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940A -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 - Google Patents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940A
KR20170075940A KR1020150185538A KR20150185538A KR20170075940A KR 20170075940 A KR20170075940 A KR 20170075940A KR 1020150185538 A KR1020150185538 A KR 1020150185538A KR 20150185538 A KR20150185538 A KR 20150185538A KR 20170075940 A KR20170075940 A KR 20170075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ing
plug assembly
magnetic force
out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헌
Original Assignee
김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헌 filed Critical 김상헌
Priority to KR102015018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940A/ko
Publication of KR20170075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공급원(1)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 어셈블리(100);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연결된 전원 수용부(200); 상기 전원 수용부(200)와 연결된 전원 사용부(300);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상기 전원 수용부(200)의 탈착을 가능토록 하는 자력 결합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자력 결합부(40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에 설치된 제1 자력부(410); 및 상기 전원 수용부(200)에 설치된 제2 자력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자제품과 전원 공급원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Gender for Connettion Power}
본 발명은 전원 연결용 젠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구, TV 또는 컴퓨터와 같이 전력을 소모하는 전자제품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과의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는 스마트 젠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연결 단자는 전자제품과 연결된 전선 단부에 플러그 형식으로 형성되거나 전구와 같이 소켓 방식의 연결 구조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러한 연결방식은 사용자의 번거로운 연결 작업을 요구할 뿐만 아니라 연결의 강도가 매우 강하므로 연결선에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 연결선이 단선되거나 연결부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하여 연결의 강도를 낮추는 경우 전자제품의 사용 시 잦은 전원 분리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사용을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리되어 노출된 연결부에 의한 감전 사고의 우려도 존재한다.
이에 더하여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켓 방식의 연결구조는 소켓이 천정 등의 고지대에 위치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닿기 어려운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소켓 연결을 위한 작업 시 낙하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임산부나 노인의 경우 소켓 연결 작업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전자제품의 전원 연결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자제품과 전원 공급원을 연결할 수 있는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제품의 사용 시 충분한 연결력을 제공하면서도, 전원선에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 젠더가 자동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선 연결부의 고장을 방지하는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원 공급원(1)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 어셈블리(100);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연결된 전원 수용부(200); 상기 전원 수용부(200)와 연결된 전원 사용부(300);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상기 전원 수용부(200)의 탈착을 가능토록 하는 자력 결합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자력 결합부(40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에 설치된 제1 자력부(410); 및 상기 전원 수용부(200)에 설치된 제2 자력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는, 상기 전원 공급원(1)에 삽입되는 플러그 헤드(110); 상기 플러그 헤드(110)와 도선(120)을 통해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이 노출되는 제1 관통부(141)가 형성된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수용부(20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와 접촉되는 전원 수용부용 접촉 플레이트(220); 상기 접촉 플레이트(220) 하부에 돌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 관통부(141)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과 접촉되는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 및 상기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원 사용부(300)와 접촉되는 접촉 연장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자력부(410)는 상기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의 심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자력부(420)는 상기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의 심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2 자력부(420)는 상기 제1 자력부(41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은,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1 외측링(131); 및 상기 제1 외측링(132)의 내측에 위치되며,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1 내측링(13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측링(131)과 상기 제1 내측링(132)은 서로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은,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2 외측링(211); 및 상기 제2 외측링(211)의 내측에 위치되며,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2 내측링(212);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외측링(211)과 상기 제2 내측링(212)은 서로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외측링(211)은 상기 제1 외측링(131)과 접촉되며, 상기 제2 내측링(212)는 상기 제1 내측링(132)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측링(131)과 상기 제1 내측링(132) 사이에는 제1 부도체부(133)가 게재되며, 상기 제2 외측링(211)과 상기 제2 내측링(212) 사이에는 제2 부도체부(213)가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사용부(300)는 전구(300a)이며, 상기 전원 수용부용 접촉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전구(300a)와의 소켓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자제품과 전원 공급원을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사용 시 충분한 연결력을 제공하면서도, 전원선에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 젠더가 자동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선 연결부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구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젠더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수용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젠더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자제품을 전원 공급원(1)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력 연결용 스마트 젠더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젠더는 기본적으로 전원 공급원(1)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 어셈블리(100),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연결된 전원 수용부(200), 전원 수용부(200)와 연결된 전원 사용부(300) 및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전원 수용부(200)의 탈착을 가능토록 하는 자력 결합부(400)를 포함한다(도 2).
전원 공급원(1)은 콘센트 등과 같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원을 의미하며, 전원 사용부(300)는 컴퓨터, 전등 및 TV와 같이 전원 공급원(1)과 연결되어 구동되는 전자 제품을 의미한다.
전원 수용부(200)와 전원 사용부(300)는 직접 연결되거나, 도선 등의 전도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자력 결합부(400)는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전원 수용부(200)를 자력에 의한 결합 및 분리를 가능토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자력 결합부(400)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연결 구조를 형성시키지 않더라도 자력 결합부(400)와 플러그 어셈블리(100)를 쉽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자력 결합부(400)를 이용한 연결 구조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자력에 의해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전원 수용부(200)가 결합 및 분리되므로 결합 및 분리를 위해 별도의 외력을 가할 필요가 없다.
