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844B1 -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844B1
KR101668844B1 KR1020160039298A KR20160039298A KR101668844B1 KR 101668844 B1 KR101668844 B1 KR 101668844B1 KR 1020160039298 A KR1020160039298 A KR 1020160039298A KR 20160039298 A KR20160039298 A KR 20160039298A KR 101668844 B1 KR101668844 B1 KR 101668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roll
charging
charging circuit
main body
charg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일곤
Original Assignee
황일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일곤 filed Critical 황일곤
Priority to KR1020160039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6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for releasably or permanently attaching the frame to a wall, on a floor or on a pos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쉽게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는 전원선(30)이 연결된 충전회로(40),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된 충전케이블(50)이 구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을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USB충전기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사용이 편리하고, 분실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socket having recharging function}
본 발명은 손쉽게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구비된 콘센트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매입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원선(30)이 연결되는 전극(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플러그(1)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의 바닥면에는 플러그(1)에 구비된 레그부재(2)가 삽입되는 삽입공(12)이 형성된다.
상기 전극(2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삽입공(12)에 대응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삽입공(12)에 상기 레그부재(2)가 삽입되도록 플러그(1)를 결합홈(11)에 삽입하면, 상기 레그부재(2)가 상기 전극(20)과 접촉되어, 상기 전원선(30)을 통해 공급되는 사용전원이 상기 플러그(1)의 레그부재(2)로 인가되도록 한다.
이러한 콘센트의 구조는 일반적인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늘어가고 있다.
특히, 다양한 사람들이 묵는 숙박업소의 경우, 고객의 편의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에 사용되는 USB충전기를 고객에게 대여하는 경우가 많이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숙박업소에서 고객에게 USB충전기를 대여할 경우, 분실의 가능성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USB충전기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고객에게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는 USB플러그를 꽂을 수 있도록 된 USB단자가 형성되어, USB충전기에 구비된 USB플러그를 상기 USB단자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개특허 20-2016-0000406호, 등록실용신안 20-018550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쉽게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에 매입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원선(30)이 연결되는 전극(20)을 포함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전원선(30)이 연결된 충전회로(40)와, 기단부는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며 선단부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USB단자에 연결되는 USB플러그(51)가 구비된 충전케이블(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부에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되는 권취롤(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권취롤(60)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권취롤(60)이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0)와, 상기 권취롤(60)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6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권취롤(6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61)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6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권취롤(60)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6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슬라이드블록(90)과,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되는 전원선(3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전원선(30)을 통해 상기 충전회로(40)로 공급되는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은 사용자가 상기 충전케이블(50)을 당겨 권취롤(60)이 정회전되면 전진되고, 상기 탄성부재(70)에 의해 권취롤(60)이 역회전되어 상기 전원케이블이 권취롤(60)에 권취되면 후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원스위치(100)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이 후퇴되면 가압되는 푸쉬버튼(101)이 구비되어 상기 푸쉬버튼(101)이 눌리면 상기 전원선(30)을 통해 충전회로(4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는 전원선(30)이 연결된 충전회로(40),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된 충전케이블(50)이 구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을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USB충전기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사용이 편리하고, 분실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센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의 배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를 도시한 것으로, 벽면에 매입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원선(30)이 연결되는 전극(20)이 구비된 것은 종래의 콘센트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플러그(1)를 결합할 수 있도록 된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의 바닥면에는 플러그(1)에 구비된 레그부재(2)가 삽입되는 삽입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2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삽입공(12)에 대응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전원선(30)이 연결된 충전회로(40)와, 기단부는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된 충전케이블(50)과,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부에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되는 권취롤(60)과, 상기 권취롤(60)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권취롤(60)이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0)와, 상기 권취롤(60)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6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80)과, 상기 권취롤(60)에 연결된 슬라이드블록(90)과,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되는 전원선(30)의 중간부에 구비된 전원스위치(100)가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충전회로(40)는 상기 전원선(30)을 통해 공급되는 220V의 교류전원을 5V의 직류전기로 변환하여 상기 전원케이블로 출력하는 기능을 하다.
상기 충전케이블(50)은 휴대용 단말기의 USB단자에 연결되는 USB플러그(51)가 선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USB플러그(51)를 휴대용 단말기의 USB단자에 꽂으면, 상기 충전회로(40)에서 출력된 전기가 휴대용 단말기로 인가되어 휴대용 단말기가 충전되도록 한다.
