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89Y1 -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 Google Patents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89Y1
KR200477489Y1 KR2020140006751U KR20140006751U KR200477489Y1 KR 200477489 Y1 KR200477489 Y1 KR 200477489Y1 KR 2020140006751 U KR2020140006751 U KR 2020140006751U KR 20140006751 U KR20140006751 U KR 20140006751U KR 200477489 Y1 KR200477489 Y1 KR 200477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in
terminal
separating
powe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주
문형태
양경미
Original Assignee
신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주 filed Critical 신영주
Priority to KR2020140006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89Y1/ko
Priority to JP2016568780A priority patent/JP6306746B2/ja
Priority to PCT/KR2015/007360 priority patent/WO2016043418A1/ko
Priority to CN201520617121.0U priority patent/CN205104690U/zh
Priority to CN201510504331.3A priority patent/CN10542891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콘센트로부터 안전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콘센트와 접속되는 단자핀과 양측으로 단자핀이 끼움되는 단자핀 홀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분리핀 홀이 관통 형성되며 단자핀이 고정된 자세를 갖도록 유지시키는 단자고정대를 포함하는 단자고정부;일측에는 상기 단자고정대 외곽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단자고정대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부가 개방된 레버홀이 마련되며 레버홀 내부 측벽 양측으로 축홈이 음각 형성된 카트리지 몸체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레버홀에 삽입되고 축홈에 결합되기 위한 회동축이 양측으로 양각 형성되고 상부는 회동축이 편심되도록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는 캠부가 형성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내장된 상태로 레버의 회동에 따라 캠부와 접촉되어 슬라이딩 되는 분리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버카트리지;상기 단자핀의 끝단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상기 레버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홀을 형성한 상태로 단자고정부, 레버카트리지, 전원선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패키징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는 검지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파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핀은 봉 형태로 구성되며, 분리핀의 일측단에는 레버의 캠부와 접촉되는 마찰부가 형성되되, 상기 마찰부는 평평한 저면을 형성하는 안착면과 레버의 회전에 의해 캠부와 접촉하면서 분리핀을 밀어내며 상기 캠부의 곡률과 대칭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홈 하측의 바닥부분에는 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레버의 곡률에 대응되는 레버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안착부와 단차지게 연결되되 분리핀이 위치되는 바닥부분에는 분리핀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기 위한 분리핀 슬라이딩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핀 슬라이딩부에는 레버 회전시 일정 각도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캠부의 곡률에 대응되는 라운드면을 갖는 레버 스토퍼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An easy separable power plug and power plug adapter}
본 고안은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콘센트로부터 안전하고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플러그는 전기, 전자제품에 연결 설치되며, 콘센트에 공급된 전원을 전기, 전자 제품에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런 전원플러그에는 콘센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에 꼽혀져 물려지는 접속핀이 구비된다.
한편 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는 전원플러그의 접속핀을 견고하게 잡아주어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전원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접속핀이 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전원플러그의 접속핀이 콘센트의 전원공급단자에 억지끼움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 추 후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쉽게 분리하기가 어렵고 전원플러그를 분리하기 위해 큰 힘을 필요로 함으로써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하고, 전원선을 잡고 무리하게 당겨 전원플러그를 분리하면서 단선이 발생하여 합선 등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대한민국 공개특허 2001-0075993)가 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10)는 내부에 공간부를 이루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도전체로 된 단자 핀(13)과, 한쪽 끝 부분이 상기 몸체부(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 가능한 콘센트 압압부재(15)와, 상기 몸체부(11) 내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누를 때 몸체부(11) 내부에서는 상기 압압부재(15)의 다른 끝 부분을 누를 수 있는 레버(17)로 구성된다.
