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027B1 - Usb 듀얼 케이블 장치 - Google Patents

Usb 듀얼 케이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027B1
KR101394027B1 KR1020120021339A KR20120021339A KR101394027B1 KR 101394027 B1 KR101394027 B1 KR 101394027B1 KR 1020120021339 A KR1020120021339 A KR 1020120021339A KR 20120021339 A KR20120021339 A KR 20120021339A KR 101394027 B1 KR101394027 B1 KR 10139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usb
cent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9662A (ko
Inventor
임종화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0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USB 듀얼 케이블 장치가 개시된다. USB 듀얼 케이블 장치는 모바일 단말에 접속되는 제1 연결부재와, 전자기기의 USB 삽입부 또는 USB 메모리 장치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연결부재와,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USB 삽입부 및 USB 메모리 장치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어,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USB 듀얼 케이블 장치{USB DUAL CABLE DEVICE}
본 발명은 USB 케이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USB 삽입부가 장착된 전자기기 또는 USB 메모리 장치를 모바일 단말 등의 외부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또는 이동식 저장소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MP3 플레이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모바일 단말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 장치, 멀티미디어 지원 장치 등은 고속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디지털 장치들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편집 또는 추출하여 정리할 수 있고, 컴퓨터 환경에서 제공하는 포트의 확장과 고속 데이터 전송에 유리한 USB 인터페이스를 대부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범용 직렬 버스인 USB(Universal Serial Bus)는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컴팩, DEC, IBM, 캐나다 노텔, NEC 등 7개사가 공동으로 제안하고 있는 새로운 주변 기기 접속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규격이 다른 마우스, 프린터, 모뎀, 스피커 등을 비롯한 주변 기기 등을 개인용 컴퓨터(PC)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공동화를 목적으로 하며, 주변 기기 등을 PC와 연결할 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모든 주변 기기를 동일한 접속기로 접속하기 때문에 포트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고, 휴대형 PC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의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I/O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고, I/O 커넥터는 USB 커넥터의 규격과는 다른 규격화가 이루어져 있다. 또한, 최근의 모바일 단말기는 통화기능 외에 카메라, MP3 등의 디지털 장비가 결합된 형태로 개발되기 때문에 USB 삽입부가 설치될 필요가 있는데, 모바일 단말은 크기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I/O 커넥터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는 USB 삽입부가 설치되지 않는 실정이고, PC 등의 외부 전자기기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외부 전자기기에서 데이터를 편집 또는 추출하기 위해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USB 케이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USB 케이블 장치(10)는 모바일 단말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11)와, 제1 연결부재(11)와 케이블(13)에 의해 연결되어 PC 등의 외부 전자기기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부재(12)가 포함되어 모바일 단말과 외부의 전자기기를 연결할 수 있어, 외부 전자기기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거나,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USB 케이블 장치(10)는 제2 연결부재(12)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기기에 모바일 단말을 연결할 수는 있으나, USB 메모리 장치와는 연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전송하는 경우에 PC 등의 외부 전자기기에 USB 메모리 장치를 연결하고,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PC 등의 외부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PC로 전송된 데이터를 상기 종래의 USB 케이블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즉,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송수신하는 경우에 USB 메모리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PC 등의 외부 전자기기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USB 메모리 장치와 전자기기의 USB 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듀얼 케이블 장치는, 모바일 단말에 접속되는 제1 연결부재와, 전자기기의 USB 삽입부 또는 USB 메모리 장치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2 연결부재는 일단에 상기 USB 삽입부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USB 메모리 장치와 접속되는 제3 커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일단에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몸체부를 회동시켜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외주연에 상기 제2 커넥터 또는 제3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중앙 단자가 형성되는 중앙 단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는 상기 중앙 단자부와 대향되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중앙 단자부와 접속시키는 제2 단자와, 상기 중앙 단자부와 대향되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제3 커넥터를 상기 중앙 단자부와 접속시키는 제3 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는 상기 케이스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커넥터 또는 상기 제3 커넥터가 상기 중앙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 단자는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상기 제2 단자 또는 상기 제3 단자와 