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951A - 음성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음성 기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56951A KR20050056951A KR1020057002022A KR20057002022A KR20050056951A KR 20050056951 A KR20050056951 A KR 20050056951A KR 1020057002022 A KR1020057002022 A KR 1020057002022A KR 20057002022 A KR20057002022 A KR 20057002022A KR 20050056951 A KR20050056951 A KR 200500569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nnection terminal
- audio recording
- recording device
- audio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음성 기록 장치는 집음 수단을 갖는 제1 하우징과, 외부 기기와의 접속 단자를 갖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의 배면에 절첩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집음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부에 상기 접속 단자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의 배면의 융기부에는 상기 접속 단자가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제2 하우징의 절첩 수납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의 선단부가 상기 오목부의 벽면에 덮여도 좋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성 데이터를 IC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저장하는 음성 기록 장치이며, 특히 외부 장치 사이에서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음성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마이크로 폰 등의 집음 수단으로부터 얻게 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IC 메모리에 저장하는 음성 기록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성 기록 장치는 회전 구동 기구가 불필요하므로, 자기 테이프나 광자기 디스크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한 음성 기록 장치와 비교하여 경량이면서 또한 소형인 이점이 있다.
IC 메모리를 기록 매체로서 이용한 음성 기록 장치에는 퍼스널 컴퓨터(이하,「PC」라 칭함)와 접속되어, PC와의 사이에서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것이 존재하고 있다. 음성 기록 장치와 PC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9에 종래의 음성 기록 장치(1)와 PC(8)의 접속 기구를 도시한다. 음성 기록 장치(1)는 USB 접속 단자(23)를 구비하고, PC(8)는 USB 접속 포트(81)를 구비하고 있다. USB 접속 단자(23)가 음성 기록 장치(1)의 하우징(3)의 표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단자(23)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파손되고, 또한 디자인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로 인해, 종래의 음성 기록 장치(1)에서는 USB 접속 단자(23)를 하우징(3)의 바닥부에 형성된 오목부(30) 내에 수납하고 있었다. 그리고, 음성 기록 장치(1)를 PC(8)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일단부에 USB 접속 포트(71)를 구비하고, 타단부에 USB 접속 단자(72)를 구비한 접속 케이블(7)이 사용되고 있었다. 접속 케이블(7)의 USB 접속 포트(71)에 음성 기록 장치(1)의 USB 접속 단자(23)가 삽입되고, PC(8)의 USB 접속 포트(81)에 접속 케이블(7)의 USB 접속 단자(72)가 삽입됨으로써, 음성 기록 장치(1)는 PC(8)에 접속되어 있었다.
음성 기록 장치(1)가 PC(8)에 접속되면, PC(8)가 구비하는 오퍼레이션 시스템의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이 작용함으로써, 음성 기록 장치(1)의 IC 메모리(도시하지 않음)가 PC(8)에 인식된다. 그리고, PC(8)의 오퍼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기록 장치(1)와 PC(8) 사이에서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PC(8)을 이용하여 음성 기록 장치(1)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편집이나 가공, 텍스트 데이터로의 변환 등이 행해진다. 음성 기록 장치(1)가 재생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PC(8)로부터 음성 기록 장치(1)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행해진다. 또한, PC(8)를 이용하여 음성 기록 장치(1)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등의 전기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PC 등으로 송수신하는 것도 행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기록 장치(1)를 PC(8)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 케이블(7)의 개재를 필요로 하므로, 사용자에게 있어서 접속 케이블(7)의 보관이 번거롭고, 또한 사용자는 접속 케이블(7)을 분실한 경우, 음성 기록 장치(1)를 PC(8)에 접속할 수 없다. IC 메모리를 구비한 음성 기록 장치(1)는 소형이면서 또한 경량으로, 휴대성이 우수한 것을 특별한 이점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PC(8)에 접속하기 위해 접속 케이블(7)을 별도로 휴대해야만 하는 사태는 이와 같은 음성 기록 장치(1)의 이점을 크게 저해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나 전철 내의 작업 공간이 한정된 상황하에서 도9와 같이 PC(8)에 음성 기록 장치(1)를 접속하여 작업을 행하는 경우, PC(8)와는 별개로 음성 기록 장치(1)를 적재하는 장소가 없는 경우나, 적재한 음성 기록 장치(1)가 진동 등에 의해 바닥에 떨어져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음성 기록 장치(1)의 하우징(3)의 표면에 USB 접속 단자(23)를 돌출 설치하여, 음성 기록 장치(1)를 PC(8)에 직접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것은 USB 접속 단자(23)의 보호나 디자인면을 고려하면 현실적이지 않다.
