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580B1 - 전원 일괄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일괄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580B1
KR101017580B1 KR1020100060828A KR20100060828A KR101017580B1 KR 101017580 B1 KR101017580 B1 KR 101017580B1 KR 1020100060828 A KR1020100060828 A KR 1020100060828A KR 20100060828 A KR20100060828 A KR 20100060828A KR 101017580 B1 KR101017580 B1 KR 101017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module
terminal
power supply
powe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열
Original Assignee
더베스트 주식회사
유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베스트 주식회사, 유기열 filed Critical 더베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Landscapes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 모듈; 상기 스위칭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어 결합하는 백 보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모듈은, 상기 스위칭 모듈이 상기 백 보디에 수납될 때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이 상기 백 보디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전기통로의 역할을 하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원 일괄제어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collectively}
본 발명은 전원 일괄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식 스위칭 모듈을 구비하여 스위칭 모듈의 고장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전원 일괄제어 장치에 관련한다.
전원 일괄제어 장치는 배전반의 후단에 연결되고 스위칭 기능을 구비하여 댁내의 모든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거나, 가스를 일괄적으로 차단 또는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령, 사용자는 외출시에 전원 일괄제어 장치의 스위치, 예를 들어 점등 버튼이나 가스공급 버튼을 이용하여 댁내의 모든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가스를 차단하고, 외출 후 돌아와서는 점등버튼이나 가스공급 버튼을 다시 눌러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외출 전 상태로 점등하고 가스를 공급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는 통상 전자식 스위칭 모듈을 구비하는데, 말 그대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온/오프 스위치 또는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스위치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통상, 전자식 스위칭 모듈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전자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다양한 원인에 의해 오작동하거나 고장이 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런데, 문제는 전자식 스위칭 모듈이 전원 일괄제어 장치의 하나의 구성부분을 이루며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화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오작동하거나 고장이 나는 경우, 전원이 일괄적으로 소등된 상태에서 복귀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댁내에 공급되는 전원이 일괄적으로 차단되어 궁극적으로 전원 일괄제어 장치 자체를 교체하지 않는 한,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최악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가스공급 및 차단을 위한 전원 일괄제어 장치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동작이나 고장의 경우에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적어도 전원은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원 일괄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 모듈; 상기 스위칭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어 결합하는 백 보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모듈은, 상기 스위칭 모듈이 상기 백 보디에 수납될 때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이 상기 백 보디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전기통로의 역할을 하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고정되는 전원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자는 입력 전원 라인에 직접 연결되는 제 1 입력 고정단자와 판 스프링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 2 입력 고정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단자는 출력 전원 라인에 직접 연결되는 제 1 출력 고정단자와 판 스프링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 2 출력 고정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입력 및 제 1 출력 고정단자에는 가동단자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상기 릴리즈 키는 상기 입력 및 출력 전원 라인이 상기 백 보디에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동단자와 상기 전원회로기판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단자가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모듈은, 사각 링 형상의 스위치 케이스;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LED가 실장된 LED 회로기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LED 회로기판 위에 장착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 위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와 결합하는 터치 패널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 모듈은, 사각 링 형상의 스위치 케이스;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표면에 LED가 실장되고 이면에 상기 가동단자에 접촉하여 회동시키는 스프링 접촉단자가 돌출된 LED 회로기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LED 회로기판 위에 장착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 위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와 결합하는 터치 패널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위칭 모듈은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스위칭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댁내의 모든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거나(스위칭 모듈이 조명용인 경우), 가스를 일괄적으로 차단 또는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스위칭 모듈이 가스공급 온 오프용인 경우), 스위칭 모듈 자체가 고장이 난 경우에는, 스위칭 모듈을 백 보디로부터 분리하여 인출하더라도, 입력라인으로 공급된 전원은 전원회로기판을 거쳐 그대로 출력라인을 통하여 댁내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일괄제어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원 일괄제어 장치에 스위칭 모듈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전원공급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원 일괄제어 장치에서 스위칭 모듈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 예에서는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갖지 않는 단순한 스위칭 소자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일괄제어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원 일괄제어 장치에 스위칭 모듈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시한 것처럼, 전원 일괄제어 장치는 스위치 커버(10), 전원공급모듈(200), 벽체에 매립되는 백 보디(back body; 80) 및 백 보디(80)에 수납되는 스위칭 모듈(100)로 이루어진다.
