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186Y1 -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186Y1
KR200283186Y1 KR2020020013222U KR20020013222U KR200283186Y1 KR 200283186 Y1 KR200283186 Y1 KR 200283186Y1 KR 2020020013222 U KR2020020013222 U KR 2020020013222U KR 20020013222 U KR20020013222 U KR 20020013222U KR 200283186 Y1 KR200283186 Y1 KR 200283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hole
cover
rotated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덕
Original Assignee
박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덕 filed Critical 박영덕
Priority to KR2020020013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186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연결할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도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매립형 콘센트는 일측에 플러그삽입공과 걸림홈이 형성된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가 내장되고 그 일측이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 연결공이 형성된 구형상인 회전커버부와 상기 회전커버부의 일측이 돌출되는 회전공을 형성한 외측커버와 상기 회전커버부가 내장되는 수용공간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에는 상기 회전커버부의 일측이 고정,회전되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판이 형성된 수용케이스로 구성되게 형성됨으로써, 거실 및 실내에 가구배치시 제약을 받지않으면서도 불필요한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지 안아서 거실 및 실내의 미관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a rotary outlet}
본 고안은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연결할 수 없는 좁은 공간에서도 상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집 밖의 전기를 연결하여 일반 가정에서 전기기구를 사용하기 위하여 벽에 설치된 매립형 콘센트와 한번에 여러개의 전자 제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콘센트가 형성된 멀티 콘센트로 나누어진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멀티 콘센트의 플러그를 상기 매립형 콘센트에 연결하고, 주방이나 실내의 사용되는 다수의 전자제품 플러그는 상기 멀티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거실이나 실내에 가구를 설치할 때에 종종 그 뒷면에 상기 매립형 콘센트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콘센트에 멀티 콘센트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는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가구를 재배치해야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를 재배치하지 않으려면 다른 매립형 콘센트에 상기 멀티 콘센트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됨으로써, 상기의 작업이 번거로우면서 방이나 거실에 늘어진 멀티 콘센트의 전선으로 인하여 방이나 거실의 미관이 지저분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래의 매립형 콘센트에 플러그를 연결할 수 없는 좁은 공간에도 콘센트를회전하여 상기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매립형 콘센트는 일측에 플러그삽입공과 걸림홈이 형성된 콘센트본체와 상기 콘센트본체가 내장되고 그 일측이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공이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 연결공이 형성된 구형상인 회전커버부와 상기 회전커버부의 일측이 돌출되는 회전공을 형성한 외측커버와 상기 회전커버부가 내장되는 수용공간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에는 상기 회전커버부의 일측이 고정, 회전되는 고정공을 형성한 고정판이 형성된 수용케이스로 구성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1 : 콘센트본체 11 : 플러그삽입공
12 : 걸림홈
2 : 회전커버부
21 : 제 1콘센트커버
21a : 설치공 21b : 돌기편
22 : 제 2콘센트커버
22a : 연결공 22b : 체결홈
3 : 수용케이스
31 : 고정판 31a : 고정공
32 : 수용공간부
4 : 외측커버 41 : 회전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매립형 콘센트(100)는 콘센트본체(1)를 내부에 삽입한 회전커버부(2)가 수용케이스(3)의 내부에 내장되고, 외측커버(4)가 상기 회전커버부(2)의 일부분이 돌출되게 상기 수용케이스(3)에 스크류로 탈, 부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콘센트본체(1)는 사각면체로 형성되고, 전면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삽입공(11)이 두개가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본체(1)의 선단부 양측으로 걸림홈(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회전커버부(2)는 제 1콘센트커버(21)와 제 2콘센트커버(22)가 조립되어 하나의 구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콘센트커버(21)의 절단면에 다수의돌기편(21b)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콘센트커버(22)의 절단면에는 상기 돌기편(21b)이 삽입되는 체결홈(22b)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콘센트커버(21)의 전방에는 상기 콘센트본체(1)의 전면 일부가 돌출되는 설치공(21a)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콘센트커버(22)의 후방에는 상기 콘센트본체(1)에 연결된 전선이 돌출되는 연결공(22a)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케이스(3)는 상기 회전커버부(2)가 내장될 수 있는 수용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32)에는 고정공(31a)이 형성된 고정판(3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공(31a)은 상기 제 2콘센트커버(22) 후방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외측커버(4)는 상기 수용케이스(3)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케이스(3)에 스크류로 탈, 부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외측커버(4)의 중앙에는 회전공(4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41)은 상기 제 1콘센트커버(21)의 설치공(21a)이 돌출되어 회전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삽입공(11)이 형성된 상기 콘센트본체(1)를 상기 설치공(21a)에 삽입하면 상기 걸림홈(12)이 상기 제 1콘센트커버(21)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플러그삽입공(11)이 상기 제 1콘센트커버(21)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콘센트본체(1)에 연결된 전선은 상기 연결공(22a)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돌기편(21b)에 상기 체결홈(22b)을 삽입하면 상기 콘센트본체(1)의 후단면이 상기 제 2콘센트커버(22)의 