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418A -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418A
KR20130001418A KR1020110062147A KR20110062147A KR20130001418A KR 20130001418 A KR20130001418 A KR 20130001418A KR 1020110062147 A KR1020110062147 A KR 1020110062147A KR 20110062147 A KR20110062147 A KR 20110062147A KR 20130001418 A KR20130001418 A KR 20130001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outlet body
plug
axial direc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철
Original Assignee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1418A/ko
Publication of KR2013000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2Means for accommodating flexible lead within the hol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에 멀티콘센트를 설치하되 플러그를 꽂을 때는 플러그부분이 테이블의 상부 혹은 측부를 향하고, 플러그를 꽂은 후 사용중에는 플러그부분이 수납부에 수납되어 테이블 상부면 혹은 측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플러그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외관이 우수한 테이블 설치형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Electrical outlet}
본 발명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를 테이블에 설치하더라도 사용중 테이블의 상부로 플러그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외관이 우수할 뿐 아니라 플러그와 연결된 전선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전제품의 증가로 인하여 각 가정에서는 다수개의 가전제품이 사용되고 있어서 이러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꽂기 위한 콘센트 또한 다수개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통상 건축물의 시공시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를 벽면에 설치하고 있어서 위치 및 갯수가 제한되므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원하는 곳에서 꽂고 원하는 다수개의 가전제품을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벽면설치형 콘센트로부터 연장되는 멀티콘센트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콘센트의 경우 통상 전선의 일단에 설치된 플러그를 통해서 벽면설치형 콘센트와 접속되어 바닥면에 위치되므로, 공간의 인테리어 등을 고려하여 통상 잘 보이지 않는 구석이나 가구 밑에 주로 위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서 멀티콘센트에 손이 잘 닿지 않고 배선이 바닥에 어지럽게 널려있게 되므로 청소가 용이하지 않아서 멀티콘센트에 먼지가 쌓이게 되고 이러한 먼지로 인하여 누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최근 가정과 사무실 등 컴퓨터와 주변기기가 없는 공간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책상 위에 배치한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등의 각종 주변기기를 바닥에 위치되는 멀티콘센트에 꽂을 경우, 일부 제품은 전원플러그의 길이가 짧아서 멀티콘센트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멀티콘센트에 또 다른 멀티콘센트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러한 멀티콘센트가 바닥에 놓이게 되므로, 청소과정에서 멀티콘센트에 물이 닿아서 누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멀티콘센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공개특허 10-2009-0071028호에서는 책상에 멀티콘센트를 설치형으로 설치하여 터치에 의하여 멀티콘센트가 책상의 상판상으로 돌출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10-0858973호에서는 벽면에 원터치방식으로 멀티콘센트가 삽입 혹은 돌출되도록 구성한 기술이 공개되어있다.
그러나, 상기한 공개특허 10-2009-0071028호에서는 멀티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은 상태에서는 책상위로 콘센트와 플러그 모두가 노출되어 책상의 사용에 불편이 따르고, 등록특허 10-0858973호에서도 벽면에 전기선이 노출되고 이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책상위의 가전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멀티콘센트가 필요한 상황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에 멀티콘센트를 설치하되 플러그를 꽂을 때는 플러그부분이 테이블의 상부 혹은 측부를 향하고, 플러그를 꽂은 후 사용중에는 플러그부분이 수납부에 수납되어 테이블 상부면 혹은 측부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플러그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외관이 우수한 테이블 설치형 멀티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축방향을 따라 다수개 콘센트가 형성된 콘센트바디와, 상기 콘센트 바디의 축방향 양 단부가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콘센트바디의 일면에 플러그가 꽂히도록 하면서 플러그가 꽂힌 상태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콘센트바디의 회전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콘센트바디는 테이블의 상판 저면에 콘센트바디의 임의의 일면이 측부를 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바디의 콘센트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축방향을 따라 평면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일면이 평면형으로 구성된 콘센트바디가 설치된 고정프레임은 콘센트바디의 평면이 테이블의 상부면과 일치하도록 테이블에 일체로 매립설치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바디에는 USB커넥터가 콘센트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각종 전자기기를 USB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테이블위에 설치된 콘센트에 꽂히게 되므로 전선의 길이가 길지 않아도 되고, 여분의 전선은 수납부에 보관되므로 전선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외관이 향상되고, 플러그를 꽂을 때를 제외하면 테이블의 상부면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테이블위의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부가적으로 USB커넥터를 통하여 각종 전자기기의 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책상 외에 거실테이블이나 식탁 등에서도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전자제품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콘센트바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테이블 매립형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축방향을 따라 콘센트(10)가 형성된 부분과 콘센트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구성된 콘센트바디(20)와, 상기 콘센트바디(20)의 축방향 양단부가 상부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콘센트바디(20)에 플러그가 꽂히도록 하면서 플러그가 꽂힌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콘센트바디(20)의 회전방향으로 개구부(32)가 형성되어 테이블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고정프레임(30)에는 개구부(32)와 연결된 수납부(34)가 형성되는데, 상기한 수납부(34)는 플러그가 꽂힌 상태의 콘센트바디(2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그 내부에 플러그와 연결된 전선도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선을 수납할 수 있는 크기로 수납부(3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바디(20)에는 USB커넥터(50)가 콘센트(10)의 측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콘센트바디(2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삼각기둥형으로 형성하여 일면에만 콘센트(1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일면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평면이 아닌 부분에 콘센트(10)를 형성할 수도 있고, 사각 기둥형으로 형성하여 일면 내지 삼면에만 콘센트(10)를 형성할 수도 있는 등,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삼각기둥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콘센트바디(20)는 콘센트(10)로 전원을 연결하는 전선이 콘센트바디(20)의 회전에 의하여 단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의 외주에 양극/음극단자가 형성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상기한 원통의 외주에 형성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와 지속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외에 이러한 접점 및 단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의 설치예를 살펴보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센트바디(20)가 회전시 콘센트(10)가 형성되지 않은 평면이 테이블(40)의 상부면과 평행하도록 고정프레임(30)을 테이블(40)의 일측 모서리에 매립 설치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고정프레임(30) 상단부에는 테이블(40)의 상판(42)에 거치되는 플랜지가 연장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블(40)의 상판(42) 상부면과 콘센트바디(20)의 평면이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경우 전선이 테이블(40)의 모서리와 벽면 사이에 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한 고정프레임(30)에 설치되는 콘센트바디(20)의 평면 외측단부는 테이블(40)의 모서리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테이블(40)에 설치된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플러그(60)를 꽂기 위해서는 콘센트바디(20)를 회전시켜 콘센트(10)가 상부로 향하도록 한 후, 플러그(60)를 꽂고 콘센트바디(20)를 회전시켜 콘센트(10)가 수납부(34) 내부를 향하도록 하면 테이블(40)의 상부면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콘센트바디(20)의 단부가 테이블(40)의 모서리보다 내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테이블(40)을 벽면에 밀착시켜 설치하더라도 콘센트바디(20)의 단부와 벽면(70)사이의 틈으로 전선(62)이 들어갈 수 있게 되어 테이블(40)과 벽면(70)사이에 전선이 끼지 않으며, 여분의 전선(6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34)에 보관이 되므로 테이블(40) 위는 전선(62)이 깨끗하게 정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1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40) 저면에 고정프레임(30)을 설치하여 개구부(32)가 측면을 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한 콘센트바디(20)는 굳이 평면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한편, 콘센트바디(20)는 미사용시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콘센트(10)가 형성된 부분 또는 형성되지 않은 평면상에 on/off스위치를 구비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콘센트 20 : 콘센트바디
30 : 고정프레임 32 : 개구부
34 : 수납부 40 : 테이블
50 ; USB커넥터 60 : 플러그
62 : 전선