한편,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음성 기록 장치(1)는 회의나 세미나 등에서 음성을 녹음하는 경우에는 탁상에 적재된다. 이 경우, 내장된 마이크로 폰을 이용하여 집음하면, 음성 기록 장치(1)가 적재되는 탁상면과 마이크로 폰간 거리가 가까우므로, 이 탁상면으로부터의 진동음이 마이크로 폰에 집음되어 음성과 함께 기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여 USB 접속 단자 등의 외부 기기와의 접속 단자를 하우징의 표면에 돌출 설치시키는 일 없이 PC 등의 외부 장치에 직접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적재한 면으로부터의 진동음이 내장된 마이크로 폰 등의 집음 수단에 집음되기 어려운 음성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음성 기록 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음성 기록 장치를 전방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음성 기록 장치를 도2에 있어서의 A-A선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파단한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음성 기록 장치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5a는 본 발명에 관한 음성 기록 장치의 측면도, 도5b는 상기 배면도,
도6a는 제2 하우징을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한 음성 기록 장치의 측면도, 도6b는 상기 배면도,
도7은 제2 하우징을 수납 상태로부터 30도 회전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관한 음성 기록 장치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음성 기록 장치를 PC에 접속한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9는 종래의 음성 기록 장치와 PC의 접속 기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는 집음 수단과, 외부 기기에의 접속 단자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의 배면에 절첩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집음 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배면의 융기부에 상기 접속 단자가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절첩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의 선단부가 상기 오목부의 벽면에 덮인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배면에 상기 접속 단자와 접촉하는 지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는 제2 하우징의 선단부에 접속 단자를 돌출 설치하고 있으므로, 외부 장치와 접속하는 경우에 제2 하우징의 선단부를 외부 장치의 접속 포트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접속 케이블을 거치는 일 없이 음성 기록 장치를 외부 장치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게다가, 제2 하우징을 제1 하우징의 배면에 절첩 수납 가능하므로, 음성 기록 장치를 PC 등에 접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콤팩트하면서 또한 접속 단자가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음성 기록 장치를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집음 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적당하게 확대하여, 제2 하우징을 하방으로 하여 음성 기록 장치를 탁상에 적재하면, 제2 하우징은 스탠드의 기능을 수행하여 집음 수단에 모이는 적재면으로부터의 진동음은 경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에서는 제2 하우징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융기부의 오목부에 접속 단자가 끼워짐으로써, 외부로부터의 힘, 특히 측방으로부터의 힘에 의한 변형 또는 파손 등으로부터 접속 단자 및 제2 하우징이 보호되고 있고, 또한 접속 단자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단자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접속 단자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더욱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2 하우징의 절첩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접속 단자의 선단부가 오목부의 벽면에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에 제1 하우징의 배면에 접속 단자와 접촉하는 지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면, 제2 하우징의 절첩 수납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힘, 특히 배면측으로부터의 힘에 의한 변형 또는 파손 등으로부터 접속 단자 및 제2 하우징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9에 도시하는 종래 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1)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집음 장치인 마이크로 폰(11)은 기록되는 음성을 모아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아날로그 전기 신호는 증폭기(12)에 의해 증폭되고, A/D 변환기(13)에 의해 디지털화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14)는 A/D 변환기(13)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해 압축 처리 등을 실시한다.
