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320B1 -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320B1
KR100967320B1 KR1020070013355A KR20070013355A KR100967320B1 KR 100967320 B1 KR100967320 B1 KR 100967320B1 KR 1020070013355 A KR1020070013355 A KR 1020070013355A KR 20070013355 A KR20070013355 A KR 20070013355A KR 100967320 B1 KR100967320 B1 KR 10096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device
portable
signal terminal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9799A (ko
Inventor
오준수
Original Assignee
오준수
주식회사 미유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6011644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70109780A/ko
Application filed by 오준수, 주식회사 미유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오준수
Publication of KR2007010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와 컴퓨터 사이 또는 휴대기기와 휴대기기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의 측면에 외부 휴대기기 또는 컴퓨터와 접속하기 위한 USB 단자, 데이터/신호 단자 또는 전원단자를 회동부와 함께 구비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회동단자를 보호하며 미관을 좋게 하는 회동덮개를 몸체와 접철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할 수 있어서 몸체와 일체화시킬 수 있고, 상기 몸체 또는 회동덮개의 소정 위치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저장매체 회로 및/또는 충전회로를 포함하는 보조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몸체의 측면을 따라 두 곳 이상의 소정의 위치에 구비된 회동단자를 가진 회동부들, 그리고 회동덮개는 각각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그 각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여 상호 접철되도록 구성되고, 각 회동단자는 몸체의 내측으로 연결된 플렉서블 케이블(Flexible cable)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 또는 회동덮개의 소정 위치에는 저장매체 회로 및/또는 충전회로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FM 라디오, 구취 측정, 음주 측정, FM 트랜스미터, USB형 충전, DMB수신회로, USB타입 HSDPA 및/또는 와이브로 모뎀회로, USB타입 무선랜 기능회로, MP3플레이어 회로, 카메라기능회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휴대기기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회로부가 구비될 수 있다.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몸체, 회동덮개, 카메라 모듈

Description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PORTABLE INTERFAC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회동부가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회동부가 접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여 회동덮개 역할을 하는 제3 회동부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 플렉서블 케이블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서 제1,2 회동부 및 제3 회동부가 모두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기기에 일체형의 모습으로 바로 접속되어 전원단자 또는 데이터/신호단자를 사용하여 휴대기기의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양쪽 중 어느 한 쪽의 회동부가 마디1회동부와 마디2회동부로 나누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되는 휴대기기에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 101,102,103,803, 804 : 힌지
200,300,700,800,900 : 회동부 210 : USB 단자
220,320,920 : 배선공
310,705 : 데이터/신호 단자 400,401 : 플렉서블 케이블
500 : 회로부 600,601 : 메모리
602 : 메모리 제어회로 603 : 접속장치
701 : 휴대기기 702 : 표시장치
703 : 스피커 704 : 전원단자
801 : 마디1 회동부 802 : 마디2 회동부
901 : 저장매체 회로 902 : 보조회로부
카메라 모듈(40)
몸체주부(90)
몸체종부(91)
입/출력 접속대응 단자부(34)
입/출력 접촉단자부(31)
회전 중심핀(32)
입/출력 접속순서핀(33)
회전대응핀(35)
입/출력접속대응순서핀(36)
대응핀(37)
대응 순서핀(38)
전원단자(704)
외부 연결단자(705)
카메라 모듈(40)
디스플레이(47)
기능버튼부(45)
걸림수단턱(43)
보조회로기구이동부(41)
걸림수단(42)
회동보호턱(39)
보조회로부간 접속케이블(44)
잠금수단(46)
보조회로부(500,902)
기능버튼부(45)
본 발명은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가능토록 하면서 휴대기기와 컴퓨터 사이 또는 휴대기기와 휴대기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기기"라 함은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UMPC(Ultra-Mobile Person Computers), 디지털 카메라, 기타 휴대형 디지털기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휴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휴대기기에서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컴퓨터에서 휴대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휴대기기에서 다른 휴대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별도의 케이블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휴대기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1.5m 내지 2m의 길이를 갖고, 일측 단부에 USB 단자가 구비되어 컴퓨터의 USB 단자에 접속되고, 타측 단부에는 데이터/신호 단자가 구비되어 휴대기기의 데이터 단자에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케이블은 사용자가 휴대하기가 매우 번거로워서 통상적으로 집이나 사무실에서만 사용하게 되고, 외부에서는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면, 피시방 등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던 중 휴대기기에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이 구비되지 못하여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휴대기기에 없는 보조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면 별도의 제품을 따로 구매해야 했다. 