도 2는 종래의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플러그(10)가 콘센트(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레버(17)를 힌지핀(17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압압부재(15)를 아래로 밀어내어 플러그(10)를 콘센트(20)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10)는 콘센트(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레버(17)를 회동시키는데, 이때 플러그(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레버(17)를 작동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레버(17)를 당겨 압압부재(15)를 하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콘센트(20)로부터 플러그(10)를 분리하면서 힘의 손실이 발생함에 따라 플러그(10)를 분리하기에 많은 힘이 소요되어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한편, 도 3은 종래의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래의 전원플러그 어댑터는 일반적으로 220V를 110V로 변환하기 위함이나 또는 110V를 220V로 변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와 같이 전원선과 함께 일체로 패키징되어 마감된 기존의 전원플러그의 경우 전원플러그를 분리할 수 없는 구조로 형성되어 콘센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구성의 전원플러그를 적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1-0075993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를 분리할 때 용이하게 레버를 누를 수 있는 안정적인 파지감을 제공하고, 전원플러그 분리를 위해 사용자가 가하는 힘의 손실을 줄여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콘센트부터 분리 가능한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와 같이 전원선과 함께 일체로 패키징되어 마감된 기존의 전원플러그와 결합하여 용이하게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분리시켜 전원이 인가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콘센트와 접속되는 단자핀과 양측으로 단자핀이 끼움되는 단자핀 홀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분리핀 홀이 관통 형성되며 단자핀이 고정된 자세를 갖도록 유지시키는 단자고정대를 포함하는 단자고정부;일측에는 상기 단자고정대 외곽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단자고정대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부가 개방된 레버홀이 마련되며 레버홀 내부 측벽 양측으로 축홈이 음각 형성된 카트리지 몸체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레버홀에 삽입되고 축홈에 결합되기 위한 회동축이 양측으로 양각 형성되고 상부는 회동축이 편심되도록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로부터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는 캠부가 형성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내장된 상태로 레버의 회동에 따라 캠부와 접촉되어 슬라이딩 되는 분리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버카트리지;상기 단자핀의 끝단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상기 레버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홀을 형성한 상태로 단자고정부, 레버카트리지, 전원선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패키징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는 검지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파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핀은 봉 형태로 구성되며, 분리핀의 일측단에는 레버의 캠부와 접촉되는 마찰부가 형성되되, 상기 마찰부는 평평한 저면을 형성하는 안착면과 레버의 회전에 의해 캠부와 접촉하면서 분리핀을 밀어내며 상기 캠부의 곡률과 대칭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홈 하측의 바닥부분에는 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레버의 곡률에 대응되는 레버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안착부와 단차지게 연결되되 분리핀이 위치되는 바닥부분에는 분리핀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기 위한 분리핀 슬라이딩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핀 슬라이딩부에는 레버 회전시 일정 각도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캠부의 곡률에 대응되는 라운드면을 갖는 레버 스토퍼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한편,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콘센트와 접속되는 단자핀과 상기 단자핀 끝단에 연결되어 단자핀의 접속부분을 연장시키고 플러그(P)와 접속되는 접속부재와 양측으로 단자핀이 끼움되는 단자핀 홀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분리핀 홀이 관통 형성되며 단자핀이 고정된 자세를 갖도록 유지시키는 단자고정대를 포함하는 단자고정부;일측에는 상기 단자고정대 외곽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단자고정대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부가 개방된 레버홀이 마련되며 레버홀 내부 측벽 양측으로 축홈이 음각 형성되어 레버와 분리핀이 결합되는 카트리지 몸체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의 레버홀에 삽입되고 축홈에 결합되기 위한 회동축이 양측으로 양각 형성되고 상부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회동축의 반대측 측단부분은 완만한 곡률을 갖는 캠부가 형성되어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에 내장된 상태로 레버의 회동에 따라 캠부와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분리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버카트리지;상기 레버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방홀이 형성되고 콘센트와 접속되는 단자핀 반대방향 일측으로 플러그(P)가 체결되기 위한 플러그 삽입홀이 형성되며, 단자고정부(100)와 레버카트리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패키징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하부에는 검지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파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핀은 봉 형태로 구성되며, 분리핀의 일측단에는 레버의 캠부와 접촉되는 마찰부가 형성되되, 상기 마찰부는 평평한 저면을 형성하는 안착면과 