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780B1 -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 Google Patents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780B1
KR100606780B1 KR1020040039205A KR20040039205A KR100606780B1 KR 100606780 B1 KR100606780 B1 KR 100606780B1 KR 1020040039205 A KR1020040039205 A KR 1020040039205A KR 20040039205 A KR20040039205 A KR 20040039205A KR 100606780 B1 KR100606780 B1 KR 10060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g
housing
charg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015A (ko
Inventor
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780B1/ko
Priority to CNA2005100596059A priority patent/CN1722547A/zh
Publication of KR20050114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부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DC 플러그가 어떠한 단말기의 충전잭에라도 적정한 길이로 완전히 삽입되므로 미관상 보기가 좋고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접속불량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단말기 충전용 DC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는, 이동통신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충전잭에 접속되는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에 있어, 상기 충전잭에 삽입되어지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의 일단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부의 일단이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길이만큼 들어갔다가 나왔다가 하면서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말기, 어댑터, DC 플러그

Description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 A DC Plug used at Charger of Terminal}
제 1도는 종래의 충전용 어댑터의 사시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의 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의 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플러그 20: 변압기
30: DC 플러그 40: 하우징
50: 단자부 51: 제1극 단자
52: 제2극 단자
100: 단자부 110: 제1극 단자
120: 제2극 단자 130: 절연부
200: 하우징 210: 축공
300: 길이조절수단 310: 삽입홈
311: 경사부 320: 고정핀
321: 단턱 322: 경사부
330: 관통부 331: 단턱
340: 압축스프링 350: 수나사
360: 암나사
400: 케이블 410: 도전선
본 발명은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충전잭에 삽입되는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단자 길이를 조절가능하여 접속성을 향상시킨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함에 있어, 통상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리셉터클에 충전용 어댑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체결하여 충전을 하게 되지만, 근래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충전잭에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를 삽입하여 충전을 하는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충전잭에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를 삽입하여 충전함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플러그(10)를 통하여 옥내콘센트로부터 유입되어 변압기(20)로 강압된 전력을 DC 플러그(3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여 충전을 하게 되어지되, DC 플러그는 하우징(40)에서 단자부(50)가 관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경과 내경이 서로 절연된 채 각기 제1극 단자(51)와 제2극 단자(52)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DC 플러그는 단자부(50)의 돌출된 길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충전잭의 삽입된 깊이가 단자부(50)의 길이보다 짧거나 충전잭이 구비된 단말기의 구조가 DC 플러그의 완전삽입을 방해할 경우에는 단자부가 충전잭에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고 남는 부분이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음은 물론 하우징이 다른 부분에 걸리면서 쉽게 이탈되어 충전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단자부의 길이가 충전잭의 깊이보다 짧은 경우에는 단자부의 내경이 충전잭의 돌출된 단자에 충분히 접촉되지 못하여 충전이 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자부의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DC 플러그가 어떠한 단말기의 충전잭에라도 적정한 길이로 완전히 삽입되므로 미관상 보기가 좋고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접속불량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충전용 DC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는, 이동통신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충전잭에 접속되는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에 있어, 상기 충전잭에 삽입되어지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의 일단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부의 일단이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길이만큼 들어갔다가 나왔다가 하면서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단자부의 외경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과; 상기 하우징의 외경에서 내경을 관통하며 상기 삽입홈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핀이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가 부가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과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핀의 일단에는 일 길이방향으로 경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져, 단자부가 하우징에서 돌출되도록 나올때에는 경사부간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고정핀이 삽입홈에서 고정이 되지 않고 단자부가 삽입되도록 들어갈 때에는 고정핀이 삽입홈에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충전용 DC 플러그를 구성하는 또다른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단자부의 외경에 형성된 수나사와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져; 하우징에서 단자부가 회전하면서 단자부의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나사와 암나사의 리드 거리가 단자부의 돌출되거나 삽입되면서 이동가능한 거리와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의 투시도이고, 제 3도는 본 발명의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를 측면에서 바라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는 충전잭에 삽입되는 단자부(100)와, 단자부를 감싸는 하우징(200)과,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30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단자부(100)는 지름이 다른 2개의 도전관 사이에 합성수지 등으로된 절연부(130)가 개재된 채 외경과 내경을 이루는 도전관이 각기 제1극 단자(110)와 제2극 단자(120)가 된다.
단자부(100)의 제1극 단자(110)와 제2극 단자(120)는 각기 양극과 음극 또는 음극과 양극의 단자가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잭(미도시)에 삽입된다.