예를 들면, DMB방송 수신기능이 없는 PMP, 디지털카메라, 내비게이터의 경우에 DMB방송수신기를 별도의 제품으로 구매하여 사용하므로 완전히 분리된 제품 성격으로 이중의 구입가격에 대한 부담을 가져야 하며, 휴대성에 불편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기존의 휴대기기에 일체형의 모습이 되게 바로 접속하여 휴대기기의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차체 내장의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하여 휴대기기와 입출력통신을 하여 휴대기기의 보조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가격 부담이 현저히 줄고 휴대성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기기와 컴퓨터 사이 또는 휴대기기와 휴대기기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케이블 및 휴대기기 보조기능을 액세서리 형태로 구성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SB 단자 및 데이터/신호 단자 또는 전원단자를 구비하되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의 소정 위치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모리 및/또는 충전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몸체의 측면에 휴대기기 또는 컴퓨터와 접속될 수 있는 단자들이 회동부와 함께 구비되어,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거나 휴대기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측면에 회동부와 함께 구비된 단자는 회동부의 힌지에 의해 각각 몸체에 결합되어 그 각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여 상호 접철되도록 구성되고, 각 단자는 몸체의 내측으로 연결된 플렉서블 케이블(Flexible cable)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에는 메모리와 이 메모리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회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와 제어회로부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모리와 제어회로부는 몸체에 힌지 결합되고 그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몸체 양측의 단자와 함께 T자형 구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몸체 또는 회동덮개의 소정 위치에는 저장매체 회로 및/또는 충전회로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FM 라디오, 구취 측정, 음주 측정, FM 트랜스미터, USB형 충전, DMB수신회로, USB타입 HSDPA 및/또는 와이브로 모뎀회로, USB타입 무선랜 기능회로, MP3플레이어 회로, 카메라기능회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휴대기기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회로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회로부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동부가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회동부가 접혀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여 회동덮개 역할을 하는 제3 회동부를 갖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플렉서블 케이블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서 제1,2 및 제3 회동부가 모두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대기기에 일체형의 모습으로 바로 접속되어 몸체 또는 회동덮개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보조회로부의 전원단자 또는 데이터/신호단자를 사용하여 휴대기기의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양쪽 중 어느 한 쪽의 회동부가 마디1 회동부와 마디2 회동부로 나누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몸체(100)의 양측 단부에 제1 회동부(200) 및 제2 회동부(300)가 제1 힌지(101) 및 제2 힌지(102)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T' 자 형태를 갖으면서 몸체(100)의 회동덮개 역할 성격의 제3 회동부(900)가 제3 힌지(103)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양측부에 회동단자를 갖는 제1 회동부(200)와 제2 회동부(300)를 서로 대향되거나 배향되게 배치시키면, 단면이 'ㄷ'자 형태로서 양측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제1 회동부(200)와 제2 회동부(300)가 몸체(100)와 수평상태로 펼쳐지고, 또한 제1 및 제2 힌지(101,102)를 매개로 하여 접었을 때에는 하측으로 접철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회동덮개 역할을 하는 상기 제3 회동부(900)는 회동단자를 갖지 않는 회동부로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힌지(103)를 매개로 하여 몸체(100)와 수평이하의 각도 상태로 펼쳐지고, 또한 제3 힌지(103)를 매개로 하여 접었을 때에는 몸체(100)의 하측으로 접철이 되어 제1 및 제2 회동부(200,3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숨길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제3 회동부 (900)는 몸체(100)와 대략 120도 이하의 각도로 펼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동부(200)의 바깥쪽 부분에는 컴퓨터의 USB 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USB 단자(210)가 구비되는데, 제1 회동부(200)의 USB 단자(210) 부위는 측방으로 돌출되어짐으로써 컴퓨터의 USB 단자에 삽입되어 접속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2 회동부(300)는 제1 회동부(200)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제1 회동부(2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때 바깥쪽 단부에는 휴대기기의 데이터 단자와 접속되기 위하여 데이터/신호 단자(310)가 구비되고, 이 또한 데이터/신호 단자(310) 부위는 측방으로 돌출되어짐으로써 휴대기기의 데이터 단자에 삽입되어 접속되어진다.
한편, 상기 제3 회동부(900)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또는 제2 회동부(200, 300)가 휴대기기 또는 컴퓨터와 접속되었을 때에 데이터를 주거나 받거나 하기 위한 저장매체 회로(901) 및/또는 충전회로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휴대기기 보조기능의 보조회로부(9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휴대기기 보조기능으로는 FM 라디오, 구취 측정, 음주 측정, FM 트랜스미터, USB형 충전, DMB수신회로, USB타입 HSDPA 및/또는 와이브로 모뎀회로, USB타입 무선랜 기능회로, MP3플레이어 회로, 카메라기능회로 등이 있다.
상기 보조회로부(90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회동부(900), 즉 회동덮개의 내측으로부터 몸체(100)의 내측으로 연결된 보조 플렉서블 케이블(401)에 의하여 제1 및 제2 회동부(200, 300)를 연결하는 플렉서블 케이블(400)에 전기적으 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더 상세히 언급하면, 저장매체 회로(901)의 일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601), 즉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카드 메모리(SD, MMC, XD, MS 등), HDD 중 하나 이상과 그 메모리 제어회로(예: 제어칩, Connector, 주변소자 등의 연결회로)(602)로 구성되며, 따라서 보조회로부(902)는 보조기능 제어칩 및 그 주변소자 등의 연결회로로 구성된다.
