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452B1 -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 Google Patents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452B1
KR102129452B1 KR1020190093743A KR20190093743A KR102129452B1 KR 102129452 B1 KR102129452 B1 KR 102129452B1 KR 1020190093743 A KR1020190093743 A KR 1020190093743A KR 20190093743 A KR20190093743 A KR 20190093743A KR 102129452 B1 KR102129452 B1 KR 10212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otating
plug
inser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287A (ko
Inventor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조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호 filed Critical 조용호
Priority to KR102019009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4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단에는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제 1인서트 및 제 2인서트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며, 후단면에는 제 1인서트와 연결되는 제 1단자 및 제 2인서트와 연결되는 제 2단자가 노출되는 제 1몸체; 및 후단면에 전자제품의 플러그 접속단자가 장착되는 제 1플러그수용홈과 제 2플러그수용홈이 형성되며, 선단면에는 상기 제 1플러그수용홈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단자와 접촉되는 제 1회전단자 및 상기 제 2플러그수용홈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단자와 접촉되는 제 2회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몸체와는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2몸체;를 포함하여 헤어드라이어나 회전 공구 등과 같이 전자제품의 사용시 플러그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이 사용과정에서 꼬이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내측의 단선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와 기기의 수명 단축을 예방하고, 또한 제 1몸체와 제 2몸체의 회전시, 단자 간 접촉부위를 증가시켜 전류통과량 증가에 따른 전력소비의 감소와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A rotating socket interposed between the receptacle and the plug}
본 발명은 회전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연결이 유지된 상태로 플러그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plug)는 전기 회로를 쉽게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코드(cord)의 끝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플러그는 전기 배선에 연결된 플러그 소켓 또는 콘센트(이하, '콘센트'라고 표기함)에 결합될 수 있게 콘센트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플러그 및 콘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30)는 코드(1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플러그(30)는, 바디(31)와, 상기 바디(31)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핀(pin)(3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35)들은 상기 코드(10)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디(31)의 측부에는 접지단자(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지단자(41)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31)의 측부에는 돌기(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기(45)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45)는 상기 전원 플러그(30)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45)는 상기 핀(35)의 이격 방향을 따라 상기 핀(35)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플러그(30)는 콘센트(50)에 소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콘센트(50)는, 예를 들면, 상기 바디(31)가 소정 깊이로 삽입 결합될 수 있게 삽입부(55)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5)에는 상기 전원 플러그(30)의 핀(35)이 삽입될 수 있게 핀수용부(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수용부(60)의 내부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원 플러그(30)가 상기 콘센트(50)에 결합되면 상기 코드(10)가 상기 전원과 연결됨으로써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삽입부(55)의 내부에는 상기 바디(31)의 각 접지단자(41)와 접촉될 수 있게 복수의 접지편(7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지편(70)은 건물 등의 접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원 플러그(30)와 상기 콘센트(50)의 결합시 상기 플러그(30)측의 누전전류가 상기 접지단자(41) 및 접지편(7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접지편(7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접지단자(41)와 탄성 접촉되어 접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55)의 내부에는 전원 플러그(30)의 돌기(45)가 삽입되는 돌기홈(75)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디(31)의 삽입 결합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원 플러그에 있어서는, 전원 플러그(30)가 코드(10)에 일체로 되어 있어 전원 플러그(30)를 콘센트(50)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코드(10)의 꼬임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전기 드라이어나 전동 드릴 등과 같이 특정위치에 고정되지 않는 동적인 전자제품들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꼬일 가능성이 크며, 꼬임 현상이 반복적으로 누적되다 보면 코드(10)에 비틀림 응력 등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코드(10)의 손상 및/또는 단선 등이 발생하여 화재,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해당 전자제품의 