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391B1 -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 Google Patents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391B1
KR102192391B1 KR1020200125439A KR20200125439A KR102192391B1 KR 102192391 B1 KR102192391 B1 KR 102192391B1 KR 1020200125439 A KR1020200125439 A KR 1020200125439A KR 20200125439 A KR20200125439 A KR 20200125439A KR 102192391 B1 KR102192391 B1 KR 10219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rotation
fixed terminal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대응되는 외면 윤곽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이 개구된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바닥면에 한쌍의 플러그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케이스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케이스의 중앙부에 결합되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중심절연보와, 상기 중심절연보의 하부에 연결되되 링형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커넥터와, 상기 중심절연보의 하부에 연결되되 링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커넥터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회전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원연결부; 일측이 상기 제1회전커넥터의 외주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되 타측이 상기 플러그삽입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 삽입되는 제1플러그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고정터미널과, 일측이 상기 제2회전커넥터의 외주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되 타측이 상기 플러그삽입홀 중 다른 하나에 관통 삽입되는 제2플러그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고정터미널을 포함하는 고정터미널; 및 상기 수용홈의 상측을 커버하며 배치되되 하단 중앙부가 상기 중심절연보와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그립부를 포함하는 인서트형 회전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서트형 회전플러그{insert type rotary plug}
본 발명은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장치가 많아짐에 따라 필요한 콘센트의 개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때,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실내규모를 감안하여 적절한 수의 매립형 콘센트를 구비하고 필요한 경우에 멀티탭 등을 콘센트에 추가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콘센트는 콘센트 본체에 '+, -' 전원 입력단자와 접지단자가 결합되어 있어, 플러그의 접속단자봉을 콘센트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접속 단자봉이 전원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플러그의 양쪽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접지단자가 콘센트의 접지단자에 접촉됨으로써 전원 연결과 접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원 콘센트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정해진 일방향으로만 결합하여야 하므로 복수개의 플러그를 결합할 때에 인접한 플러그 및 전선들이 서로 간섭되어 결합과 분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전제품과 콘센트의 놓인 위치에 따라 전선들이 휘어져 꺽이거나 뒤섞이는 경우에 플러그의 결합위치를 조절하고 싶어도 조절하지 못함으로써 가지런하게 정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108804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인서트형 회전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대응되는 외면 윤곽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이 개구된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바닥면에 한쌍의 플러그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케이스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케이스의 중앙부에 결합되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중심절연보와, 상기 중심절연보의 하부에 연결되되 링형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커넥터와, 상기 중심절연보의 하부에 연결되되 링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커넥터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회전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원연결부; 일측이 상기 제1회전커넥터의 외주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되 타측이 상기 플러그삽입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 삽입되는 제1플러그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고정터미널과, 일측이 상기 제2회전커넥터의 외주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되 타측이 상기 플러그삽입홀 중 다른 하나에 관통 삽입되는 제2플러그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고정터미널을 포함하는 고정터미널; 및 상기 수용홈의 상측을 커버하며 배치되되 하단 중앙부가 상기 중심절연보와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터미널 및 상기 제2고정터미널에는 상기 제1플러그봉 및 상기 제2플러그봉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고정부 및 제2연결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고정부 및 상기 제2연결고정부의 각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플러그봉 및 상기 제2플러그봉을 감싸며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되 각 외면이 상기 제1회전커넥터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의 각 외면에 회전 접속되는 제1라운드연결부 및 제2라운드연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회전플러그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콘센트에 고정케이스부와 플러그봉이 고정된 상태에서, 플러그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 고정터미널에, 회전그립부에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360°회전되며 중심절연보의 하부에 상호간 상하 이격 배치되는 각 회전커넥터가 상호간 회전 접속되어 통전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각 플러그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 고정터미널의 연결고정부 각 양단으로부터 라운드연결부가 각 플러그봉을 감싸며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각각 연장되되 외면이 각 회전커넥터의 외면에 회전 접속되므로 회전그립부와 동시에 360° 연동 회전시에도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셋째, 상단이 중심절연보의 상부측 외면을 감싸며 인서트 사출된 절연몸체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제1절곡연결부 및 제2절곡연결부가 제1회전커넥터 및 제2회전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심절연보를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시에도 통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각 고정터미널의 라운드연결부가 각 회전커넥터 사이에 상하방향을 따라 교번되되 각 회전커넥터를 초과하는 외경을 갖도록 인서트 사출되는 복수개의 구획안내부와 확장몸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걸림 구속됨에 따라 회전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조립된 상태의 전원연결부 및 고정터미널을 고정케이스부의 수용홈에 삽입하고 회전그립부를 고정케이스부의 상부 및 중심절연보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실질적인 설치가 완료되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에서 전원연결부 및 고정터미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에서 