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535B1 -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0535B1 KR101810535B1 KR1020160061048A KR20160061048A KR101810535B1 KR 101810535 B1 KR101810535 B1 KR 101810535B1 KR 1020160061048 A KR1020160061048 A KR 1020160061048A KR 20160061048 A KR20160061048 A KR 20160061048A KR 101810535 B1 KR101810535 B1 KR 1018105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socket
- terminal
- plug
- ground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02J2007/0062—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부;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서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홀로 이루어진 소켓부; 및 USB 단자가 끼워져지는 포트로 이루어진 USB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사용과 동시에 USB 연결 단자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충전 내지 사용이 가능한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부;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서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홀로 이루어진 소켓부; 및 USB 단자가 끼워져지는 포트로 이루어진 USB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사용과 동시에 USB 연결 단자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충전 내지 사용이 가능한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이나 빌딩의 벽에 설치되어 있는 매립형 콘센트, 또는 매립형 콘센트에 플러그를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는데 사용하는 멀티탭 콘센트는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로 이루어진 소켓부가 형성되어,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해 모든 전자기기는 일반 플러그 또는 플러그와 연결된 어댑터를 구비하고 있는데,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디지털 카메라 등 각종 개인휴대용 전자기기는, 전원 충전 내지 공급을 위한 플러그와 별도로, 각종 공용 충전기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USB 단자로 이루어진 충전잭이 함께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충전잭은 USB 단자용 USB 포트를 구비한 충전기 또는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컴퓨터 연결의 경우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자기기를 단순 사용 내지 충전만이 필요할 경우, USB 단자를 연결할 수 있는 충전기가 필요한데, 저가 제품의 경우 제품 구매 시 충전기를 함께 제공하지 않아, 충전기를 별도 구매할 필요가 있고, 또한 충전기의 휴대성이 떨어져 컴퓨터가 없는 장소에서 USB 충전잭만이 있는 경우 전자기기의 사용 내지 충전을 할 수 없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위한 별도의 플러그(또는 어댑터)나 충전기 또는 컴퓨터 등이 없더라도, USB 충전잭을 이용해 전자기기를 사용 및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참고로, 콘센트에 관한 종래 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 20-0232284호(등록일자 2001.05.16.), 등록특허 제10-1233427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디지털 카메라 등 분리형 USB 충전잭을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개인휴대용 전자기기를 별도의 충전기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지 않고, 콘센트에 직접 연결하여 전자기기의 사용 내지 충전이 가능하도록, 플러그가 연결되는 소켓부와 별도로, USB 단자가 끼워지는 USB 포트로 이루어진 USB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충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단자홀이 차폐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완전하게 방지함과 아울러, 감전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별도 부재의 사용이나 별도의 조작, 작동이 필요 없이도 플러그를 콘센트에 바로 끼워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상기 단자홀을 개폐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전자기기와 콘센트 상호간의 접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접지를 위한 서브 접지핀과 접지 연결핀 사이에 서브 접지핀을 삽입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전도성 소재의 접지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충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USB 단자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동시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콘센트 내부 구조 상 USB 포트가 실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피씨비 모듈 상호간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피씨비 모듈 사이에 절연판이 입설되어 개재되어 있는 충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는,
전원 공급부;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저면에서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홀로 이루어진 소켓부; 및
USB 단자가 끼워져지는 USB 포트로 이루어진 USB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에서,
상기 소켓부는, 상기 단자홀을 개폐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소켓부는 각각, 상용전원 소켓 및 플러그에 접지되도록 하는 메인 접지핀(42)과, 서브 접지핀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접지핀(42)과 상기 서브 접지핀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지 연결핀을 포함하되,