실시예의 음성 기록 장치(1)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로서 IC 메모리(15)를 구비하고 있다. IC 메모리(15)는 카드화되어 음성 기록 장치(1)에 대해 외부로부터 삽입 탈거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CPU(16)는 DSP(14)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IC 메모리(15)에 저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음성 기록 장치(1)는 음성 데이터의 재생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CPU(16)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서 IC 메모리(15)부터 판독하기 위한 제어도 행한다. IC 메모리(15)로부터 판독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는 DSP(14)에서 신장 처리 등이 실시된 후에, D/A 변환기(17)에서 아날로그 신호화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증폭기(18)에 의해 증폭된 후에, 스피커(19)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다. 또, 도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음성 재생 장치(1)는 DSP(14)나 CPU(I6) 등의 내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 재생 장치(1)는 음성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에 관한 각종 정보나 장치의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21)와, 사용자가 녹음 또는 재생의 개시나 정지 등의 각종 동작을 명령하기 위한 조작부(22)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CPU(16)와 연결되어 있다. 표시부(21)에는 후술하는 액정 패널(36)이 포함되고, 조작부(22)에는 후술하는 조작 스위치(37) 및 조그 스위치(38)가 포함된다. CPU(16)에는 외부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23)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음성 재생 장치(1)는 외부 접속 단자(23)를 거쳐서 PC 등의 외부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음성 재생 장치(1)는 USB를 거쳐서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외부 접속 단자(23)로서 (수형의) USB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음성 기록 장치(1)는 제1 하우징(3) 및 제2 하우징(5)을 구비하고 있고,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제2 하우징(5)을 절첩하여 이를 제1 하우징(3)의 배면에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하우징(3) 및 제2 하우징(5)은 모두 속이 빈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하우징(5)의 일단부는 제1 하우징(3)의 하단부에 힌지 기구(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하우징(5)은 도6에 도시하는 수납 상태로부터 도2 및 도5에 도시하는 전개 상태까지 제1 하우징(3)에 대해 대략 180도 회전 가능하다. 제2 하우징(5)의 높이, 횡폭 및 두께는 각각 제1 하우징(3)의 절반 정도이다. 제2 하우징(5)의 타단부의 단부면(51)에는 외부 접속 단자(23)가 제2 하우징(5)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5)의 양측면에는 제2 하우징(5)을 회전시킬 때에 손가락으로 잡기 쉽게 하기 위한 돌기(52)가 외부 접속 단자(23)의 근처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하우징(3)에는 음성 기록 장치(1)를 구성하는 각종 기기가 수납된다. 마이크로 폰(11)은 제1 하우징(3)의 상단부에 수납되어 있고, 마이크로 폰(11)에 대향하여 제1 하우징(3)의 상단부 단부면(31)에는 집음용 개구(32)가 개방 설치되어 있다. 제1 하우징(3)의 배면 상측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뿔 다이형으로 융기되어 있고, 이 융기부(33) 내에 스피커(19)가 배치되고, 융기부(33)의 정상면(34)에는 스피커(19)로부터 발하게 된 음성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35)가 다수 개설되어 있다. 제1 하우징(3)의 정면 상측에는 액정 패널(36)과, 상기 액정 패널(36)의 하측에는 합계 6개의 조작 스위치(3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3)의 한 쪽 측면에는 조그 스위치(38)가 배치되어 있다.
도4 및 도5b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3)의 이면에는 제2 하우징(5)이 끼워지는 얕은 오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3)의 융기부(33)의 하부 측면에는 외부 접속 단자(23)가 끼워지는 오목부(42)가 상기 오목부(41)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41, 42)는 외부 접속 단자(23) 및 제2 하우징(5)이 측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함으로써, 수납시에 있어서 외부 접속 단자(23) 및 제2 하우징(5)이 파손될 우려가 경감된다. 제1 하우징(3)의 이면의 일부는 배터리 덮개(44)로서 착탈 가능하고, 오목부(41)의 바닥면의 대부분은 배터리 덮개(44)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 또, 제2 하우징(5)이 끼워지는 오목부(41)를 마련하지 않고, 상기 오목부(41) 대신에 제1 하우징(3)의 이면에 제1 하우징(3)의 양측면을 끼우는 한 쌍의 볼록부를 형성해도 좋다.