레버의 회전에 의해 캠부와 접촉하면서 분리핀을 밀어내며 상기 캠부의 곡률과 대칭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홈 하측의 바닥부분에는 레버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레버의 곡률에 대응되는 레버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안착부와 단차지게 연결되되 분리핀이 위치되는 바닥부분에는 분리핀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기 위한 분리핀 슬라이딩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핀 슬라이딩부에는 레버 회전시 일정 각도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캠부의 곡률에 대응되는 라운드면을 갖는 레버 스토퍼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전원플러그의 경우, 검지 손가락을 전원플러그의 하부에 형성된 파지부를 파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원플러그를 파지할 수 있고, 레버의 캠부 윤곽을 따라 분리핀의 마찰부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경우, 전원선과 함께 일체화된 분리가 어려운 전원플러그에 쉽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플러그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로 곡면으로 형성된 캠부와 분리핀의 라운드면이 원활히 접촉됨에 따라 저항이 최소화된 상태로 분리핀이 이동될 수 있어 레버를 누를 때 발생하는 힘의 손실을 줄여 가압하는 힘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전제품 등에 적용된 일체화된 전원플러그에 결합하여 사용가능함으로써 용이하게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분리시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의 작동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전원플러그 어댑터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앞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뒤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레버를 누르기 전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레버를 누른 후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후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다른실시예 후면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다른실시예의 형태별 정면부분 예시 도면.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다른실시예의 형태별 후면부분 예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분리용 레버를 갖는 플러그의 작동상태도, 도 3은 종래의 전원플러그 어댑터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앞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뒤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레버를 누르기 전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의 레버를 누른 후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후면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다른실시예 후면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다른실시예의 형태별 정면부분 예시 도면,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다른실시예의 형태별 후면부분 예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는 크게, 단자고정부(100), 레버카트리지(200), 전원선(300), 커버(400)로 구성된다.
단자고정부(100)는 콘센트에 직접 끼움되어 접속되는 단자핀(110)과 단자핀(110)을 고정시키는 단자고정대(120)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고정대(120) 양측으로는 단자핀(110)이 끼움되어 고정되기 위한 단자핀 홀(1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핀(110)의 경우 콘센트와 접속되는 앞쪽 부분은 전도체로 형성하고 단자고정대(120)에 고정되는 부분은 절연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고정대(120)에 단자핀(110)을 결합하는 과정에 있어서 단자핀(110)을 인서트 사출 금형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단자고정대(120)를 사출 성형하여 단자핀(110)과 단자고정대(120)를 일체화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자고정대(120)의 단자핀 홀(121) 사이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분리핀(230)이 관통되는 분리핀 홀(1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리핀 홀(122)은 전, 후 방향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후술하는 레버카트리지(200)와의 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단자고정대(120)는 단자핀(110)이 고정된 자세를 갖도록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레버카트리지(200)는 레버(220)와 분리핀(230)을 내장하고 작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레버카트리지(200)는 레버(220)와 분리핀(230) 및 이를 내장하는 외부 몸체인 카트리지 몸체(210)로 구성된다.
카트리지 몸체(210)는 상기 단자고정대(120)의 외곽부분이 끼움 결합되기 위한 단자고정대 삽입부(211)가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으로 일부가 개방된 레버홀(212)이 마련된다.
상기 레버홀(212)는 후술하는 레버(220)가 작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레버홀(212)이 형성된 내부 측벽 양측으로는 축홈(213)이 음각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레버(220)가 결합되어 회동되는 지점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축홈(213) 하측의 바닥부분은 레버(2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레버 안착부(214)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 안착부(214)는 레버(220)의 회전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20)의 곡률에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홈(213)이 형성된 카트리지 몸체(210) 내측벽에는 레버(220)가 작동시 일정 각도에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도록 레버 스토퍼(215)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 스토퍼(215)는 후술하는 분리핀 슬라이딩부에 형성되며, 레버(220)의 하측면 곡률에 대응되는 라운드면을 형성한다.
