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831B1 -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02831B1 KR102302831B1 KR1020200005951A KR20200005951A KR102302831B1 KR 102302831 B1 KR102302831 B1 KR 102302831B1 KR 1020200005951 A KR1020200005951 A KR 1020200005951A KR 20200005951 A KR20200005951 A KR 20200005951A KR 102302831 B1 KR102302831 B1 KR 1023028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plug
- protrusion
- bracket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여 전원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부; 및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일단과 체결되고, 상기 브라켓과 플러그는 일체로 함께,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 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한 회전가능한 플러그 조립체 및 이와 결합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는 돌출 단자를 가지고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되 기계적으로 안정되게 삽입되는 기구로서, 전기회로를 쉽게 접속하거나 단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속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나 커넥터는 다수개의 플러그가 병렬로 삽입되도록 멀티탭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콘센트는 멀티 탭과 같은 2구 이상의 접속구에 'ㄱ' 형상의 플러그가 포함된 다수의 플러그를 꽂을 경우, 플러그 간의 간섭으로 인해 플러그 삽입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플러그가 몸체에 일체로 결합된 소형 전자장치의 경우 몸체의 부피로 인하여 콘센트 결합부에서 인접 플러그와의 간섭으로 인해 다른 플러그 삽입이 어려워 플러그 접속 위치의 제약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멀티탭 콘센트에서 다수 전기장치 사용이 어렵고, 특히 실내벽에 형성된 콘센트에 전자장치가 접속된 형태가 불안정하여 기구적 안정성 및 실내 미관을 해치게 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회전가능한 플러그들은 콘센트의 접속부가 회전 가능하면서도 전기적으로 완전한 접속을 유지하는 구조를 위해 단자 구성이 복잡하고 접속의 불량함을 초래할 우려가 매우 높다. 그리고 조립성이 낮아 제품 유격을 맞추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구조를 향상시켜 전기 및 전자 장치의 플러그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연결되는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 제작이 용이하고 조립성이 우수하면서 회전가능한 플러그 조림체 및 그와 일체로 결합되는 전자장치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플러그 회전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플러그 구조를 가지는 전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여 전원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부; 및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의 일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일단과 체결된다.
상기 브라켓과 플러그는 일체로 함께, 상기 관통공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라켓과 플러그는 관통공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자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기 관통공 주변 평면을 따라 슬라이딩 회동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과 플러그는 서로 체결고정되되, 각기 케이스의 내측과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의 둘레의 케이스 내평면 및 외평면을 슬라이드 회동한다.
상기 관통공 둘레를 따라 케이스 내측에는 원호 형상의 돌출부(630)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베이스부(550), 제1체결부(540) 및 상기 베이스부(55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판스프링(5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플러그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체결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플러그부가 강성 결합된다.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520)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플러그부와 상기 케이스는 고정되되,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한 플러그부의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관통공(622) 둘레를 따라 케이스 내측에는 내측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30)는 상기 내측안착부(620)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둘레를 따라 케이스 외측에는 외측안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부는 복수의 단자, 안착판(410) 및 상기 안착판에 형성되는 상기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은 상기 외측안착부에 접하여 안착된다.