외부 접속 단자(23)가 끼워지는 오목부(42)의 바닥면에는 제2 하우징(5)의 수납시에 외부 접속 단자(23)에 접촉하는 지지 부재(43)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접속 단자(23)의 두께는 제2 하우징(5)의 두께보다도 얇다. 따라서, 제2 하우징(3)의 수납시에 제1 하우징(3)과 제2 하우징(5)이 접촉하고 있는 것만으로는 외부 접속 단자(23)가 오목부(42)의 바닥면으로부터 떠 버리므로, 외부 접속 단자(23)에 대해[제1 하우징(3)을 향함] 강한 힘이 가해진 경우에 외부 접속 단자(23)가 파손 또는 변형될 우려가 있다. 또한, 외부 접속 단자(23)의 파손 또는 변형에 기인하여 제2 하우징(5)이 파손 또는 변형될 우려도 있다. 그러나, 지지 부재(43)가 외부 접속 단자(23)에 접촉함으로써 이와 같은 사태가 방지된다. 지지 부재(43)를 설치하지 않고, 오목부(41, 42)의 바닥부를 외부 접속 단자(23)측을 높게 하여 단 차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USB 단자가 외부 접속 단자(23)로서 설치되어 있다. USB 단자는 주지와 같이 단면이 대략 사각형인 금속으로 된 하우징의 내면에 4개의 핀이 설치된 판형의 부재를 이들 핀이 배치된 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음성 기록 장치(1)가 옷의 포켓이나 백 등에 들어가면, 포켓이나 백 등의 내측에 있는 쓰레기나 먼지가 USB 단자 선단부의 개구로부터 단자 내부로 인입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5)의 수납시에 있어서, 외부 접속 단자(23)는 융기부(33)의 정상면(34)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 오목부(42)의 벽면(45)이 외부 접속 단자(23)의 선단부를 덮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음성 기록 장치(1)에서는 쓰레기나 먼지가 외부 접속 단자(23)로 인입할 우려가 경감되어 있다. 또한, 음성 기록 장치(1)가 포켓이나 백에 들어갈 때에, 외부 접속 단자(23)의 선단부가 포켓의 모서리 등에 걸려서 제2 하우징(5)이 개방되어 버리는 것도 방지되어 있다. 또,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5)의 수납시에 있어서, 제2 하우징(5)의 배면(53)은 제1 하우징(3)의 융기부(33)의 정상면(34)과 대략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우징(5)은 제1 하우징(3)에 대해 소정 간격의 각도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힌지 기구(6)에는 제2 하우징(5)의 내부에서 대략 30도 간격으로 이(齒)가 형성된 기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제1 하우징(3)의 내부에는 상기 기어의 일부의 이와 끼워지는 끼워 맞춤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5)을 회전시키면, 기어의 회전에 수반하여 끼워 맞춤 부재가 탄성 변형하여, 제2 하우징(5)이 대략 30도 간격으로 클릭된다. 또, 제2 하우징(5)을 제1 하우징(3)에 대해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다른 공지의 구성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제2 하우징(5)을 제1 하우징(3)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위치를 고정 가능하게 해도 좋다.