백 보디(80)는 수납공간(85)이 형성된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며, 백 보디(80)가 벽체에 형성된 수납 홈에 매립된 상태에서 백 보디(80)에 형성된 볼트 구멍(82, 84)에 락 볼트(lock bolt; 93, 94)를 끼워 벽체에 고정한다.
백 보디(80)의 내부 측벽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위칭 모듈(100)의 스위치 케이스(6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86)가 형성된다.
백 보디(80)에 형성된 수납공간(85)에는 전원공급모듈(200)이 수납되는데, 전원공급모듈(200)은 전원회로기판(70)과 외부 전원선에 연결되는 다수의 커넥터 부품(91, 92)으로 이루어진다.
전원회로기판(70)의 이면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부품(72)이 실장되고, 전원회로기판(70)을 관통하여 표면과 이면으로 돌출하는 고정단자(74, 75)(174, 175)가 각각 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고정단자(74, 174)의 전원회로기판(7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단부에는 접촉 편(74a, 174a)이 설치되고, 고정단자(75, 175)의 전원회로기판(7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단자(75, 175)의 단부에는 가동단자(76, 176)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가동단자(76, 176)의 중간 부분에는 접촉 편(76a, 176a)이 설치된다.
또한, 가동단자(76, 176)의 접촉 편(76a, 176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전원회로기판(70)에 고정되는 스프링(77, 177)이 설치된다.
전원회로기판(70)의 이면 측에서 가동단자(76, 176)가 결합하지 않은 고정단자(74, 174)와 백 보디(80)에 끼워지는 전원선(1a, 1b) 사이에는 판 스프링(91, 191)이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선(1a, 1b)을 백 보디(80)에 고정하거나 푸는 릴리즈 키(92, 192)가 적용된다.
여기서, 전원선(1a, 1b)은 한 쌍의 입력 전원 라인(1a)과 한 쌍의 출력 전원 라인(1b)으로 구성된다.
한편, 스위치 커버(10)에는 스위칭 모듈(100)에 대응하는 크기의 개구(12)가 형성되며, 백 보디(80)의 전면에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칭 모듈(100)은, 사각 링 형상의 스위치 케이스(60) 내에 LED 회로기판(50), 스페이서(40), 터치 패널(30)이 순차 적층되고, 가장 위에 터치 패널 커버(20)가 스위치 케이스(60)와 결합하여 구성된다.
스위치 케이스(60)는 사각 링 형상으로 측벽을 따라 다수의 걸림 홈(62, 66)이 형성되는데, 걸림 홈(62)은 터치 패널 커버(2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고, 걸림 홈(66)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백 보디(8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또한, 스위치 케이스(60)의 내부 측벽 하단을 따라 다수의 걸림 턱(64)이 형성되어, LED 회로기판(50)을 지지한다.
LED 회로기판(50)의 표면에는 대향하는 양측에 커넥터(52, 53)가 실장되고, 터치 패널 커버(20)에서 빛이 방출되는 아이콘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LED(54)가 실장된다. 또한, LED 회로기판(50)의 이면 일측에는 두 쌍의 스프링 접촉단자(56)가 돌출된다.
LED 회로기판(50) 위에는 터치 패널(30)이 적층되는데, 이들 사이에는 간격 유지를 위한 탄성 재질의 스페이서(spacer; 40)가 개재되며, 주로 터치 패널 커버(20)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가 이루어지는 부분, 가령 아이콘이 형성된 부분에 설치된다.
LED 회로기판(50) 위에 적층되는 터치 패널(30)에는 LED(54)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통과하도록 개구(32)가 형성된다.
터치 패널(30) 위에는 대략 0.5㎜ 정도 이격되어 터치 패널 커버(20)가 적층되며, 일부분에 양면 테이프를 적용하여 상호 접착시킬 수 있다. 터치 패널 커버(20)에는 LED(54)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통과하는 위치에 다양한 무늬의 아이콘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 커버(20)의 대향하는 양측의 하단에는 일체로 걸림돌기(22)가 형성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 케이스(60)의 결합 홈(62)에 결합한다.
도 4는 도 1의 전원 일괄제어 장치에서 스위칭 모듈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각 구성을 결합하면, 도 3과 같이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는 스위칭 모듈(100)과 전면에 스위치 커버(10)가 결합한 백 보디(80)로 구분된다.
