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433B1 - 회전용 소켓 - Google Patents
회전용 소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2433B1 KR101992433B1 KR1020170166377A KR20170166377A KR101992433B1 KR 101992433 B1 KR101992433 B1 KR 101992433B1 KR 1020170166377 A KR1020170166377 A KR 1020170166377A KR 20170166377 A KR20170166377 A KR 20170166377A KR 101992433 B1 KR101992433 B1 KR 1019924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plug
- terminal
- frame
- b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축으로 플러그의 회전이 용이한 소켓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은 하부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일부가 상기 하부몸체의 일부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부에서 삽입되는 플러그의 위치를 고정하고, 일부의 변형을 통해 맞물리는 위치를 변경하며 회전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플러그 및 하부몸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은 하부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일부가 상기 하부몸체의 일부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부에서 삽입되는 플러그의 위치를 고정하고, 일부의 변형을 통해 맞물리는 위치를 변경하며 회전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플러그 및 하부몸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회전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삽입된 플러그의 회전이 가능한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플러그를 삽입시키는 단자들 사이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부피가 큰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시키는 경우, 다른 플러그들의 삽입이 제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를 연결하는 다양한 종류의 어댑터 또는 소켓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고, 부피가 크며 전기적인 연결에 있어서 부족한 부분이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9002호은 플러그, 소켓 및 소켓과 플러그의 연결구조체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7580호는 헤드부가 구비된 플러그 핀을 포함하는 스마트 플러그 소켓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구조가 복잡하고,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회전이 자유로운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삽입 방향을 축으로 플러그의 회전이 용이한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켓은 하부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일부가 상기 하부몸체의 일부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부에서 삽입되는 플러그의 위치를 고정하고, 일부의 변형을 통해 맞물리는 위치를 변경하며 회전하며, 상기 상부몸체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플러그 및 하부몸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면, 상기 단자를 밀착하며 둘러싸는 상부단자를 통해 상기 단자를 고정시키고, 상기 상부단자의 하부 끝단은 상기 하부몸체를 탄성 압박하는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는 오목하게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돌기들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단자는 내부공간이 상하부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상부소켓 및 상기 상부소켓의 양측 일부분들이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압박하는 조임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단자는 상기 상부소켓의 하부에 삽입 및 고정되는 스프링, 상기 상부소켓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과 밀착되는 볼 및 상기 볼의 일부 및 상기 스프링을 둘러싸며 상기 상부소켓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리테이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내부의 하부에서 상기 볼과 밀착되고, 일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와 결합되는 하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상부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돌기들과 맞물리도록 내측면에서 상기 상부돌기들 각각의 사이로 오목하게 돌출된 하부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단자는 상기 볼의 이동 경로에 따라 원호 형태로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고, 저면은 하부를 향해 반원형태로 오목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단자프레임 및 일단은 상기 단자프레임의 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 하부에 돌출되는 하부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은 삽입된 플러그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플러그를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회전 각도 조절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소켓은 구 형태의 볼을 통해 삽입된 플러그의 슬라이딩 회전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볼을 감싸는 형태의 하부단자를 통해 상부단자와 하부단자 사이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켓은 삽입된 플러그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조정이 가능하고, 플러그의 회전을 통해 플러그에 연결된 케이블의 정리 및 복수의 플러그들의 콘센트 삽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소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들.
도 3은 도 2의 상부몸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하부단자 및 상부단자의 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상부돌기들 및 하부돌기들이 맞물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소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들.
도 3은 도 2의 상부몸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하부단자 및 상부단자의 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상부돌기들 및 하부돌기들이 맞물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소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상부몸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하부단자 및 상부단자의 밀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2의 상부돌기들 및 하부돌기들이 맞물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6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00)은 하부몸체(200) 및 상부몸체(400)를 포함한다.
소켓(100)은 콘센트(10)에 플러그(20)가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20)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이미 삽입된 플러그(20)에 의해 콘센트(10)의 빈 슬롯에 다른 플러그의 삽입이 불가능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작된다.