도7은 제2 하우징(5)을 수납 상태로부터 대략 30도 회전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본 음성 기록 장치(1)의 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 음성 기록 장치(1)를 제2 하우징(5)을 하측으로 하여 책상이나 바닥 위에 두면, 제2 하우징(5)은 스탠드로서 기능한다. 마이크로 폰(11)은 제1 하우징(3)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탁상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녹음시에 있어서 탁상면 등으로부터 마이크로 폰(11)에 전해지는 진동음이 경감된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기록해야 할 음성의 발생원에 마이크로 폰(11)을 향하게 하면, 음성 기록 장치(1)에 음성이 명료하게 기록되는 양호한 설치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8은 외부 장치인 PC(8)에 본 실시예의 음성 기록 장치(1)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2 하우징(5) 단부의 단부면으로부터 외부 접속 단자(23)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PC(8)의 접속 포트에 외부 접속 단자(23)를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5)은 제1 하우징(3)에 대해 대략 30도 간격으로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1 하우징(3)을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음성 기록 장치(1)를 PC(8) 등의 외부 장치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음성 기록 장치(1)의 적재 장소를 확보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작업 공간 내에서도 음성 기록 장치를 외부 장치에 접속하여 작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 청구범위의 발명을 한정하거나, 혹은 범위를 감축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는 USB 접속 단자 등의 외부 기기와의 접속 단자를 하우징의 표면에 돌출 설치시키는 일 없이, PC 등의 외부 장치에 직접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성 기록 장치는 음성 기록시에 있어서 적재한 면으로부터의 진동음이 내장된 마이크로 폰 등의 집음 수단에 집음되기 어려우므로, 명료한 음성을 기록할 수 있다.
Claims (4)
- 집음 수단과, 외부 기기에의 접속 단자를 구비한 음성 기록 장치에 있어서,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의 배면에 절첩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상기 집음 수단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상기 접속 단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타단부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기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배면의 융기부에는 상기 접속 단자가 끼워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성 기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절첩 수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의 선단부가 상기 오목부의 벽면에 덮이는 음성 기록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배면에는 상기 접속 단자와 접촉하는 지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음성 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2-00231035 | 2002-08-08 | ||
JP2002231035A JP4111769B2 (ja) | 2002-08-08 | 2002-08-08 | 音声記録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6951A true KR20050056951A (ko) | 2005-06-16 |
Family
ID=3171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02022A KR20050056951A (ko) | 2002-08-08 | 2003-08-07 | 음성 기록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7574273B2 (ko) |
EP (1) | EP1553561A4 (ko) |
JP (1) | JP4111769B2 (ko) |
KR (1) | KR20050056951A (ko) |
CN (1) | CN100380285C (ko) |
AU (1) | AU2003254883A1 (ko) |
WO (1) | WO200401568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320B1 (ko) * | 2006-05-10 | 2010-07-05 | 오준수 |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111219A0 (en) * | 1993-10-18 | 1994-12-29 | Hughes Aircraft Co | Microelement assembly |
JP4626179B2 (ja) * | 2004-04-30 | 2011-02-02 | ヤマハ株式会社 | データ供給装置 |
WO2011076291A1 (en) | 2009-12-24 | 2011-06-30 | Nokia Corporation | An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devices |
CN102176596B (zh) * | 2011-01-07 | 2015-06-10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usb接口及具有该接口的数据产品 |
US11955105B2 (en) * | 2021-04-19 | 2024-04-09 | William Phillips | Vocal music production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928908A (en) * | 1957-02-13 | 1960-03-15 | Sud Atlas Werke G M B H | Microphone with an adjustable attenuator |
CH688067A5 (de) * | 1994-03-11 | 1997-04-30 | Andreas Peiker | Vorrichtung mit einem Mikrofon. |
US5691882A (en) * | 1996-06-04 | 1997-11-25 | Ma; Hsi-Kuang | PCMCIA mounting structure |