상기 외측안착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따라 원호 형상의 외측홈(65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원호 형상의 외측홈에는 상기 안착판(410)에서 돌출된 걸림돌부(401)가 끼워맞춤 삽입되어 상기 외측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상기 플러그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외측홈의 양단에 의해 걸림돌부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630)는 상기 내측안착부에 대해 단차를 가지는 일정 높이의 돌출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평면에는 걸림홈(640)이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홈 중 하나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5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에는 복수의 걸림홈(640)이 원호 형상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판스프링(520)의 저면은 가압면으로서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고 상기 고정돌기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안착되어 상기 브라켓과 플러그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520)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평면을 따라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과 고정결합되는 플러그부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베이스부(550)의 외측에는 상기 내측안착부에 안착되기 위한 플랜지부(530)가 원호 형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복수의 단자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기 위한 절개부(53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자 장치로서, 전자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전원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 조립체; 및 상기 플러그 조립체를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에 의하면, 전기 콘센트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구조를 향상시킴으로써, 전기 콘센트에서 전기 장치의 플러그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미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조립성이 우수하면서 구조적으로 회전이 용이하면서 동시에 일정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을 경우 안정되게 접속단자의 위치가 유지되어 품질이 우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 조립체는 부품들의 유격 오차가 있어도 플러그 회전 및 고정 기능 확보가 용이한 구조이므로 품질이 우수한 동시에 생산 및 제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케이싱의 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케이싱의 외측을 도시한 정면도와 시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플러그부의 정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브라켓의 (a) 전방 사시도와 (b)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일부분의 종절단도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회전형 플러그 조림체를 구비한 초음파 해충 퇴치기의 플러그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케이싱의 내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케이싱의 외측을 도시한 정면도와 시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플러그부의 정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브라켓의 (a) 전방 사시도와 (b)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일부분의 종절단도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장치의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회전형 플러그 조림체를 구비한 초음파 해충 퇴치기의 플러그의 회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 또는 '연결'된다는 것은 두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까지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멀티 탭과 같은 2구 이상의 콘센트에 플러그 연결 방향이 고정되어 있는 다수의 플러그를 꽂을 경우, 플러그 간의 간섭으로 인해 플러그 삽입의 제약이 발생한다. 특히 액체증발식 또는 초음파 해충 퇴치기와 같이 플러그가 전자제품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소형 전자제품의 경우 멀티탭에서 다수 플러그 체결 시의 물리적 간섭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실내 공간의 정리된 배치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자는 이런 플러그들 간의 간섭으로 인해 전자 장치의 플러그 삽입 제약을 해결하기 위한 회전형 플러그를 구비한 전자장치를 창안하게 되었고, 이하에서는 초음파 해충 퇴치기를 본 발명의 회전형 플러그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한 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핵심적 사상은 전자 장치의 케이스에 일체로 결합되어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기적 단락 없이 회전가능한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고, 해층퇴치기와 같은 특정 전자 제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장치(해충 퇴치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장치 내의 플러그 조립체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0), 브라켓(50) 및 플러그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60)는 전자 장치의 각종 부품을 내부에 수용 내지 실장하는 커버이고, 전기 부품은 플러그부의 전기 단자와 전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나, 구성요소들의 명확한 도시를 위해 필요에 따라 도면에서 전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도 2 내지 8의 실시예에서, 케이스(60)는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부품을 수용하는 전면 및 후면 케이스(610)로 구성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러그 조립체의 일부로서 플러그부와 브라켓이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610)를 중심으로 상세히 도시한다.
케이스(60)의 일측에는 관통공(622)이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부(40) 및 브라켓(5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후면 케이스(610)의 일부분에 원형의 관통공(6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62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브라켓(50)은 후면 케이스(610)의 내측에, 플러그부(40)는 후면 케이스(610)의 외측에 각기 대향 배치된다.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브라켓(50)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의 일단과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플러그는 일체로 함께,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회동가능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후면 케이스(610)를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610) 내측면에는 내측안착부(620)가 상기 관통공(622)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30)는 상기 내측안착부(620)의 일부분에 관통공(622) 둘레를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630)는 내측안착부(620)에 대해 단차를 가지는 일정 높이의 돌출면을 가지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후면 케이스(610) 외측면에는 상기 관통공(622) 둘레에 외측안착부(650)가 환형으로 형성되어, 플러그부(40)의 안착판(410)이 접하여 안착된다.
