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886A - 전기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886A
KR20140065886A KR1020120132904A KR20120132904A KR20140065886A KR 20140065886 A KR20140065886 A KR 20140065886A KR 1020120132904 A KR1020120132904 A KR 1020120132904A KR 20120132904 A KR20120132904 A KR 20120132904A KR 20140065886 A KR20140065886 A KR 20140065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resent
terminal
connection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288B1 (ko
Inventor
박채선
Original Assignee
박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채선 filed Critical 박채선
Priority to KR1020120132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2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5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wire spring
    • H01R4/4863Coil spr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360도 자유 회전 가능한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 단에 플랜지(11a)가 마련된 블록체로 이루어지되, 블록체를 관통한 전선(1)의 단말이 결속된 상태에서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2)이 일측 단부면에 마련된 회전부(11); 일측 단에는 콘센트(20)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2)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11)에 마련된 한 쌍의 탄성 터미널(11b)이 접속부(12)에 마련된 한 쌍의 접지면(12b)에 대해 탄성접지력을 제공하는 가운데, 콘센트(20)에 끼워져 고정된 접속부(12)에 대해 회전부(11)가 360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전기기기의 잦은 위치 이동 및 움직임에도 전선(1)이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지면(12b)이 마련되는 부분에 환턱(12c)을 마련함으로써, 터미널(11b) 간의 쇼트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11)가 접속부(12)와 힌지(13c)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여, 전선(1)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접속부(12)에 대해 회전부(11)가 절곡되면서 뉘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선(1)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전기플러그{ELECTRIC PLUG}
본 발명은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끼워져 전자/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360도 자유 회전 가능한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플러그의 사전적 의미는 전기 기기나 측정기, 전화 교환기 따위의 회선이나 회로를 연결하는데 쓰이는 전기 기구 또는 기기와 기기 기기와 전원을 케이블로 접속할 때 케이블 끝에서 전기적 결합과 탈착 기능이 양립하는 접속용 전기부품을 총칭한다.
상기, 전기플러그는 2개의 콘센트 접속단자가 본체의 일측 단에 돌출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전선이 길게 마련되어 전원 공급을 요하는 전기회로와 같은 부하 측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기플러그의 본체는 사출을 통해 블럭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플러그는 전원콘센트에 꽂혀진 상태에서는 회전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전자/전기기기 예컨대, 전기다리미나 진공청소기와 같이 움직임이 있는 전자/전기기기가 자주 이동하게 되면, 전선의 꼬임 내지는 꺾임으로 인해 해당 부위의 전선이 단선(斷線)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본체가 "┓"와 같이 접속단자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본체가 연장된 절곡형일 경우 더욱 그러하다.
또한, 전기플러그는 정전압회로 또는 전압변환회로가 내장된 일정 부피를 갖는 박스 형태의 것도 존재하는데, 이러한 박스 형태의 전기플러그의 경우, 다중 콘센트의 인접한 다른 콘센트 구멍에 꽂혀지는 다른 플러그의 접속을 방해 내지는 불가능하게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자 창출된 것으로,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센트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360도 자유 회전 가능한 전기플러그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일측 단에 플랜지(11a)가 마련된 블록체로 이루어지되, 블록체를 관통한 전선(1)의 단말이 결속된 상태에서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1b)이 일측 단부면에 마련된 회전부(11); 일측 단에는 콘센트(20)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1b)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11)에 마련된 한 쌍의 탄성 터미널(11b)이 접속부(12)에 마련된 한 쌍의 접지면(12b)에 대해 탄성접지력을 제공하는 가운데, 콘센트(20)에 끼워져 고정된 접속부(12)에 대해 회전부(11)가 360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전기기기의 잦은 위치 이동 및 움직임에도 전선(1)이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하는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지면(12b)이 마련되는 부분에 환턱(12c)을 마련함으로써, 터미널(11b) 간의 쇼트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11)가 접속부(12)와 힌지(13c)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회전 가능하여, 