소켓(100)은 콘센트(10) 및 플러그(20)들의 사이에서 콘센트(10) 및 플러그(20)들 각각과 결합하여 콘센트(10) 및 플러그(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플러그(20)가 소켓(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방향인 제1 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소켓(100)은 플러그(20)의 회전이 가능하여 콘센트(10)의 비어있는 슬롯에 다른 플러그의 삽입이 용이하고 플러그(20)와 연결된 전자제품을 향해 플러그(20)와 연결된 케이블의 방향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하부몸체(200)는 하부프레임(220) 및 하부단자(240)들을 포함하고, 하부프레임(220)은 하부돌기(225)를 포함하며, 하부단자(240)들 각각은 단자프레임(242), 및 하부소켓(244)을 포함한다.
하부프레임(220)은 내부공간의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단자(240)는 하부프레임(220)의 저면에 결합되어 하부프레임(220)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부돌기(225)들 각각의 일단은 하부프레임(220)의 상단 내측면을 따라 동일 수평선상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하부프레임(220)의 내측면과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과 반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하부단자(240)들 각각은 하부프레임(220)의 저면에서 하부프레임(2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은 상부프레임(420)에 삽입되는 플러그(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은 콘센트(10)에 삽입된다.
단자프레임(242)은 하부프레임(220)의 내부공간 하부에서 원호 형태로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고 단면은 하부로 반원 형태로 오목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소켓(244)의 일단은 단자프레임(242)의 저면에 밀착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하부프레임(220)의 저면을 관통하여 콘센트(10)에 삽입된다.
상부몸체(400)는 상부프레임(420) 및 상부단자(440)들을 포함하고, 상부프레임(420)은 상부돌기(425)들을 포함하며, 상부단자(440)들 각각은 상부소켓(442), 조임유닛(443), 스프링(444), 리테이너(446) 및 볼(448)들을 포함한다.
상부몸체(400)는 하부몸체(200)의 상부에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 및 결합되고, 하부몸체(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끝단은 하부단자(240)와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부프레임(42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몸체(200) 및 상부몸체(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돌기(225)들과 맞물리도록 상부돌기(425)들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돌기(425)들 각각은 상부프레임(420)의 가장자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상부프레임(4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부돌기(425)들 각각의 일단은 상부프레임(420)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외측면은 오목하게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몸체(400) 및 하부몸체(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돌기(225)들 각각의 사이에 맞물린다.
하부몸체(200) 및 상부몸체(400)가 서로 결합되어 하부돌기(225)들 및 상부돌기(425)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부몸체(400)에 결합된 플러그(20)를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상부돌기(425)들이 하부돌기(225)들 사이에 맞물린 상태를 벗어나면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상부돌기(425)들이 플러그(2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한 후 다시 하부돌기(225)들 사이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면, 플러그(20)의 회전은 정지되고, 플러그(20)의 위치가 고정된다.
하부돌기(225)들 및 이에 대응하는 상부돌기(425)들의 개수를 조정하면, 플러그(20)가 회전하는 각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고, 하부돌기(225)들 및 상부돌기(425)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플러그(20)의 회전을 제한하므로, 안정적으로 플러그(20)의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하부돌기(225)들 및 상부돌기(425)들 각각의 숫자는 상부몸체(400)에 삽입되는 플러그(20)의 회전각도 조절을 위해 변경될 수 있고, 하부몸체(200) 및 상부몸체(400)의 회전구조는 유지하면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몸체(200) 및 상부몸체(400)의 중앙을 관통하며 하부몸체(200) 및 상부몸체(400)를 결합시키는 리벳 형태의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돌기(225)들은 플러그(20)의 회전으로 상부돌기(425)들이 맞물린 상태를 벗어나서 이동하는 경우, 딸깍하며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탄성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단자(440)들 각각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부프레임(420)의 저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하부몸체(200) 및 상부몸체(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은 하부단자(240)와 밀착된다.