상기 외측안착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따라 호(ARC) 형상의 외측홈(65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호 형상의 외측홈(652)은 상기 안착판(410)에 형성된 걸림돌부(401)이 삽입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브라켓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켓(40)은 베이스부(550), 한 쌍의 제1체결부(540) 및 상기 베이스부(55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판스프링(52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550)는 브라켓의 중심 부분으로 두께를 가지는 원형 평판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베이스부(550)는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공(622)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부(55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내측안착부에 안착되기 위한 한 쌍의 플랜지부(530)가 호 형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복수의 단자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기 위한 절개부(533)가 형성된다. 베이스부와 플랜지부(530)의 높이 차이로 인해 단차부(535)가 베이스부의 저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의하면, 베이스부(550)는 상기 관통공(622)에 일부 삽입되고 플랜지부(530)가 케이스의 내측안착부(620)에 안착된다.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 중의 하나의 외주에 연장 형성되는 판스프링(520)은 상기 플랜지부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플랜지부에 대해 단차를 가지고, 돌출부(630)의 호 형상 돌출면을 가압한다. 판스프링은 호 형상으로 관통구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에 면하는 형상이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돌출면에 대한 전체적 가압을 하면서도 돌출면을 따라 슬라이드 회전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케이스에 대한 브라켓의 가압과 상대적 회전을 모두 용이하게 한다. 동시에 판스프링에 의해 가압이되므로 관통공과 브라켓, 플러그부의 각 결합 부위의 유격이 정확하지 않아도 브라켓과 플러그부 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흔들림 없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판스프링, 플랜지부, 베이스부, 제1체결부를 포함한 브라켓은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판스프링은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로서,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강도와 유연성을 동시에 주기 위해 판스프링과 상기 플랜지부 사이에 관통부(523)를 가진다. 즉, 판스프링(520)이 플랜지부(530)의 외주면에 연장 형성되되, 상당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강도를 줌과 동시에 관통부(523)를 포함하여 판스프링에 탄성을 기구적으로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는 한쌍의 제1체결부(540)가 형성되는데, 도 3,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암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체결부(540)는 상기 플러그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체결부(440)와 체결부재인 수나사에 의해 결합되고, 이 체결에 의해 브라켓과 플러그부는 고정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즉, 플러그부를 회전시키면 브라켓이 같이 회전하게 된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부(40)는 복수의 도체 금속 단자(470), 상기 단자(470)가 일측에 결합되는 플러그몸체(400) 및 상기 플러그몸체(4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안착판(410)을 포함한다. 도 6 (a)는 안착판의 정면도이고 (b)는 플러그 몸체(400) 및 플러그몸체(400)에 결합된 안착판(410)의 사시도이다. 안착판의 중앙에 일측이 개방된 중공(420)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제1체결부와 일렬로 정렬되도록 한쌍의 제2체결부(44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부(440)는 암나사부이고, 체결부재(300), 수나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는 고정결합된다.
상기 안착판에는 케이스에 면하는 일면에는 한 쌍의 환형삽입돌기부(430)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622)의 내주면에 접하여 삽입되면서 상기 안착판의 일면이 상기 외측안착부(650)에 접하여 안착된다. 안착판의 케이스에 면하는 일면에는 돌출된 걸림돌부(401)가 형성된다. 안착판이 상기 외측안착부(650)에 접하여 안착될 때, 걸림돌부(401)는 상기 외측안착부(650)의 호(ARC) 형상의 외측홈(652)에 끼워맞춤 삽입되어 상기 외측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상기 브라켓 및 플러그부의 케이스에 대한 회전 각도는 상기 외측홈의 양단에 의해 걸림돌부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한정된다.
외측안착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따라 원호 형상의 외측홈(652)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원호 형상의 외측홈에는 상기 안착판(410)에서 돌출된 걸림돌부(401)가 끼워맞춤 삽입되어 상기 외측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플러그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외측홈의 양단에 의해 걸림돌부의 회전 한계가 한정됨으로써 정해지는 것이다. 호(ARC) 형상의 외측홈(652)에 의해 정해지는 각도는 30도 내지 180 도로 설계될 수 있다. 이 외측홈(652)의 호의 중심은 관통공의 중심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브라켓의 구조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상기 관통공 둘레에 형성되는 호형 돌출면에는 복수의 걸림홈(640)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판스프링의 상기 돌추부를 가압하는 가압면에는 상기 걸림홈 중 하나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5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걸림홈(640)은 호 형상의 돌출면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520)의 저면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고 고정돌기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안착되어 상기 브라켓과 플러그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다. 도 4에 의하면, 일정 간격으로 총 5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데, 고정돌기부(525)가 걸림홈에 딸깍하고 삽입고정됨에 따라 0 내지 180까지 회전이 가능하되 45도 회전 간격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판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케이스에 브라켓이 고정되지만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도 있으므로 걸림홈에 고정돌기부(525)가 삽입되어 고정력을 높이게 된다. 즉 관통공의 중심축에 대한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브라켓과 플러그부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다만,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딸깍 소리와 함께 고정돌기부가 걸림홈을 벗어나는 돌출면을 따라 슬라이딩 회전한다.
도 3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러그부는 일체로 형성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도 6, 9 참조)에 의하면 상기 플러그부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를 가지는 플러그몸체(400)가 별개로 구성되어 조립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520)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플러그는 브라켓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지만,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의 케이스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브라켓(50)은 베이스부(550)의 일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둥 형상의 중공구조를 가지는 제3체결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부(510)의 중공 내에는 플러그부의 대응하는 구성인 제4체결부(730)가 삽입된다.