이때, 제1 회동부(200)에는 USB 단자 대신에 데이터/신호 단자가 구비될 수 있어서 제1 회동부(200) 및 제2 회동부(300)에 휴대기기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휴대기기 상호간의 데이터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첨부도면 도 2를 참조하면, 제1 회동부(200)의 USB 단자(210)와 제2 회동부(300)의 데이터/신호 단자(310)는 플렉서블 케이블(40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제1 회동부(200)와 제2 회동부(300) 및 제3 회동부(900)의 몸체(100)쪽을 향하는 부위에는 배선공(220,320,920)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이 배선공(220,320,920)을 통하여 플렉서블 케이블(400,401)이 인출된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400)은 제1 회동부(200)의 내측 공간, 몸체(100)의 하측 또는 내측 공간, 그리고 제2 회동부(300)의 내측 공간을 통하여 배선되어서 USB 단자(210)와 데이터/신호 단자(310)를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플렉서블 케이블(401)은 제3 회동부(900)의 내측 또는 하측 공간, 몸체(100)의 하측 또는 내측 공간, 그리고 제1 및 제2 회동부(200,300)의 내측 공간을 통하여 배선되어서 USB 단자(210)와 데이터/신호 단자(310)를 연결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플렉서블 케이블(400,401)은 제1,2 및 제3 회동부(200,300,900)쪽으로 동시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T' 자 형태로 일체화 되는 것이 전기적 신호의 연결에 유용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제2 회동부(200,300)의 내측 공간에는 메모리(600)와 이 메모리(600)를 컨트롤하거나 또는 휴대기기의 충전을 위한 회로부(500)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 메모리(600)와 회로부(500)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400)과 연결되어서 USB 단자(210) 또는 데이터/신호 단자(3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600)에 저장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메모리(600)에 저장된 데이터를 필요시에 휴대기기 또는 컴퓨터에서 읽어 들일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3 회동부(900)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회동부(200,300)가 휴대기기 또는 컴퓨터와 접속되었을 때에 데이터를 주거나 받거나 하기 위한 저장매체 회로(901) 및/또는 충전회로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보조회로부(9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회로부(902)는 USB 단자(210) 또는 데이터/신호 단자(3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메모리(601)에 저장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메모리(601)에 저장된 데이터를 필요시에 휴대기기 또는 컴퓨터에서 읽어 들일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한, USB 단자(210) 또는 데이터/신호 단자(310)와 보조회로부(902)가 접속이 되어 휴대기기 또는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거나 또는 서로 간에 데이터 통신을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로부(500) 또는 보조회로부(902)의 충전 기능은 컴퓨터에서 USB 단자(210)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을 휴대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원으로 변 환시켜 데이터/신호 단자(310)를 통해 휴대 기기로 공급하게 되어 휴대기기의 충전을 행하게 된다.
첨부도면 도 7을 참조하면, 몸체의 측면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제4 회동부(700)와 제5 회동부(800)가 구비될 수 있어서, 상기 제4 회동부(700)와 제5 회동부(800)의 전원단자(704)와 데이터/신호 단자(705)에 의해서 본 발명의 장치가 휴대기기(701)에 일체형의 모습이 되게 바로 접속되어 자체 전원(예: 내부 배터리) 또는 휴대기기(701)의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동작하여 휴대기기(701)와 데이터/신호의 입출력통신을 하여 휴대기기의 보조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 예를 들면, DMB방송 수신기능의 보조회로부(90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제5 회동부(800)를 통하여 휴대기기(701)의 A/V Input단자(705)로 전송하여 휴대기기의 표시장치(Display)(702)와 스피커(703)를 사용하여 방송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휴대기기용 배터리 충전기능의 보조회로부(902)에 의해서 제4 회동부(700)의 전원단자(704)를 통하여 휴대기기(701)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8을 참조하면, 휴대기기(701)와 컴퓨터 간에 또는 휴대기기와 휴대기기 간에 마주 대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연결할 경우에, 몸체의 양쪽 회동부(200,300,700,800,900) 중의 어느 한 쪽의 회동부는 휴대기기 간 또는 휴대기기와 컴퓨터 간의 높낮이에 따른 연결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두 개로 구분되는 마디1 회동부(801)와 마디2 회동부(802)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이 또한 역시 마디1 회동부(801)와 마디2 회동부(802)는 힌지(803, 804)를 매개로 결합되며 회동 가능하여 마디1 회동부(801)와 마디2 회동부(802)가 상호 접철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회로부(902)에 USB 타입의 HSDPA 모뎀 기능이 구비된다면 다양한 휴대기기(예: PMP, UMPC, 디지털카메라, 기타 휴대형 디지털기기 등)에서 이동통신사의 데이터서비스망(HSDPA망)에 접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USB 단자(210)를 컴퓨터에 접속시키고, 데이터/신호 단자(310)를 휴대기기에 접속시켜 회로부(500) 또는 보조회로부(902)의 충전 기능에 의해 휴대기기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는 USB단자가 전원 라인을 가지게 되어 데이터/신호 단자(310)에 구비될 수 있는 전원라인을 통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본 발명이 휴대 저장 장치 또는 휴대 보조 기능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1 회동부(200)에는 USB 단자가 아닌 데이터/신호 단자가 구비됨으로써 휴대기기 상호간에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됨으로써 휴대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또한 전원의 충전까지 행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3은 제1 회동부(200) 및 제2 회동부(300)를 힌지(101,102)를 매개로 하여 접었을 때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플렉서블 케이블(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회동부(200) 및 제2 회동부(300)가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므로 휴대가 용이한 액세서리 형태로 몸에 지닐 수가 있다.
또한, 몸체(100)에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이에 줄을 연결하여 휴대기기 액세서리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휴대가 용이한 액세서리 형태로 몸에 지닐 수가 있다. 이때, 몸체(100)에 고리를 형성하지 않고, 제3 회동부(900)에 접속장치(603)를 형성하는 경우 이에 이어폰 /전원 케이블 또는 목걸이 형태의 줄 등을 연결시킬 수 있어서 보조회로부(902)의 FM 라디오 기능의 FM 안테나/외부전원입력 케이블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기기 액세서리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회동덮개(30); 및 카메라 모듈(4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몸체주부(90)와 몸체종부(91)로 세분화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주부(90)는 요(凹)부 형상으로 그 중심부가 함몰되고 그 양단에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는 USB 단자(210)와 휴대기기(701)를 연결시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데이터/신호단자(310)가 각각 회동부(200, 300)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USB 단자(210)와 데이터/신호단자(310)는 상기 몸체주부(90)의 내부에 위치되는 PCB인 회로부(500)와 플렉서블 케이블(400, 40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USB 단자(210)와 데이터/신호단자(310)는 플렉서블 연결선(도면 에 미도시)에 의해 회로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상기 몸체주부(90)의 하단에 휴대기기(701)용 입/출력 접속대응 단자부(34)에 마주하여 접속되어 통신하는 상기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용 입/출력 접촉단자부(3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입/출력 접속단자부(31)는 1, 2, 3, 4 단자로 구성되며 1 단자는 회전 중심핀(32)이고 나머지 2, 3, 4 단자는 입/출력 접속순서핀(33)들로써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를 180°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 중심핀(32)이 접속되는 회전대응핀(35)과 상기 입/출력 접속순서핀(33)이 접속되는 대응핀(37) 및 대응 순서핀(38)들이 휴대기기(701)에 형성된다.