이때, 레버(220)의 하측면이라 함은, 후술하는 캠부를 말한다.
또한, 상기 레버 안착부(214)와 연결되는 분리핀(230)이 위치되는 바닥부분에는 후술하는 분리핀(230)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기 위한 분리핀 슬라이딩부(216)가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분리핀 슬라이딩부(216)는 레버 안착부(214)로부터 상향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레버 스토퍼(21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핀 슬라이딩부(216)의 일측에 마련된다.
한편, 레버(220)는 분리핀(230)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 몸체(210)의 레버홀(212)에 삽입된다.
상기 레버(220)는 일정 두께를 갖고 외주면 테두리는 곡면으로 형성된 몸체를 갖으며 양측면에는 축홈(213)에 결합되기 위한 회동축(221)이 양각 형성된다.
이때, 레버(220)의 테두리면에 있어서 일측은 사용자가 레버작동을 위해 힘을 가하기 위한 부분으로 평평한 형상의 가압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222) 반대측 측단 테두리 부분은 분리핀(230)과 접촉되는 캠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캠부(223)는 완만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하여 분리핀(230)과의 마찰시 원활하게 마찰되어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상부에는 가압부(222)가 형성되고 그 반대측 부분은 캠부(223)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렇게 레버(220)는 사용자의 레버작동에 의해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분리핀(230)은 콘센트와 직접 접촉되어 전원플러그를 분리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핀(230)은 카트리지 몸체(21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단자고정대(120)의 분리핀 홀(122)에 결합된다.
분리핀(230)은 원통의 봉 형태로 구성되고 일측단의 레버(220)의 캠부(223)와 접촉되는 마찰부(23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마찰부(231)의 바닥부분은 평평하게 형성된 안착면(231a)과 측면은 캠부(233)와 직접 접촉되는 라운드면(231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면(231a)은 상기에서 설명한 카트리지 몸체(210)의 분리핀 슬라이딩부(216)에 안착된 상태로 위치된다.
또한, 라운드면(231b)은 안착면(231a)의 끝단부터 수직되는 위치까지 외주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는, 레버(220)의 캠부(223)와 접촉시 원활하게 미끄러지듯 마찰되어 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
즉, 캠부(220)와 라운드면(231b)이 서로 곡면으로 형성된 외곽부분에 의해 마찰되는 면적을 줄여 레버작동에 따라 분리핀(2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레버(220)가 다시 복원될 경우에도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원선(300)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선(300)은 단자핀(110)의 끝단에 연결되고 카트리지 몸체(210)의 외측으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커버(400)는 상기 단자고정부(100), 레버카트리지(200), 전원선(3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400)는 레버(220)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레버카트리지(200)의 레버홀(212)의 형상에 맞게 개방된 개방홀(430)을 형성된다.
그리고 앞쪽으로는 중앙에 분리핀(230)이 관통되기 위한 분리핀 관통홀(41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리핀 관통홀(410) 양측으로는 단자핀(110)이 관통되기 위한 단자핀 관통홀(420)이 형성된다.