플러그 몸체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될 때, 상기 서브 접지핀과 상기 접지 연결핀의 물리적인 접촉이 강제되도록, 상기 서브 접지핀과 상기 접지 연결핀 사이에 개재되어 서브 접지핀을 상기 삽입부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전도성 소재의 접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에서,
상기 USB 전원 연결부는, 각각 상기 USB 포트를 구비한 복수개의 피씨비 모듈이 하우징 내부에 입설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피씨비 모듈 사이에는 피시비 모듈 상호간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연판이 입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는,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디지털 카메라 등 분리형 USB 충전잭을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개인휴대용 전자기기를 별도의 충전기나 컴퓨터 등에 연결할 필요 없이, USB 충전잭을 콘센트에 직접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전자기기를 사용 내지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을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1차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을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요부 2차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을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1차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을 도시 방향을 달리하여 도시한 요부 2차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도 3, 도 5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 1 내지 도 6에는 벽체 매립형 콘센트가 아닌 2개의 소켓부(11)를 구비한 멀티탭 형태의 콘센트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 구성은 벽체 매립형 콘센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소켓부(11)의 개수나 배치 형태에 제한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를 상부 일측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를 하부 일측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를 도 1 및 도 2의 도시 방향에서 바라본 1차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의 요부를 도 1 및 도 2의 도시 방향에서 바라본 2차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콘센트는 일반적인 플러그 연결과 함께 USB 충전잭의 연결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상용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41), 플러그(미도시) 연결이 가능한 소켓부(11), USB 충전잭(미도시) 연결이 가능한 USB 전원 연결부(31)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본체는 상, 하부 하우징(10)(40)이 조립되어 형성되고, 하우징 내부에 소켓부(11) 연결을 위한 소켓 플레이트(20)와, 전원 공급부(41) 및 USB 전원 연결부(31) 연결을 위한 지지 플레이트(30)가 내장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 공급부(4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매립형 콘센트일 경우, 벽체 내부에 매설된 상용전원용 전선과 연결되어 형성될 것이고,
일정 길이 이상의 전선으로 연결된 플러그를 구비한 멀티탭 형태의 콘센트일 경우, 플러그와 연결된 전선과 연결되어 형성될 것이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이 연결된 소켓에 직접 연결되는 멀티탭 형태의 콘센트일 경우, 2개의 콘센트용 단자(41a)로 형성된다.
상기 소켓부(11)는,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12)와, 상기 삽입부(12)의 저면에서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홀(13)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 공급부(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자홀(13)의 내경에 상응하는 형태로 본체 내부에 마련된 단자부(43a)에 플러그 단자가 끼워져 접속되면 통전이 이루어져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소켓부(11)는 삽입부(12)의 내주면에 서브 접지핀(14)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미지칭)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플러그 체결 시 [전자기기 - 콘센트 - 건물의 상용전원]의 접지가 이루어진다.
상기 USB 전원 연결부(31)는, USB 단자가 끼워져지는 USB 포트(32)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USB 포트(32)는 상기 전원 공급부(41)와 연결되어 USB 단자가 USB 포트(32)에 끼워져 접속되면 통전이 이루어져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USB 포트(32)는 컴퓨터용 USB 포트와 다르게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USB 전원 연결부(31)를 구성하는 USB 포트(32)의 개수나 배치 형태도 제한이 없으며,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USB 단자가 끼워지는 USB 포트(32)가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15a)이 각각 1개 또는 2개 마련된 커버(15)가 상부 하우징(10)의 개구부(10A)에 조립될 수 있는 구성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전자기기의 전원 연결이 편리하도록, 상기 소켓부(11)와, 상기 USB 전원 연결부(31)는 본체의 일면에 함께 형성되는 것(도면에서는 상부 하우징(10)의 상면)이 바람직하고,
도면과 같이 상용전원 콘센트에 직결되는 콘센트일 경우, 전원 공급부(41)는 소켓부(11) 및 USB 전원 연결부(31)의 반대편, 본체의 타면에 형성되는 것(도면에서는 하부 하우징(40)의 하면)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전원 공급부(41)의 형성 방향은 소켓부(11)와 USB 전원 연결부(31)와 다른 방향이면 제한이 없다.