상기 권취롤(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정역회전됨으로써, 둘레부에 권취된 충전케이블(50)이 풀려나가거나, 충전케이블(50)이 둘레부에 권취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권취롤(60)의 양측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61)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1)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지지대(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권취롤(60)에는 상기 충전케이블(50)의 기단부와 전원선(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전식 커넥터(6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케이블(50)은 상기 권취롤(60)에 권취된 상태에서 기단부가 상기 회전식 커넥터(62)를 통해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되며, 선단부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관통공(14)을 통해 본체(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롤(60)이 정역회전되더라도, 상기 충전케이블(50)은 상기 회전식커넥터(62)를 통해 상기 충전회로(40)에 지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권취롤(60)의 둘레부에는 상기 고정수단(80)이 맞물리는 래칫(6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61)의 일단은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나사산(61a)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산(61a)은 우나사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회전축(61)의 일단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며 외측단이 상기 본체(10)에 고정된 태엽을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충전케이블(50)의 선단부를 당겨 상기 권취롤(60)이 정회전되면 상기 탄성부재(70)는 압축되어, 상기 권취롤(60)이 역방향, 즉,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롤(60)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물체에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하는 태엽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수단(8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고정부재(81)와, 상기 고정부재(81) 연결된 스프링(8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81)는 중간부를 관통하는 힌지축(81a)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권취롤(60)의 래칫(63)에 맞물리는 걸림턱(81b)이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상기 본체(10)의 외측으로 연장된 푸쉬버튼(81c)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82)은 상기 고정부재(81)의 걸림턱(81b)이 상기 권취롤(60)의 래칫(63)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재(81)가 회동되도록 가압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충전케이블(50)의 선단부를 당겨 권취롤(60)이 도 3에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정회전되면, 상기 래칫(63)에 의해 고정부재(81)의 걸림턱(81b)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권취롤(60)이 회전되며 상기 충전케이블(5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면, 상기 걸림턱(81b)이 래칫(63)과 맞물려 권취롤(6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81)의 푸쉬버튼(81c)을 누르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81)가 회동되면서 상기 래칫(63)과 걸림턱(81b)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권취롤(60)이 반시계방향으로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을 권취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은 상기 권취롤(60)의 회전축(61)에 나사결합된 것으로, 일측이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회전축(61)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레일부(1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롤(60)이 정회전되면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은 상기 회전축(61)을 따라 전진되며, 상기 권취롤(60)이 역회전되면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은 상기 회전축(61)을 따라 후퇴된다.
상기 전원스위치(100)는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이 후퇴되면 가압되는 푸쉬버튼(101)이 구비되어, 상기 푸쉬버튼(101)이 눌리면 상기 전원선(30)을 통해 충전회로(4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충전케이블(50)을 본체(10)의 외측으로 당기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60)이 정회전되면서 충전케이블(50)이 풀려 나오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충전케이블(50)에 구비된 USB플러그(51)를 휴대용 단말기의 USB단자에 꽂아 충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권취롤(60)은 상기 고정부재(81)에 의해 역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은 전진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이 완료되어, 사용자가 상기 고정부재(81)의 푸쉬버튼(101)을 누르면, 상기 고정부재(81)의 고정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7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권취롤(60)이 역회전되면서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롤(60)에 권취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은 회전축(61)을 따라 후퇴되며,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롤(60)에 완전히 권취되면,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이 완전히 후퇴되면서 상기 전원스위치(100)의 푸쉬버튼(101)을 눌러서, 상기 전원선(30)을 통해 충전회로(4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는 전원선(30)이 연결된 충전회로(40),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된 충전케이블(50)이 구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을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하여 충전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USB충전기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사용이 편리하고, 분실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부에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되는 권취롤(60)과, 상기 권취롤(60)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권취롤(60)이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0)와, 상기 권취롤(60)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6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80)이 구비되어, 충전을 하지 않을 때는 상기 충전케이블(50)을 상기 권취롤(60)에 권취하여 수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권취롤(60)의 회전축(6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권취롤(60)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6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슬라이드블록(90)과,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되는 전원선(3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전원선(30)을 통해 상기 충전회로(40)로 공급되는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이 상기 권취롤(60)에 권취된 상태, 즉, 충전케이블(50)을 이용하여 충전을 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전원선(30)을 통해 충전회로(4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충전케이블(50)에 의한 대기전력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충전회로(40)는 충전을 하지 않더라도, 일정량의 대기전력을 소비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충전을 하지 않을 때는 상기 충전회로(4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20. 전극