결국, 상기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를 180°회전시켜도 상기 회전대응핀(35)을 기점으로 대향되도록 상기 휴대기기(701)의 입/출력 접속대응 단자부(3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주부(90)의 측벽에는 전원단자(704) 및 A/V input 단자, 시그널 In/Out 단자, 시그널 파워 포트 등의 외부 연결단자(705)가 구비되다.
상기 몸체종부(91)는 상기 몸체주부(90)의 함몰된 부분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하며 그 후면에 상기 카메라 모듈(40)과 그 전면에 디스플레이(47)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47)는 몸체주부(90) 또는 몸체종부(91)에 구비된 회로부(500) 또는 보조회로부(902)의 신호정보 또는 카메라 모듈(40)의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47)가 구비되는 몸체종부(91)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40)의 기능을 조작하는 기능버튼부(45)가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몸체종부(91)는 그 일단 저면에 단차 형성되는 걸림수단턱(43)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를 회동덮개(30)로 폐쇄하면 상기 걸림수단턱(43)이 상기 회동덮개(30)의 걸림수단(42)에 걸려 잠가진다.
상기 회동덮개(30)는 상기 몸체(100) 내부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면서 일단이 회전되며 일단이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덮개(30)에서 상기 USB 단자(210)와 데이터/신호단자(310)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USB 단자(210)와 데이터/신호단자(310)의 위치에 회동보호턱(39)이 홈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주부(90)에도 회동보호턱(39)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40)은 상기 몸체종부(91)의 후면에 구비되고 이 몸체종부(91)의 전면에 디스플레이(47)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가 휴대기기(701)에 탈부착 관계로 보조회로기능을 수행할 때에 상기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가 180°로 회전되어 휴대기기(701)와 탈부착관계로 접속될 때에도 상기 휴대기기(701)와 서로 간에 신호 또는 전원을 입/출력하는 관계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의 몸체(100) 또는 회동덮개(30)의 일측 중앙에 입/출력접속단자부(31)의 회전중심핀(32)(예: 1번 핀)을 위치시켜서 180도 회전의 중심축이 되게 하고, 상기의 회전중심핀(32)을 기준으로 한 쪽방 향(예: 우측)으로 회전중심핀(32)을 연이은 다음 차례의 입/출력접속순서핀(33)들(예: 2, 3, 4번 핀)을 하나 이상 배치한다.
한편, 상기 휴대기기(701) 쪽의 입/출력 접속대응 단자부(34)에는 상기 휴대 용 인터페이스 장치(10)의 회전중심핀(32) 및 입/출력 접속순서핀(33)들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의 회전중심핀(32)(예: 1 핀)과 1대1로 마주 보는 관계로 회전대응핀(35)(예: 1' 핀)을 위치시키며, 상기 회전대응핀(35)(1' 핀)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의 입/출력 접속순서핀(33)들(예: 2, 3, 4번 핀)과 1대1로 마주 대응하는 방향 쪽(예: 우측 방향)으로는 상기 입/출력 접속순서핀(33)들(예: 2,3, 4번 핀)과 1대1로 대응하여 차례로 마주하도록 입/출력접속대응순서핀(36)들(예: 2',3',4' 핀)을 위치시킨다.
반면에 상기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의 입/출력접속순서핀(36)들(예: 2,3, 4번 핀)과 마주 대응하지 않는 방향 쪽(예: 좌측방향)으로는 상기의 회전대응핀(35)(1')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의 회전중심핀(32)(예: 1핀) 다음 차례의 핀(예: 2핀)에 대응하는 대응핀(37)(예: [2]'핀)부터 차례로 대응순서핀들(38)이 위치된다(예: [3]'핀 다음에 [4]'핀이 위치).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의 몸체(100) 또는 회동덮개(30)의 회동부(200, 300) 작용부분에는 회동단자의 입출입이나 회동부의 보호를 위한 회동보호턱(3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의 몸체(100) 또는 회동덮개(30)에는 카메라 모듈(40)의 카메라부, 보조회로기구이동부(41), 걸림수단(42), 걸림수단턱(43), 보조회로부간 접속케이블(44), 기능버튼부(45), 휴대기기와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간의 잠금수단(46), 디스플레이부(47) 중의 하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회로기구이동부(41)는 몸체(100)의 보조회로부(500,40,902,47)가 보조회로부간 접속케이블(44)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면서 몸체주부(90)와 몸체종부(91)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서 동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실시 예로는 몸체종부(91)와 몸체주부(90)가 슬라이딩 방법에 의한 상하 이동작용이 있을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종부분이 카메라 모듈(40) 또는 디스플레이(47)를 구비하면서 보조회로부(500,40,902,47)의 동작에 필요한 기능버튼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덮개(30)의 중앙부분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걸림수단(42)과 몸체종부(91)에 구비될 수 있는 걸림수단턱(43)은 상호 작용하는 관계를 갖으며, 회동덮개(30)가 몸체(100)와 접철된 상태로 몸체(100)와 결합 또는 분해되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주부(90)와 회동덮개(30) 사이를 잠그거나 해제(Lock/Unlock)하는 작용을 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회동부(200, 300)가 외부로 펼쳐져서 휴대기기(701)와 연결되어 사용될 때에 상기 회동부(200, 300)의 유동을 방지하여 몸체(100)에 고정된다.
