 이상의 전기 기기(A, B) 플러그(52)를 사용하려고 하면, 상기한 콘센트(50)에 별도의 멀티 콘센트(51)를 꽂은 후 여기에 전기 기기(A, B)를 다수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콘센트에서 다수대의 전기 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멀티 콘센트등을 벽에 내장 설치된 콘센트에 끼워 사용하게 되면, 상기한 콘센트에 멀티 콘센트 및 플러그를 꽂는 것이 불편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멀티 콘센트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콘센트 위치에 가구등을 위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비교적 좁은 방에서 상기한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게 되면, 벽에 밀착되는 가구등을 정위치에 배치할 수 없게 됨으로써, 방안의 가구 배치등이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교적 부피가 큰 멀티 콘센트를 벽에 설치된 콘센트에 꽂아 사용하지 않고도, 벽에 설치된 2구 콘센트등에서 다수의 전기 기기용 전원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적층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 커버와 하부 베이스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한 하부 베이스에 설치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된 플러그 단자와, 상기한 상부 커버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플러그 단자 위치에 형성되어 다른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한 관통공으로 다른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때 플러그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전선을 통해 전기 기기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접속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상부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하부 베이스의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전선과 플러그 단자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적층 플러그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일반적인 플러그에 멀티 콘센트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나사 2: 상부 커버
3: 하부 베이스 4: 하우징
5, 5': 플러그 단자 6: 관통공
7: 끼움공 8: 플랜지
9: 보스 10: 접속 단자
11: 고정부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적층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와 상부 커버를 제거한 하부 베이스 사시도와 도2에서 전선과 플러그 단자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나사(1)로 결합되는 상부 커버(2)와 하부 베이스(3)로 이루어진 하우징(4)과, 상기한 하부 베이스(3)에 설치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된 플러그 단자(5)와, 상기한 상부 커버(2)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플러그 단자(5) 위치에 형성되어 다른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관통공(6)과, 상기한 관통공(6)으로 다른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때 플러그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전선(W)을 통해 전기 기기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접속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접속 수단은 상기한 플러그 단자(5)의 상단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끼움공(7)과, 상기한 하부 베이스(3)에 상기한 플러그 단자(5)가 끼워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플러그 단자(5)의 상단 플랜지(8)가 걸리도록 형성된 보스(9)와, 상기한 상단 플랜지(8)와 보스(9)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선(W)이 연결되어 플러그 단자(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 단자(10)와, 상기한 플러그 단자(5, 5')의 상단 플랜지(8)를 상부에서 압박하도록 형성되고 플러그 단자(5, 5')의 중앙이 차단되지 않도록 상부 커버(2)의 관통공(6) 내주면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부(11)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관통공(6)으로 다른 적층 플러그의 단자(5')가 끼워지면 중공 형상인 고정부(11)를 통과하여 상기한 플랜지(8)의 끼움공(7)에 플러그 단자(5, 5')가 결합되는 바, 플러그 단자(5, 5')끼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상부 커버(2)와 하부 베이스(3)를 사용하지 않고 플러그의 외부로 일반적인 플러그와 같이 사출된 형태로 제작하여도 그 효과는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적층 플러그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하부 베이스(3)의 보스(9)에 접속 단자(10)를 안착시킨 후 상기한 플러그 단자(5, 5')를 삽입시키고, 상기한 플러그 단자(5, 5')의 상단 플랜지(8)가 보스(9)의 상면에 걸리도록 한다.
플러그 단자(5, 5')가 보스(9)에 끼워져 걸려 있게 되면, 상기한 플러그 단자(5, 5')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한 접속 단자(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는 바, 이 상태에서 상기한 상부 커버(3)를 하부 베이스(4)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부 커버(3)와 하부 베이스(4)가 결합되면 이를 나사(1)로 고성하여 하나의 플러그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작된 적층 플러그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다른 전기 기기를 사용하려고 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플러그 상면에 다른 플러그를 끼우게 된다.
즉, 콘센트(50)에 하나의 플러그가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면에 다른 플러그를 끼우게 되는 바, 상기한 플러그가 콘센트(50)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플러그의 상부 커버(3)에 형성된 관통공(6)에 다른 플러그의 단자(5')를 삽입시키게 된다.