Claims (4)

  1. 다수의 콘센트가 축방향으로 형성된 콘센트바디(20)와,
    상기 콘센트바디(20)의 축방향 양단부가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콘센트바디(20)에 플러그(60)가 꽂히도록 하면서 플러그가 꽂힌 상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콘센트바디(20)의 회전방향으로 개구부(32)가 형성되어 테이블(40)의 상판 또는 상판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0)에는 개구부(32)와 연결된 수납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34)는 플러그(60)가 꽂힌 상태의 콘센트바디(20) 및 플러그(60)와 연결된 전선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바디(20)는 콘센트(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축방향을 따라 평면이 형성되고, 일면이 평면으로 구성된 콘센트바디(20)가 설치된 고정프레임(30)은 콘센트바디(20)의 평면이 테이블(40)의 상부면과 일치하도록 테이블(40)에 일체로 매립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4. 제 3항에있어서,
    상기 콘센트바디(20)에는 USB커넥터(5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KR1020110062147A 2011-06-27 2011-06-27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KR20130001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147A KR20130001418A (ko) 2011-06-27 2011-06-27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147A KR20130001418A (ko) 2011-06-27 2011-06-27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18A true KR20130001418A (ko) 2013-01-04

Family

ID=4783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147A KR20130001418A (ko) 2011-06-27 2011-06-27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14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483A (ko) 2017-07-25 2019-02-07 김선규 테이블 장착용 콘센트
KR102374454B1 (ko) * 2021-06-22 2022-03-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Lan케이블 배선용 통신단자함
KR102514782B1 (ko) 2022-11-17 2023-03-29 (주)투템디자인 폴딩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483A (ko) 2017-07-25 2019-02-07 김선규 테이블 장착용 콘센트
KR102374454B1 (ko) * 2021-06-22 2022-03-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Lan케이블 배선용 통신단자함
KR102514782B1 (ko) 2022-11-17 2023-03-29 (주)투템디자인 폴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1239B1 (en) Power receptacle device with rotatable sockets
US20120270416A1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WO2015179930A1 (pt) Disposição introduzida em trilho energizado para tomadas móveis
TW201329685A (zh) 插頭可分離式之多向電源供應器
JP2004503916A (ja) 移動式多端子電力ソケット
KR200468311Y1 (ko) 전기제품에 연결된 여유전선의 정리가 편리한 멀티 콘센트
KR20130001418A (ko) 테이블 설치형 콘센트
JP4686787B2 (ja) 回転自在多機能電源プラグ及び電源コンセント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接続コード
KR101445273B1 (ko) 원터치형 콘센트
CN205385144U (zh) 一种墙体插座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KR100826430B1 (ko) 회전가능한 전원 플러그를 갖는 전원공급기기
US11128063B2 (en) Socket plastic hardware structure device
TWM498413U (zh) 延長線電源供應器排插
KR200440761Y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용 케이스
KR20190011412A (ko) 테이블 장착용 콘센트
JP3196443U (ja) 電源アダプターの構造
KR200283186Y1 (ko) 회전되는 매립형 콘센트
CN204304042U (zh) 一种多功能电源插座
KR101323013B1 (ko) 멀티탭 장치
KR20090052772A (ko) 삼각콘센트
CN102394430A (zh) 电源插座
KR200462353Y1 (ko) 벽체 매립형 콘센트 조립구조
KR102289509B1 (ko) 회동 가능한 매립형 멀티콘센트
KR102280288B1 (ko) 회동 가능한 멀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