또한, 몸체(100)의 일측면에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10)가 휴대기기(701)로부터 이탈 또는 부착될 때에 상호 간을 단단하게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46)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몸체종부(91)에 스피커, 카메라 또는 스피커와 카메라 일체의 기능부(이하 "카메라부"라 칭한다.)가 몸체주부(90)와 슬라이드 결합방식으로 구비된다면 몸체주부(90)에 구비될 수 있는 MP3플레이어 기 능부에 의한 오디오 출력신호를 카메라 모듈(40)의 카메라부를 통해서 즐길 수 있으며, 또한 일반 컴퓨터의 외부연결(예: USB) 카메라의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몸체(100)에 카메라 모듈(40)을 구동할 수 있는 카메라 제어처리 기능(예: Back-End칩 기능)이 구성될 수 있어서 USB 단자(210)를 컴퓨터에 접속시키면 USB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기기(701)에 장착 시에는 휴대기기(701)용 입/출력 접속대응 단자부(34)를 통하여 상기 휴대기기(701)와 통신을 하면서 상기 휴대기기(701)의 확장용 기능(예: 부가 메모리,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화상통신 카메라, 방송수신 기능, MP3플레이어, 충전케이블기능, 데이터케이블 기능, 음주/구취/온도/습도 측정 기능, 혈당측정 기능, 외부 무선 비디오/오디오 수신 기능, 스피커, 마이크 등 중의 하나 이상의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기기(701)에서 탈착 시에도 휴대기기(7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통신하는 상태에서 휴대기기의 확장용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0), 데이터/신호단자(1004), USB 단자(1008) 및 스피커/카메라 모듈(10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0)는 육면체 형상으로 그 전면에 디스플레이 또는 기능버튼부가 구비되고 상면에 후술할 스피커/카메라 모듈(102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하도록 구비되며 기능버튼부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0)의 내부에는 PCB인 회로부(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회로부는 플렉서블 케이블(100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1002)이 이 몸체(1000)의 일단에서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는 끝단에 연결부(1006)로 마감된 데이터/신호단자(1004)가 연결되고, 상기 몸체(1000)의 타단에서 설정된 길이만큼 연장되는 끝단에 연결부(1010)로 마감된 USB 단자(1008)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회로부는 상기 몸체(1000)의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카메라 모듈(1020)에서 오디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플레이어 기능부(1022)와, 상기 USB 단자(1008)를 컴퓨터(도면에 미도시)에 접속시켜 영상을 출력하는 USB 카메라 기능부(1024)가 포함된다.
더욱이, 상기 몸체(1000)의 일측면에는 그 후방에 상기 데이터/신호단자(1004)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단자 삽입홈(1000a)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도 그 후방에 상기 USB 단자(1008)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단자 삽입홈(1000a)이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신호단자(1004)는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1002)에 의해 상기 몸체(1000) 내부의 회로부에 연결된다.
상기 USB 단자(1008)는 휴대기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1002)에 의해 상기 몸체(1000) 내부의 회로부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1002)의 둘레에는 고무 등과 같은 유연성 재 질로 감싸도록 하여 외부에서의 손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0)의 하단에는 앞선 실시 예에서와 같이 휴대기기용 입/출력 접속대응 단자부에 마주하고 접속되어 통신하는 상기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용 입/출력 접촉단자부(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며, 일측벽에는 전원단자 및 A/V input 단자, 시그널 In/Out 단자, 시그널 파워 포트 등의 외부 연결단자(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다.
상기 스피커/카메라 모듈(1020)은 스피커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또는 스피커 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00)의 후단에서 승강하고 상기 플레이어 기능부(1022)에 의한 오디오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일반 컴퓨터에서 USB와 같은 외부 연결을 통해 카메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000)에 스피커/카메라 모듈(1020)을 구동시킬 수 있는 USB 카메라 기능부(1024)가 구비되므로 상기 USB 단자(1008)를 컴퓨터에 접속시켜 USB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상기 몸체(1000)의 내부에는 저장매체 회로 및/또는 충전회로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FM 라디오, 음주/구취/온도/습도 측정, 혈당측정, FM 트랜스미터, 충전케이블, DMB방송수신, USB타입 HSDPA 및/또는 와이브로 모뎀, USB타입 무선랜, MP3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화상통신 카메라, 외부 무선 비디오/오디오 수신, 스피커, 마이크 등의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휴대기기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회로부(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에서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몸체(1000) 내부에 상기 데이터/신호단자(1004)와 상기 USB 단자(1008)가 유연성을 갖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1002)에 의해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 몸체(1000)의 단자 삽입홈(1000a)에 각각 삽입하여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관이 미려하다. 더욱이, 상기 데이터/신호단자(1004)와 상기 USB 단자(1008)의 연결시 컴퓨터와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와 휴대기기의 높이가 상이하여도 접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0),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 및 USB 단자 고정부(1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0)는 타원 형상으로 양측면에 후술할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 및 USB 단자 고정부(11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02)이 각각 형성되며 전면에 라디오의 주파수 등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200), 볼륨 up/down 및 재생 또는 정지 기능을 하는 기능버튼부(1202) 및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120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0)의 후면에도 FM 라디오, 음주/구취/온도/습도 측정, 혈당측정, FM 트랜스미터, DMB방송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1204) 및 기능버튼부(1206)가 구비되며, 상면에 목에 걸 수 있도록 줄을 달 수 있는 연결고리(1102b)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0)의 저면에는 내장된 기본 메모리 이외에 메모리를 확장할 수 있도록 메모리 카드(M)(예: T-flash, SD/ MMC , XD 등)가 삽입된다.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는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되 상기 몸체(110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102)에 장 탈착되며 제1 고정부(1106a)와 제2 고정부(1106b) 및 연결부(1106c)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부(1106a)는 상단에 데이터/신호단자(1104)가 케이블(C)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하단에 후술할 연결부(1106c)의 일단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C)의 타단은 PCB인 회로부(도면에 미도시)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회로부는 앞선 실시 예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고정부(1106b)는 상기 제1 고정부(1106a)의 후면과 접한 상태로 구비되며 그 하부에 결합부(1106d)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C)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106c)는 상기 제1, 2 고정부(1106a, 1106b) 사이에 개재되며 이 제1, 2 고정부(1106a, 1106b)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연결부(1106c)의 플랜지가 상기 제1, 2 고정부(1106a, 1106b)의 이웃된 내부에 걸려 이 제1, 2 고정부(1106a, 1106b)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2 고정부(1106a, 1106b)의 길이 조정은 FM 라디오와 DMB 방송수신시 상기 케이블(C)이 안테나 역할을 하면서 FM 라디오와 DMB 방송수신시 주파수 대역의 차이에 따라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케이블(C)의 도중에는 상기 몸체(1100)의 내부에서 권출(rewinding)되는 길이를 한정하도록 스토퍼(S)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1106a)의 외측 부위에는 상기 데이터/신호단자 고정부(1106)의 분리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홈(1106a')이 형성된다.
