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118Y1 - Usb 플러그 유니트 - Google Patents

Usb 플러그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118Y1
KR200360118Y1 KR20-2004-0014133U KR20040014133U KR200360118Y1 KR 200360118 Y1 KR200360118 Y1 KR 200360118Y1 KR 20040014133 U KR20040014133 U KR 20040014133U KR 200360118 Y1 KR200360118 Y1 KR 200360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plug
housing
mini
usb
flexible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해일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이 filed Critical (주)디.에스.이
Priority to KR20-2004-00141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1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1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A-타입 플러그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주변장치에 고정되는 미니타입 플러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용 전자장치와의 결합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USB 플러그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USB 플러그 유니트{USB plug unit}
본 고안은 USB 플러그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는 A-TYPE의 플러그와, 주변기기에 연결되는 미니타입의 플러그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와의 연결이 간편하도록 한 USB 플러그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USB(Universal Serial Bus)는 유니버셜 직렬 버스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직렬 포트를 대체하는 차세대 인터페이스의 규약이며, 컴퓨터 시스템과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모뎀,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외부 버스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USB 케이블 유니트는 컴퓨터 시스템에 결합되는 A-타입 플러그와, 주변기기 전자장치에 결합되는 미니타입 플러그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USB 케이블 유니트를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최대 63개까지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나, 컴퓨터 시스템에는 정해진 수의 USB 포트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할 수 있는 주변기기의 수가 한정되게 된다. 이에,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주변기기 중에서 선택된 주변기기에 USB 포트 허브를 설치하고, 다른 주변기기를 USB 포트 허브를 갖는 주변기기에 접속시킴으로써, 많은 수의 주변기기를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모니터, 키보드, 프린터 등의 주변기기에는 USB 포트 허브가 내장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팜PC, PDA, 전자수첩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들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용 전자장치들은 점차 소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장치도 주변기기와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과의 상호 데이터 공유를 위해 특정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되며, 현재 휴대용 전자장치와 컴퓨터 시스템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는 USB가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USB 케이블 유니트가 주변기기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장치와의 데이터 공유에도 사용됨에 따라, 소형의 휴대용 전자장치와 연결가능하도록 USB 케이블 유니트의 미니타입 플러그가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유에서 개발된 휴대용 전자장치와 연결되는 USB 케이블 유니트는, 미니타입 플러그의 크기만이 소형화되었을 뿐 주변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USB 케이블 유니트와 마찬가지로 케이블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USB 케이블 유니트를 연결하기 위한 USB 포트 허브가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뿐만 아니라, 모니터, 키보드, 프린터 등에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러한 주변기기의 USB 포트 허브에 연결할 경우에는 굳이 긴 케이블을 갖는 USB 케이블 유니트가 필요가 없으며, 긴 케이블에 의해 주변이 어수선해 질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거취에 불편함을 초래할 뿐이다.
이에 따라, A-타입 플러그와 미니타입 플러그를 인접하게 설치한 USB 케이블 유니트를 마련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용 전자장치와의 연결을 간편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A-타입 플러그와 미니타입 플러그를 일체로 형성한 일체형 USB 플러그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USB 플러그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1의 USB 플러그 유니트의 A-타입 플러그 파트와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를 상호 절곡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USB 플러그 유니트 10 : A-타입 플러그 파트
11 : A-타입 플러그 15 : A-타입 플러그 하우징
30 :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 31 : 미니타입 플러그
35 : 미니타입 플러그 하우징 50 : 회동축
60 : 플렉서블 PCB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A-타입 플러그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주변장치에 고정되는 미니타입 플러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플러그유니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A-타입 플러그를 감싸는 제1하우징과, 상기 미니타입 플러그를 감싸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타입 플러그와 상기 미니타입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PCB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PCB의 길이방향의 일단에는 A-타입 플러그의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렉서블 PCB의 타단에는 상기 미니타입 플러그의 단자가 각각 연결됨으로써, A-타입 플러그와 미니타입 플러그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하우징에는 길이방향의 가로로 돌출되도록 회동축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회동축이 수용되는 회동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하우징의 측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파지아암이 상기 제2하우징을 향해 연장형성됨으로써, A-타입 플러그와 미니타입 플러그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일체형 USB 플러그 유니트(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A-타입 플러그 파트(10)와, 주변기기에 연결되는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가 상호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A-타입 플러그 파트(10)와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는 플렉서블 PCB(6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렉서블 PCB(60)는 가요성 수지(61)내에 동선(63)을 이용하여 회로가 형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가요성 수지(61)내에 A-타입 플러그 파트(10)의 단자와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동선(63)이 배치되어 있다.