다른 플러그 단자(5')를 관통공(6)에 끼우게 되면, 관통공(6)의 내면 외주에서 연장된 고정부(11)를 통과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고정부(11)의 하단이 압박하고 있는 플러그 단자(5)의 상단에 형성된 끼움공(7)에 끼워지게 된다.
즉, 상기한 하나의 플러그 단자에 형성된 끼움공(7)에 다른 플러그 단자(5')가 끼워지면 2개의 적층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플러그 단자(5, 5')의 끼움공(7)에 다른 플러그 단자(5, 5')가 끼워질 때 서로 압입됨으로써, 외부에서 임의로 분리시키기 전에는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2개의 적층 플러그가 서로 적층된 상태가 되면, 각각의 접속 단자(10)를 통해 전기 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는 바, 이를 연속적으로 적층하게 되면 비교적 작은 공간을 사용하면서도, 다수의 전기 기기를 하나의 콘센트(50)로부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하나의 콘센트에서 여러개의 전기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부피가 큰 멀티 콘센트(51)를 사용하지 않게 됨으로써, 벽에 가구등을 밀착시켜 배열할 때 간섭되지 않게 되어 자유도가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플러그 면적만으로 다수의 플러그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하나의 콘센트에 다수의 플러그를 사용하면서도 비교적 작은 부피만을 점유하도록 하여 플러그 및 콘센트의 사용이 용이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부 커버와 하부 베이스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한 하부 베이스에 설치됨과 아울러 외부로 돌출된 플러그 단자와, 상기한 상부 커버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플러그 단자 위치에 형성되어 다른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한 관통공으로 다른 플러그 단자가 삽입될 때 플러그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전선을 통해 전기 기기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접속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속 수단은 상기한 플러그 단자의 상단부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한 하부 베이스에 상기한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플러그 단자의 상단 플랜지가 걸리도록 형성된 보스와, 상기한 상단 플랜지와 보스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선이 연결되어 플러그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 단자와, 상기한 플러그 단자의 상단 플랜지를 상부에서 압박하도록 형성되고 플러그 단자의 중앙이 차단되지 않도록 상부 커버의 관통공 내주면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플러그.
KR2019990016660U 1999-08-13 1999-08-13 적층 플러그 KR200171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60U KR200171700Y1 (ko) 1999-08-13 1999-08-13 적층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60U KR200171700Y1 (ko) 1999-08-13 1999-08-13 적층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700Y1 true KR200171700Y1 (ko) 2000-03-15

Family

ID=1958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660U KR200171700Y1 (ko) 1999-08-13 1999-08-13 적층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7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040A (ko) * 2002-09-17 2004-03-27 주식회사 심스밸리 잭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040A (ko) * 2002-09-17 2004-03-27 주식회사 심스밸리 잭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0843B1 (en) Wall mounted power supply device
CA2312440A1 (en) Universal power cord connection assembly for an appliance
US6386921B1 (en) AC offset plug adaptor
US6619980B1 (en) Deformable enclosure for a multi-hole socket to partially conceal electrical wires connected to the socket so as to enhance overall appearance of the socket
US8702447B2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KR100615879B1 (ko) 탈착 가능한 꼬임방지 소켓과 이를 구비한 전자제품
KR200171700Y1 (ko) 적층 플러그
CN108448823B (zh) 一种泵机组
KR200152521Y1 (ko) 분리 가능한 멀티 콘센트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KR200340010Y1 (ko) 콘센트 설비 장치
JPS5939424Y2 (ja) 電気機器の接続装置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EP1330858B1 (en) Electrical accessory
KR200454899Y1 (ko) 스위치 콘센트의 램프 어셈블리 접속구조
JP3058433U (ja) 差し込みプラグ装置
KR200270384Y1 (ko) 플러그 일체형 다중콘센트
KR19980039976U (ko) 콘센트가 내장된 텔레비젼 수상기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200239689Y1 (ko) 스위치가 있는 벽 내장형 콘센트
KR200256164Y1 (ko) 전화기용 콘센트
KR200342736Y1 (ko) 콘센트
KR200213239Y1 (ko) 오목형의 벽붙이형 콘센트
KR200326549Y1 (ko) 휴즈 커넥터
JP3082274U (ja) 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