상기 USB 단자 고정부(1110)는 휴대기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몸체(110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1102)에 장 탈착되며 제1 고정부(1110a)와 제2 고정부(1110b) 및 연결부(1110c)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고정부(1110a)는 상단에 USB 단자(1108)가 케이블(C)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하단에 후술할 연결부(1110c)의 일단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C)의 타단은 회로부에 연결된다.
상기 제2 고정부(1110b)는 상기 제1 고정부(1110a)의 후면과 접한 상태로 구비되며 그 하부에 결합부(1110d)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C)이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110c)는 상기 제1, 2 고정부(1110a, 1110b) 사이에 개재되며 이 제1, 2 고정부(1110a, 1110b)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양단에 플랜지가 형성된다.
결국, 상기 연결부(1110c)의 플랜지가 상기 제1, 2 고정부(1110a, 1110b)의 이웃된 내부에 걸려 이 제1, 2 고정부(1110a, 1110b)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2 고정부(1110a, 1110b)의 길이 조정은 FM 라디오와 DMB 방송수신시 상기 케이블(C)이 안테나 역할을 하면서 FM 라디오와 DMB 방송수신시 주파수 대역의 차이에 따라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1110a)의 외측 부위에는 상기 USB 단자 고정부(1110)의 분리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홈(1110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와 USB 단자 고정부(1110)는 상기 몸체(1100)의 결합홈(1102)에 결합될 때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홈(1102)의 하단에 걸림홈(1102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102a)의 형상과 상응하는 제2 결합부(1106b, 1110b)의 결합부(1106d, 1110d)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와 USB 단자 고정부(1110)를 상기 몸체(1100)의 결합홈(1102)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외측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결합홈(1102)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1102)은 상기 제2 고정부(1106b, 1110b)와의 결합시 틈(A)이 형성된다.
결국, 상기 틈(A)에 의해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와 USB 단자 고정부(1110)를 상기 몸체(110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시켜면 이 틈(A)만큼 회전되며 그 후 이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와 USB 단자 고정부(1110)를 상기 결합홈(1102)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킨다.
더욱이, 상기 몸체(1100)의 내부에는 저장매체 회로 및/또는 충전회로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FM 라디오, 음주/구취/온도/습도 측정, 혈당측정, FM 트랜스미터, 충전케이블, DMB방송수신, USB타입 HSDPA 및/또는 와이브로 모뎀, USB타입 무선랜, MP3플레이어, 디지털카메라, 캠코더, 화상통신 카메라, 외부 무선 비디오/오디오 수신, 스피커, 마이크 등의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휴대기기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회로부(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몸체(1000)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102)에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와 USB 단자 고정부(1110)의 장 탈착이 용이하여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관이 미려하다. 더욱이, 상기 데이터/신호단자(1004)와 상기 USB 단자(1008)의 연결시 컴퓨터와 휴대기기 또는 휴대기기와 휴대기기의 높이가 상이하여도 접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서는 상기 케이블(C)이 안테나 역할을 하며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와 USB 단자 고정부(11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주파수 대역이 상이한 FM 라디오 수신이나 DMB 방송 수신시 수신율이 상승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0),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 및 USB 단자 고정부(111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는 이전 실시 예의 그것에서 결합홈(1102) 내부에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 및 USB 단자 고정부(1110)의 선단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1100)에 고정되는 결합돌기(1102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 및 USB 단자 고정부(1110)의 후단이 케이블(C)이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 및 USB 단자 고정부(1110)의 선단이 상기 결합돌기(1102a')에 결합될 경우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이전 실시 예에서처럼 걸림홈이 필요하지 않다.
