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107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107B1
KR101180107B1 KR1020050102382A KR20050102382A KR101180107B1 KR 101180107 B1 KR101180107 B1 KR 101180107B1 KR 1020050102382 A KR1020050102382 A KR 1020050102382A KR 20050102382 A KR20050102382 A KR 20050102382A KR 101180107 B1 KR101180107 B1 KR 10118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torage devic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755A (ko
Inventor
박범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107B1/ko
Priority to CNA2006101400914A priority patent/CN1956576A/zh
Publication of KR20070045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외장형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 출력 및 저장이 가능하며, 메모리 카드를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저장용량을 손쉽게 확장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 뿐만 아니라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할 수 있어 데이터의 입, 출력속도가 향상되며, 휴대,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크기,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는 데이터를 입, 출력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커넥터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입, 출력 또는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로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 슬롯이 형성된 메모리 삽입부와, 상기 메모리 삽입부와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소켓부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메모리, 저장장치, 커넥터, 슬롯, 소켓, 컨버터, 케이블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STOR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카드 삽입용 슬롯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롯에 메모리 카드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에 메모리 카드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의 컨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에 컨버터를 연결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11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의 사 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이동통신 단말기 51 : 케이스
54 : 디스플레이부 55 : 단축키
57 : 충전지 58 : 커넥터
59 : 캡 60 : 저장장치
62 : 메모리 삽입부 63 : 메모리 슬롯
65 : 소켓부 70 : 메모리 카드
80 : 컨버터 82 : 제1접속부
84 : 제2접속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세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되어 데이터의 저장용량을 확장할 수 있고, 외부기기로 신속하게 데이터를 입, 출력하거나 및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으로 정보를 통신하는 장치로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일컫는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메일 송수신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음악,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메모리의 저장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의 저장용량을 증가함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체할 경우, 종래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었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의 용량을 손쉽게 증가시킬 수 있고, 교체 사용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20)를 삽입할 수 있는 메모리 슬롯(12)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슬롯(12)에는 캡(13)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모리 슬롯(12)에 메모리 카드(20)가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모리 슬롯(12)을 막아 이물질을 유입을 차단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메모리 카드(20)를 위한 메모리 슬롯(12)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상기 메모리 슬롯(12)의 설치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크기가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슬림화, 소형화 되는 최근의 추세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보다 작은 크기, 규격의 메모리 카드(20)를 삽입하기 위한 메모리 슬롯(12)을 설치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다양한 크기, 규격의 메모리 카드(20)가 사용됨에 따라 기존의 메모리 카드(20)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 규격 의 메모리 카드(20)를 구입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외장형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 출력 및 저장이 가능하며, 메모리 카드를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저장용량을 손쉽게 확장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 뿐만 아니라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할 수 있어 데이터의 입, 출력속도가 향상되며, 휴대,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고, 다양한 크기,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는 데이터를 입, 출력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커넥터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입, 출력 또는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로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 슬롯이 형성된 메모리 삽입부와, 상기 메모리 삽입부와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소켓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켓부와 상기 메모리 삽입부는 유연성있는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메모리 삽입부에는 자성체 또는 자성금속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게 설치된 자성금속 또는 자성체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 삽입부는 자기장을 차폐하기 위한 방자성(Magnetic Shield)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켓부에 결합되는 제1접속부와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제2 접속부가 형성된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접속부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삽입부는 복수의 메모리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슬롯은 CF 카드(Compactflash Card), 마이크로드라이브(Microdrive), SM카드(Smartmedia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SD 카드(Secure Digital), MMC(MultiMediaCard), XD 카드(XD-picture car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을 위해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에 메모리 카드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6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50)에 연결되어 데이터의 입, 출력 및 저장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5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51)의 내부에 이동통신을 위한 각종 전자부품이 설치되고,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4)와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50)는 사용자의 입력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키패드로 이루어진 입력부가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케이스(51)의 측면 등에 설치되어 간단한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단축키(5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50)는 상기 케이스(51)의 하부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지(57)가 장착되고, 일측에는 상기 충전지(57)로 충전전원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입, 출력하기 위해 외부로 노출된 회로를 갖는 커넥터(5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58)는 상기 케이스(51)에 설치된 캡(59)에 의해 출구가 개폐된다.