A-타입 플러그 파트(10)는, 컴퓨터 본체나 USB 포트 허브를 갖는 모니터, 키보드, 프린터 등의 특정 주변기기에 설치된 USB 소켓에 결합되는 A-타입 플러그(11)와, A-타입 플러그(11)를 둘러싸는 A-타입 플러그 하우징(15)을 포함한다.
A-타입 플러그(11)는, USB 소켓의 단자와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14)를 갖는 A-타입 플러그 몰드(12)와, A-타입 플러그 몰드(12)를 둘러싸는 A-타입 플러그 쉴드케이스(13)를 갖는다. A-타입 플러그 쉴드케이스(13)에 의해 USB 소켓을 향해 개방되어 USB 소켓의 단자가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며, USB 소켓의 단자와 접촉하는 단자(14)의 일측 단부는 결합공간내에 배치되고, 단자(14)의 타측 단부는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를 향해 연장된 단자(14)의 타측 단부는 플렉서블 PCB(60)의 동선(63)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납땜되어 있다.
이러한 A-타입 플러그(11)를 둘러싸는 A-타입 플러그 하우징(15)은, 한 쌍의 하우징부분으로 분리되며, A-타입 플러그(1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16)와,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의 일부분을 파지하기 위한 '??'자 형상의 결합공간을 형성하며 수용부(16)의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를 향한 면의 양 측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파지아암(17)을 갖는다.
하우징을 형성하는 각 하우징부분(15a,15b)은 파지아암(17)과, 파지아암(17)으로부터 연장된 수용공간의 연부에서 상호 접촉하여 결합되며, 일측의 하우징부분(15a)에는 파지아암(17)과 수용공간의 연부에 타측의 하우징부분(15b)을 향해 돌출한 복수의 결합돌기(18)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하우징부분(15b)에는 결합돌기(18)에 대응되는 영역에 결합돌기(18)가 수용결합되는 결합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의 하우징부분(15a)의 수용공간내에는 플렉서블 PCB(60)의 일영역을 관통하여 플렉서블 PCB(60)를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19)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의 하우징부분(15b)에는 고정돌기(19)에 대응되는 영역에 고정돌기(19)가 수용결합되는 고정홈(22)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연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PCB(60)에는 고정돌기(19)가 관통하는 결합공(6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부(16)의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를 향한 연부에는 각 하우징부분(15a,15b)이 상호 이격되어 플렉서블 PCB(60)의 통과를 위한 관통슬롯(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파지아암(17)에는 결합공간을 향한 내측영역에 상호 대응되도록 함몰된 회동축공(25)이 형성되어 후술할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의 회동축(50)을 회동가능하게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A-타입 플러그 파트(10)와 상호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는, 휴대폰, 휴대용 컴퓨터, 팜PC, PDA, 전자수첩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에 설치된 USB 포트에 결합되는 미니타입 플러그(31)와, 미니타입 플러그(31)를 둘러싸며 A-타입 플러그 파트(10) 하우징과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미니타입 플러그 하우징(35)을 포함한다.