접촉되도록 누름형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 단자는 적어도 5개의 단자(A1, B1, C1, D1, E1, F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적어도 4개의 단자(A2, B2, C2, D2, E2)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A1)는 상기 단자(A2)에 접속되고, 상기 단자(B1)는 상기 단자(B2)에 접속되고, 상기 단자(C1)는 상기 단자(C2)에 접속되고, 상기 단자(D1)는 상기 단자(D2)에 접속되고, 상기 단자(F1)는 상기 단자(E2)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자는 적어도 4개의 단자(A3, B3, C3, D3, E3)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A1)는 상기 단자(A3)에 접속되고, 상기 단자(B1)는 상기 단자(B3)에 접속되고, 상기 단자(C1)는 상기 단자(C3)에 접속되고, 상기 단자(D1) 및 상기 단자(E1)는 상기 단자(D3)에 접속되고, 상기 단자(F1)는 상기 단자(E3)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단자의 상기 단자(D3)는 상기 단자들(A3, B3, C3, E3)보다 면적이 커서 상기 중앙 단자의 단자(D1) 및 단자(E1)와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재는 마이크로 5핀 USB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USB 듀얼 케이블 장치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USB 삽입부와 접속될 수 있는 제2 커넥터와 USB 메모리 장치와 접속될 수 있는 제3 커넥터가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케이스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자기기의 USB 삽입부와 USB 메모리 장치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어, USB 메모리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본 발명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로 직접 전송할 수 있어, PC 등의 외부 전자기기에 USB 메모리 장치를 연결하고,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PC 등의 외부 전자기기에 전송하고, PC로 전송된 데이터를 종래의 USB 케이블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로 전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즉,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송수신하는 경우에 USB 메모리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PC 등의 외부 전자기기가 필요 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USB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듀얼 케이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몸체부가 180 도 회전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듀얼 케이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몸체부가 180 도 회전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확대한 도면으로 몸체부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확대한 도면으로 몸체부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확대한 도면으로 제2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확대한 도면으로 제2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 또는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중앙 단자부와 제2 커넥터 또는 제3 커넥터와 전기적인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2 또는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중앙 단자부, 제2 커넥터 및 제1 연결부재의 제1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도 2 또는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중앙 단자부, 제3 커넥터 및 제1 연결부재의 제1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USB 삽입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는 PC, 노트북, 아이패드 등을 의미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폰, MP3, PDA 등 휴대용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듀얼 케이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몸체부가 180 도 회전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듀얼 케이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몸체부가 180 도 회전된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확대한 도면으로 몸체부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확대한 도면으로 몸체부의 회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확대한 도면으로 제2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확대한 도면으로 제2 연결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USB 듀얼 케이블 장치(1000)는 USB 삽입부가 형성된 전자기기 또는 USB 메모리 장치와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어,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 삽입부가 형성된 전자기기로 송수신하지 않고, USB 메모리 장치에서 모바일 단말로 직접 송수신할 수 있다.
USB 듀얼 케이블 장치(1000)는 제1 연결부재(1100), 제2 연결부재(1200) 및 케이블(1300)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재(1100)는 모바일 단말의 전원 충전 포트, 데이터 통신 포트 등에 접속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재(1100)의 일단에는 모바일 단말의 전원 충전 포트, 데이터 통신 포트 등의 포트와 전기적 접속이 될 수 있는 제1 커넥터(111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110)는 휴대폰용 24핀의 전용 포트, 마이크로 5핀 USB 커넥터 등이 될 수 있으나, 마이크로 5핀 USB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연결부재(1200)는 전자기기의 USB 삽입부 또는 USB 메모리 장치와 선택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200)는 케이스(1210), 몸체부(1220), 중앙 단자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10)는 일단에 케이블(1300)이 연결되고, 타단에 몸체부(1220)를 회동시켜 수용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ㄷ' 자 형상에 몸체부(1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10)의 'ㄷ' 자 형상의 내부에는 케이블(1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전선, 인쇄회로기판(PCB), 연성회로기판(FPCB) 등의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전선 등은 케이스(1210)의 'ㄷ' 형상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설치된 후술할 중앙 