또한 도면과 같이 멀티탭 형태의 직결형 콘센트일 경우, 콘센트용 단자(41a)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40)의 전원 공급부(41) 외주면에 메인 접지핀(42)이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미지칭)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디지털 카메라 등 분리형 USB 충전잭을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개인휴대용 전자기기를 별도의 충전기나 컴퓨터 등에 연결할 필요 없이, USB 충전잭을 콘센트에 직접 연결하여, 전자기기를 사용 내지 충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켓부(11)의 전원과 접지 연결 및 소켓부(11)로의 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한 콘센트의 상세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소켓부(11)를 이용한 전원의 공급 및 접지를 위하여, 소켓부(11) 하부에는 소켓 플레이트(20)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소켓 플레이트(20)는, 상기 소켓부(11)의 단자홀(13)에 대응하는 통과홀(2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통과홀(21)들 사이에 차폐부재(24)의 회전 작동 및 접지 연결을 위한 축공(2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소켓 플레이트(20) 하부에 끼움단(27)이 구비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41)의 콘센트용 단자(41a)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통과홀(21)에 대응하는 단자부(43a)가 원형으로 형성된 접속핀(43)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접속핀(43)의 단자부(43a)는, 하부 하우징(40)의 내측면에 돌설되며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지지부(45)에 끼워져 플러그 단자가 단자홀(13) 및 통과홀(21)을 관통하여 단자부(43a)에 끼워질 때 물리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켓 플레이트(20) 상면에는, 접지를 위한 서브 접지핀(14)이 결합되며, 복수개의 소켓부(11)를 구비하는 경우, 각 서브 접지핀(14)은 소켓 플레이트(20) 상면에 구비되는 접지 공유핀(23)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자홀(13)로의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소켓부(11)는, 상기 단자홀(13)을 개폐하는 차폐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부재(24)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회전을 통해 단자홀(13)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삽입부(12)의 저면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가 단자홀(13)에 끼워질 때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쇄된 단자홀(13)이 개방되도록 하는 회전체(25)와,
일단이 상기 회전체(25)와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 단자가 단자홀(13)에서 분리될 때 상기 회전체(2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된 단자홀(13)이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 스프링(26)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체(25)는, 상기 소켓 플레이트(20)의 축공(22) 및 상부 하우징(10)의 축부(미지칭)에 축설되어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양측단 상면에 회전체(25)의 개방 회전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안내경사면(25a)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에 개폐 스프링(26) 연결을 위한 걸림부(25b)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 스프링(26)은, 일단이 상기 걸림부(25b)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부 하우징(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회전체(25)의 폐쇄 회전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도면과 같이 플러그를 소켓부(11)에 체결할 때, 회전체(25)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수평 회전하는 경우, 개폐 스프링(26)은 회전체(25)의 시계 방향 회전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여,
회전체(25)가 개방 회전할 때 압축된 후, 플러그를 소켓부(11)에서 분리하면 개폐 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체(25)가 폐쇄 회전하여 안내경사면(25a)이 단자홀(13)로 복귀되면서 폐쇄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회전체(25)의 개폐 회전 방향에 따라 개폐 스프링(26)의 탄성력 발휘 구조나 위치 등은 달라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는, 상면에 USB 연결용 USB 포트(32)가 실장된 피씨비 모듈(33)이 끼워져 입설되도록 하는 끼움홈(37)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 전원 공급부(41)를 위한 콘센트용 단자(41a)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단자부(43a)가 형성된 접속핀(43)들은 각각, 소켓 플레이트(20)와 지지 플레이트(30) 상호간의 높이 단차를 감안하여 형성된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지 플레이트(30)의 하면에 접속핀(43)이 밀착된 상태에서 해당 콘센트용 단자(4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의 하면 형성된 전원 공급부(40)에는, 콘센트와 상용전원 사이의 접지를 위한 메인 접지핀(42)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 접지핀(42)과 상기 서브 접지핀(14)의 연결은 일반 전선 등으로도 가능하나, 콘센트의 소형화, 콘센트의 조립성 향상 및 서브 접지핀(14)과 메인 접지핀(42) 사이의 안정적인 통전 구조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접지핀(42)과 상기 서브 접지핀(14)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접지 연결핀(35)을 포함하되,
플러그 몸체가 상기 삽입부(12)에 삽입될 때, 상기 서브 접지핀(14)과 상기 접지 연결핀(35)의 물리적인 접촉이 강제되도록, 상기 서브 접지핀(14)과 상기 접지 연결핀(35) 사이에 개재되어 서브 접지핀(14)을 상기 삽입부(12)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전도성 소재의 접지 스프링(36)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 접지핀(14)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30)의 하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절곡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단이 메인 접지핀(42)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 스프링(36)과 연결된다.