미니타입 플러그(31)는, 복수의 단자(34)를 가지는 미니타입 플러그 몰드(32)와, 미니타입 플러그 몰드(32)를 감싸는 미니타입 플러그 쉴드케이스(33)를 갖는다. 미니타입 플러그 몰드(32)에 배치된 단자(34)의 일단부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향하고, 타단부는 A-타입 플러그 파트(10)를 향해 연장되며, A-타입 플러그 파트(10)를 향해 연장된 단자(34)는 플렉서블 PCB(60)의 각 동선(63)에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미니타입 플러그(31)를 둘러싸는 미니타입 플러그 하우징(35)은, A-타입 플러그 하우징(15)과 마찬가지로 미니타입 플러그(31)와 플렉서블 PCB(60)의 일영역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하우징부분으로 형성된다. 각 하우징부분(15a,15b)은 미니타입 플러그(31)와 플렉서블 PCB(60)가 배치된 길이방향을 따라 양 측부에 상호 접촉결합되는 결합면(36)이 형성되어 있다. 일측 하우징부분(35a)의 결합면(36)에는 타측의 하우징부분(35b)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수용돌기(38)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하우징부분(35b)의 결합면(36)에는 수용돌기(38)에 대응하여 수용돌기(38)가 수용결합되는 복수의 수용홈(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 하우징부분(35a)의 결합면(36)의 내측에는 플렉서블 PCB(60)의 고정을 위해 플렉서블 PCB(60)를 관통하도록 돌출된 한 쌍의 관통돌기(39)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하우징부분(35b)에는 결합면(36)이 수용공간을 향해 소정 연장된 연장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43)에는 관통돌기(39)를 수용하는 관통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PCB(60)에는 관통돌기(39)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6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미니타입 플러그 하우징(35)의 A- 타입 플러그 파트를 향한 단부에는 각 하우징부분(35a,35b)이 상호 이격되어 플렉서블 PCB(60)의 통과를 위한 연통슬롯(4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는, A-타입 플러그 파트(10)와의 결합을 위해 회동축(50)을 가지며, 회동축(50)은 수용공간내에 수용되는 중심축부(51)와, 미니타입 플러그 하우징(3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A-타입 플러그 하우징(15)의 회동축공(25)에 수용되는 결합축부(53)로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축(50)의 배치를 위해, 각 하우징부분(35a,35b)의 양측 결합면(36)에는 상호 대향되는 영역에 판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회동축(50)의 결합축부(53)가 관통하는 축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USB 플러그 유니트(1)를 조립하는 조립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의 미니타입 플러그(31)의 단자(34)와 A-타입 플러그 파트(10)의 A 타입 플러그의 단자(34)를 각각 플렉서블 PCB(60)의 양단부에서 동선(6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납땜한다. 그런 다음,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부터 조립한다.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의 하우징부분중, 수용돌기(38)가 형성된 일측 하우징부분(35a)내에 납땜에 의해 플렉서블 PCB(60)가 연결된 미니타입 플러그(31)를 수용시킨다. 이 때, 하우징부분(35a)에 형성된 관통돌기(39)가 플렉서블 PCB(60)의 관통공(66)을 관통하도록 하여 플렉서블 PCB(60)를 고정한다. 그런 다음, 회동축(50)의 중심축부(51)가 수용공간내에 배치되고 결합축부(53)가 축공(45)내에 수용되도록 회동축(50)을 배치시킨 다음, 각 하우징부분(35a,35b)의 결합면(36)에 본딩하고, 일측 하우징부분(35a)의 수용돌기(38)가 타측 하우징부분(35b)을수용홈(41)에 수용결합되도록 각 하우징부분(35a,35b)을 상호 결합시킨다.
이렇게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의 조립이 완료되면, 플렉서블 PCB(60)가 연결된 A-타입 플러그(11)를 A- 타입 플러그 하우징의 일측 하우징부분(15a)내에 수용시킨다. 이 때, 일측 하우징부분(15a)에 형성된 고정돌기(19)가 플렉서블 PCB(60)의 결합공(65)을 관통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의 회동축(50)의 결합축부(53)를 A-타입 플러그 하우징(15)에 형성된 회동축공(25)에 수용시킨 다음, 각 하우징부분(15a,15b)의 파지아암(17)과 수용부(16)의 연부에 본딩하고, 일측 하우징부분(15a)의 결합돌기(18)가 타측 하우징부분(15b)의 결합홈(21)에 수용되도록 각 하우징부분(15a,15b)을 상호 결합시킨다.