상부단자(440)들 각각은 상부몸체(400)에 삽입되는 플러그(20)의 단자들 각각을 둘러싸고, 하부단자(240)들 각각에서 전달되는 전류를 플러그(20)의 단자들 각각에 전달한다.
상부소켓(442)의 상부는 상부프레임(420)의 저면을 관통하고, 내부공간이 상부프레임(420)의 상부에서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각각이 상부프레임(420)의 상부에서 삽입되는 플러그(20)의 단자들 각각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부소켓(442)의 내부공간은 상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양측 일부분을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되어 상부소켓(442)에 삽입되는 플러그(20)의 단자들 중 어느 하나의 양측 일부분이 외부에 노출된다.
스프링(444)의 일단 일부는 상부소켓(442)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들 중 어느 하나와 밀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리테이너(446)는 일단은 상부소켓(442)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면서 볼(448)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리테이너(446)의 외측면은 링 형태로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볼(448)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볼(448)과 밀착되는 부분의 내구성을 개선한다.
볼(448)의 상단은 스프링(444)의 타단과 밀착되고, 하부는 리테이너(446)의 타단 하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하부몸체(200) 및 상부몸체(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단자프레임(242)과 밀착된다.
단자프레임(242)의 상부면은 반원 형태로 하부를 향해 오목하게 돌출된 형태의 볼(448)의 하부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볼(448)과 밀착되어 접지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상부소켓(442)에 상기 단자들 중 어느 하나가 삽입되면, 스프링(444)이 수축하면서 볼(448)을 하부를 향해 이동시켜 볼(448)이 단자프레임(242)과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플러그(20)의 회전으로 상부단자(440)들이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경우, 볼(448)의 회전에 의해 하부단자(240)들 각각과 밀착되는 상부단자(440)들 각각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단자들 중 어느 하나는 전도체로 형성된 상부소켓(442), 스프링(444), 리테이너(446) 및 볼(448)을 통해 안정적으로 하부단자(240)와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고, 단자프레임(242) 또는 단자프레임(242)과 밀착되는 볼(448)의 마모가 감소하여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4 및 6들을 참조하면, 플러그(20)의 단자들 각각이 상부단자(440)들 각각에 삽입되면, 상기 단자들 각각은 조임유닛(443)을 통해 상부단자(440)들 각각과 고정된다.
상기 단자들 각각은 스프링(444)과 밀착하며 스프링(444)이 수축하도록 압박하고, 수축된 스프링(444)은 리테이너(446)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된 볼(448)을 하부를 향해 압박한다.
해당 사용자가 플러그(20)를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볼(448)은 단자프레임(242)과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고, 상부돌기(425)들은 하부돌기(225)들과 맞물린 상태에서 벗어나 하부몸체(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한다.
플러그(20)의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여 플러그(20)의 회전이 정지되면, 상부돌기(425)들 각각은 하부돌기(225)들 각각의 사이에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플러그(20)는 회전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소켓(100)은 상부돌기(425)들 및 하부돌기(225)들 각각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부돌기(425)들이 하부돌기(225)들과 이탈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힘이 필요하므로 플러그(20)의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고, 플러그(20)의 정밀한 회전 각도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444)의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탄성을 통해 볼(448) 및 단자프레임(242)의 접지력이 개선되고, 상부몸체(400)에 플러그(20)가 삽입되면서 볼(448)에 가해지는 압력이 단자프레임(242)에 전달되어 하부소켓(244) 및 콘센트(10)의 안정적인 전기적 결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소켓 200: 하부몸체 400: 상부몸체
Claims (7)
- 하부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원통형태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하부돌기들을 포함하는 하부몸체; 및
상기 제1 방향을 축으로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상기 하부몸체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면 하부 끝단이 상기 하부몸체를 탄성 압박하는 상부단자가 형성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단자는 내부공간이 상하부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둘러싸는 상부소켓, 상기 상부소켓의 하부에 삽입 및 고정되는 스프링, 상기 상부소켓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과 밀착되는 볼 및 상기 볼의 일부 및 상기 스프링을 둘러싸며 상기 상부소켓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돌기들 사이에 반원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돌기들과 맞물리는 상부돌기들이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된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볼은 상기 상부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의 일부와 탄성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몸체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플러그 및 하부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단자는,