수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탭에 복수의 플러그를 장착하는 경우, 종래의 플러그는 코드가 향하는 방향이 고정되므로 이웃하는 플러그와의 간섭에 의해 원활한 장착이 어려울 수 있으며, 아울러 'ㄱ'자로 꺽인 형태의 플러그의 경우, 그에 연장되는 코드가 향하는 방향이 고정적이기 때문에 전자제품들이 여러 위치에 배치될 경우 하나의 멀티탭에 장착되는 코드들은 서로 엉키고 꼬여 상기와 같은 코드의 단선이나 합선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4777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적 연결이 유지된 상태로 플러그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플러그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이 꼬이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은 선단에는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제 1인서트 및 제 2인서트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며, 후단면에는 제 1인서트와 연결되는 제 1단자 및 제 2인서트와 연결되는 제 2단자가 노출되는 제 1몸체; 및 후단면에 전자제품의 플러그 접속단자가 장착되는 제 1플러그수용홈과 제 2플러그수용홈이 형성되며, 선단면에는 상기 제 1플러그수용홈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단자와 접촉되는 제 1회전단자 및 상기 제 2플러그수용홈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단자와 접촉되는 제 2회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몸체와는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2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단자 및 제 2단자는 각각 중공이 형성되는 원판 형태로, 상기 제 1단자의 외경은 상기 제 2단자의 내경보다 작아, 상호 간 나란하게 동심원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단자는 상기 제 1단자와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 2회전단자는 상기 제 2단자와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링 형태를 취하며, 상기 제 1회전단자 및 제 2회전단자는 동심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단자에는 상기 제 1인서트에 접촉되는 제 1접촉바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2단자에는 상기 제 2인서트에 접촉되는 제 2접촉바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회전단자에는 후단측으로 돌출되어 제 1플러그수용홈에 연결되는 제 1접촉봉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회전단자에는 후단측으로 돌출되어 제 2플러그수용홈에 연결되는 제 2접촉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몸체는, 후단 측면에 테두리를 따라 일정 직경을 갖는 제 1회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 1회전돌기에 인접하여 제 1회전돌기보다 직경이 작은 제 1회전홈을 포함하고, 후단면에는 상기 제 1단자 및 제 2단자가 각각 안착되는 제 1단자홈 및 제 2단자홈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내재되어 상기 제 1인서트 및 제 2인서트를 고정시키며 후단측에는 접지단자가 결합되는 인서트홀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몸체는, 내주연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 1회전홈에 안착되는 제 2회전돌기와 상기 제 2회전돌기에 인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회전돌기가 안착되는 제 2회전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몸체를 바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제 1회전단자 및 제 2회전단자가 각각 안착되는 제 1회전단자홈 및 제 2회전단자홈이 형성되는 연결부싱; 후단측에 제 1플러그수용홈 및 제 2플러그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싱과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플러그 구조는 헤어드라이어나 회전 공구 등과 같이 전자제품의 사용시 플러그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이 사용과정에서 꼬이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 내측의 단선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와 기기의 수명 단축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가능한 플러그 구조는 제 1몸체와 제 2몸체의 회전시, 단자 간 접촉부위를 증가시켜 전류통과량 증가에 따른 전력소비의 감소와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플러그 및 콘센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몸체와 제 2몸체 간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몸체와 제 2몸체 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a의 제 1몸체와 제 2몸체 간 결합시 제 1단자, 제 2단자와 제 1회전단자, 제 2회전단자 간 접촉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플러그 및 콘센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몸체와 제 2몸체 간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제 1몸체와 제 2몸체 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 1몸체와 제 2몸체 간 결합시 제 1단자, 제 2단자와 제 1회전단자, 제 2회전단자 간 접촉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소켓은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어 헤어드라이어나 회전 공구 등과 같이 전자제품의 사용시 플러그(30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302)이 사용과정에서 꼬이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302) 내측의 단선이나 합선으로 인한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와 기기의 수명 단축을 예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플러그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몸체(100) 및 제 2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제 1몸체(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에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 1인서트(101)와 제 2인서트(102)가 나란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몸체(100)의 후단면에는 제 1인서트(101)와 연결되는 제 1단자(140) 및 제 2인서트(102)와 연결되는 제 