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996A -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 Google Patents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996A
KR20230049996A KR1020210133178A KR20210133178A KR20230049996A KR 20230049996 A KR20230049996 A KR 20230049996A KR 1020210133178 A KR1020210133178 A KR 1020210133178A KR 20210133178 A KR20210133178 A KR 20210133178A KR 20230049996 A KR20230049996 A KR 20230049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wn wheel
housing
wheel unit
upper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길
Original Assignee
김윤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길 filed Critical 김윤길
Priority to KR102021013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9996A/ko
Publication of KR20230049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9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는, 플러그가 삽입되며 내부에 슬립링이 배치되는 하단 하우징; 하면에 상기 하단 하우징이 연결되는 중공의 원통형의 제1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하면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는 제1크라운휠부; 일측면에 USB단자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USB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슬립링을 통과하는 전선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이 배치되는 상단 하우징; 하단은 상기 제1크라운휠부 상면에 안착되며, 상단은 상기 상단 하우징의 하면에 닿도록 마련되는 스프링; 중공의 원통형의 제2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 하우징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의 압축과 복원에 따라 상기 제1크라운휠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크라운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ROTATABLE CHARGE ADAPTER}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USB단자 영역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른 전기제품의 플러그들의 위치와 형상에 관계없이 간섭을 최소화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모든 전자기기는 일반 플러그 또는 플러그와 연결된 어댑터를 구비하는데,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디지털 카메라 등 각종 개인휴대용 전자기기는, 전원 충전 내지 공급을 위한 플러그와 별도로, 각종 공용 충전기나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사용 및 충전이 가능하도록 USB 단자로 이루어진 충전잭이 함께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충전잭은 USB 단자용 USB 포트를 구비한 충전기 또는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컴퓨터 연결의 경우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전원 콘센트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정해진 일방향으로만 결합하여야 하므로 복수개의 플러그를 결합할 때에 인접한 플러그 및 전선들이 서로 간섭되어 결합과 분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접한 플러그 및 전자기기의 위치와 플러그의 고정된 방향에 의해 충전기 선이 꺾인 상태를 유지하여 고장의 원인이 되며, 지속적으로 방치하는 경우 전선 피복이 벗겨져 사고의 원인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가 꽂힌 상태에서 전선의 꺾임 없이 방향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는 USB충전 어댑터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2389호(2020.12.11.) "샌드위치형 회전플러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1-0105453호(2021.08.27) "Usb 케이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usb 충전 어댑터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0535호(2017.12.13)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는, USB단자 영역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른 전기제품의 플러그들의 위치와 형상에 관계없이 간섭을 최소화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도 USB단자 영역을 회전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는, 플러그가 삽입되며 내부에 슬립링이 배치되는 하단 하우징; 하면에 상기 하단 하우징이 연결되는 중공의 원통형의 제1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하면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는 제1크라운휠부; 일측면에 USB단자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USB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슬립링을 통과하는 전선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이 배치되는 상단 하우징; 하단은 상기 제1크라운휠부 상면에 안착되며, 상단은 상기 상단 하우징의 하면에 닿도록 마련되는 스프링; 중공의 원통형의 제2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 하우징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의 압축과 복원에 따라 상기 제1크라운휠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크라운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단 하우징은 상기 제2크라운휠부가 상기 제1크라운휠부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만 상기 하단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크라운휠부는 36개의 톱니 형상의 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면이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은 상기 제2크라운휠부의 내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는, USB단자 영역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른 전기제품의 플러그들의 위치와 형상에 관계없이 간섭을 최소화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가 제공된다.
또한,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힌 상태에서도 USB단자 영역을 회전시켜 전선의 꼬임, 꺾임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기기들의 플러그와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슬립링에 의해 USB단자 영역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쉬한 상태에서만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조작할 경우에만 회전되어 안전하다.