한편, 설명하지 않은 부호 1102b는 연결고리이고, 1106a는 손잡이홈이고, 1200은 디스플레이고, 1206은 기능버튼부 이며 M은 메모리카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0'),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 및 USB 단자 고정부(1110'), 그리고 덮개(CV)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0')는 직사각 형상으로 전면에 라디오의 주파수 등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도면에 미도시), 볼륨 up/down 및 재생 또는 정지 기능을 하는 기능버튼부(도면에 미도시) 및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0')의 후면에도 FM 라디오, 음주/구취/온도/습도 측정, 혈당측정, FM 트랜스미터, DMB방송 등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출력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도면에 미도시) 및 기능버튼부(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와 USB 단자 고정부(1110')는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도록 데이터/신호단자(1104')와 휴대기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USB단자(1108')가 구비되되 상기 몸체(1100')의 일측에 구비된 힌지(R)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 회전운동 작용을 하면서 접철 작용할 수 있는 덮개(CV)에 의하여 보호되거나, 또는 상기 덮개(CV)를 열었을 때는 케이블(C)이 구부러져 있는 상태에서 펼쳐질 수 있도록 몸체(1100')로부터 푸시버튼(P)을 누름으로써 암수결합요철부(J)가 서로 분리되어 탈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반대작용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 또는 USB 단자 고정부(1110')는 몸체(1100')에 형성된 결합가이드(G)와 덮개(CV)에 형성된 결합가이드(G')의 결합작용[힌지(R)를 중심축으로 회전하여 합쳐짐]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보호되고 좋은 미관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CV)가 상기 결합가이드(G, G')에 의해서 결합될 때에 상기 케이블(C)이 몸체(1100') 밖으로 안내되어 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역 "U" 자 형상의 가이드 홀(H)이 덮개(CV)의 하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CV)와, 그와 접하는 상기 몸체(1100')와의 접촉면인 결합가이드(G, G')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는 데이터/신호단자(1104')가 케이블(C)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C)의 타단은 PCB인 회로부(Circuit Board)에 연결된다.
상기 USB 단자 고정부(1110')는 USB 단자(1108')가 케이블(C)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C)의 타단은 PCB인 회로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의 도 22는 상기 덮개(CV)가 열려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3은 몸체(1100')로부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가 덮개(CV)의 열림으로 탈착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으며, 한편 USB 단자 고정부(1110')는 몸체(1100')로부터 탈착된 후 덮개(CV)의 닫힘 작용에 의하여 케이블(C)이 몸체(1100')의 밖으로 잘 안내가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1106') 또는 USB 단자 고정부(1110')가 상기 몸체(1100')로부터 장착 또는 탈착될 때의 방법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부 상하의 모두에 푸시버튼(P)을 사용하지 않고 암수결합요철부(J)로만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덮개(CV)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0')에 힌지 결합하지 않고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승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덮개(CV)와 상기 몸체(1100')의 접촉면이 수직 또는 경사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이 덮개(CV)와 몸체(1100')와의 접촉면에 요철(O, O')이 형성되어 상방 또는 하방 중 선택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1104'는 데이터/신호단자이고, 1106'는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이고, 1108'는 USB 단자이고, 1110'는 USB 단자 고정부이고, C는 케이블이고, H는 가이드홀이고, J는 암수결합요철부이며, P는 푸쉬버튼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휴대기기와 컴퓨터 사이 또는 휴대기기와 휴대기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인터페이스 할 수 있도록 휴대용 액세서리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며 휴대기기 보조기능의 효과가 있다.
또한, USB 단자 및 데이터/신호 단자 또는 전원단자를 구비하되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소정 위치에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저장매체 회로 및/또는 충전회로를 기본으로 포함하는 보조회로부를 구비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 내부에 USB 단자 및 데이터/신호 단자를 장 탈착하여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몸체의 측면에 휴대기기 또는 컴퓨터와 접속될 수 있는 단자들이 회동부와 함께 구비되어,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거나 휴대기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몸체의 측면에 회동부와 함께 구비된 단자는 회동부의 힌지에 의해 각각 몸체에 결합되어 그 각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여 상호 접철되도록 구성되고, 각 단자는 몸체의 내측으로 연결된 플렉서블 케이블(Flexible cable)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에는 메모리와 이 메모리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회로부가 구비되며, 상기 메모리와 제어회로부는 몸체에 힌지 결합되고 그 힌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몸체 양측의 단자와 함께 T자형 구조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힌지 결합되는 회동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동덮개에는 보조회로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회로부는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6. 그 양단에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거나 휴대기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단자가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와 일단이 연결되어 회동되는 회동덮개; 및
    상기 몸체에서 슬라이딩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일단 중심부가 함몰된 형상으로 그 양단에 데이터 신호단자와 USB 단자가 회동부에 의해 각각 결합되는 몸체주부; 및
    상기 몸체주부의 함몰된 부분에 구비되어 승강하며 그 일측에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그 타측에 디스플레이 또는 기능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는 몸체종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주부의 하단에 휴대기기용 입/출력 접속대응단자부와 반전되도록 접속하여 통신하는 상기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용 입/출력접촉 단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주부의 측벽에는 전원단자 및 외부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종부는 그 일단 저면에 단차 형성되는 걸림수단턱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회동덮개로 폐쇄하면 상기 걸림수단턱이 상기 회동덮개의 걸림수단에 걸려 잠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단자와 USB 단자는 플렉서블 케이블에 의해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12. 삭제
  13. 일측에 스피커/카메라 모듈 또는 타측에 디스플레이 또는 기능버튼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플렉서블 케이블(Flexible cable)로 연결되어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데이터 신호단자;
    상기 몸체의 타단에 플렉서블 케이블로 연결되어 휴대기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USB 단자; 및
    상기 몸체에서 슬라이딩되어 장 탈착되는 스피커/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단에 상기 데이터 신호단자가 삽입되고, 그 타단에 상기 USB 단자가 삽입되는 각각의 단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스피커/카메라 모듈에서 오디오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플레이어 기능부와, 상기 USB 단자를 컴퓨터에 접속시켜 영상을 출력하는 USB 카메라 기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휴대기기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회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17. 양측면에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에 디스플레이 또는 기능버튼부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장 탈착되며 케이블(Cable)로 연결되어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는 데이터 신호단자가 구비되는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 및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결합홈에 장 탈착되며 케이블로 연결되어 휴대기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USB 단자가 구비되는 USB 단자 고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는,