둘째,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전원 수용부(200)가 근거리에 위치되는 것만으로 자력에 의한 완전 결합이 가능하므로 양 구조의 결합을 위한 정교한 연결 작업이 수행될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셋째, 플러그 어셈블리(100)가 전원 공급원(1)에 상시 연결된 상태에서 전원 수용부(200)에 전원 사용부(300)를 먼저 연결시킨 뒤 전원 수용부(200) 및 전원 사용부(300) 연결체를 플러그 어셈블리(100) 근방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전원 사용부(300)에 전원을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얻는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원(1)이 천장부 또는 협소부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원 사용부(300)에 전원 공급원(1)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넷째, 자력 결합부(400)는 전원 사용부(300)가 전원 사용함에 있어 충분한 결합력을 제공하면서도,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어 외력에 의한 고장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플러그 어셈블리(100)는 전원 공급원(1)과 연결되어 전류가 제공되거나 배출되는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전원 공급원(1)에 삽입되는 플러그 헤드(110), 플러그 헤드(110)와 도선(120)을 통해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 및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 상부에 설치되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이 노출되는 제1 관통부(141)가 형성된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도 2, 도 3).
전원 수용부(200)는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결합되어 전원 사용부(400)에 전류를 전달하거나 배출하는 구성으로서,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와 접촉되는 전원 수용부용 접촉 플레이트(220), 접촉 플레이트(220) 하부에 돌출 설치됨과 아울러 제1 관통부(141)에 삽입되어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과 접촉되는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 및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에서 연장 형성되며, 전원 사용부(300)와 접촉되는 접촉 연장부(230)를 포함한다.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전원 수용부(200)는 자력 결합부(4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자력 결합부(400)는 플러그 어셈블리(100)에 설치된 제1 자력부(410) 및 전원 수용부(200)에 설치된 제2 자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제1 자력부(410)의 상부에는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가 위치되고 제2 자력부(420)의 상부에는 전원 수용부용 접촉 플레이트(220)가 위치되므로, 제1 자력부(410)와 제2 자력부(420)는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와 전원 수용부용 접촉 플레이트(220)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를 위해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와 전원 수용부용 접촉 플레이트(220)는 자력이 통과될 수 있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자력부(410)는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의 심부에 위치되며, 제2 자력부(420)는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의 심부에 위치되되, 제2 자력부(420)는 제1 자력부(41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전원 수용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과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은 서로 접촉되어 전원 공급원(1)으로부터 전달받은 전류를 전원 사용부(300)로 전달하거나 전원 사용부(300)에서 배출되는 전류를 전원 공급원(1)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은 제1 관통부(141)에 삽입되어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과 접촉되므로, 결합 상태에서는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과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부도체인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에 의해 도체인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과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이 매립되어 전류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안전한 전자 제품의 사용을 가능토록 한다.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은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1 외측링(131) 및 제1 외측링(132)의 내측에 위치되며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1 내측링(132)을 포함할 수 있다(도 5).
즉, 전류가 공급되는 루트와 전류가 배출되는 루트를 제1 외측링(131)과 제2 외측링(132)으로 구분하여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외측링(131)과 제1 내측링(132)은 서로 접촉되지 않으며, 일체화를 위해 제1 외측링(131)과 제1 내측링(132) 사이에는 제1 부도체부(133)가 게재될 수 있다(도 5).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은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2 외측링(211) 및 제2 외측링(211)의 내측에 위치되며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2 내측링(212)을 포함할 수 있다(도 6).
이에 따라 제2 외측링(211)과 제2 내측링(212)은 서로 접촉되지 않으며, 일체화를 위해 제2 외측링(211)과 제2 내측링(212) 사이에는 제2 부도체부(213)가 게재될 수 있다(도 6).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전원 수용부(200)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2 외측링(211)은 제1 외측링(131)과 접촉되며, 제2 내측링(212)는 제1 내측링(132)과 접촉된다.
본원의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젠더를 사용하여 전원 공급원(1)와 전원 사용부(300)를 연결한 경우 전류의 흐름을 일 실시예로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전원 공급원(1)에서 제공된 전류는 플러그 헤드(110)를 통해 제1 외측링(131) 또는 제1 내측링(13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제1 외측링(131)으로 전류가 전달된 경우를 전제하여 나머지 전류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1 외측링(131)으로 전달된 전류는 제1 외측링(131)과 접촉된 제2 외측링(211)으로 이동한다.
제2 외측링(211)으로 이동된 전류는 제2 외측링(211)과 결합된 외측링 접촉 연장부(231)를 통해 전원 사용부(300)로 전달된다.