2단자(150)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몸체(200)는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단면에 전자제품의 플러그(300) 접속단자(301)가 장착되는 제 1플러그수용홈(221)과 제 2플러그수용홈(222)이 형성되며, 그 선단면에는 상기 제 1플러그수용홈(221)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단자(140)와 접촉되는 제 1회전단자(240) 및 상기 제 2플러그수용홈(222)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단자(150)와 접촉되는 제 2회전단자(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 1몸체(100)와는 상호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가 자유롭게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 1몸체(100)의 제 1단자(140)와 제 2몸체(200)의 제 1회전단자(240)가 서로 접촉을 유지하고, 제 1몸체(100)의 제 2단자(150)와 제 2몸체(200)의 제 2회전단자(250)가 서로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여 도 4a에서와 같이 전기적 연결은 유지되면서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가 회전하여도 기기의 케이블(302)이 꼬이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상기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 간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제 1몸체(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암수 결합구조를 갖는 케이싱(110)이 서로 결합되어 원통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그 후단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일정 직경을 갖는 제 1회전돌기(112)가 테두리 둘레를 따라 측면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 1회전돌기(112)에 인접하여 제 1회전홈(111)이 형성되는 데, 제 1회전홈(111)은 제 1회전돌기(11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제 1회전홈(111)과 제 1회전돌기(112)의 연결부위에는 단턱(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몸체(200)에는 연결부싱(210)이 마련되는데, 상기 연결부싱(210)은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을 이루는 것으로, 연결부싱(210)은 그 내주연 테두리를 따라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제 2회전돌기(212)와 제 2회전돌기(212)에 인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2회전홈(2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므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 결합시, 상기 연결부싱(210)의 제 2회전돌기(212)는 상기 케이싱(110)의 제 1회전홈(111)에 안착되고, 상기 케이싱(110)의 제 1회전돌기(112)는 연결부싱(210)의 제 2회전홈(211)에 안착됨으로써, 제 2회전홈(211)과 제 2회전돌기(212)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호 미도시)이 제 1회전홈(111)과 제 1회전돌기(112)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호 미도시)에 걸려,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 간 서로 이탈하지 않게 견고히 그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 간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들인 제 1몸체(100)에 구성되는 제 1단자(140) 및 제 2단자(150)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와 같이, 제 1단자(140) 및 제 2단자(150)는 각각 중공이 형성되는 원판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제 1단자(140)의 외경은 상기 제 2단자(15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하여, 제 1몸체(100)에 적용시, 상호 간 나란하게 동심원구조로 배치된다.
즉, 제 1단자(140)와 제 2단자(150)는 동심원 구조로 배치되되, 상호 간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 상태를 유지시킴이 바람직한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몸체(100)의 후단면에 제 1단자홈(113) 및 제 2단자홈(114)을 마련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데, 우선 상기 제 1단자홈(11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몸체(100)의 후면에 형성되되, 제 1단자(140)와 대응된 형태로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제 1단자(140)는 일면이 노출된 상태로 제 1단자홈(11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제 2단자홈(114) 역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몸체(100)의 후면에 형성되되, 제 1단자(140)와 대응된 형태로 상기 제 1단자홈(113)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어 제 2단자(150) 역시 일면이 노출된 상태로 제 2단자홈(114)에 삽입되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단자(140)에는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 1인서트(101)와 연결되는 제 1접촉바(142)가 마련되어 제 1인서트(101)와 제 1단자(14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고, 또한 제 2단자(150)에는 그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 2인서트(102)와 연결되는 제 2접촉바(152)가 마련되어 제 2인서트(102)와 제 2단자(150)는 서로 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 1단자(140) 및 제 2단자(15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몸체(200)의 제 1회전단자(240) 및 제 2회전단자(2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 1회전단자(240) 및 제 2회전단자(250)는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의 결합시, 제 1몸체(100)의 제 1단자(140) 및 제 2단자(150)와 각각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가 회전 하더라도 각 단자 간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 1회전단자(240)는 전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인 제 1단자(140)와 대응하는 직경을 갖으며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링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싱(210)에 