전선(1)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접속부(12)에 대해 회전부(11)가 절곡되면서 뉘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선(1)이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성 및 탄성 접지 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접지된 상태에서 회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절곡(각도 변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에 플랜지(11a)가 마련된 블록체로 이루어지되, 블록체를 관통한 전선(1)의 단말이 결속된 상태에서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1b)이 일측 단부면에 마련된 회전부(11); 일측 단에는 콘센트(20)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2)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회전부(11)는 중앙이 관통된 다단의 원형 블록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플랜지(11a)의 상부면에는 마찰력이 작은 림 타입의 회전보조부재(15)가 마련되어 회전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보조부재(15)의 플랜지(11a)와 접하는 면에는 반구 형태의 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고, 볼베어링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11b)은 금속과 같은 도전체 특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한 쌍의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또, 상기 터미널(11b)의 일측 단은 나사를 통해 회전부(11)의 일측 단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 상기 터미널(11b)은 접지선이 결속된 접지터미널(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접속부(12)는 상광하협의 단턱진 블록체로서, 상부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콘센트(20)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고정되며, 상부 내주면에는 결합을 위해 인서트되는 회전부(11)의 이탈을 방지하는 링 타입의 스토퍼(14)가 끼워지는 환홈(12e)이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링 타입의 스토퍼(14)는 양단이 절단되고 절단된 양단이 내향 돌출 절곡되면서 걸림턱을 헝성하여, 접속부(12)에 끼워진 회전부(11)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12a)는 접지를 위한 단자가 하나 더 포함되어 3개의 단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면(12b)은 접속부(12)의 공간 바닥면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부분과 간격을 두고 림 형태로 마련되는 도전체일 수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12a)와 전선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중앙부분과 외곽부분의 접지면(12b)은 각각 환턱(12c)에 의해 상호격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12)의 공간 바닥면 내경 부분에는 외압에의 상기 회전부(11)가 하강하여 터미널(11b)이 눌려질 경우, 상기 터미널(11b)이 지나치게 눌려져 접속력을 상실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턱(12d)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에 플랜지(11a)가 마련된 블록체로 이루어지되, 블록체를 관통한 전선(1)의 단말이 결속된 상태에서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1b)이 일측 단부면에 마련된 회전부(11)가 일측 단에는 콘센트(20)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2)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와 결합되어 하나의 전기플러그(1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되면,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12)에 마련된 한 쌍의 접지면(12b) 각각에 회전부(11)에 마련된 한 쌍의 터미널(11b)이 각각 접촉한 상태로 360도 방향으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상기 회전부(11)에 마련된 한 쌍의 탄성 터미널(11b)이 접속부(12)에 마련된 한 쌍의 접지면(12b)에 대해 탄성접지력을 제공하는 가운데, 콘센트(20)에 끼워져 고정된 접속부(12)에 대해 회전부(11)가 360도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전자/전기기기의 잦은 위치 이동 및 움직임에도 전선(1)이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하는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접속부(12) 중앙부분과 외곽부분의 접지면(12b)은 각각 환턱(12c)에 의해 상호격리되어, 상기 접지면(12b)에 대해 회전부(11)의 터미널(11b)의 접속 시 상호 접촉에 의한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서 또는 정 위치에서 회전 접촉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되면, 판체 형태의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터미널(11b)이 휘어지면서 다른 접지면(12b)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 가능하므로, 상기와 같이 쇼트를 방지하고 정위치 회전 접촉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1) 하부면 양측에 힌지(13c) 결합을 위한 결합돌편(13a)을 마련하고, 상기 접속부(12) 상부면 양측에 힌지(13c) 결합을 위해 결합돌편(13a)에 대응되는 결합홈(13b)을 마련하여서 된 절곡부(13)를 더 포함시켜서 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11)의 하부면과 접촉부(12)의 상부면은 힌지(13c)를 중심으로 각도 조절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간격진 것일 수 있으며, 이때, 회전부(11)의 하부면은 각도 조절되는 양측이 상향 경사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회전부(11)가 접속부(12)와 힌지(13c)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콘센트(20)에 꽂혀진 상태에서 전선(1)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접속부(12)에 대해 회전부(11)가 절곡되면서 뉘어지게 되므로, 전선(1)이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기 플러그 11 : 회전부