제3체결부(510)는 중공을 가지는 사각 기둥 형태이고, 제4체결부(730)는 중공 내에 끼움 고정이 되도록 중공 내측과 동일한 단면의 외측 형상을 가진다. 제4체결부(730)는 플러그부(40)의 중공(420) 내에 플러그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체결부에 의해 플러그부와 브라켓부의 결합력이 강화된다. 특히 끼움 결합만으로 동시 회전력은 강화되므로 조립성이 우수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50)의 제1체결부(540)와 상기 제2체결부(440)는 나사에 의해 일체로 함께 고정되고, 그 사이에 결합된 케이스(60)는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9에 의하면, 플러그부(40)의 중공(420) 내에 단자부를 삽입하여 플러그부(4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부는 플러그몸체와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플러그몸체(400)의 중공(420) 내에 삽입된다. 상기 단자부는 한쌍의 단자(470), 돌출된 사각 기둥 형상의 제4체결부(730), 상기 한쌍의 단자(470)에 연결되는 전선(760) 및 상기 전선과 전자 부품을 연결하는 소켓부(761)를 포함한다.
플러그몸체(400)의 중공(420)의 막힌 일단부는 단자의 통과를 위한 한 쌍의 단자용 관통공이 형성되고 단자를 돌출된 상태로 안착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키지만 판스프링에 의해 유격의 자유도가 향상되어 조립체의 결합은 안정성이 높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부(40)와 브라켓(50)은 케이스(60)의 양면과 맞닿아 있으며 관통공(622) 사이로 결합된다. 플러그부(40), 브라켓(50)과 나사에 의해 결합되지 않은 케이스(60)는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돌출부(630)는 판스프링(520)을 지지하고 돌출부(630) 가압면에서 플랜지부(530)의 회전을 지지하며 안정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또한, 원호 형상의 외측홈(652)에 안착판의 걸림돌부(401)가 끼워맞춤 삽입되어 고정된 범위내에서만 케이스(60)에 대한 플러그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해 불필요한 회전방향각을 축소하여 내부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였다.
또한 돌출부(630)에서 걸림홈(640)은 판스프링의 돌기 부분과 맞물려 고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걸림홈(640)은 특정 각도마다 존재하도록 제작하여 케이스(60) 회전 시 다수 각도에서 고정이 가능하다. 더 자세히는 45도 마다 걸림홈(640)을 형성한다.
단자(470)에서 나온 전선은 관통공(622)를 관통하여 절개부(533) 사이로 나와 내부 전자 부품과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치는 플러그를 구비한 개별 전자 장치에 맞게 맞춤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방식에 의하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코드 연결부(미도시)가 돌출부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회전형 플러그를 구비한 초음파 해충 퇴치기의 플러그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들이다. 본 발명의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는 전기적 단락 및 내부 전선의 꼬임 없이, 케이스에 대한 상대적 회전운동이 가능하므로, 플러그부의 단자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케이스 자체의 회전이 가능하다. 즉 케이스(몸체)를 돌려서 플러그부는 콘센트에 고정된 상태로 전자장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미 꽂은 상태인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멀티탭 콘센트에서 뺄 필요 없이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 전기기구의 코드를 연결하기 위해 인접한 탭에 코드를 꽂을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0 플러그부
50 브라켓
60 케이스
300 체결부재
400 플러그몸체
401 걸림돌부
410 안착판
420 중공
430 환형삽입돌기부
440 제2체결부
470 금속 단자
510 제3체결부
520 판스프링
523 관통부
525 고정돌기부
530 플랜지부
533 절개부
535 단차부
540 제1체결부
550 베이스부
610 후면 케이스
620 내측안착부
622 관통공
630 돌출부
640 걸림홈
650 외측안착부
652 외측홈
730 제4체결부
760 전선
761 소켓부
50 브라켓
60 케이스
300 체결부재
400 플러그몸체
401 걸림돌부
410 안착판
420 중공
430 환형삽입돌기부
440 제2체결부
470 금속 단자
510 제3체결부
520 판스프링
523 관통부
525 고정돌기부
530 플랜지부
533 절개부
535 단차부
540 제1체결부
550 베이스부
610 후면 케이스
620 내측안착부
622 관통공
630 돌출부
640 걸림홈
650 외측안착부
652 외측홈
730 제4체결부
760 전선
761 소켓부
Claims (10)
-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결합되고,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여 전원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부; 및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부의 일단과 체결되고,
상기 브라켓과 플러그부는 일체로 함께,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관통공 둘레를 따라 케이스 내측에는 원호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베이스부, 제1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플러그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체결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브라켓과 상기 플러그부가 강성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플러그부와 상기 케이스는 고정되되,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대한 플러그부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둘레를 따라 케이스 내측에는 내측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측안착부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측안착부에 대해 단차를 가지는 일정 높이의 돌출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평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둘레를 따라 케이스 외측에는 외측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는 복수의 단자, 안착판 및 상기 안착판에 형성되는 상기 제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은 상기 외측안착부에 접하여 안착되고,