30. 전원선 40. 충전회로
50. 충전케이블 60. 권취롤
70. 탄성부재 80. 고정수단
90. 슬라이드블록 100. 전원스위치

Claims (4)

  1. 벽면에 매입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전원선(30)이 연결되는 전극(20)을 포함하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전원선(30)이 연결된 충전회로(40)와,
    기단부는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되고 선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며 선단부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USB단자에 연결되는 USB플러그(51)가 구비된 충전케이블(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부에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되는 권취롤(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권취롤(60)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권취롤(60)이 회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0)와,
    상기 권취롤(60)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롤(6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롤(60)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61)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61)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권취롤(60)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축(6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슬라이드블록(90)과,
    상기 충전회로(40)에 연결되는 전원선(3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전원선(30)을 통해 상기 충전회로(40)로 공급되는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은 사용자가 상기 충전케이블(50)을 당겨 권취롤(60)이 정회전되면 전진되고, 상기 탄성부재(70)에 의해 권취롤(60)이 역회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50)이 권취롤(60)에 권취되면 후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원스위치(100)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90)이 후퇴되면 가압되는 푸쉬버튼(101)이 구비되어 상기 푸쉬버튼(101)이 눌리면 상기 전원선(30)을 통해 충전회로(4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39298A 2016-03-31 2016-03-31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KR101668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298A KR101668844B1 (ko) 2016-03-31 2016-03-31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298A KR101668844B1 (ko) 2016-03-31 2016-03-31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844B1 true KR101668844B1 (ko) 2016-10-24

Family

ID=5725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298A KR101668844B1 (ko) 2016-03-31 2016-03-31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56A (ko) * 2020-10-13 2022-04-20 노진호 케이블 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500Y1 (ko) 1999-11-09 2000-06-15 김상국 절전용 콘센트
JP2003317548A (ja) * 2002-04-26 2003-11-07 Yasue Masao 携帯機器類用電源コード装置
CN201570704U (zh) * 2009-06-02 2010-09-01 温州大学 带充电伸缩线的墙壁插座
CN201766249U (zh) * 2010-08-23 2011-03-16 夏宝良 一种设有usb伸缩延长线的插座
KR20160000406U (ko) 2014-07-25 2016-02-03 유남희 전기콘센트와 멀티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500Y1 (ko) 1999-11-09 2000-06-15 김상국 절전용 콘센트
JP2003317548A (ja) * 2002-04-26 2003-11-07 Yasue Masao 携帯機器類用電源コード装置
CN201570704U (zh) * 2009-06-02 2010-09-01 温州大学 带充电伸缩线的墙壁插座
CN201766249U (zh) * 2010-08-23 2011-03-16 夏宝良 一种设有usb伸缩延长线的插座
KR20160000406U (ko) 2014-07-25 2016-02-03 유남희 전기콘센트와 멀티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56A (ko) * 2020-10-13 2022-04-20 노진호 케이블 릴 장치
KR102493377B1 (ko) * 2020-10-13 2023-01-27 노진호 케이블 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5543B2 (en) Wall socket having connecting module and wall switch having connecting module
US7910834B2 (en) Energy saving cable assemblies
US7212420B2 (en) Universal serial bus voltage transformer
US7425132B2 (en) Power adaptor with retractable plug
US7755323B2 (en)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automatic winding mechanism
US20140253038A1 (en) Mobile devices and cases with built-in power supplies
US7516343B2 (en) Enhancements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of brick power adapters
US6909259B2 (en) Battery charger with power cord reel
US20130244475A1 (en) Wall outlet with retractable usb charging cable connected to a usb port within a wall
US20130320925A1 (en) Charger and charging assembly having the same
US20130082543A1 (en) Portable power supply
CN105874669B (zh) 对电子设备充电的可收回线缆卷盘
US20140306661A1 (en) Convenient Docks for Directly Charging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10355424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GB2525754A (en) Wall socket having connecting module and wall switch having connecting module.
TWM329280U (en) Portable power supply module with wire-coiling structure
KR101668844B1 (ko)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US20030036312A1 (en) Adapting head having a charging mechanism
TWM487569U (zh) 整合保護及變壓充電功能之行動電源
US20090191737A1 (en) Electrical power supply device, and connector
KR100606780B1 (ko) 단말기 충전용 어댑터의 dc 플러그
CN220732397U (zh) 便携式移动电源
CN211404844U (zh) 一种可以给手机充电的插排
CN208656433U (zh) 移动电源
CN212783936U (zh) 一种具有伸缩功能的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