충전잭에는 단자부(100)의 제1극 단자(110)와 제2극 단자(120)에 대응되는 단자들이 구비되어 각기 제1극 단자와 제2극 단자에 접속되면서, 단자부에서 유입된 직류전류를 보호회로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달하여 충전을 시키게 된다.
하우징(200)은 합성수지재로, 충전용 어댑터의 케이블(400)을 덮으며 일체로 사출성형된다.
하우징의 일측에는 축공(210)이 형성되어 단자부(100)의 일단이 축공(210)에 삽입되어지되, 길이조절수단(300)으로 돌출된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된다.
축공(210) 내부에서는 단자부의 제1극 단자(110)와 제2극 단자(120)가 각기 케이블의 양극과 음극의 도전선(410)에 연결되어지되, 도전선(410)은 단자부(100)가 하우징(200)에서 최대로 돌출된 상태에서 케이블(400)과 단자부(100)와의 거리 차이보다 약간 여유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공(210)의 깊이는 단자부(100)가 하우징(200) 내부로 최대한 삽입된 상태에서도 여유공간이 남도록 하여 도전선(410)이 여유공간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조절수단(300)은 단자부(100)의 외경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의 삽입홈(310)과 하우징(200)의 외경에서 내경을 관통하며 삽입홈(310)에 일단이 삽입되는 고정핀(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00)에는 외경과 내경을 관통하는 관통부(330)가 형성되고 관통부(330)에 고정핀(320)이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진다.
고정핀(320)의 하우징(200) 내경에 위치한 일측에는 단턱(321)이 구비되어 단턱(321)이 관통부(330)의 단턱(331)에 걸리면서 밖으로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고정핀(320)의 하우징(200) 외경에 위치한 타측은 하우징(200)에서 소정길이 돌출되어져 사용자가 삽입홈(310)에서 고정핀(320)을 이탈시키기 위하여 돌출된 부분을 손으로 잡고 당길수 있도록 있도록 한다.
고정핀(320)의 단턱(321)과 관통부(330)의 단턱(331) 사이에는 탄성부재,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프링(340)이 탄설되어져 고정핀(320)이 삽입홈(310)에 삽입되어 있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삽입홈(310)과, 삽입홈(310)에 삽입되는 고정핀(320)의 일단은 대응되는 암수의 형상으로 구비되어져, 고정핀(320)의 일단이 삽입홈(310)에 삽입되었을때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홈(310)과, 삽입홈(310)에 삽입되는 고정핀(320)의 일단은 일 길이방향으로 각기 경사부(311,322)를 구비함으로써, 단자부(100)가 하우징(200)에서 돌출되도록 나올때에는 경사부(311,322)들이 슬라이드하면서 고정핀(320)이 삽입홈(310)에 고정이 되지 않고, 단자부(100)가 하우징(200)에 삽입되도록 들어갈 때에는 고정핀(320)이 삽입홈(31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의 또다른 길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의 투시도이다.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의 길이조절수단(30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의 길이조절수단(300)은, 단자부(100)의 외경에 형성된 수나사(350)와 하우징(200)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360)가 결합하여 이루어져; 하우징(200)에서 단자부(100)가 회전하면서 단자부(100)의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어진다.
단자부(100)의 수나사(350)는 하우징(200)의 암나사(360)에 삽입되어 나사결합을 하며, 단자부(100)는 하우징(20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삽입되도록 들어가거나 돌출되도록 나오게 된다.
나사의 리드 거리(L)가 짧으면 단자부(100)가 하우징(200)에 대하여 들어가거나 나오면서 수턴의 회전을 하여 도전선(410)이 꼬이게 되므로 파손의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거리(L)를 크게 하여 도전선(410)의 꼬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드 거리(L)가 단자부(100)의 돌출되거나 삽입되면서 이동하는 최대거리와 유사하도록 하여 단자부(100)의 최대 회전각도가 360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 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의 사용을 본다.
사용자는 충전을 하기 위하여 충전잭에 전력이 유입되는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를 삽입한다.
만일 DC 플러그의 길이가 충전잭의 삽입된 길이와 맞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길이조절수단(300)을 사용하여 DC 플러그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삽입홈(310)과 고정핀(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길이조절수단(300)으로 길이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하우징(200) 외경으로 돌출된 고정핀(320)부분을 잡고 고정핀(320)을 하우징(200) 외경으로 당긴 후, 단자부(100)를 하우징(200)에 대하여 원하는 길이로 돌출 또는 삽입시킨 후 고정핀(320)을 놓으면 압축스프링(340)에 의하여 고정핀(320)이 삽입홈(310)에 삽입되며 고정되도록 복원된다.