단자부(1230)의 측면을 통하여 중앙 단자부(12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몸체부(1220)는 일단에 전자기기에 형성된 USB 삽입부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1221)가 형성되고, 타단에 USB 메모리 장치와 접속되는 제3 커넥터(1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22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수용부의 양측에 후술할 중앙 단자부(1230)와 체결될 체결구멍(122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220)는 제2 단자(1221-1) 및 제3 단자(12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자(1221-1) 및 제3 단자(1222-1)는 후술할 중앙 단자부(1230)의 중앙 단자(1231)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황동, 금, 구리 등의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자(1221-1)는 후술할 중앙 단자부(1230)와 대향되어 상기 중앙 단자부(1230)를 감싸는 상기 몸체부(1220)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후술할 중앙 단자(1231)와 접촉하여 제2 커넥터(1221)를 중앙 단자부(1230)와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단자(1222-1)는 후술할 중앙 단자부(1230)와 대향되어 상기 중앙 단자부(1230)를 감싸는 상기 몸체부(1220)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후술할 중앙 단자(1231)와 접촉하여 제3 커넥터(1222)를 중앙 단자부(1230)와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부(1220)는 케이스(1210)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제2 커넥터(1221) 또는 제3 커넥터(1222)가 중앙 단자부(12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 단자부(1230)는 몸체부(1220)의 수용부에 수용되고, 몸체부(1220)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210)의 'ㄷ' 형상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외주연에 제2 커넥터(1221) 또는 제3 커넥터(1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2 단자(1221-1) 또는 제3 단자(1222-1)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중앙 단자부(1230) 상의 위치에 중앙 단자(12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 단자부(1230)의 양 측단부에 형성된 돌기는 상기 몸체부(1220)의 체결구멍(1223)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220)와 상대 회전될 수 있고, 상기 돌기의 내부에는 전선 등이 내장되어 후술할 중앙 단자(12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중앙 단자(1231)는 몸체부(1220)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제2 단자(1221-1) 또는 제3 단자(1222-1)와 접촉되도록 누름형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단자(1231)는 상기 제2 단자(1221-1) 또는 제3 단자(122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황동, 금, 구리 등의 도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1300)은 일단은 제1 연결부재(1100)와 타단은 제2 연결부재(1200)와 연결되어 제1 연결부재(1100)와 제2 연결부재(1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USB 듀얼 케이블 장치(100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USB 메모리 장치를 본 발명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1000)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제2 연결부재(1200)에 포함된 제3 커넥터(1222)를 케이블(1300)이 연결된 케이스(1210)의 반대측으로 회전시켜 제3 커넥터(1222)가 외부로 향하게 배치하면, 중앙 단자부(1230)에 형성된 중앙 단자(1231)와 몸체부(1220)에 형성된 제3 단자(1222-1)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제3 커넥터(1222)에 접속된 USB 메모리 장치는 제1 연결부재(1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USB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을 PC 등의 USB 삽입부가 형성된 전자기기에 접속하는 경우에 제2 연결부재(1200)에 포함된 제2커넥터(1221)를 케이블(1300)이 연결된 케이스(1210)의 반대측으로 회전시켜 제2 커넥터(1221)가 외부로 향하게 배치하면, 중앙 단자부(1230)에 형성된 중앙 단자(1231)와 몸체부(1220)에 형성된 제2 단자(1221-1)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커넥터(1221)에 접속된 USB 삽입부가 형성된 전자기기는 제1 연결부재(1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자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로 송신하거나,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 또는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중앙 단자부와 제2 커넥터 또는 제3 커넥터의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의 그림 (a) 및 그림 (b)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1200)의 몸체부(1220)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커넥터(1221)의 제2 단자(1221-1)와 중앙 단자부(1230)의 중앙 단자(1231)를 개시하고 있고, 제2 단자(1221-1)는 적어도 4개의 단자인 A2 단자, B2 단자, C2 단자, D2 단자 및 E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A2 단자, B2 단자, C2 단자 및 D2 단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이고, E2 단자는 금속에 접지하기 위한 접지 단자이다. 도 10의 그림 (a)에서는 접지 단자를 별도의 단자로 표시하였으나, 접지 단자는 별도의 단자가 아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0의 그림 (b)는 제2 연결부재(1200)의 몸체부(1220)의 타단에 형성된 제3 커넥터(1222)의 제3 단자(1222-1)와 중앙 단자부(1230)의 중앙 단자(1231)를 개시하고 있고, 제3 단자(1222-1)는 적어도 4개의 단자인 A3 단자, B3 단자, C3 단자, D3 단자 및 E3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A3 단자, B3 단자, C3 단자 및 D3 단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이고, E3 단자는 금속에 접지하기 위한 접지 단자이다. 도 10의 그림 (b)에서는 접지 단자를 별도의 단자로 표시하였으나, 접지 단자는 별도의 단자가 아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1은 도 2 또는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중앙 단자부, 제2 커넥터 및 제1 연결부재의 제1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110)는 단자들(1, 2, 3, 4, 5, 6)로 형성될 수 있고, 1 단자 내지 5 단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이고, 6 단자는 금속에 접지하기 위한 접지 단자이다.