상기 접지 스프링(36)은, 상기 서브 접지핀(14)과 상기 접지 연결핀(35)의 물리적인 접촉을 강제하여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소켓 플레이트(20)의 축공(22)에 삽입되어 상부의 서브 접지핀(14)과 접촉되고, 하단은 상기 접지 연결핀(35)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5a)에 끼워지면서 접촉되어, 서브 접지핀(14)과 접지 연결핀(35)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이때 압축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플러그를 충전 콘센트에 연결하는 경우, 서브 접지핀(14)이 벌어지면서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여 서브 접지핀(14)의 높이 변위나 유동이 발생하더라도,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접지 스프링(36)이 적절한 범위로 압축되면서 서브 접지핀(14)과 접지 연결핀(35)의 물리적인 접촉이 상시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서브 접지핀(14)과 접지 연결핀(35)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이 단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접지 연결핀(35)과 접지 스프링(36)을 이용해 메인 연결핀과 서브 접지핀(14)을 통전시킨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용전원 직결형 콘센트의 경우, 소켓부(11)와 전원 공급부(41)의 형성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면과 다르게 소켓 플레이트(20) 하면에 밀착되도록, 접지 연결핀(35)을 절곡 형성하여 서브 접지핀(14)에 납땜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경우, 서브 접지핀(14)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한 변위 내지 유동으로 인해 전기적 연결이 쉽게 끊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면과 같이, 복수개의 소켓부(11)가 마련된 멀티탭 콘센트의 경우, [접지 연결핀(35) - 접지 스프링(36)]과 연결되는 제1 서브 접지핀(14)(도면에서는 우측 서브 접지핀(14))과 달리, 접지 연결핀(35)과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제2 서브 접지핀(14)(도면에서는 좌측 서브 접지핀(14))에도 압력에 의한 변위 내지 유동이 발생할 수 있으나,
나머지 제2 서브 접지핀(14)의 경우, 소켓 플레이트(20)의 상면에 구비되는 접지 공유핀(23)을 통해 서브 접지핀(14)들이 직접 접촉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데 반하여,
제1 서브 접지핀(14)의 경우, 메인 접지핀(42)과의 전기적 연결이 소켓 플레이트(20)를 기준으로 상호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어,
납땜 등과 같은 물리적 연결이 쉽게 끊어질 수 있고, 전선을 이용해 연결할 경우, 콘센트 조립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접지 연결핀(35)과 접지 스프링(36)을 통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USB 전원 연결부(31)는, 각각 상기 USB 포트(32)를 구비한 복수개의 피씨비 모듈(33)이 하우징 내부에 입설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피씨비 모듈(33) 사이에는 피시비 모듈(33) 상호간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연판(34)이 입설되어, 피시비 모듈(33) 사이의 전자기장 간섭 또는 열전달 등에 의한 고장 내지 오작동을 방지한다.
이러한 절연판(34)은 부도체나 절연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의 미설명 도면부호 10a는 피시비 모듈(33)을 형성하는 기판이 끼워지는 끼움홈이고, 도 4의 미설명 도면부호 15b는 절연판(34)이 끼워지는 끼움홈이며, 도 3 및 도 4의 미설명 도면부호 44는 전원 공급부(41)를 구성하는 콘센트용 단자(41a)가 통과되는 관통공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상부 하우징 11 : 소켓부
12 : 삽입부 13 : 단자홀
14 : 서브 접지핀 15 : 커버
15a : 노출공 20 : 소켓 플레이트
21 : 통과홀 22 : 축공
23 : 접지 공유핀 24 : 차폐부재
25 : 회전체 25a : 안내경사면
25 : 걸림부 26 : 개폐 스프링
30 : 지지 플레이트 31 : USB 전원 연결부
32 : USB 포트 33 : 피시비 모듈
34 : 절연판 35 : 접지 연결핀
36 : 접지 스프링 37 : 끼움단
40 : 하부 하우징 41 : 전원 공급부
41a : 콘센트용 단자 42 : 메인 접지핀(42)
43 : 접속핀 43a : 단자부
10a, 37, 15b : 끼움홈 10A : 상부 하우징 개구부
12 : 삽입부 13 : 단자홀
14 : 서브 접지핀 15 : 커버
15a : 노출공 20 : 소켓 플레이트
21 : 통과홀 22 : 축공
23 : 접지 공유핀 24 : 차폐부재
25 : 회전체 25a : 안내경사면
25 : 걸림부 26 : 개폐 스프링
30 : 지지 플레이트 31 : USB 전원 연결부
32 : USB 포트 33 : 피시비 모듈
34 : 절연판 35 : 접지 연결핀
36 : 접지 스프링 37 : 끼움단
40 : 하부 하우징 41 : 전원 공급부
41a : 콘센트용 단자 42 : 메인 접지핀(42)
43 : 접속핀 43a : 단자부
10a, 37, 15b : 끼움홈 10A : 상부 하우징 개구부
Claims (4)
- 전원 공급부(41);
플러그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부(12)와, 상기 삽입부(12)의 저면에서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홀(13)로 이루어진 소켓부(11); 및
USB 단자가 끼워져지는 포트(32)로 이루어진 USB 전원 연결부(31);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공급부(41) 및 상기 소켓부(11)는 각각, 상용전원 소켓 및 플러그에 접지되도록 하는 메인 접지핀(42)과, 서브 접지핀(14)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접지핀(42)과 상기 서브 접지핀(14)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일단이 메인 접지핀(42)과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 스프링(36)에 연결된 접지 연결핀(35)을 포함하되,