전원 연결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에서 전원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에서 전원연결부 및 고정터미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에서 전원 연결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에서 전원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400)는 고정케이스부(10), 전원연결부(320), 고정터미널(330) 및 회전그립부(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형 회전플러그(400)는 제1플러그봉(332) 및 제2플러그봉(334)을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 설치된 콘센트(미도시)에 삽입시켜 상기 인서트형 회전플러그(400)에 전원 연결된 전기기기(미도시)에 전원 공급을 매개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고정케이스부(10)의 상측에 상기 회전그립부(340)가 배치되되, 상기 회전그립부(340)는 상기 고정케이스부(10)가 상기 콘센트(미도시)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360°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케이스부(10)는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콘센트(미도시)에 대응되는 외면 윤곽을 따라 형성되되 내부에 상측이 개구된 수용홈(11)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1)의 바닥면에 한쌍의 플러그삽입홀과 접지삽입홀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삽입홀은 상기 수용홈(11)의 중앙에 상기 제1플러그봉(332) 및 상기 제2플러그봉(334) 간의 배치 간격에 대응되는 폭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삽입홀은 상기 수용홈(11)의 외곽 테두리에 상기 수용홈(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며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케이스부(10)의 상단 외곽부에는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하단 외곽부의 반경방향 외측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도록 상향 연장되는 외곽회전안내부(15)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회전시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하단이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연결부(320)는 절연 재질의 중심절연보(320a), 절연 재질의 절연몸체(320b), 통전 재질의 제1회전커넥터(321) 및 통전 재질의 제2회전커넥터(322)를 포함하여 인서트 사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연결부(320)는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 및 후술될 접지회전커넥터(371)가 금형에 배치된 상태에서 인서트됨에 따라 상기 중심절연보(320a) 및 상기 절연몸체(320b)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통전 재질이라 함은 구리 등의 도전성 금속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연 재질이라 함은 나일론 등을 포괄하는 재질로 사용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1플러그봉(332) 및 상기 제2플러그봉(334)는 통전 재질로 구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중심절연보(320a)는 상기 수용홈(11)에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중앙부에 결합되되 상기 고정케이스(10)가 콘센트(미도시)에 고정된 상태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심절연보(320a)는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중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몸체(320b)는 상기 중심절연보(320a)의 상부측 외면을 감싸며 인서트 사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는 상기 중심절연보(320a)의 하부측 외곽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되 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의 내경은 상기 중심절연보(320a)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는 상기 중심절연보(320a)의 하부측 외곽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연결되되 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의 내경은 상기 중심절연보(320a)의 외경을 초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는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가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에는 내주로부터 상기 중심절연보(320a) 및 상기 절연몸체(320b)의 내부측으로 1차 상향 연장되되 상단이 상기 절연몸체(320b)의 외측면으로 2차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절연몸체(320b)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제1절곡연결부(321a)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에는 내주로부터 상기 중심절연보(320a) 및 상기 절연몸체(320b)의 내부측으로 1차 상향 연장되되 상단이 상기 중심절연보(320a)를 기준으로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와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절연몸체(320b)의 외측면으로 2차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절연몸체(320b)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제2절곡연결부(322a)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 및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는 상호간 이격되며 상기 절연몸체(320b)에 의해 구획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 및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는 상기 중심절연보(320a)를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간 180°로 이격 배치되어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최대화함에 따라 절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 중 하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절곡연결부(321a,322a) 하단은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 중 상측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내주에 이격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의 하단이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의 내주에 이격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 삽입된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 및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의 각 상단높이는 상호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되되,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 및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는 상기 제1플러그봉(332) 및 상기 제2플러그봉(334)의 각 상측에 이격 및 절연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 및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와, 상기 제1플러그봉(332) 및 상기 제2플러그봉(334)의 사이에는 후술되는 확장몸체(325)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터미널(330)은 통전 재질의 제1고정터미널(331) 및 통전 재질의 제2고정터미널(334)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은 일측이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의 외주 일측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되 타측이 상기 플러그삽입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제1플러그봉(3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 접속된다 함은 상호간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선택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360° 회전가능하게 접촉됨을 의미한다.