또한, 한 손으로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의 제1크라운휠부과 제2크라운휠부 설명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의 작동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는, USB단자 영역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른 전기제품의 플러그들의 위치와 형상에 관계없이 간섭을 최소화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1000)는 하단 하우징(100)과, 제1크라운휠부(200)와, 제2크라운휠부(300)와, 상단 하우징(400) 및 스프링(500)을 포함한다.
하단 하우징(100)은 하면에 한 쌍의 플러그삽입홀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삽입홀은 하단 하우징(100)의 중앙에 한 쌍의 플로그봉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폭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 하우징(100)에는 슬립링(110)이 배치된다. 슬립링(110)은 로터리 조인트, 로터리 커넥터등으로도 불리는 전기/기계적 부품으로, 회전하는 장비에 전원 또는 신호라인을 공급할때 전선의 꼬임없이 전달가능한 일종의 회전형 커넥터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USB포트가 배치된 상단 하우징(400)이 하단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데, 이 과정에서 전선의 꼬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선이 슬립링(110)을 통과하여 일단은 플러그에 연결되고 타단은 USB포트가 설치된 기판(420)에 접속됨으로써, 상단 하우징(400)이 하단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하여도 전선의 꼬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의 제1크라운휠부과 제2크라운휠부 설명도이다.
제1크라운휠부(200)는 제1몸체(210)와 제1크라운휠(220)을 포함한다.
제1몸체(2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하면에는 하단 하우징(100)이 연결된다. 여기서 제1몸체(210)와 하단 하우징(10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슬립링(110)은 크기에 따라 하단 하우징(100)과 제1몸체(210)에 걸쳐서 수용될 수도 있다.
제1크라운휠(220)은 제1몸체(2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면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다. 제1크라운휠(220)은 제2크라운휠(320)과 선택적인 맞물림을 통해 상단 하우징(4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크라운휠(220)은 제1몸체(210)의 측면 상단에 돌출 형성된다.
제2크라운휠부(300)는 제2몸체(310)와 제2크라운휠(320)을 포함한다.
제2몸체(31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내측면과 상면은 상단 하우징(400)과 연결된다.
제2크라운휠(320)은 제2몸체(31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크라운휠(320)은 제2몸체(310)의 측면 하단에 돌출 형성된다.
제1크라운휠(220)과 제2크라운휠(320)에는 기준점이 표시될 수 있다.
제1크라운휠(220)과 제2크라운휠(320)과의 선택적 접촉에 의한 상단 하우징(400)의 회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단 하우징(400)은 일측면에 USB단자에 대응되는 관통홀(4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USB포트가 설치되며 슬립링(110)을 통과하는 전선에 의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420)이 배치된다. 이러한 충전 기판(420)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단 하우징(400)은 하면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벽(430)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돌기(440)가 형성된다. 돌출벽(430)의 외면은 제2크라운휠부(300)의 외면과 연결되어, 상단 하우징(400)과 제2크라운휠부(300)는 함께 이동한다. 즉, 상단 하우징(400)이 상하로 움직이면 제2크라운휠부(300)도 함께 상하로 움직이며, 상단 하우징(400)이 회전하면 제2크라운휠부(300)도 함께 회전한다.
상단 하우징(400)과 제1크라운휠부(200) 사이에는 스프링(500)이 개재된다.
스프링(500)은 하면은 제1크라운휠부(2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면은 상단 하우징(400)의 돌기(440)에 접촉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의 작동설명도이다.