형성되는 제 1회전단자홈(213)에 삽입된 상태로 그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제 1몸체(100)와의 결합시 상기 제 1단자(140)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회전단자(250) 역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태인 제 2단자(150)와 대응하는 직경을 갖으며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인 링 형태로 구성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싱(210)에 형성되는 제 2회전단자홈(214)에 삽입된 상태로 그 일부가 돌출되어 제 1몸체(100)와의 결합시 상기 제 2단자(150)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 1회전단자(240)와 제 2회전단자(250)는 각각 제 1단자(140) 및 제 2단자(150)와 대응되는 직경을 취하므로 상기 제 1회전단자(240)는 그 외경이 상기 제 2회전단자(250)보다 작아 상호 간에 이격된 상태로 동심원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 간 결합 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단자(140)와 제 2단자(150)에 각각의 회전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회전단자(240)에는 제 2몸체(200)의 후단측으로 돌출되는 제 1접촉봉(242)이 그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접촉봉(242)은 제 2몸체(200)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제 1플러그수용홈(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회전단자(250)에는 제 2몸체(200)의 후단측으로 돌출되는 제 2접촉봉(252)이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제 2접촉봉(252)은 제 2몸체(200)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제 2플러그수용홈(2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해 제 1몸체(100)의 선단으로 노출되는 제 1인서트(101)는 상기 제 1단자(140)와 제 1회전단자(240)를 거쳐 제 2몸체(200)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제 1플러그수용홈(2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2인서트(102)는 상기 제 2단자(150)와 제 2회전단자(250)를 거쳐 제 2몸체(200)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제 2플러그수용홈(2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그 상태에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몸체(100)가 콘센트에 고정되고 제 2몸체(200)에 전자제품의 플러그(30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 2몸체(200)가 자유롭게 회전하더라도 상기 제 1단자(140) 및 제 2단자(150)는 각각 제 1회전단자(240) 및 제 2회전단자(250)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단자(140)와 제 2단자(150)는 각각 중공이 형성되는 원판형태로 즉,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고, 그에 밀착하여 접촉되는 제 1회전단자(240)와 제 2회전단자(250)는 링 형태로 그 단면이 원 형상을 이루는 바, 도면에서와 같이 각각의 단면은 한 점(P)에서 접촉되어 전체적으로는 원형의 선 접촉이 이루어져 접촉부위의 증가에 따른 전류통과량을 늘려 전력소비의 감소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접촉되는 단면 부위 당 한 점(P)에서 접촉되므로 일정한 압력으로 균일하게 밀착될 수 있어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 간 회전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되는 점에 생기는 산화물을 자체회전에 의한 샌딩효과로 자체 제거가 가능하여 항상 안정적인 전류의 흐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접촉 구조에 의해 회전시에도 접점(P)의 압력을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이나 압력장치 없이도 일정한 압력을 유지시켜 전기적 연결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호 간 맞닿는 면이 모두 판 형태일 경우 오히려 접지면이 커져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의 회전시 저항 증가로 인해 그 회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아울러 닿는 면이 커져 발열량 증가로 인한 접촉단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접촉면의 균일성이 저하되어 전기적 연결 효율이 저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몸체(100)는 상기 케이싱(110) 내측에 인서트홀드(120)가 더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인서트홀드(12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의 선단측에 내재되어 상기 제 1인서트(101) 및 제 2인서트(102)를 고정시키게 되며, 인서트홀드(120)의 후단측에는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단자(104)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서트홀드(12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접지부재(103)가 결합되고 상기 접지부재(103)에 접지단자(104)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제 1몸체 110 : 케이싱
120 : 인서트홀드 140 : 제 1단자
150 : 제 2단자 200 : 제 2몸체
210 : 연결부싱 220 : 플러그수용부
240 : 제 1회전단자 250 : 제 2회전단자

Claims (6)

  1. 선단에는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제 1인서트 및 제 2인서트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며, 후단면에는 제 1인서트와 연결되는 제 1단자 및 제 2인서트와 연결되는 제 2단자가 노출되는 제 1몸체; 및
    후단면에 전자제품의 플러그가 장착되는 제 1플러그수용홈과 제 2플러그수용홈이 형성되며, 선단면에는 상기 제 1플러그수용홈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단자와 접촉되는 제 1회전단자 및 상기 제 2플러그수용홈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2단자와 접촉되는 제 2회전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몸체와는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제 2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몸체는,