상기 상부소켓의 양측 일부분들이 상기 내부공간을 향해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단자를 압박하는 조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내부의 하부에서 상기 볼과 밀착되고, 일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콘센트와 결합되는 하부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자는,
상기 볼의 이동 경로에 따라 원호 형태로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고, 저면은 하부를 향해 반원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단자프레임; 및
일단은 상기 단자프레임의 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저면 하부에 돌출되는 하부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377A KR101992433B1 (ko) | 2017-12-06 | 2017-12-06 | 회전용 소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377A KR101992433B1 (ko) | 2017-12-06 | 2017-12-06 | 회전용 소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6699A KR20190066699A (ko) | 2019-06-14 |
KR101992433B1 true KR101992433B1 (ko) | 2019-06-25 |
Family
ID=6684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6377A KR101992433B1 (ko) | 2017-12-06 | 2017-12-06 | 회전용 소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243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1810A (ko) | 2021-10-29 | 2023-05-09 | 김영석 | 케이블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플러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2831B1 (ko) * | 2020-01-16 | 2021-09-15 | 주식회사 제이엠테크 |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KR102421875B1 (ko) * | 2020-08-03 | 2022-07-19 | (주)인텔리안테크놀로지스 | 케이블 미소 회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 안테나 장치 |
CN111934149B (zh) * | 2020-10-16 | 2021-01-12 | 得力集团有限公司 | 一种移动式自接线插座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322Y1 (ko) * | 1999-08-20 | 2000-02-15 | 신영성 | 회전 기능을 갖는 플러그 |
KR200231191Y1 (ko) * | 2001-02-06 | 2001-07-19 | 서정인 | 회전식 플러그를 갖는 어댑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3889B1 (ko) * | 2012-11-22 | 2014-06-09 | 박채선 | 전원어댑터플러그 |
-
2017
- 2017-12-06 KR KR1020170166377A patent/KR1019924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9322Y1 (ko) * | 1999-08-20 | 2000-02-15 | 신영성 | 회전 기능을 갖는 플러그 |
KR200231191Y1 (ko) * | 2001-02-06 | 2001-07-19 | 서정인 | 회전식 플러그를 갖는 어댑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1810A (ko) | 2021-10-29 | 2023-05-09 | 김영석 | 케이블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플러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6699A (ko) | 2019-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2433B1 (ko) | 회전용 소켓 | |
US10283880B2 (en) | Terminal clamp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 |
US6126460A (en) | Safety dual plug structure | |
US6780065B2 (en) |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a power lead to an electrode, in particular a medical skin electrode | |
JP2012113983A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 |
KR101403889B1 (ko) | 전원어댑터플러그 | |
US20210104834A1 (en) | Socket contact and connector | |
US9077133B2 (en) | Multi-position duckhead adapter plugs and associated moveable plug assemblies | |
JP2013222683A5 (ko) | ||
KR20100043215A (ko) | 전기 연결장치 | |
KR20200004413A (ko) | 절연 변위 접점을 포함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 | |
US7540774B1 (en) | Coaxial connector | |
KR200477489Y1 (ko) |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 |
US8833568B2 (en) | Controller stand device and controller stand system | |
NZ201877A (en) | Electrical connector:plug rotation livens socket contacts | |
US4632481A (en) | Electrical pressure contact | |
KR100866092B1 (ko) | 저삽입력 커넥터 | |
CN213602018U (zh) | 一种方便操作的电连接器 | |
AU2008352557A1 (en) |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 |
KR20100053548A (ko) | 회전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프링 부하식 접촉부 | |
KR102412866B1 (ko) |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 |
KR100322278B1 (ko) | 콘센트 | |
US20150140842A1 (en) | Receptacle connector | |
EP3111519B1 (en) | Socket | |
CN220324881U (zh) | 一种智能排插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