플러그 몸체가 상기 삽입부(12)에 삽입될 때, 상기 서브 접지핀(14)과 상기 접지 연결핀(35)의 물리적인 접촉이 강제되도록, 상기 서브 접지핀(14)과 상기 접지 연결핀(35) 사이에 개재되어 상단이 소켓 플레이트(20)의 축공(22)에 삽입되어 상부의 서브 접지핀(14)과 접촉되고 하단이 접지 연결핀(35)의 끝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5a)에 끼워지면서 접촉되어, 압축 반대 방향으로 발휘되는 탄성력으로 서브 접지핀(14)을 상기 삽입부(12) 측으로 탄성 지지하면서, 서브 접지핀(14)과 접지 연결핀(3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전도성 소재의 접지 스프링(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콘센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11)는, 상기 단자홀(13)을 개폐하는 차폐부재(24)를 포함하되,
상기 차폐부재(24)는, 상기 삽입부(12)의 저면에서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플러그 단자가 단자홀(13)에 끼워질 때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쇄된 단자홀(13)이 개방되도록 하는 회전체(25)와, 일단이 상기 회전체(25)에 연결되고 타단이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플러그 단자가 단자홀(13)에서 분리될 때 상기 회전체(2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된 단자홀(13)이 폐쇄되도록 하는 개폐 스프링(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콘센트.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전원 연결부(31)는, 각각 상기 포트(32)를 구비한 복수개의 피씨비 모듈(33)이 하우징 내부에 입설되어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피씨비 모듈(33) 사이에는 피씨비 모듈(33) 상호간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하는 절연판(34)이 입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1048A KR101810535B1 (ko) | 2016-05-18 | 2016-05-18 |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1048A KR101810535B1 (ko) | 2016-05-18 | 2016-05-18 |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0229A KR20170130229A (ko) | 2017-11-28 |
KR101810535B1 true KR101810535B1 (ko) | 2017-12-20 |
Family
ID=6081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1048A KR101810535B1 (ko) | 2016-05-18 | 2016-05-18 |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053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9996A (ko) | 2021-10-07 | 2023-04-14 | 김윤길 |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9202B1 (ko) * | 2019-07-30 | 2020-10-23 | 와이넷(주) | 접지 전용 플러그 |
-
2016
- 2016-05-18 KR KR1020160061048A patent/KR10181053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9996A (ko) | 2021-10-07 | 2023-04-14 | 김윤길 |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0229A (ko) | 2017-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207689B (zh) | 连接模块 | |
US9004951B2 (en) | Multi-functional transfer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different receptacles | |
US9281638B2 (en) | Connectors | |
US9337676B2 (en) | Outlet enclosure for device chargers | |
US20040043651A1 (en) | AC adapter connector assembly | |
KR20190094411A (ko) | 플렉서블 디바이스 | |
WO2015089893A1 (zh) | Usb电连接器的转接模块 | |
US8317528B2 (en) | Intelligent electrical connector | |
KR101810535B1 (ko) |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 |
WO2016073950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otatable prongs | |
US7001194B2 (en) | Electric power connector and electric power connector assembly | |
CN201656165U (zh) | 电源连接器的插座和插头、以及电源连接器 | |
US8215974B2 (en) | Power plug and power plug assembly | |
TWM461228U (zh) | 可更換插頭規格的電源轉接插頭 | |
CN107069351A (zh) | 适配器 | |
CN114006234B (zh) | 多方位旋转可拆换第一和第二连接头及其电子连接器 | |
CN216872437U (zh) | 多方位旋转可拆换电子连接器及其第一和第二连接头 | |
KR101968227B1 (ko) | 통신기능을 갖는 플러그 | |
TWM583645U (zh) | 多國充電器結構 | |
CN105576436A (zh) | 内置磁铁的移动式存储装置 | |
CN106785611B (zh) | 电连接器及电子设备 | |
CN101685929B (zh) | 电源连接器 | |
CN205657282U (zh) | 旋转带usb插座 | |
TWM478261U (zh) | 板接型連接器 | |
KR200414606Y1 (ko) | 충전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