제1 커넥터(1110)의 1 단자 내지 6 단자는 중앙 단자부(1230)의 중앙 단자의 A1 단자(1' 단자) 내지 F1 단자(6' 단자)와 순차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중앙 단자부(1230)의 중앙 단자는 제2 커넥터(1221)의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중앙 단자의 A1 단자는 제2 단자의 A2 단자에 접속되고, 중앙 단자의 B1 단자는 제2 단자의 B2 단자에 접속되고, 중앙 단자의 C1 단자는 제2 단자의 C2 단자에 접속되고, 중앙 단자의 D1 단자는 제2 단자의 D2 단자에 접속되고, 중앙 단자의 F1 단자는 제2 단자의 E2 단자에 접속된다. 한편, 중앙 단자의 E1 단자는 제2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도 12는 도 2 또는 도 4의 USB 듀얼 케이블 장치의 중앙 단자부, 제3 커넥터 및 제1 연결부재의 제1 커넥터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1110)는 단자들(1, 2, 3, 4, 5, 6)로 형성될 수 있고, 1 단자 내지 5 단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이고, 6 단자는 금속에 접지하기 위한 접지 단자이다.
제1 커넥터(1110)의 1 단자 내지 6 단자는 중앙 단자부(1230)의 중앙 단자 A1 단자(1' 단자) 내지 F1 단자(6' 단자)와 순차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중앙 단자부(1230)의 중앙 단자는 제3 커넥터(1222)의 제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중앙 단자의 A1 단자는 제3 단자의 A3 단자에 접속되고, 중앙 단자의 B1 단자는 제3 단자의 B3 단자에 접속되고, 중앙 단자의 C1 단자는 제3 단자의 C3 단자에 접속되고, 중앙 단자의 D1 단자 및 E1 단자는 제3 단자의 D3 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제3 단자의 D3 단자는 중앙 단자의 D1 및 E1 단자와 동시에 모두 접속되어야 하므로 다른 제3 단자인 A3 단자, B3 단자, C3 단자 및 E3 단자 보다 접촉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중앙 단자의 F1 단자는 제3 단자의 E3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접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USB 듀얼 케이블 장치 1100: 제1 연결부재
1110: 제1 커넥터 1200: 제2 연결부재
1210: 케이스 1220: 몸체부
1221: 제2 커넥터 1221-1: 제2 단자
1222: 제3 커넥터 1222-1: 제3 단자
1223: 체결구멍 1230: 중앙 단자부
1231: 중앙 단자 1300: 케이블

Claims (10)

  1. 모바일 단말에 접속되는 제1 연결부재;
    전자기기의 USB 삽입부 또는 USB 메모리 장치와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일단에 상기 USB 삽입부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USB 메모리 장치와 접속되는 제3 커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소정 위치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양측에 체결구멍이 형성되는 몸체부;
    일단에 상기 케이블이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몸체부를 회동시켜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몸체부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외주면에 상기 제2 커넥터 또는 제3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중앙 단자가 형성되는 중앙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중앙 단자부와 대향되어 상기 중앙 단자부를 감싸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중앙 단자부와 접속시키는 제2 단자; 및
    상기 중앙 단자부와 대향되어 상기 중앙 단자부를 감싸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 단자와 접촉하여 상기 제3 커넥터를 상기 중앙 단자부와 접속시키는 제3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케이스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커넥터 또는 상기 제3 커넥터가 상기 중앙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 단자는,
    상기 몸체부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가압력으로 상기 제2 단자 또는 상기 제3 단자와 접촉되도록 누름형 단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앙 단자는,
    적어도 5개의 단자(A1, B1, C1, D1, E1, F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적어도 4개의 단자(A2, B2, C2, D2, E2)를 포함하며,
    상기 A1 단자는 상기 A2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B1 단자는 상기 B2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C1 단자는 상기 C2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D1 단자는 상기 D2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F1 단자는 상기 E2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자는,
    적어도 4개의 단자(A3, B3, C3, D3, E3)를 포함하고,
    상기 A1 단자는 상기 A3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B1 단자는 상기 B3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C1 단자는 상기 C3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D1 단자 및 상기 E1 단자는 상기 D3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F1 단자는 상기 E3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단자의 상기 D3 단자는,
    상기 단자들(A3, B3, C3, E3)보다 면적이 커서 상기 중앙 단자의 D1 단자 및 E1 단자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마이크로 5핀 USB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듀얼 케이블 장치.