이때, 단자핀(110)은 단자핀 관통홀(4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분리핀(230)은 분리핀 관통홀(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220)의 작동시 분리핀 관통홀(41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400) 하부 개방홀(430) 반대측에는 검지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440)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파지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개의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400)는 단자고정부(100), 레버카트리지(200), 전원선(3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패키징되며, 이때, 인서트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나사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는 크게, 단자고정부(100), 레버카트리지(200), 커버(400)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고정부(100)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의 단자고정부(100)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단자핀(110) 끝단에는 단자핀(110)의 접속부분을 연장시키고 플러그(P)와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재(111)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즉, 전원플러그의 단자핀(110) 끝단에 연결되는 전원선(300)을 대신하여 상기 접속부재(111)가 더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재(111)는 일측은 단자핀(110)에 결합되고 타측은 플러그(P)기 끼움 접속되기 위해 원형으로 절곡되고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플러그(P)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레버카트리지(200)도 상기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커버(400)는 상기 단자고정부(100), 레버카트리지(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먼저 상기 커버(400)는 레버(220)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레버카트리지(200)의 레버홀(212)의 형상에 맞게 개방된 개방홀(430)을 형성된다.
그리고 앞쪽으로는 중앙에 분리핀(230)이 관통되기 위한 분리핀 관통홀(41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분리핀 관통홀(410) 양측으로는 단자핀(110)이 관통되기 위한 단자핀 관통홀(420)이 형성된다.
이때, 단자핀(110)은 단자핀 관통홀(4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분리핀(230)은 분리핀 관통홀(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220)의 작동시 분리핀 관통홀(41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400) 하부 개방홀(430) 반대측에는 검지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부(440)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때, 파지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개의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콘센트와 접속되는 단자핀(110) 반대방향 일측으로는 플러그(P)가 체결되기 위한 플러그 삽입홀(45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450)을 통해 일체화된 가전제품 등의 전원플러그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홀(450)에는 삽입홀(45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감전의 위험을 차단하기 위해 삽입홀(450)을 막기위한 안전막(451)이 설치된다.
상기 안전막(451)은 플러그(P)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삽입홀(450)을 막고 있다가 플러그(P)를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서, 일측을 기준으로 안전막(451)이 회동할 수 있는 공지된 일반적인 구조로 형성된다.
이렇게 플러그(P)는 삽입홀(450)에 삽입되면 안전막(451)이 회동하여 개방되고 접속부재(111)에 끼움되면서 결합된다.
이렇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400)는 단자고정부(100), 레버카트리지(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패키징되며, 이때, 인서트사출 방식에 의해 일체화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나사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단자핀(110) 형태에 대하여 도면에는 220v용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용되는 전압형태에 따라 110v용으로도 대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다른실시예를 첨부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콘센트 및 플러그의 형태는 국가별로 규격화되어 각기 다른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그 형태는 플러그의 단자핀과 접지단자에 따라 A형부터 M형까지 나뉘게 된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다른실시예 후면 사시도로서, 상기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비접지 형태의 전원플러그 어댑터 외에 접지단자가 설치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접지단자는 단자핀(110)이 설치된 정면과 플러그 삽입홀(450)이 형성된 후면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본 고안의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다른실시예의 형태별 정면부분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 어댑터는 F형과 E형 등의 규격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접지단자를 설치하여 제작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후면의 경우에는 F형, A형과 F형이 통합된 A+F 통합형, E형 규격 등 플러그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제작되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접지단자 형태는 특정 플러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국가별 콘센트 규격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접지단자를 설치하여 제작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8, 도 9 및 도 11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원플러그에 대하여 설명한다.
콘센트에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220)의 가압부(222)에 힘을 가하여 가압하면 레버(220)의 회동축(221)은 축홈(2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축홈(213)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회동하면서 레버홀(212) 내부로 삽입된다.
그러면 레버(220)의 캠부(223)는 분리핀(230)의 라운드면(231b)과 접촉되어 마찰되면서 분리핀(230)은 분리핀 슬라이딩부(216)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에 따라, 분리핀(230)은 커버(400)의 분리핀 관통홀(4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가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원플러그 어댑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와 같이 전원선과 함께 일체로 패키징되어 마감된 전원플러그를 플러그 삽입홀(450)에 삽입하여 전원플러그와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콘센트에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결합시킨다.