KR100481845B1 (ko) * | 1998-06-10 | 2005-06-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마이크로폰을 갖는 휴대형 컴퓨터 |
FR2781113A1 (fr) * | 1998-07-07 | 2000-01-14 | Philips Consumer Communication | Appareil electronique portable, son boitier et son magasin de batterie |
JP2000209317A (ja) * | 1999-01-18 | 2000-07-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通信機器 |
FI114435B (fi) * | 1999-04-22 | 2004-10-15 | Nokia Oyj | Kannettava viestintälaite |
JP2001078452A (ja) | 1999-09-09 | 2001-03-23 | Funai Electric Co Ltd | Acアダプタ |
WO2001020747A1 (fr) * | 1999-09-10 | 2001-03-22 | Smk Corporation | Chargeur c. a. |
JP3473901B2 (ja) * | 2000-01-17 | 2003-12-08 | 船井電機株式会社 | 携帯型電話機、及び、携帯型電話機におけるカード型デバイスの取り付け構造 |
JP4436519B2 (ja) | 2000-02-23 | 2010-03-24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音声記録再生装置 |
JP2002023793A (ja) * | 2000-07-04 | 2002-01-25 | Olympus Optical Co Ltd | 音声記録再生装置 |
JP2002074296A (ja) * | 2000-08-30 | 2002-03-15 | Citizen Watch Co Ltd | カード型電子機器 |
US6769603B2 (en) * | 2001-03-15 | 2004-08-03 | Olympus Corporation |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
CN2488109Y (zh) | 2001-06-04 | 2002-04-24 | 宏亿国际股份有限公司 | 携带式存储器存取装置 |
US6490163B1 (en) * | 2001-08-30 | 2002-12-03 | Phison Electronic Corp. | Computer readable portable data storage device |
TW582618U (en) * | 2002-02-06 | 2004-04-01 | Carry Computer Eng Co Ltd | Silicon disc card with USB plug |
US6626704B1 (en) * | 2002-04-25 | 2003-09-30 | Daniel Pikel | Acoustic adapter device |
-
2002
- 2002-08-08 JP JP2002231035A patent/JP411176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8-07 CN CNB038191040A patent/CN100380285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07 US US10/523,402 patent/US757427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8-07 KR KR1020057002022A patent/KR2005005695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8-07 AU AU2003254883A patent/AU200325488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8-07 EP EP03784592A patent/EP1553561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3-08-07 WO PCT/JP2003/010101 patent/WO200401568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7320B1 (ko) * | 2006-05-10 | 2010-07-05 | 오준수 |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574273B2 (en) | 2009-08-11 |
AU2003254883A1 (en) | 2004-02-25 |
CN100380285C (zh) | 2008-04-09 |
US20060095149A1 (en) | 2006-05-04 |
WO2004015687A1 (ja) | 2004-02-19 |
CN1675682A (zh) | 2005-09-28 |
EP1553561A4 (en) | 2010-06-09 |
EP1553561A1 (en) | 2005-07-13 |
AU2003254883A8 (en) | 2004-02-25 |
JP4111769B2 (ja) | 2008-07-02 |
JP2004070111A (ja) | 2004-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03109A (en) | Portable information reproducing and voice amplifying apparatus | |
US20060116009A1 (en) | System for adapting devices | |
US5444675A (en) | Cassette adapter for a playback deck of the front-loading or the side-loading type | |
KR20050056951A (ko) | 음성 기록 장치 | |
CN100542388C (zh) | 电子设备 | |
JP2005091409A (ja) | 音声記録装置 | |
JP4021797B2 (ja) | 携帯端末装置 | |
WO1997007597A1 (en) | Plug-in computer card with internal audio speaker element | |
US20060080697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liance | |
JP2007174365A (ja) | 電子機器 | |
JP3302871B2 (ja) | 録音装置 | |
JP3139993B2 (ja) | 電子装置 | |
KR100634154B1 (ko) | 음성 녹음장치와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 | |
KR0121509Y1 (ko) | 마이크가 내장된 모니터 | |
KR910005484B1 (ko) | 음성기억장치 | |
JP2001022897A (ja) | メモリカード装着装置 | |
KR200218620Y1 (ko) | 다용도 핸즈프리 이어폰 | |
KR200233877Y1 (ko) | 이동부착형 녹음 및 재생장치 | |
JP2006086748A (ja) | ヘッドセット装置 | |
JP3312084B2 (ja) | Icカード型音声録音再生装置 | |
KR200324866Y1 (ko) | 오디오 재생 장치 | |
KR100665948B1 (ko) | 엠피쓰리 플레이어 | |
JP3437691B2 (ja) | 電子機器に用いるアダプタ装置 | |
JP2000259285A (ja) |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信号処理装置 | |
JP2001014061A (ja) | 小型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