내측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회전커버부(2)의 내부에 상기콘센트본체(1)가 돌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커버부(2)의 후방 일부분이 상기 고정공(31a)에 돌출되게 고정되고, 상기 회전공(41)에 상기 콘센트본체(1)가 돌출되게 상기 외측커버(4)가 상기 수용케이스(3)의 개방된 곳을 스크류로 커버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커버부(2)는 상기 외측커버(4)에 돌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커버부(2)의 전, 후방이 상기 회전공(41)과 상기 고정공(31a)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콘센트본체(1)가 상기 회전커버부(2)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플러그삽입공(11)이 회전되는 도중에 상기 수용공간부(32)내로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립형 콘센트에 플러그(200)가 연결되지 않는 공간에서는 상기 회전커버부(2)를 측면으로 회전시키어 상기 플러그(200)를 상기 플러그삽입공(11)에 연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콘센트에 수직으로만 연결할 수 있었지만 본 고안은 측면으로 상기 콘센트본체(1)를 회전시키어 상기 플러그(200)를 수직이 아닌 기울어진 수평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삽입공(11)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형상인 회전커버부에 콘센트본체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커버부는 수용케이스에 내장되며, 외측커버는 상기 수용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커버부가 회전될 수 있게 형성되어 플러그가 매립형콘센트에 연결시킬 수 없는 공간에서도 상기 플러그가 상기 콘센트본체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연결됨으로써, 거실 및 실내에 가구배치시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도 불필요한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아서 거실 및 실내의 미관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매립형 콘센트(100)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콘센트(100)는 일측에 플러그삽입공(11)과 걸림홈(12)이 형성된 콘센트본체(1)와;
    상기 콘센트본체(1)가 내장되고 그 일측이 돌출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공(21a)이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 연결공(22a)이 형성된 구형상인 회전커버부(2)와;
    상기 회전커버부(2)의 일측이 돌출되는 회전공(41)을 형성한 외측커버(4)와;
    상기 회전커버부(2)가 내장되는 수용공간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부(32)에는 상기 회전커버부(2)의 일측이 고정, 회전되는 고정공(31a)을 형성한 고정판(31)이 형성된 수용케이스(3)로 구성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KR2020020013222U 2002-04-30 2002-04-30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KR200283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222U KR200283186Y1 (ko) 2002-04-30 2002-04-30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222U KR200283186Y1 (ko) 2002-04-30 2002-04-30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186Y1 true KR200283186Y1 (ko) 2002-07-26

Family

ID=7308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222U KR200283186Y1 (ko) 2002-04-30 2002-04-30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18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671B1 (ko) 2008-01-25 2008-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101641667B1 (ko) * 2015-09-21 2016-07-21 이광흠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박스
KR101733995B1 (ko) * 2015-09-23 2017-05-10 김동휘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KR102398983B1 (ko) * 2021-11-05 2022-05-18 주식회사 정우디씨 공동주택용 매립형 방향 조절 콘센트
WO2023101076A1 (ko) * 2021-12-03 2023-06-08 권창훈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설치용 매립콘센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671B1 (ko) 2008-01-25 2008-04-29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101641667B1 (ko) * 2015-09-21 2016-07-21 이광흠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박스
KR101733995B1 (ko) * 2015-09-23 2017-05-10 김동휘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KR102398983B1 (ko) * 2021-11-05 2022-05-18 주식회사 정우디씨 공동주택용 매립형 방향 조절 콘센트
WO2023101076A1 (ko) * 2021-12-03 2023-06-08 권창훈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설치용 매립콘센트
KR20230083706A (ko) * 2021-12-03 2023-06-12 권창훈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설치용 매립콘센트
KR102644915B1 (ko) 2021-12-03 2024-03-06 권창훈 이동단말기 충전이 가능한 데스크설치용 매립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501481A (ja) 電気プラグ組立品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200283186Y1 (ko)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US5699320A (en) Socket set with a timer
KR200398891Y1 (ko) 회동식 접속부를 갖는 안전 콘센트
KR200485071Y1 (ko) 조립식 멀티 콘센트 박스
CA2481608A1 (en) Rotatable plug assembly including an extra outlet
KR20150120707A (ko) 물침투 방지 신발
KR20130001418A (ko)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JP3213750U (ja) 延長コードの装置
KR102289509B1 (ko) 회동 가능한 매립형 멀티콘센트
RU2817299C2 (ru) Штепсельная розетка
KR200313692Y1 (ko) 매입형 4구 콘센트의 접지구조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200392571Y1 (ko) 코너용 멀티 콘센트기구
JP3099773U (ja) レセプタクルカバー装置
KR102289511B1 (ko) 회동 가능한 매립형 멀티콘센트
KR101398447B1 (ko) 매립형 콘센트 박스
KR200270384Y1 (ko) 플러그 일체형 다중콘센트
JPS5939424Y2 (ja) 電気機器の接続装置
KR100477530B1 (ko) 면광원이 구비된 안전형 전원 콘센트 장치
JP2599723Y2 (ja) Oa用コンセント装置
JP3019882B2 (ja) コード付テーブルタップ
KR20050091207A (ko) 절전형 콘센트와 절전형 멀티 콘센트
KR200171700Y1 (ko) 적층 플러그
KR20220001561U (ko) 다각도로 플러그 연결이 가능한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