    일단에 상기 데이터 신호단자가 케이블의 끝단과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2 고정부 사이에 개재되며 이 제1, 2 고정부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연결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홈은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 및 USB 단자 고정부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제2 고정부와 결합시 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데이터신호 단자 고정부의 분리 길이를 한정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휴대기기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회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22. 일측에 스피커/카메라 모듈 또는 타측에 디스플레이 또는 기능버튼부가 구비되며 그 양단에서 개폐되는 덮개가 구비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플렉서블 케이블(Flexible cable)로 연결되어 컴퓨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데이터 신호단자;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플렉서블 케이블로 연결되어 휴대기기와 휴대기기를 연결시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USB 단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에 의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25. 제 23항 또는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신호단자가 고정되는 데이터 신호단자 고정부와 상기 USB 단자가 고정되는 USB 단자 고정부의 상하면에는 상기 몸체에 걸리는 암수결합요철부 또는 상기 데이터 신호단자 및 USB 단자를 이 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푸쉬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070013355A 2006-05-10 2007-02-08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KR100967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41956 2006-05-10
KR1020060041956 2006-05-10
KR1020060116445 2006-11-23
KR1020060116445A KR20070109780A (ko) 2006-05-10 2006-11-23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799A KR20070109799A (ko) 2007-11-15
KR100967320B1 true KR100967320B1 (ko) 2010-07-05

Family

ID=3906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355A KR100967320B1 (ko) 2006-05-10 2007-02-08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053B1 (ko) * 2014-01-28 2015-08-25 송재훈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718Y1 (ko) 2002-06-21 2002-09-11 주식회사 바롬테크 유에스비 접속단자
KR20020088718A (ko) * 2001-05-21 2002-1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트렌치를 이용한 소자 분리 방법
JP2003061564A (ja) * 2001-08-23 2003-03-04 Kiyoetsu Tamayama 製麺機
KR20030060118A (ko) * 1996-09-13 2003-07-16 애벗트 라보라토리이즈 식물단백질을처리하는방법및이로부터제조된영양제품
KR20030086017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20040009459A (ko)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스톰블루 메모리 확장 가능한 휴대용 플래쉬 메모리 장치
KR200360118Y1 (ko) 2004-05-21 2004-08-31 (주)디.에스.이 Usb 플러그 유니트
KR20050056951A (ko) * 2002-08-08 2005-06-1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음성 기록 장치
KR20050073081A (ko) * 2004-01-08 200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출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113348A (ko) * 2004-05-27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범용 직렬버스 통신 시스템
KR20050114015A (ko) * 2004-05-31 2005-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KR20060007653A (ko) * 2004-07-20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부 회전장치
KR20060065216A (ko) * 2004-12-10 2006-06-14 브이케이 주식회사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유에스비 연결장치
KR20060093214A (ko) * 2005-02-21 2006-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잭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18A (ko) * 1996-09-13 2003-07-16 애벗트 라보라토리이즈 식물단백질을처리하는방법및이로부터제조된영양제품
KR20020088718A (ko) * 2001-05-21 2002-1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트렌치를 이용한 소자 분리 방법
JP2003061564A (ja) * 2001-08-23 2003-03-04 Kiyoetsu Tamayama 製麺機
KR20030086017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200288718Y1 (ko) 2002-06-21 2002-09-11 주식회사 바롬테크 유에스비 접속단자
KR20040009459A (ko) * 2002-07-23 2004-01-31 주식회사 스톰블루 메모리 확장 가능한 휴대용 플래쉬 메모리 장치
KR20050056951A (ko) * 2002-08-08 2005-06-16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음성 기록 장치
KR20050073081A (ko) * 2004-01-08 200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출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60118Y1 (ko) 2004-05-21 2004-08-31 (주)디.에스.이 Usb 플러그 유니트
KR20050113348A (ko) * 2004-05-27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범용 직렬버스 통신 시스템
KR20050114015A (ko) * 2004-05-31 2005-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KR20060007653A (ko) * 2004-07-20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부 회전장치
KR20060065216A (ko) * 2004-12-10 2006-06-14 브이케이 주식회사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유에스비 연결장치
KR20060093214A (ko) * 2005-02-21 2006-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잭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4-0009459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5695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113348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61564
한국등록실용신안번호 20-0360862호*
한국등록실용신안번호 20-037947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799A (ko)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9554B2 (en) Desktop charger for bar-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080100712A1 (en) Camera with Integrated Wireless Interface
US20080188124A1 (en) Multipurpose accessory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
US20050287853A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EP1976091A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battery charger and adaptor to set portable terminal device thereon
TWM317081U (en) Digital TV receiver with built-in antenna
BRPI0614873A2 (pt) sistema de comunicação celular
CN106502321B (zh) 一种电子装置
US200801535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081861A1 (en) Helmet-attach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967320B1 (ko)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KR100967319B1 (ko)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070109780A (ko)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EP2302815B1 (en) Helmet-attach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2044203A (ja) 携帯型無線通信ユニット
JPH0822437A (ja) 携帯型情報機器
KR100436482B1 (ko) 연결바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전화단말기
KR101240230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CN207460454U (zh) 可收纳颈线耳机的蓝牙音响
KR101622594B1 (ko) 휴대 단말기
KR100733485B1 (ko) 유에스비 커넥터 내장된 이어폰형 에프엠 트랜스미터
KR200407163Y1 (ko) 수납구조가 컴팩트한 dmb 수신기
KR101097566B1 (ko) 이동 단말기
KR101240228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KR101240226B1 (ko) 휴대 기기용 스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