KR1020120021339A 2012-02-29 2012-02-29 Usb 듀얼 케이블 장치 KR10139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39A KR101394027B1 (ko) 2012-02-29 2012-02-29 Usb 듀얼 케이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339A KR101394027B1 (ko) 2012-02-29 2012-02-29 Usb 듀얼 케이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62A KR20130099662A (ko) 2013-09-06
KR101394027B1 true KR101394027B1 (ko) 2014-05-09

Family

ID=4945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339A KR101394027B1 (ko) 2012-02-29 2012-02-29 Usb 듀얼 케이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616B1 (ko) * 2015-12-17 2017-04-19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KR101976824B1 (ko) * 2017-04-11 2019-05-09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KR200491276Y1 (ko) * 2018-03-21 2020-03-12 주식회사 케이포스 휴대 장치용 전기적 연결 케이블 및 이를 채용하는 보조배터리
CN108923213B (zh) * 2018-07-05 2020-10-20 威海薪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线
KR20220000916U (ko) 2020-10-20 2022-04-27 노정수 USB - Rell 케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788Y1 (ko) 2006-12-28 2008-05-06 주식회사 솔로젠 멀티 접속장치
KR100948160B1 (ko) 2008-01-06 2010-03-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788Y1 (ko) 2006-12-28 2008-05-06 주식회사 솔로젠 멀티 접속장치
KR100948160B1 (ko) 2008-01-06 2010-03-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복합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662A (ko) 201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054B1 (ko) 분리 가능한 어댑터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
CN101136528B (zh) 适配器和无线通信模块
US6663420B1 (en) Adapter for exchanging data and transmitting power between PC and portable device
KR101394027B1 (ko) Usb 듀얼 케이블 장치
US20040033727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20040087213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20100264671A1 (en) Latch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874917B1 (ko) Usb 와 sata 공용 인터페이스
US9609098B2 (en) Button-type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M286969U (en) Card reader of memory card type
US6980159B2 (en) Portable electrical device with planar antenna
CN103888873A (zh) 电子装置、uart输出系统及方法
US8111207B2 (en) Antenna structure and related expansion card and computer apparatus
KR200399441Y1 (ko) 멀티 usb 젠더
US20130323951A1 (en) Adaptor for connecting connectors with different interfaces
US20070072491A1 (en) Integrated signal connecting port
US20040185719A1 (en) Signal adaptor for USB and PS/2 connector
KR1011801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CN108206874A (zh) 一种手机壳体
KR20090042375A (ko) 유에스비 플러그, 유에스비 플러그용 에이브이 소켓 및 이를 갖는 유에스비 커넥터 장치
US20070293267A1 (en) Multi-function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KR101047093B1 (ko) Usb 모뎀장치
KR200360118Y1 (ko) Usb 플러그 유니트
KR200217331Y1 (ko) 블루투스칩을 내장하는 정보단말기용 어댑터
KR101053465B1 (ko) 휴대 단말기용 젠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