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824B1 -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824B1
KR101976824B1 KR1020170046568A KR20170046568A KR101976824B1 KR 101976824 B1 KR101976824 B1 KR 101976824B1 KR 1020170046568 A KR1020170046568 A KR 1020170046568A KR 20170046568 A KR20170046568 A KR 20170046568A KR 101976824 B1 KR101976824 B1 KR 101976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onnection member
connection
connector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836A (ko
Inventor
정병우
Original Assignee
정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우 filed Critical 정병우
Priority to KR102017004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8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포트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외장기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HARDWARE FUNCTION EXPANSION APPARATUS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외장기기의 하드웨어 기능을 확장시키거나 USB 메모리와 같은 외장 메모리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는 접속포트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포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충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 전송 케이블과 연결되어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용도로도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두리 저면 또는 측면에 마련된다.
하지만, 기존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별도의 메모리 확장공간을 제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부족한 메모리를 보완해주는, USB 메모리와 같은 외장 메모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포트는 구비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외장 메모리를 연결해주는 젠더 등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젠더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포트와 외장 메모리를 서로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USB용 젠더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사용자가 접속포트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충전이나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지 못하였다.
한편, 기존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외장 SD 카드를 통해 자유로운 메모리 확장이 가능했으나, 최근 출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당수가 별도의 메모리 확장 공간을 제공하지 않음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한정된 메모리 저장공간을 보충해주는 OTG USB(On-The-Go USB) 메모리가 관심을 받고 있다.
상기 OTG USB 메모리는 주 컴퓨터의 개입 없이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나 MP3 플레이어와 같은 포터블 장치들 간에서도 동작될 수 있도록 고안된 USB 메모리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 단자와 연결되는 커넥터 USB 메모리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OTG USB 메모리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포트와 연결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충전과 데이터통신을 동시에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젠더나 상기 OTB USB 메모리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포트와 결합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젠더나 OTB 메모리를 장착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휴대하여 이동하거나 다루는 것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젠더나 OTB USB 메모리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배터리, LED 램프, 외장형 스피커, 카드리더기, 외장 카메라 등의 외장기기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포트와 연결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충전이나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43282호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USB 메모리장치의 연결 커넥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장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충전이나 모바일 디바이스와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 등 다향한 복수의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호환 가능하면서도 모바일 디바이스상에서 거추장스럽게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포트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외장기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보조 접속포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데이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는, 상기 보조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접속단자; 및 전원 케이블 또는 데이터 전송 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3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을 향해 회동되었을 시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두리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두리부의 두께와 형상을 감안하여 절곡된 형상이나 커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면에는 점착성 테이프가 마련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면이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의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에 접착 고정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 상에서 의도치 않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보조 접속포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재는, 상기 보조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 및 전원 케이블 또는 데이터 전송 케이블의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4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에 장착된 외장기기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에 장착된 외장기기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된 일단부가 상기 제2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평면상에서 소정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외측상에 외장기기를 연결 가능하게 하며, 또한, 외장기기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충전이나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 및 기타 주변기기를 통한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는, 회동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 상에 밀착된 상태로 모바일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본적인 외관 디자인을 해치지 않을뿐더러 외장 메모리와 같은 외장기기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휴대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테두리부 두께에 대응하여 회동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는, 외장기기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를 테이블이나 식탁 위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재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동영상 시청이나 DMB 시청 및 카메라 촬영의 편의성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가 회동되어 모바일 디바이스를 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데이터 연결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원/데이터 연결부재에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2연결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재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손잡이부재가 제2연결부재에 장착되기 이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손잡이부재에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2연결부재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접속포트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111)가 마련된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결부재(120) 및 상기 제1연결부재(12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외장기기(1)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131)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제1커넥터(111)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테두리 저면이나 테두리 측면에 형성된 접속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120)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을 향해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재(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테두리부와 접촉되는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테두리 형상 및 두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12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곧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10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테두리부의 