    후단 측면에 테두리를 따라 일정 직경을 갖는 제 1회전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 1회전돌기에 인접하여 제 1회전돌기보다 직경이 작은 제 1회전홈을 포함하고, 후단면에는 상기 제 1단자 및 제 2단자가 각각 안착되는 제 1단자홈 및 제 2단자홈이 형성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내재되어 상기 제 1인서트 및 제 2인서트를 고정시키며 후단측에는 접지단자가 결합되는 인서트홀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몸체는,
    내주연 테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제 1회전홈에 안착되는 제 2회전돌기와 상기 제 2회전돌기에 인접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회전돌기가 안착되는 제 2회전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몸체를 바라보는 내측면에는 상기 제 1회전단자 및 제 2회전단자가 각각 안착되는 제 1회전단자홈 및 제 2회전단자홈이 형성되는 연결부싱 및 후단측에 제 1플러그수용홈 및 제 2플러그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싱과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단자에는 상기 제 1인서트에 접촉되는 제 1접촉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단자에는 상기 제 2인서트에 접촉되는 제 2접촉바가 돌출 형성 되며, 상기 제 1회전단자에는 제 2몸체의 후단측으로 돌출되어 제 2몸체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제 1플러그수용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접촉봉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회전단자에는 제 2몸체의 후단측으로 돌출되어 제 2몸체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제 2플러그수용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접촉봉이 형성되며,
    상기 제 1단자 및 제 2단자는 각각 중공이 형성되는 원판 형태로 상기 제 1단자의 외경은 상기 제 2단자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호 간에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 상태를 유지한체 나란하게 동심원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단자는 상기 제 1단자와 대응하는 직경으로 원형 단면의 링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연결부싱에 형성되는 제 1회전단자홈에 삽입된 상태로 그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제 1몸체와의 결합 시 제 1단자에 밀착되며,
    상기 제 2회전단자는 상기 제 2단자와 대응하는 직경으로 원형 단면의 링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연결부싱에 형성되는 제 2회전단자홈에 삽입된 상태로 그 일부가 돌출되어 제 1몸체와의 결합 시 제 2단자에 밀착되며,
    상기 제 1회전단자 및 제 2회전단자는 상기 제 1단자와 제 2단자의 동심원과 대향하도록 동심원 배치되어 상기 제 1단자 및 제 2단자와 상호 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93743A 2019-08-01 2019-08-01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KR10212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43A KR102129452B1 (ko) 2019-08-01 2019-08-01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743A KR102129452B1 (ko) 2019-08-01 2019-08-01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349 Division 2018-09-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87A KR20200028287A (ko) 2020-03-16
KR102129452B1 true KR102129452B1 (ko) 2020-07-02

Family

ID=6994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743A KR102129452B1 (ko) 2019-08-01 2019-08-01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806B1 (ko) * 2022-04-14 2023-11-02 김기현 가전 제품용 커넥터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0044A1 (en) 2009-12-02 2011-06-02 Jian-Lin Zhou Power plug with a freely rotatable delivery poi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775U (ko) 1996-12-28 1998-09-25 김영환 회전이 가능한 플러그 구조
US7462074B1 (en) * 2008-02-06 2008-12-09 Southwire Company Rotating plug adapter with integral two blade and grounding post receptacle
KR101403889B1 (ko) * 2012-11-22 2014-06-09 박채선 전원어댑터플러그
KR20170075940A (ko) * 2015-12-24 2017-07-04 김상헌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30044A1 (en) 2009-12-02 2011-06-02 Jian-Lin Zhou Power plug with a freely rotatable delivery p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87A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4504C (en) Rotating plug adaptor
US7001199B1 (en) Electrical connection
WO2018233714A1 (zh) 车端电连接器
US10944195B1 (en) Detachable power cord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TWI499144B (zh) 旋轉式插頭
CN215732296U (zh) 具有冠簧之电源连接器
US993541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ale and female connectors
US7458814B2 (en) Twist-check socket and electronic articles equipped with the same
KR102129452B1 (ko)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JP2021082585A5 (ko)
KR102004211B1 (ko) 회전 가능한 플러그 구조
GB2410844A (en) Swivel electrical connector
US20030077930A1 (en) Power plug with safety feature
CN106654610B (zh) 用于直流充电接口的可更换插针组件
US3210717A (en) Safety connector plug
CN208939210U (zh) 连接器
CN213093524U (zh) 一种可旋转插头
KR20190119747A (ko) 휴대용 단말 충전기용 전기 플러그
CN212366288U (zh) 一种可调式手机充电插头
CN210443764U (zh) 一种麻花针接触件
KR100989404B1 (ko) 회전형 안전 콘센트
KR101391112B1 (ko) 플러그용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489625Y1 (ko) 접지형 콘센트
TWM608271U (zh) 電連接器
CN109119818B (zh) 一种圆形连接器及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