그 다음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콘센트에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220)의 가압부(222)에 힘을 가하여 가압하면 레버(220)의 회동축(221)은 축홈(2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축홈(213)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회동하면서 레버홀(212) 내부로 삽입된다.
그러면 레버(220)의 캠부(223)는 분리핀(230)의 라운드면(231b)과 접촉되어 마찰되면서 분리핀(230)은 분리핀 슬라이딩부(216)에 안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에 따라, 분리핀(230)은 커버(400)의 분리핀 관통홀(41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 어댑터가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는 검지 손가락을 전원플러그 또는 전원플러그 어댑터의 하부에 형성된 파지부(440)를 파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원플러그 또는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파지할 수 있고, 레버(220)의 캠부(223) 윤곽을 따라 분리핀(230)의 마찰부(231)가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전원플러그 어댑터는 사전에 제작된 일체화된 전원플러그에 상기 쉽게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플러그를 안정적으로 파지한 상태로 곡면으로 형성된 캠부(223)와 분리핀(230)의 라운드면(231b)이 원활히 접촉됨에 따라 저항이 최소화된 상태로 분리핀(230)이 이동될 수 있어 레버(220)를 누를 때 발생하는 힘의 손실을 줄여 가압하는 힘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가전제품 등에 적용된 일체화된 전원플러그에 상기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결합하여 사용가능함으로써 용이하게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 어댑터를 분리시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단자고정부 110: 단자핀
111: 접속부재 120: 단자고정대
121: 단자핀 홀 122: 분리핀 홀
200: 레버카트리지 210: 카트리지 몸체
211: 단자고정대 삽입부 212: 레버홀
213: 축홈 214: 레버 안착부
215: 레버 스토퍼 216: 분리핀 슬라이딩부
220: 레버 221: 회동축
222: 가압부 223: 캠부
230: 분리핀 231: 마찰부
231a: 안착면 231b: 라운드면
300: 전원선 400: 커버
410: 분리핀 관통홀 420: 단자핀 관통홀
430: 개방홀 440: 파지부
450: 플러그 삽입홀 451: 안전막
P: 플러그

Claims (4)

  1. 콘센트와 접속되는 단자핀(110)과 양측으로 단자핀(110)이 끼움되는 단자핀 홀(1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분리핀 홀(122)이 관통 형성되며 단자핀(110)이 고정된 자세를 갖도록 유지시키는 단자고정대(120)를 포함하는 단자고정부(100);
    일측에는 상기 단자고정대(120) 외곽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단자고정대 삽입부(2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부가 개방된 레버홀(212)이 마련되며 레버홀(212) 내부 측벽 양측으로 축홈(213)이 음각 형성된 카트리지 몸체(210)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210)의 레버홀(212)에 삽입되고 축홈(213)에 결합되기 위한 회동축(221)이 양측으로 양각 형성되고 상부는 회동축(221)이 편심되도록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 가압부(222)와 상기 가압부(222)로부터 완만한 곡률을 형성하는 캠부(223)가 형성되어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220)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210)에 내장된 상태로 레버(220)의 회동에 따라 캠부(223)와 접촉되어 슬라이딩 되는 분리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버카트리지(200);
    상기 단자핀(110)의 끝단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300);
    상기 레버(220)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개방홀(430)을 형성한 상태로 단자고정부(100), 레버카트리지(200), 전원선(3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패키징된 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400)의 하부에는 검지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파지부(4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핀(230)은 봉 형태로 구성되며,