두께와 형상을 감안하여 중앙부가 절곡된 형상이나 커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연결부재(130)는 상기 제1연결부재(120)의 타단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을 향해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타단 측에는 전술한 제2커넥터(1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커넥터(131)에는 외장기기(1)의 접속단자가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외장기기(1)는 USB 메모리, OTG USB 메모리, SD 카드를 포함한 휴대용 이동식 디스크나, 보조배터리, LED 램프, 외장형 스피커, 카드리더기, 외장 카메라와 같은 주변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장기기(1)가 USB 메모리나 OTG 메모리와 같은 휴대용 이동식 디스크인 것으로 설명 및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제2커넥터(131)와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의 제1커넥터(11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커넥터(111)와 상기 제2커넥터(131)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제2연결부재(130)에 내장된 플렉시블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커넥터(131)에 외장기기(1)가 연결되면, 외장기기(1)와 모바일 디바이스(10) 간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130)에 외장기기(1)가 장착되면, 상기 외장기기(1)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 상에 배치된 상태가 되며, 사용자는 상기 외장기기(1)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메모리를 확장시키거나 상기 외장기기(1)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외장기기(1)가 LED 램프나 외장형 스피커, 외장 카메라 일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0)와 더불어 외장기기(1)의 본래의 기능까지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130)에는 상기 제2커넥터(131)에 장착된 외장기기(1)를 보호하고, 상기 제2커넥터(131) 상에서 외장기기(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재(140)가 마련된다.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제2연결부재(130)에 장착된 외장기기(1)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 상에 배치된 외장기기(1)의 일면을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 제2연결부재(1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140)의 타단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테이블 위나 식탁 위의 평면상에 접촉되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소정의 각도로 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보호부재(140)를 회동시켜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테이블 위나 식탁 위에 거치시킨 뒤,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하여 상기 외장기기(1)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시킬 수도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를 거치시키지 않고 휴대할 시에는, 상기 보호부재(140)를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 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는, 상기 제1연결부재(120)와 상기 제2연결부재(130) 및 보호부재(140)가 회동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0)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테두리부 모서리와 밀착될 수 있는 각도로 회동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부재(13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과 밀착될 수 있는 각도로 회동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는,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모바일(10) 장치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130)에는 전원 케이블 또는 데이터 전송 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보조 접속포트(1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접속포트(133)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연결부재(130)에는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에는 상기 보조 접속포트(133)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접속단자(151)가 저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전원 케이블이나 데이터 전송 케이블의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제3커넥터(15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와 외장기기(1)를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또한,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이 가능토록 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외장기기(1)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시청하면서 상기 제2연결부재(150)에 장착된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에는 자석(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보조 접속포트(133)와 마주하는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 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130)에는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의 자석과 부착되는 금속부재(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금속부재는, 상기 보조 접속포트(133)가 형성된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윗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석과 금속부재는, 상기 보조 접속포트(133)와 상기 제1접속단자(151)가 연결될 시에 상기 제2연결부재(130)와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의 탈착 결합을 용이하게 해준다.
즉,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의 제1접속단자(151)가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보조 접속포트(133)에 삽입되어 연결되면, 자석과 금속부재의 결합력에 의해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150)가 상기 제2연결부재(13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보조 접속포트(133)에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재(16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160)에는 상기 보조 접속포트(133)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2접속단자(163)와, 전원 케이블이나 데이터 전송 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4커넥터(16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16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의 블록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130)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홈부(1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부(161)를 구획하는 상기 손잡이부재(160)의 천장면에는 전술한 상기 제2접속단자(163)가 배치되고, 상기 홈부(161)를 구획하는 상기 손잡부(160)의 한 쌍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135) 삽입되어 걸림되는 돌출턱(167)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홈부(161)에 상기 제2연결부재(130)가 삽입되면, 상기 손잡이부재(160)의 제2접속단자(163)는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보조 접속포트(13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재(160)의 돌출턱(167)이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걸림홈(136)에 삽입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130) 상에서 손잡이부재(1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돌출턱(167)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돌출턱(167)은 상기 손잡이부재(160)에 마련된 슬라이딩 버튼(169)과 연동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걸림홈(135)에 삽입되거나 삽입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버튼(169)은, 손잡이부재(160)에 내장된 도시되지 않은 탄성체 및 상기 돌출턱(167)과 연결되며, 상기 돌출턱(167)을 상기 걸림홈(135)이 형성된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측면방향 또는 측면 반대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 버튼(169)을 손으로 당겨 상기 돌출턱(167)이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측면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홈부(161)에 제2연결부재(130)가 삽입되면 상기 슬라이딩 버튼(169)을 당기던 손을 놓아 상기 돌출턱(167)이 상기 걸림홈(135)이 배치된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손잡이부재(160)와 제2연결부재(130)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재(16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한 동영상이나 DMB 시청을 편리토록 해주며, 그 외,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한 카메라 촬영의 편의성도 제공해준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재(160)에는 전원 케이블이나 데이터 전송 케이블과 연결되는 제4커넥터(16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0)와 외장기기(1)를 상호 연결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배터리를 충전하고, 또한,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와 데이터 전송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에 부착되어 상기 보호부재(140)의 타단부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70)의 일면, 즉,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점착성 테이프(T)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70)의 타면, 즉, 상기 보호부재(140)의 타단부와 