한편, 상기 저장장치(60)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70)가 삽입되는 메모리 슬롯(63)이 형성된 메모리 삽입부(62)와, 상기 메모리 삽입부(62)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모리 카드(7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시되지 않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삽입부(62)의 일측에는 상기 커넥터(58)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연결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7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50)로 입, 출력하는 소켓부(65)가 형성된다.
상기 소켓부(65)는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커넥터(58)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최근에는 다른 외부 기기와의 범용성을 높이기 위해 24핀으로 이루어진 표준 커넥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 카드(70)는 상기 메모리 삽입부(62)로부터 분리된 후, 별도의 메모리 카드 리더를 통해 외부 기기와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카드(70)는 CF 카드(Compactflash Card), 마이크로드라이브(Microdrive), SM 카드(Smartmedia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SD 카드(Secure Digital), MMC(MultiMediaCard), XD 카드(XD-picture card) 중 어느 하 나일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장치(60)의 메모리 삽입부(62)에 형성된 메모리 슬롯(63)에 메모리 카드(70)를 삽입하면, 상기 메모리 카드(70)의 단자가 상기 메모리 삽입부(62)의 내부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장치(60)의 소켓부(65)를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커넥터(58)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장치(60)가 이동통신 단말기(50)와 접속되면 상기 메모리 카드(70)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저장용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저장장치(60)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7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 출력 또는 저장하거나, 상기 메모리 삽입부(62)의 메모리 슬롯(63)으로부터 상기 메모리 카드(70)를 분리하여 별도의 메모리 카드 리더 등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한 후, 다시 상기 메모리 삽입부(62)의 메모리 슬롯(63)에 삽입하여 데이터를 입, 출력 및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의 컨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에 컨버터를 연결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사시도이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기기와의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외부 기기와 직접 접속되는 컨버터(8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8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소켓부(65)에 결합되는 제1접속부(8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제2접속부(84)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접속부(84)는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 기기에 특화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범용 직렬 버스 소켓이 형성된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 기기와의 호환성을 위해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버터(8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하나인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하는 일례를 설명하면, 컨버터(80)의 제1접속부(82)에 저장장치(60)의 소켓부(65)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상기 컨버터(80)의 제2접속부(84)를 개인용 컴퓨터(90)의 범용 직렬 버스 소켓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저장장치(60)는 상기 컨버터(80)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저장용량을 확장할 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이동성 저장장치(60)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삽입부에 복수의 메모리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11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저장장치(110)는 메모리 삽입부(112)와 소켓부(115)를 갖는다. 또한, 상기 메모리 삽입부(112)에는 동일한 크기, 규격을 지원하는 복수의 메모리 슬롯 (113, 114)이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크기, 규격을 지원하는 복수의 메모리 슬롯(113, 1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메모리 슬롯(113, 114)은 CF 카드(Compactflash Card), 마이크로드라이브(Microdrive), SM카드(Smartmedia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SD 카드(Secure Digital), MMC(MultiMediaCard), XD 카드(XD-picture card) 중 어느 하나의 크기,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지원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장치(110)의 메모리 삽입부(112)는 CF 카드(123)와, SD 카드(124)를 지원하는 메모리 슬롯(113, 1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메모리 슬롯(113, 114)에 CF 카드(123) 또는 SD 카드(124) 중 어느 하나를 삽입하거나, 동시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150)는 메모리 슬롯(153)이 형성된 메모리 삽입부(152)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넥터에 삽입되는 소켓부(155)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와 상기 소켓부(155)는 유연성 있는 케이블(158)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소켓부(155)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형성된 소켓몸체(15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158)은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의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소켓몸체(156)의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장치(150)는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와 상기 소켓부(155)가 분리되어 상기 케이블(158)에 의해 연결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40)에 상기 소켓부(155)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만의 위치를 변경하여 메모리 카드(160)를 삽입 또는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블(158)을 구부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저장장치(150)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0)에 결합한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보관 또는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장치(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에 자성체(154) 또는 자성금속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0)에는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에 설치된 상기 자성체(154) 또는 자성금속과 대응되어 자력에 의해 붙는 자성금속(144) 또는 자성체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장치(150)는 상기 케이블(158)을 구부려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40)의 후면에 접착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는 자기장이 관통하지 못하도록 자기장을 차폐하는 방자성(Magnetic Shield)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가 방자성(Magnetic Shield) 처리됨에 따라 상기 자성체(154)의 자기장에 의해 상기 메모리 