    분리핀(230)의 일측단에는 레버(220)의 캠부(223)와 접촉되는 마찰부(231)가 형성되되, 상기 마찰부(231)는 평평한 저면을 형성하는 안착면(231a)과 레버(220)의 회전에 의해 캠부(223)와 접촉하면서 분리핀(230)을 밀어내며 상기 캠부(223)의 곡률과 대칭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면(23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홈(213) 하측의 바닥부분에는 레버(2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레버의 곡률에 대응되는 레버 안착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안착부(214)와 단차지게 연결되되 분리핀(230)이 위치되는 바닥부분에는 분리핀(230)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기 위한 분리핀 슬라이딩부(216)가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핀 슬라이딩부에는 레버(220) 회전시 일정 각도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캠부(223)의 곡률에 대응되는 라운드면을 갖는 레버 스토퍼(21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2. 삭제
  3. 삭제
  4. 콘센트와 접속되는 단자핀(110)과 상기 단자핀(110) 끝단에 연결되어 단자핀(110)의 접속부분을 연장시키고 플러그(P)와 접속되는 접속부재(111)와 양측으로 단자핀(110)이 끼움되는 단자핀 홀(1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분리핀 홀(122)이 관통 형성되며 단자핀(110)이 고정된 자세를 갖도록 유지시키는 단자고정대(120)를 포함하는 단자고정부(100);
    일측에는 상기 단자고정대(120) 외곽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단자고정대 삽입부(2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일부가 개방된 레버홀(212)이 마련되며 레버홀(212) 내부 측벽 양측으로 축홈(213)이 음각 형성되어 레버(220)와 분리핀(230)이 결합되는 카트리지 몸체(210)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210)의 레버홀(212)에 삽입되고 축홈(213)에 결합되기 위한 회동축(221)이 양측으로 양각 형성되고 상부는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가압부(222)가 형성되며 회동축(221)의 반대측 측단부분은 완만한 곡률을 갖는 캠부(223)가 형성되어 회동축(22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레버(220)와, 상기 카트리지 몸체(210)에 내장된 상태로 레버(220)의 회동에 따라 캠부(223)와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는 분리핀(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버카트리지(200);
    상기 레버(220)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방홀(430)이 형성되고 콘센트와 접속되는 단자핀(110) 반대방향 일측으로 플러그(P)가 체결되기 위한 플러그 삽입홀(450)이 형성되며, 단자고정부(100)와 레버카트리지(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패키징된 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400)의 하부에는 검지 손가락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다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파지부(4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분리핀(230)은 봉 형태로 구성되며,
    분리핀(230)의 일측단에는 레버(220)의 캠부(223)와 접촉되는 마찰부(231)가 형성되되, 상기 마찰부(231)는 평평한 저면을 형성하는 안착면(231a)과 레버(220)의 회전에 의해 캠부(223)와 접촉하면서 분리핀(230)을 밀어내며 상기 캠부(223)의 곡률과 대칭되는 곡률을 갖는 라운드면(23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홈(213) 하측의 바닥부분에는 레버(2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레버의 곡률에 대응되는 레버 안착부(214)가 형성되고, 상기 레버 안착부(214)와 단차지게 연결되되 분리핀(230)이 위치되는 바닥부분에는 분리핀(230)이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되기 위한 분리핀 슬라이딩부(216)가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분리핀 슬라이딩부에는 레버(220) 회전시 일정 각도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도록 캠부(223)의 곡률에 대응되는 라운드면을 갖는 레버 스토퍼(215)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어댑터.