11a : 플랜지 11b : 터미널
12 : 접속부 12a : 접속단자
12b : 접지면 12c : 환턱
12d : 안착턱 12e : 환홈
13 : 절곡부 13a : 결합돌편
13b : 결합홈 13c : 힌지
14 : 스토퍼 15 : 회전보조부재
1 : 전선

Claims (5)

  1. 일측 단에 플랜지(11a)가 마련된 블록체로 이루어지되, 블록체를 관통한 전선(1)의 단말이 결속된 상태에서 탄성 접지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간격진 터미널(11b)이 일측 단부면에 마련된 회전부(11);
    일측 단에는 콘센트(20) 접속단자(12a)가 마련되고, 타측 단에는 상기 접속단자(12a)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2)의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동심원을 가지며 간격지게 한 쌍의 접지면(12b)이 마련된 접속부(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1)는 중앙이 관통된 다단의 원형 블록체로서, 상기 플랜지(11a)의 상부면에는 마찰력이 작은 림 타입의 회전보조부재(15)가 마련되고, 상기 터미널(11b)은 금속과 같은 도전체 특히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된 한 쌍의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12)는 상광하협의 단턱진 블록체로서, 상부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콘센트(20)와 접속되는 접속단자(12a)가 고정되며, 상부 내주면에는 결합을 위해 인서트되는 회전부(11)의 이탈을 방지하는 링 타입의 스토퍼(14)가 끼워지는 환홈(12e)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12b)은 접속부(12)의 공간 바닥면 중앙 부분과 상기 중앙부분과 간격을 두고 림 형태로 마련되는 도전체로서, 상기 접속단자(12a)와 전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과 외곽부분의 접지면(12b)은 각각 환턱(12c)에 의해 상호격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KR1020120132904A 2012-11-22 2012-11-22 전기플러그 KR10141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04A KR101411288B1 (ko) 2012-11-22 2012-11-22 전기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04A KR101411288B1 (ko) 2012-11-22 2012-11-22 전기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886A true KR20140065886A (ko) 2014-05-30
KR101411288B1 KR101411288B1 (ko) 2014-06-24

Family

ID=5089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904A KR101411288B1 (ko) 2012-11-22 2012-11-22 전기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2184A (zh) * 2019-06-04 2020-12-04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脑断层扫描系统及其连接组件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389B1 (ko) * 2020-09-28 2020-12-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샌드위치형 회전플러그
KR102195704B1 (ko) * 2020-09-28 2020-12-28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원판접촉형 회전플러그
KR102192383B1 (ko) * 2020-09-28 2020-12-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절연보 일체형 회전플러그
KR102192391B1 (ko) * 2020-09-28 2020-12-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451U (ko) * 1998-12-24 1999-05-25 김기배 회전 플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2184A (zh) * 2019-06-04 2020-12-04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脑断层扫描系统及其连接组件结构
CN112022184B (zh) * 2019-06-04 2023-12-19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脑断层扫描系统及其连接组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1288B1 (ko)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2613B (zh) 電連接器
KR101403889B1 (ko) 전원어댑터플러그
WO2012078824A3 (en)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GB2418303B (en) Electrical connectors
KR101411288B1 (ko) 전기플러그
TWI528669B (zh) 電源延長線及其纜線
WO2013041439A3 (de) Steckverbinder
TWM481528U (zh) 轉接器
JP2014053119A (ja) 端子
US20150038019A1 (en) Triple extension adaptor
KR101233437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101263113B1 (ko) 안전 콘센트
WO2015154450A1 (zh) 线缆接头
KR20150089861A (ko) 멀티 탭 콘센트
CN204424518U (zh) 环形多用插座
KR101391112B1 (ko) 플러그용 회전 접속형 콘센트
CN103633468B (zh) 插头装置以及应用该插头装置的电连接器与电子装置
KR100989404B1 (ko) 회전형 안전 콘센트
KR200483856Y1 (ko) 콘센트장치
KR101473379B1 (ko) 전기콘센트
KR20190076501A (ko) 인출형 멀티 콘센트
CN203883239U (zh) 电源连接器
TWI426668B (zh) An electrical connector that corrects conductive polarity
KR101185347B1 (ko) 콘센트 손상방지용 전기플러그
CN208571048U (zh) 一种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