일반적인 사용과정에서, 제1크라운휠(220)과 제2크라운휠(320)은 서로 맞물려 회전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단 하우징(400)을 푸쉬하면 돌기(44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프링(500)이 압축되고, 제2크라운휠부(300)도 함께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2크라운휠부(300)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크라운휠부(200)와 서로 이격되며, 이로 인해 제2크라운휠부(300)의 회전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단 하우징(40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제2크라운휠부(300)가 함께 회전하고 USB단자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 과정에서 전선은 슬립링(110)을 통과하기 때문에 꼬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단 하우징(400)과 제2크라운휠부(300)가 회전시킨 뒤 사용자가 상단 하우징(40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500)이 복원하면서 돌기(440)를 상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단 하우징(400)과 제2크라운휠부(300)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제2크라운휠(320)과 제2크라운휠(320)의 요철이 서로 맞물리게되며, 다시 상단 하우징(400)의 회전이 제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USB단자 영역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다른 전기제품의 플러그들의 위치와 형상에 관계없이 간섭을 최소화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100 : 하단 하우징 200 : 제1크라운휠부
300 : 제2크라운휠부 400 : 상단 하우징
500 : 스프링

Claims (4)

  1. 플러그가 삽입되며 내부에 슬립링이 배치되는 하단 하우징;
    하면에 상기 하단 하우징이 연결되는 중공의 원통형의 제1몸체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하면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는 제1크라운휠부;
    일측면에 USB단자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USB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슬립링을 통과하는 전선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이 배치되는 상단 하우징;
    하단은 상기 제1크라운휠부 상면에 안착되며, 상단은 상기 상단 하우징의 하면에 닿도록 마련되는 스프링;
    중공의 원통형의 제2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면에는 톱니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 하우징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의 압축과 복원에 따라 상기 제1크라운휠부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제2크라운휠부;
    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하우징은 상기 제2크라운휠부가 상기 제1크라운휠부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만 상기 하단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크라운휠부는 36개의 톱니 형상의 철부를 포함하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면이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은 상기 제2크라운휠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KR1020210133178A 2021-10-07 2021-10-07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KR20230049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178A KR20230049996A (ko) 2021-10-07 2021-10-07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178A KR20230049996A (ko) 2021-10-07 2021-10-07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996A true KR20230049996A (ko) 2023-04-14

Family

ID=8594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178A KR20230049996A (ko) 2021-10-07 2021-10-07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999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535B1 (ko) 2016-05-18 2017-12-20 (주)대성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KR102192389B1 (ko) 2020-09-28 2020-12-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샌드위치형 회전플러그
KR20210105453A (ko) 2020-02-18 2021-08-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Usb 케이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usb 충전 어댑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535B1 (ko) 2016-05-18 2017-12-20 (주)대성 Usb 전원 연결부를 구비한 충전 콘센트
KR20210105453A (ko) 2020-02-18 2021-08-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Usb 케이블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 usb 충전 어댑터 장치
KR102192389B1 (ko) 2020-09-28 2020-12-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샌드위치형 회전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960B2 (en) AC adapter connector assembly
JP2526169B2 (ja) 電気コネクタ構造
US7670190B2 (en) Rotatable electrical interconnection device
US6821134B2 (en) Rotatable plug applied in power supply apparatus
TWI459653B (zh) 同軸型電連接器
US630925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wer contacts for providing high electrical power
US6419504B1 (en) Slide locked retractable grounding pin power cord plug
US20090311904A1 (en) Communication jack
US9425566B2 (en) Power strip and cord thereof
CN101467438A (zh) 配线器具及监控摄像装置
US8905764B2 (en) Rotary plug
US694896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cable guiding member
US20120289073A1 (en) Power adapter with a changeable plug
KR20230049996A (ko) 회전가능한 충전 어댑터
JP4117888B2 (ja) コネクタ装置
KR20140065886A (ko) 전기플러그
WO2011127630A1 (zh) 防爆电连接装置及其插头、插座
JP2005056758A (ja) 電源接続装置
US9461408B1 (en) Adaptor and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20080030867A (ko) 가변형 전원연결장치
US6250940B1 (en) Computer connector that can provide both signal and power connection or only a signal connection
CN204720696U (zh) 可分离式的插座电连接器系统
US10439344B1 (en) Universal DC power supply extension cable system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WO2017179216A1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