KR2020140006751U 2014-09-16 2014-09-16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KR200477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51U KR200477489Y1 (ko) 2014-09-16 2014-09-16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JP2016568780A JP6306746B2 (ja) 2014-09-16 2015-07-15 分離が容易な電源プラグ及び電源プラグアダプター
PCT/KR2015/007360 WO2016043418A1 (ko) 2014-09-16 2015-07-15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CN201520617121.0U CN205104690U (zh) 2014-09-16 2015-08-17 一种易分离的电源插头及电源插头适配器
CN201510504331.3A CN105428917A (zh) 2014-09-16 2015-08-17 一种易分离的电源插头及电源插头适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51U KR200477489Y1 (ko) 2014-09-16 2014-09-16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489Y1 true KR200477489Y1 (ko) 2015-06-15

Family

ID=5351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751U KR200477489Y1 (ko) 2014-09-16 2014-09-16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06746B2 (ko)
KR (1) KR200477489Y1 (ko)
CN (2) CN105428917A (ko)
WO (1) WO20160434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6872A (zh) * 2016-12-22 2017-03-08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内凸轮式两脚旋转插头、插线板及usb充电头
KR101796200B1 (ko) * 2017-05-31 2017-11-09 신영주 콘센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4958A1 (de) 2017-07-05 2019-01-10 Norbert Höllerer Trennmechanismus für eine steckerbuchse oder einen stecker
GB2587784A (en) * 2019-07-15 2021-04-14 Hyphenate Inc Multi-plug adapter
KR102315633B1 (ko) * 2019-12-02 2021-10-22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CN113839249A (zh) * 2021-09-17 2021-12-24 建德市风顺电气有限公司 一种插接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948U (ja) * 1991-11-22 1993-06-18 定範 平野 差し込みプラグ
KR200239704Y1 (ko) * 2001-04-13 2001-10-11 임천주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200473894Y1 (ko) * 2014-03-13 2014-08-06 신영주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9079A (ja) * 1983-10-20 1985-05-18 松下電工株式会社 プラグ
JPS6438785U (ko) * 1987-09-03 1989-03-08
JP3016242U (ja) * 1995-03-27 1995-09-26 田口 正之 レバ−付き平行プラグ
JP3393040B2 (ja) * 1997-07-10 2003-04-07 旭電機化成株式会社 プラグ
JP2002298972A (ja) * 2001-03-30 2002-10-11 Maakisu:Kk プラグ抜き取り装置
KR20080001837U (ko) * 2008-05-22 2008-06-16 김춘자 콘센트로부터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948U (ja) * 1991-11-22 1993-06-18 定範 平野 差し込みプラグ
KR200239704Y1 (ko) * 2001-04-13 2001-10-11 임천주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200473894Y1 (ko) * 2014-03-13 2014-08-06 신영주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6872A (zh) * 2016-12-22 2017-03-08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内凸轮式两脚旋转插头、插线板及usb充电头
KR101796200B1 (ko) * 2017-05-31 2017-11-09 신영주 콘센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WO2018221786A1 (ko) * 2017-05-31 2018-12-06 신영주 콘센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06746B2 (ja) 2018-04-04
CN105428917A (zh) 2016-03-23
WO2016043418A1 (ko) 2016-03-24
CN205104690U (zh) 2016-03-23
JP2017505528A (ja)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489Y1 (ko) 분리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및 전원플러그 어댑터
US7008246B2 (en) Electric plug with replaceable head unit
JP2012504308A (ja) コード分離型ヘアドライヤーのアーク防止装置
MXPA03007698A (es) Dispositivo de seguridad y metodo.
US4927373A (en) Electrical safety receptacle assembly
US9433276B2 (en) Cosmetic container
CN103762472A (zh) 一种多功能插座
CN203707514U (zh) 一种多功能插座
AU2010244965A1 (en) Socket switch
EP3352308B1 (en) Front cover device for power socket and power socket equipped with such a front cover device
WO2016166401A1 (en) Extension cord, socket and cover of a socket
KR200473894Y1 (ko)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HK1130122A1 (en) Electrical plug with a rotatable pin
KR101796200B1 (ko) 콘센트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플러그
GB2511770A (en) Cosmetic container
KR100986197B1 (ko) 탈거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KR20100041659A (ko) 탈거와 식별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20180028829A (ko) 플러그의 간섭이 방지되는 멀티 콘센트
US20170244205A1 (en) Power socket extension lead
KR101757429B1 (ko) 커버가 구비된 콘센트
CN209298397U (zh) 插座的电线插接装置
EP2838165A1 (en) A safe electrical adapter
EP3111519B1 (en) Socket
JP3195400U (ja) 交流直流変換器
KR101567654B1 (ko) 전기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