상세히,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에는 상기 제1플러그봉(332)에 통전 나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고정부(331a)가 타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연결고정부(331a)에 고정체결홀이 형성되어 통전 나사를 통해 상기 제1플러그봉(332)의 상단측 측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에는 상기 제1연결고정부(331a)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플러그봉(332)을 감싸며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되 외면이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의 외면에 회전 접속되는 제1라운드연결부(331b)가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절연보(320a) 및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가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면,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의 외면과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의 제1라운드연결부(331b) 외면이 상호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은 상기 제1플러그봉(332)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케이스부(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몸체(320b)의 하부에는 절연 재질의 확장몸체(325)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데, 상기 제1플러그봉(332)의 상단이 상기 확장몸체(325)의 하단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터미널(333)은 일측이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의 외주 일측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되 타측이 상기 플러그삽입홀 중 다른 하나에 관통 삽입되는 상기 제2플러그봉(3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고정터미널(333)에는 상기 제2플러그봉(334)에 통전 나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고정부(333a)가 타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연결고정부(333a)에 고정체결홀이 형성되어 통전 나사를 통해 상기 제2플러그봉(334)의 상단측 측면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고정터미널(333)에는 상기 제2연결고정부(333a)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2플러그봉(334)을 감싸며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되 외면이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의 외면에 회전 접속되는 제2라운드연결부(333b)가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절연보(320a),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가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회전시 동시에 연동 회전되면,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의 외면과 상기 제2고정터미널(333)의 제2라운드연결부(333b) 외면이 상호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터미널(333)은 상기 제2플러그봉(334)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케이스부(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플러그봉(334)의 상단이 상기 확장몸체(325)의 하단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연결부(320)는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를 초과하는 외경을 갖도록 인서트 사출되되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의 사이, 그리고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 중 하측에 배치된 어느 하나의 하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교번 배치되는 복수개의 구획안내부(323,32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획안내부(323,324)는 제1구획안내부(323) 및 제2구획안내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의 사이에 제1구획안내부(323)가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의 하부에 제2구획안내부(324)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1라운드연결부(331b) 및 상기 제2라운드연결부(333b)는 각 상기 구획안내부(323,324) 및 상기 확장몸체(32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걸림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라운드연결부(331b)는 상단이 상기 제1구획안내부(323)의 하면에 의해 구속되되 하단이 상기 제2구획안내부(324)의 상면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제2라운드연결부(333b)는 상단이 상기 확장몸체(325)의 하면에 의해 구속되되 하단이 상기 제1구획안내부(323)의 상면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서트형 회전플러그(400)는 상기 전원연결부(320)의 상부 외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회전커넥터(371)와,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의 외주가 내주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는 접지고정터미널(372)을 포함하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는 라운드진 중공형 타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몸체(320b)의 내부에 배치된 중앙부가 후술되는 제3아웃렛단자(6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는 라운드지게 굴곡된 양단부가 상기 절연몸체(320b)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노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의 노출된 양단부는 상기 중심절연보(320a)를 기준으로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 및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간 