카드(160)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모리 삽입부(152)를 방자성(Magnetic Shield) 처리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상기 메모리 삽입부 (152)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160)가 상기 자성체(154)의 자기장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으로 족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 삽입부는 복수의 메모리 슬롯을 갖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고 있으나, 하나의 메모리 슬롯이 복수의 크기,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지원하도록 한 멀티형 메모리 슬롯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접속되어 상기 저장장치에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별도의 내장형 저장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별도로 구성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별도의 메모리 카드 장착용 메모리 슬롯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형화, 슬림화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크기,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체 사용할 경우에도 호환이 가능하여 메모리 카드의 재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는 외부 기기와 직접 접속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입, 출력 또는 저장할 수 있 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는 메모리 삽입부가 유연성있는 케이블에 의해 소켓부와 연결되므로, 상기 메모리 삽입부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메모리 삽입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에 위치된 상태로 할 수 있어 휴대,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 삽입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에 부착, 고정되도록 하여, 휴대, 보관 및 사용을 보관,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데이터를 입, 출력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커넥터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입, 출력 또는 저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로서,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 슬롯이 형성된 메모리 삽입부와,
    상기 메모리 삽입부와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는 소켓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와 상기 메모리 삽입부는 유연성있는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 삽입부에는 자성체 또는 자성금속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응되게 설치된 자성금속 또는 자성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삽입부는 자기장을 차폐하기 위한 방자성(Magnetic Shield)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에 결합되는 제1접속부와 외부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제2접속부가 형성된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부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US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삽입부는 복수의 메모리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슬롯은 CF 카드(Compactflash Card), 마이크로드라이브(Microdrive), SM카드(Smartmedia Card),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SD 카드(Secure Digital), MMC(MultiMediaCard), XD 카드(XD-picture card)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KR1020050102382A 2005-10-28 2005-10-28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KR101180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382A KR101180107B1 (ko) 2005-10-28 2005-10-28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CNA2006101400914A CN1956576A (zh) 2005-10-28 2006-10-18 移动通信终端存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382A KR101180107B1 (ko) 2005-10-28 2005-10-28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755A KR20070045755A (ko) 2007-05-02
KR101180107B1 true KR101180107B1 (ko) 2012-09-06

Family

ID=3806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382A KR101180107B1 (ko) 2005-10-28 2005-10-28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0107B1 (ko)
CN (1) CN19565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260B1 (ko) * 2007-09-03 201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 메모리 소켓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US20130060880A1 (en) * 2011-09-01 2013-03-07 Chengdu Haicun Ip Technology Llc Hybrid Content-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061108A1 (en) * 2011-09-01 2013-03-07 Chengdu Haicun Ip Technology Llc Self-Repair System and Method
CN105045725B (zh) * 2015-08-04 2018-10-26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多存储卡存储实现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755A (ko) 2007-05-02
CN1956576A (zh)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3470B1 (en) IC card-type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20040033726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20040033727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20040087213A1 (en) Plug used for connection with a usb receptacle
US20060164891A1 (en) Removable modules with external I/O flexibility via an integral second-level removable slot
US6916208B2 (en) Memory card reader for electronic devices
EP2782207A1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KR1011801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US20030178486A1 (en) Mobile memory card reader and a fixing base thereof
KR20070065792A (ko) 평면식 카드리더기
US7000054B2 (en) Switch for an electronic apparatus
US2007003212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USB storage card
KR101394027B1 (ko) Usb 듀얼 케이블 장치
EP1605386A2 (en) Radio communication card
US7505277B2 (en) System comprising a slot configurable to receive a device having an interface type that differs from the interface type of the slot
CN206100162U (zh) 一种可扩展的手机壳
JP2007122354A (ja) 周辺機器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US9965664B2 (en) Mobile data collector with keyboard
CN101409734A (zh) 电子装置
KR101097566B1 (ko) 이동 단말기
KR20090000533A (ko) 휴대 단말기
KR10101367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유에스비 포트를 연결하는연결 커넥터
CN202068062U (zh) 便携式数据连接装置
KR20032772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단자 기구
JP3125336U (ja) Usbメモリカードを備えた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