만일 단자부(100)의 돌출된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단순히 단자부(100)를 하우징(200)에 대하여 돌출되어 나오도록 당기기만 해도 경사부(311,322)간의 슬라이드에 의하여 길이가 늘어난다.
수나사(350)와 암나사(360)의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진 길이조절수단(300)으로 길이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단자부(100)가 적당한 길이까지 돌출 또는 삽입되도록 단자부(1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에 의하면, 단자부의 길이가 조절가능하므로 DC 플러그가 어떠한 단말기의 충전잭에라도 적정한 길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어 미관상 보기가 좋고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접속불량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충전잭에 접속되는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에 있어,
    상기 충전잭에 삽입되어지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의 일단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소정의 경사부를 가지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단자부의 길이가 줄어드는 방향으로는 상기 단자부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
    상기 삽입홈은 상기 단자부의 외경에서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하우징의 외경에서 내경을 관통하며 일단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4. 제3항에 있어,
    상기 고정핀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5. 제3항에 있어,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고정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6. 이동통신 단말기 일측에 구비된 충전잭에 접속되는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에 있어,
    상기 충전잭에 삽입되어지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의 일단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단자부의 일단이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단자부의 외경에 형성된 수나사와 상기 하우징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가 결합하여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에서 단자부가 회전하면서 단자부의 돌출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와 암나사의 리드 거리가 단자부의 돌출되거나 삽입되면서 이동가능한 거리와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KR1020040039205A 2004-05-31 2004-05-31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KR10060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205A KR100606780B1 (ko) 2004-05-31 2004-05-31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CNA2005100596059A CN1722547A (zh) 2004-05-31 2005-03-29 充电专用适配器dc插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205A KR100606780B1 (ko) 2004-05-31 2004-05-31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015A KR20050114015A (ko) 2005-12-05
KR100606780B1 true KR100606780B1 (ko) 2006-08-01

Family

ID=3591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205A KR100606780B1 (ko) 2004-05-31 2004-05-31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6780B1 (ko)
CN (1) CN17225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61B1 (ko) 2017-02-08 2018-07-19 (주)데바텍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20B1 (ko) * 2006-05-10 2010-07-05 오준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CN107565288A (zh) * 2017-03-27 2018-01-09 深圳市海盾五金工具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线结构
CN107591662A (zh) * 2017-03-27 2018-01-16 广州市裘袋贸易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设备
CN107565245A (zh) * 2017-03-27 2018-01-09 深圳市海盾五金工具有限公司 一种长度可调的新能源汽车充电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203U (ko) * 1995-12-27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 조절식 잭 레버
US6641405B2 (en) 2001-10-25 2003-11-04 Primax Electronics, Ltd. Vehicular power plug with adjustable length
KR20050001944A (ko) * 2003-06-28 2005-01-07 최진영 가변조정 멀티전원플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203U (ko) * 1995-12-27 1997-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길이 조절식 잭 레버
US6641405B2 (en) 2001-10-25 2003-11-04 Primax Electronics, Ltd. Vehicular power plug with adjustable length
KR20050001944A (ko) * 2003-06-28 2005-01-07 최진영 가변조정 멀티전원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761B1 (ko) 2017-02-08 2018-07-19 (주)데바텍 플러그 교환형 어댑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015A (ko) 2005-12-05
CN1722547A (zh) 200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20133A1 (en) Plug connection for a mobile terminal
US9559435B2 (en) Systems,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weather-proofed wire splicings
US6884125B2 (en) Secured connector and using process thereof
KR100606780B1 (ko)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US5080614A (en) Quick connect electrical plug
CN208014942U (zh) 一种大电流连接压线头
CN104218355B (zh) 电缆快接插头
US7371123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10156574U (zh) 一种大电流汇流连接组件
CN208062386U (zh) 电子点烟器自动磁吸式充电接头
KR101668844B1 (ko)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CN105098468A (zh) 一种高压电缆连接器
CN106207675A (zh) 电缆公头、电缆母头及盾构机用电缆连接器
CN207705814U (zh) 蓝牙耳机的充电装置
CN113675673B (zh) 移动式接线装置
CN206922124U (zh) 自断式音频插头及音频数据线
US8070503B2 (en) Charging interface for rechargeable devices
CN215008698U (zh) 一种可拉伸墙壁插座
CN218896888U (zh) 一种可快速定位的连接器
CN215070482U (zh) 一种便于安装的汽车高压电缆
CN220291265U (zh) 一种可拆卸多功能电源线
CN217656115U (zh) 一种带可收纳的充电插头的插线板
KR200439383Y1 (ko) 휴대용 충전 잭
CN220605145U (zh) 一种usb光纤线连接器
CN220324833U (zh) 一种电连接器的劈槽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