90°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상호간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지고정터미널(372)은 내면이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의 양단부 외면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는 링형의 접지고정접속부(372a)와, 상기 접지고정접속부(372a)의 외곽 테두리로부터 양측으로 1차 연장되어 2차 하향 절곡 연장되되 상기 접지삽입홀에 삽입되는 한쌍의 상기 접지날개부(37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지고정접속부(372a)의 내면은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의 외면에 회전 접속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접지날개부(372b)는 상기 접지삽입홀에 관통 삽입되되 클램프 결합 등의 방식을 통해 상기 고정케이스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연결보(320a) 및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가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회전시 동시에 연동 회전되면,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의 외면과 상기 접지고정터미널(372)의 내면이 상호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접지고정터미널(372)은 상기 고정케이스부(1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전류 흐름을 설명하면, 상기 제1플러그봉(332)으로 공급된 전류는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를 거쳐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로 통전되며, 상기 제2플러그봉(334)으로 공급된 전류는 상기 제2고정터미널(333)을 거쳐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 및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로 통전된다. 더불어, 상기 접지고정터미널(372)은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에 통전되어 접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서트형 회전플러그(400)는 제1아웃렛단자(61), 제2아웃렛단자(62) 및 제3아웃렛단자(63)를 포함하는 통전 재질의 아웃렛단자부(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아웃렛단자(61)는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내부에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전기기기(미도시)에 연결된 전원공급선(미도시)의 양극 및 음극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아웃렛단자(62)는 상기 제1아웃렛단자(61)와 이격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의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전기기기(미도시)에 연결된 전원공급선(미도시)의 양극 및 음극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아웃렛단자(63)는 상기 제1아웃렛단자(61) 및 상기 제2아웃렛단자(62)와 이격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절연몸체(320b)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의 중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전기기기(미도시)에 연결된 접지선(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그립부(340)는 상기 고정케이스부(10)의 수용홈(11) 상측을 커버하도록 외면 윤곽이 상기 고정케이스부(10)에 대응되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이 개구되고 하측에 연통홀이 복수개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아웃렛단자부(60)가 삽입되는 제1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아웃렛단자(61) 및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 사이를 연결하는 제1연결전선과, 상기 제2아웃렛단자(62) 및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 사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전선과, 상기 제3아웃렛단자(63) 및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의 중앙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접지선이 각 상기 연통홀에 각각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전선, 상기 제2연결전선 및 상기 연결접지선은 하단이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 상기 제2절곡연결부(322a) 및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의 중앙부에 각각 통전 나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연결전선, 상기 제2연결전선 및 상기 연결접지선은 상단이 상기 제1아웃렛단자(61), 상기 제2아웃렛단자(62) 및 상기 제3아웃렛단자(63)에 각각 통전 나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그립부(340)는 상기 제1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되 내부가 상기 제1몸체와 연통되고 상측이 개구되며 외측에 한쌍의 상기 전원공급선(미도시) 및 상기 접지선(미도시)이 관통 배치되는 전원선삽입구(343)가 형성되는 제2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형 회전플러그(400)는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제1몸체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1커버(51)와,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제2몸체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며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되는 제2커버(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커버(51) 및 상기 제2커버(52)는 클램프 결합 또는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 선택적으로 개별 착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제1몸체는 하단 중앙부가 상기 중심절연보(320a)와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제1몸체에 중심절연보(320a)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단 중앙부로부터 회전축부가 하향 연장 돌설되어 상기 회전축부가 상기 중심절연보(320a)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절연보(320a)는 