마주하는 면에는 결합체(17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체(173)는, 상기 보호부재(140)의 타단부 측에 형성된 결합공(14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체(173) 및 결합공(141)이 십자가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70)와 상기 보호부재(14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보호부재(14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재(170)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 상에 견고히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휴대하는 동안 의도치 않게 상기 보호부재(140)와 상기 제2연결부재(130) 및 제1연결부재(120)가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 반대방향 측으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저면, 즉,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과 마주하는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면상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성 테이프(T)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부재(130)의 저면이 상기 점착성 테이프(T)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과 접착됨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재(130)가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 상에서 의도치 않게 회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외장기기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터리 충전이나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 및 기타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는, 회동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 상에 밀착된 상태로 모바일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본적인 외관 디자인을 해치지 않을 뿐더러 외장장기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의 휴대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는, 다수개의 연결부재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테두리부 두께에 대응하여 회동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는, 외장기기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모바일 디바이스를 테이블이나 식탁 위에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재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동영상 시청이나 DMB 시청 및 카메라 촬영의 편의성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10)를 보호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12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기 제2연결부재(130)가 생략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120)에 외장기기가 바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접속포트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111)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결부재(120)와, 상기 제1연결부재(12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커넥터(111)를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장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커넥터 하우징(110)과 상기 제1연결부재(120)는 상기 외장기기에 마련되는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연결부재(120)에 대해 상기 외장기기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연결부재(120)와 상기 외장기기의 결합 부위에는 힌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장기기의 일면, 즉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과 마주하는 상기 외장기기의 면상에는 점착성 테이프가 마련되어 상기 외장기기가 상기 점착성 테이프에 의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1연결부재(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외장기기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뒷면 상에서 의도치 않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외장기기 10 : 모바일 디바이스
100 :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110 : 커넥터 하우징
111 : 제1커넥터 120 : 제1연결부재
130 : 제2연결부재 131 : 제2커넥터
133 : 보조 접속포트 135 : 걸림홈
140 : 보호부재 141 : 결합공
150 : 전원/데이터 연결부재 151 : 제1접속단자
153 : 제3커넥터 160 : 손잡이부재
161 : 홈부 163 : 제2접속단자
165 : 제4커넥터 167 : 돌출턱
169 : 슬라이딩 버튼 170 : 고정부재
173 : 결합체 T : 점착성 테이프

Claims (7)

  1. 모바일 디바이스의 접속포트와 연결되는 제1커넥터가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
    일단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을 향해 회동되는 제1연결부재; 및
    일단이 상기 제1연결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을 향해 회동되고, 외장기기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2커넥터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을 향해 회동되었을 시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두리부와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테두리부의 두께와 형상을 감안하여 절곡된 형상이나 커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 상에서 의도치 않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뒷면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는 보조 접속포트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데이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데이터 연결부재는,
    상기 보조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제1접속단자; 및
    전원 케이블 또는 데이터 전송 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제3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에 장착된 외장기기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7. 삭제
KR1020170046568A 2017-04-11 2017-04-11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KR101976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68A KR101976824B1 (ko) 2017-04-11 2017-04-11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68A KR101976824B1 (ko) 2017-04-11 2017-04-11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214A Division KR101728616B1 (ko) 2015-12-17 2015-12-17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36A KR20170072836A (ko) 2017-06-27
KR101976824B1 true KR101976824B1 (ko) 2019-05-09

Family

ID=59514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568A KR101976824B1 (ko) 2017-04-11 2017-04-11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704A1 (ko) * 2017-07-19 2019-01-24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용 어댑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616B1 (ko) * 2015-12-17 2017-04-19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027B1 (ko) * 2012-02-29 2014-05-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Usb 듀얼 케이블 장치
KR101546053B1 (ko) * 2014-01-28 2015-08-25 송재훈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616B1 (ko) * 2015-12-17 2017-04-19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36A (ko)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212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rrier with charging system
US9118195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ousing
US9194536B2 (en) Portable foldable cradle
TWI301790B (en) Pocket tool
EP2708974B1 (en) Case for mobile terminal including stylus pen holding means
US20080192410A1 (en) Peripheral Unit Adapted to Variably Sized Handheld Host Devices
US9438295B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detachable cable
TWM514711U (zh) 保護套
US8029302B1 (en) Strap with charging and data transmitting function
US20160277052A1 (en) Modular Portable Power Device
TWM568551U (zh) 具有再充電能力的多重裝置之配件盒
KR200496958Y1 (ko) 홀더 장치를 구비한 스마트폰 탈부착형 보조 배터리 장치
KR101976824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CN206350057U (zh) 一种辅助手机拍摄的手机遥控手柄及其拍摄系统
KR101728616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US11152036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rotective cover
US9112368B1 (en) Charger with strap for securing cord
US11537029B2 (en) Gimbal handle and gimbal having same
KR101655922B1 (ko) 손목 시계형 단말기의 충전장치
JP3155732U (ja) ストラップ型データケーブル
US20120057293A1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Docking Station
KR101669018B1 (ko) 유에스비 충전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30130921A (ko) 거치대를 구비한 휴대용 충전지
TWM431612U (en) Electronic facility protection cover with charge cable
WO2019014986A1 (zh) 电子设备保护壳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