이렇게 USB 플러그 유니트(1)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타입 플러그 파트(10)와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는 회동축(50)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 때, 각 플러그 파트가 플렉서블 PCB(6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동축(50)을 중심으로 A-타입 플러그 파트(10)와 미니타입 플러그 파트(30)를 상호 회동시키더라도 상호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A-타입 플러그(11)와 미니타입 플러그(31)를 직접 연결하여 단일의 유니트(1)로 형성함으로써, USB 플러그 유니트(1)의 구조를 간단화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형의 휴대용 전자장치를 USB 포트 허브를 갖는 주변기기의 바로 측부에 바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결합작업이 간편하고, 휴대용 전자장치의 거취가 편리해 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컴퓨터 시스템과 휴대용 전자장치와의 결합작업을 간편하게 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한 USB 플러그 유니트를 제공한다.

Claims (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A-타입 플러그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 단부에 배치되어 주변장치에 고정되는 미니타입 플러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플러그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A-타입 플러그를 감싸는 제1하우징과, 상기 미니타입 플러그를 감싸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플러그 유니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A-타입 플러그와 상기 미니타입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PCB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PCB의 길이방향의 일단에는 A-타입 플러그의 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플렉서블 PCB의 타단에는 상기 미니타입 플러그의 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플러그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길이방향의 가로로 돌출되도록 회동축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회동축이 수용되는 회동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하우징의 측부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파지아암이 상기 제2하우징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플러그 유니트.
KR20-2004-0014133U 2004-05-21 2004-05-21 Usb 플러그 유니트 KR200360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133U KR200360118Y1 (ko) 2004-05-21 2004-05-21 Usb 플러그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133U KR200360118Y1 (ko) 2004-05-21 2004-05-21 Usb 플러그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118Y1 true KR200360118Y1 (ko) 2004-08-31

Family

ID=4943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133U KR200360118Y1 (ko) 2004-05-21 2004-05-21 Usb 플러그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1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600B1 (ko) * 2006-05-10 2008-04-02 오준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KR100967320B1 (ko) 2006-05-10 2010-07-05 오준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600B1 (ko) * 2006-05-10 2008-04-02 오준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KR100967320B1 (ko) 2006-05-10 2010-07-05 오준수 휴대용 인터페이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520B1 (ko) 고밀도 가요성 회로 요소 및 이를 사용한 통신 장치
EP1649555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17242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ivot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670190B2 (en) Rotatable electrical interconnection device
EP1986278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photoelectric flexible wiring board, connector and photoelectric flexible wiring board
US20170194745A1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6315582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necting universal serial buss interface equipment
US6319066B2 (en) Compact electrical adapter for mounting to a panel connector of a computer
US7527525B2 (en) Jack connector
US20080050971A1 (en) Adap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9519316B2 (en) Flash drive with attached cover
EP3570391A1 (en) Mobile terminal, earphone so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arphone socket
KR101394027B1 (ko) Usb 듀얼 케이블 장치
US20060246742A1 (en) Rotatable connector
US7231236B2 (en) Integrated antenna and input/output por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072491A1 (en) Integrated signal connecting port
KR200360118Y1 (ko) Usb 플러그 유니트
US6896527B1 (en) Slim USB male connector with system grounding
CN113871921B (zh) 接口装置及电子设备
US7476106B1 (en) Rotatable signal socket
US6866530B1 (en) Memory card connector
CN2452163Y (zh) 插座电连接器
EP3309905B1 (en) Mobile terminal, earphone sock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arphone socket
CN1321483C (zh) 端子及使用该端子的便携设备
CN219801409U (zh) 具有多个接地路径所形成屏蔽机制的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