하단이 상기 고정케이스(10)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케이스(10) 및 중심절연보(320a)는 상기 회전그립부(340) 및 중심절연보(320a)가 회전되도록 결합영역이 상호간 상하방향으로 0.1~0.3mm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나사(344) 및 와셔를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케이스(10)와 상기 회전나사(344) 사이에 와셔가 개재되어 상기 중심절연보(320a)가 축방향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그립부(340)의 회전시 상기 중심절연보(320a),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 및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가 동시에 연동 회전되는 반면에, 상기 고정케이스부(10)와 상기 제1플러그봉(332),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 상기 제2플러그봉(334), 상기 제2고정터미널(333) 및 상기 접지고정터미널(372)은 콘센트(미도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 및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상기 제2고정터미널(333)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 상기 접지고정터미널(372) 및 상기 접지회전커넥터(371)가 각각 상호간 견고하게 회전 접속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기 회전그립부(340)가 회전되더라도 통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서트형 회전플러그(400)는 가정 또는 사무실에 설치된 콘센트(미도시)에 상기 고정케이스부(10)와 상기 제1플러그봉(332) 및 상기 제2플러그봉(334)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봉(332) 및 상기 제2플러그봉(3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 및 제2고정터미널(333)에, 상기 회전그립부(340)에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360°회전되며 상기 중심절연보(320a)의 하부에 상호간 상하 이격 배치되는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가 상호간 각각 회전 접속되어 전기적인 통전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전기적인 통전 상태가 유지되면서도 전원공급선(미도시)의 인출방향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여 다른 전원공급선(미도시)들과의 간섭을 방지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연결부(370)의 접지회전커넥터(371) 및 접지고정터미널(372)이 상호간 회전 접속되어 선택적으로 360°회전시에도 전기적인 통전 상태가 유지되므로 안정적인 접지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 및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터미널(331) 및 상기 제2고정터미널(333)에는 상기 제1플러그봉(332) 및 상기 제2플러그봉(334)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고정부(331a) 및 제2연결고정부(332a)의 각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라운드연결부(331b) 및 상기 제2라운드연결부(332b)가 상기 제1플러그봉(332) 및 상기 제2플러그봉(334)을 감싸며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되 각 외면이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의 각 외면에 회전 접속되므로 상기 회전그립부(340)와 동시에 360° 연동 회전시에도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단이 상기 중심절연보(320a)의 상부측 외면을 감싸며 인서트 사출된 절연몸체(320b)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상기 제1절곡연결부(321a) 및 제2절곡연결부(322a)가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심절연보(320a)를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시에도 통전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조립된 상태의 상기 전원연결부(320) 및 상기 고정터미널(330)을 상기 고정케이스부(10)의 수용홈에 삽입하고 상기 회전그립부(340)를 상기 고정케이스부(10)의 상부 및 상기 중심절연보(320a)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실질적인 설치가 완료되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라운드연결부(331b) 및 상기 제2라운드연결부(332b)가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 사이에 상하방향을 따라 교번되되 상기 제1회전커넥터(321)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322)를 초과하는 외경을 갖도록 인서트 사출되는 복수개의 구획안내부(323,324)와 상기 확장몸체(32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걸림 구속됨에 따라 회전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400: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10: 고정케이스부
320: 전원연결부 320a: 중심절연보
320b: 절연몸체 321: 제1회전커넥터
322: 제2회전커넥터 323: 제1구획안내부
324: 제2구획안내부 325: 확장몸체
330: 고정터미널 331: 제1고정터미널
332: 제1플러그봉 333: 제2고정터미널
334: 제2플러그봉 340: 회전그립부
51: 제1커버 52: 제2커버
60: 아웃렛단자부 371: 접지회전커넥터
372: 접지고정터미널

Claims (5)

  1.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대응되는 외면 윤곽을 따라 형성되되 상측이 개구된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바닥면에 한쌍의 플러그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케이스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고정케이스의 중앙부에 결합되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중심절연보와, 상기 중심절연보의 하부에 연결되되 링형으로 구비되는 제1회전커넥터와, 상기 중심절연보의 하부에 연결되되 링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커넥터와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회전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원연결부;