전원 사용부(300)에 전달된 전류는 전원 사용부(300)에 전력을 제공하며, 제2 내측링(212)과 결합된 내측링 접촉 연장부(232)를 통해 제2 내측링(212)으로 이동한다.
제2 내측링(212)으로 이동한 전류는 제2 내측링(212)과 접촉된 제1 내측링(132)를 통해 플러그 헤드(110)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젠더의 전원 사용부(300)가 전구(300a)인 경우 전원 수용부용 접촉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는 전구(300a)와의 소켓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이 경우 전구(300a)와 접촉 플레이트(220)를 소켓 결합한 후 접촉 플레이트를 플러그 어셈블리(100) 근방으로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전구(300a)와 전력 공급원(1)을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전력 공급언(1)이 천정 등과 같은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거나 협소 장소에 위치한 경우 소켓 결합과 같은 어려운 결합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노약자나 임산부와 같은 취약 계층의 경우에도 전구 장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 전원 공급원
100 : 플러그 어셈블리
200 : 전원 수용부
300 : 전원 사용부
400 : 자력 결합부

Claims (8)

  1. 전원 공급원(1)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플러그 어셈블리(100);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연결된 전원 수용부(200);
    상기 전원 수용부(200)와 연결된 전원 사용부(300);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와 상기 전원 수용부(200)의 탈착을 가능토록 하는 자력 결합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자력 결합부(40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에 설치된 제1 자력부(410); 및 상기 전원 수용부(200)에 설치된 제2 자력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100)는,
    상기 전원 공급원(1)에 삽입되는 플러그 헤드(110);
    상기 플러그 헤드(110)와 도선(120)을 통해 연결된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 및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이 노출되는 제1 관통부(141)가 형성된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수용부(200)는,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접촉 플레이트(140)와 접촉되는 전원 수용부용 접촉 플레이트(220);
    상기 접촉 플레이트(220) 하부에 돌출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 관통부(141)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과 접촉되는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 및
    상기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전원 사용부(300)와 접촉되는 접촉 연장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력부(410)는 상기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의 심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자력부(420)는 상기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의 심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2 자력부(420)는 상기 제1 자력부(41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어셈블리용 전원링(130)은,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1 외측링(131); 및
    상기 제1 외측링(132)의 내측에 위치되며,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1 내측링(13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외측링(131)과 상기 제1 내측링(132)은 서로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수용부용 전원링(210)은,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2 외측링(211); 및
    상기 제2 외측링(211)의 내측에 위치되며, 전류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2 내측링(212);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외측링(211)과 상기 제2 내측링(212)은 서로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외측링(211)은 상기 제1 외측링(131)과 접촉되며,
    상기 제2 내측링(212)는 상기 제1 내측링(132)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링(131)과 상기 제1 내측링(132) 사이에는 제1 부도체부(133)가 게재되며,
    상기 제2 외측링(211)과 상기 제2 내측링(212) 사이에는 제2 부도체부(213)가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사용부(300)는 전구(300a)이며,
    상기 전원 수용부용 접촉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전구(300a)와의 소켓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젠더.
KR1020150185538A 2015-12-24 2015-12-24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 KR20170075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538A KR20170075940A (ko) 2015-12-24 2015-12-24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538A KR20170075940A (ko) 2015-12-24 2015-12-24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940A true KR20170075940A (ko) 2017-07-04

Family

ID=5935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538A KR20170075940A (ko) 2015-12-24 2015-12-24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9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287A (ko) * 2019-08-01 2020-03-16 조용호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287A (ko) * 2019-08-01 2020-03-16 조용호 콘센트와 플러그 사이에 개재되는 회전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0050B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KR10209343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CN105637711B (zh) 插拔连接器模块
US9728923B2 (en) Power supply of transformer and light string therewith
US10256566B2 (en) Waterproof electric connector
KR101685680B1 (ko) 차량용 방수 조인트 커넥터
KR101494425B1 (ko) 차량용 커넥터
CN102918720A (zh) 电分配装置和其安装方法
KR101744511B1 (ko)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
US20190262601A1 (en) Connection Piece For Producing A Liquid Connection Between Liquid-Conveying Lines, And Medical Appliance With Such A Connection Piece
KR200488465Y1 (ko) 전자 담배용 모듈형 부품
CN102939693A (zh) 用于电动设备的外壳
KR20170075940A (ko) 전원 연결용 스마트 젠더
KR20180091338A (ko) 어스매트
US201702568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to a circuit
US9722331B2 (en) Power inlet socket for provid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
CN110094642A (zh) 照明模块组件
KR101794339B1 (ko) 차량용 조인트 커넥터
KR20160109123A (ko) 고정밴드가 구비되는 전기콘센트
WO2011055924A3 (ko) 전원 연결 기구
KR20170043333A (ko) 콘센트
KR101634802B1 (ko) 복합 커넥터 장치
KR200488571Y1 (ko) 멀티탭
KR20130108811A (ko) 이동형 접속장치를 갖춘 전기 콘센트
KR101262829B1 (ko) 서지보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