상기 외측안착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따라 원호 형상의 외측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원호 형상의 외측홈에는 상기 안착판에서 돌출된 걸림돌부가 끼워맞춤 삽입되어 상기 외측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플러그부의 회전 각도는 상기 외측홈의 양단에 의해 걸림돌부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둘레를 따라 케이스 내측에는 내측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측안착부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측안착부에 대해 단차를 가지는 일정 높이의 돌출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평면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홈 중 하나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원호 형상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에는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하나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하고 상기 고정돌기부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안착되어 상기 브라켓과 플러그부는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돌출부의 돌출평면을 따라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과 고정결합되는 플러그부가 상기 케이스에 대해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는 상기 내측안착부에 안착되기 위한 플랜지부가 원호 형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부의 복수의 단자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 전자 장치로서,
전자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전원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부; 및
상기 플러그부를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부의 일단과 체결되고,
상기 브라켓과 플러그부는 일체로 함께,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케이스 내측의 관통공 둘레에는 원호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베이스부, 제1체결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플러그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플러그부와 상기 케이스는 고정되되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상기 플러그부의 케이스에 대한 회전이 가능한, 전자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 둘레를 따라 케이스 내측에는 내측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내측안착부에 대해 단차를 가지는 일정 높이의 돌출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평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5951A KR102302831B1 (ko) | 2020-01-16 | 2020-01-16 |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5951A KR102302831B1 (ko) | 2020-01-16 | 2020-01-16 |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2487A KR20210092487A (ko) | 2021-07-26 |
KR102302831B1 true KR102302831B1 (ko) | 2021-09-15 |
Family
ID=7712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5951A KR102302831B1 (ko) | 2020-01-16 | 2020-01-16 |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283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1309A1 (ko) * | 2022-03-31 | 2023-10-05 | 정재웅 |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3895Y1 (ko) | 2001-06-28 | 2002-02-19 | 이성두 | 회전 스위치 플러그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6207B1 (ko) * | 2001-02-06 | 2003-09-03 | 김병준 | 회전식 플러그를 갖는 어댑터 |
KR102551599B1 (ko) * | 2016-02-04 | 2023-07-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어댑터 |
KR101992433B1 (ko) * | 2017-12-06 | 2019-06-25 | 김민철 | 회전용 소켓 |
-
2020
- 2020-01-16 KR KR1020200005951A patent/KR1023028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3895Y1 (ko) | 2001-06-28 | 2002-02-19 | 이성두 | 회전 스위치 플러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1309A1 (ko) * | 2022-03-31 | 2023-10-05 | 정재웅 | 키패드를 구비한 전원 공급 콘센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2487A (ko) | 2021-07-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75167B2 (ja) | コネクタ組立体 | |
EP2722937B1 (en) | Connector assembly | |
US7753682B2 (en) |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 |
US7264514B2 (en) | Rotary socket assembly | |
US7121834B2 (en) |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 |
US8353724B2 (en) |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means for limiting cables thereof from swinging | |
US5180317A (en) | Angled electrical connector | |
JPH0616429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US5151033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5782653A (en) | Internal cap for preventing rearward movement of contacts within an electrical connector | |
US10784594B2 (en) | Adapter connector | |
WO2012172844A1 (ja) | コネクタ | |
KR102302831B1 (ko) | 회전형 플러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장치 | |
KR20160030136A (ko) | 삽입형 커넥터 | |
US5681186A (en) | Connector module, connector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 |
US7771242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position structure | |
US11296450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200398891Y1 (ko) | 회동식 접속부를 갖는 안전 콘센트 | |
KR101263113B1 (ko) | 안전 콘센트 | |
US20090142022A1 (en) | Multi-port connector having esata connector and optical fiber transmitting connector | |
US7186138B2 (en) | Multiple pieces dual type BNC connector with all metal shell | |
JP2008141575A (ja) | マイクロホン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マイクロホン | |
JP2001035602A (ja) | 電気コネクタ | |
US7819701B2 (en) | Rotatable electrical plug connector | |
JP3230630U (ja) | テレビ端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62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613 Effective date: 2023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