    일측이 상기 제1회전커넥터의 외주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되 타측이 상기 플러그삽입홀 중 어느 하나에 관통 삽입되는 제1플러그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고정터미널과, 일측이 상기 제2회전커넥터의 외주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되 타측이 상기 플러그삽입홀 중 다른 하나에 관통 삽입되는 제2플러그봉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고정터미널을 포함하는 고정터미널; 및
    상기 수용홈의 상측을 커버하며 배치되되 하단 중앙부가 상기 중심절연보와 연동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회전그립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고정터미널 및 상기 제2고정터미널에는 상기 제1플러그봉 및 상기 제2플러그봉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고정부 및 제2연결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고정부 및 상기 제2연결고정부의 각 양단으로부터 상기 제1플러그봉 및 상기 제2플러그봉을 감싸며 원호형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되 각 외면이 상기 제1회전커넥터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의 각 외면에 회전 접속되는 제1라운드연결부 및 제2라운드연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중심절연보의 상부측 외면을 감싸며 인서트 사출되는 절연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커넥터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에는 각 내주로부터 상호 이격되며 상향 연장되되 상단이 상기 절연몸체의 외측면으로 각각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절연몸체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제1절곡연결부 및 제2절곡연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제1회전커넥터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를 초과하는 외경을 갖도록 인서트 사출되되 상기 제1회전커넥터 및 상기 제2회전커넥터 사이에 상하방향을 따라 교번 배치되는 복수개의 구획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몸체의 하부에는 절연 재질의 확장몸체가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며,
    상기 제1라운드연결부 및 상기 제2라운드연결부는 각 상기 구획안내부 및 상기 확장몸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걸림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의 상부 외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지회전커넥터와, 상기 접지회전커넥터의 외주가 내주에 전기적으로 회전 접속되는 접지고정터미널을 포함하는 접지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KR1020200125439A 2020-09-28 2020-09-28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KR10219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39A KR102192391B1 (ko) 2020-09-28 2020-09-28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39A KR102192391B1 (ko) 2020-09-28 2020-09-28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391B1 true KR102192391B1 (ko) 2020-12-17

Family

ID=7408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39A KR102192391B1 (ko) 2020-09-28 2020-09-28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3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26176Y (zh) * 2004-06-02 2005-09-14 东莞欧陆电子有限公司 旋转式导电装置
KR20130108804A (ko) 2012-03-26 2013-10-07 문용완 회전형 접속장치를 갖춘 전기 플러그
KR20140065890A (ko) * 2012-11-22 2014-05-30 박채선 전원어댑터플러그
KR101411288B1 (ko) * 2012-11-22 2014-06-24 박채선 전기플러그
KR20190127129A (ko) * 2018-05-03 2019-11-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26176Y (zh) * 2004-06-02 2005-09-14 东莞欧陆电子有限公司 旋转式导电装置
KR20130108804A (ko) 2012-03-26 2013-10-07 문용완 회전형 접속장치를 갖춘 전기 플러그
KR20140065890A (ko) * 2012-11-22 2014-05-30 박채선 전원어댑터플러그
KR101411288B1 (ko) * 2012-11-22 2014-06-24 박채선 전기플러그
KR20190127129A (ko) * 2018-05-03 2019-11-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콘센트와 플러그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511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shielded cable to shield connector
CA2173798C (en) Electrical plug
US794685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595503A (en) Rotatable electrical plug and power cord
US7264514B2 (en) Rotary socket assembly
US785045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674807A (en) Shielded connector
CA2298284C (en) Modular motor construction
CN104919660B (zh) 电缆连接器系统
CN110770982B (zh) 具有保护性导体触头和保护性导体连接器元件的电插头
US6828704B2 (en) Electric motor
US7458814B2 (en) Twist-check socket and electronic articles equipped with the same
KR102192391B1 (ko) 인서트형 회전플러그
JP2002530821A (ja) 接続装置
KR102192389B1 (ko) 샌드위치형 회전플러그
US5516302A (en) End feed connector for pre-bussed rigid conduit
KR101139531B1 (ko) 케이블 연결 장치
KR200185381Y1 (ko)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2195704B1 (ko) 원판접촉형 회전플러그
US5135404A (en) Insulating liner for an electrical plug assembly
US5454736A (en) Mini UHF coaxial cable connector
KR102192383B1 (ko) 절연보 일체형 회전플러그
US5637016A (en) HF plug connection system
KR200147476Y1 (ko) 회전형멀티커넥터
CN111628356B (zh) 屏蔽式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