따라서, 스위칭 모듈(100)을 백 보디(80)에 수납하여 끼우면, 전원 일괄제어 장치로 기능하여 댁내의 모든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거나, 가스를 일괄적으로 차단 또는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스위칭 모듈(100) 자체가 고장이 난 경우에는, 스위칭 모듈(100)을 백 보디(8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전원공급모듈(200)을 통하여 전원이 통하도록 함으로써 댁내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전원공급모듈 부분을 구체적으로 모델링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스위칭 모듈(100)을 백 보디(80)의 수납공간(85)에 끼우면, LED 회로기판(50)의 스프링 접촉단자(56)가 전원회로기판(70)의 가동단자(76, 176)의 접촉 편(76a, 176a)을 누르고, 그 결과 고정단자(74, 174)와 가동단자(76, 176)는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칭 모듈(100)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댁내의 모든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하거나(스위칭 모듈이 조명용인 경우), 가스를 일괄적으로 차단 또는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스위칭 모듈이 가스공급 온 오프용인 경우).
가령, 사용자는 외출시에 전원 일괄제어 장치의 스위칭 모듈, 예를 들어 점등 버튼이나 가스공급 버튼을 이용하여 댁내의 모든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가스를 차단하고, 외출 후 돌아와서는 점등버튼이나 가스공급 버튼을 다시 눌러 조명등을 일괄적으로 외출 전 상태로 점등하거나 가스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칭 모듈(100) 자체가 고장이 난 경우에는, 스위칭 모듈(100)을 백 보디(80)로부터 분리하여 인출하는데, 이때 가동단자(76, 176)는 스프링(77, 177)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하여 고정단자(74, 17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 LED 회로기판(50)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전원 일괄제어 기능을 수행하지는 못하지만, 입력 전원 라인(1a)으로 공급된 전원은 전원회로기판(70)을 거쳐 그대로 출력 전원 라인(1b)을 통하여 댁내에 공급된다.
따라서, 스위칭 모듈(100)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댁내에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단순히 스위칭 기능을 갖는 스위칭 모듈을 예로 들었지만,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구비한 전원 일괄제어 기능을 갖는 콘센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 스위치 커버
20: 터치 패널 커버
30: 터치 패널
40: 스페이서
50: LED 회로기판
60: 스위치 케이스
70: 전원회로기판
80: 백 보디
100: 스위칭 모듈
200: 전원공급모듈

Claims (6)

  1. 사용자 조작에 의해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 모듈;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구비하는 전원공급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이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어 결합하는 백 보디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모듈이 상기 백 보디에 수납될 때 상기 스위칭 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모듈이 상기 백 보디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스위칭 모듈은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통하여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고정되는 전원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자는 입력 전원 라인에 직접 연결되는 제 1 입력 고정단자와 판 스프링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 2 입력 고정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단자는 출력 전원 라인에 직접 연결되는 제 1 출력 고정단자와 판 스프링을 개재하여 연결되는 제 2 출력 고정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입력 및 제 1 출력 고정단자에는 가동단자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와 상기 전원회로기판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상기 가동단자가 탄성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사각 링 형상의 스위치 케이스;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LED가 실장된 LED 회로기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LED 회로기판 위에 장착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 위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와 결합하는 터치 패널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사각 링 형상의 스위치 케이스;
    상기 스위치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표면에 LED가 실장되고 이면에 상기 가동단자에 접촉하여 회동시키는 스프링 접촉단자가 돌출된 LED 회로기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LED 회로기판 위에 장착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 위에 장착되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와 결합하는 터치 패널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모듈은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일괄제어 장치.
KR1020100060828A 2010-06-25 2010-06-25 전원 일괄제어 장치 KR101017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28A KR101017580B1 (ko) 2010-06-25 2010-06-25 전원 일괄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28A KR101017580B1 (ko) 2010-06-25 2010-06-25 전원 일괄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580B1 true KR101017580B1 (ko) 2011-02-25

Family

ID=4377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828A KR101017580B1 (ko) 2010-06-25 2010-06-25 전원 일괄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5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617B1 (ko) * 2020-07-16 2020-09-28 김주열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
KR102162903B1 (ko) * 2019-08-09 2020-10-21 주식회사 스페셜원 차량 제어 장치
KR102226955B1 (ko) * 2020-09-18 2021-03-11 유제록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 연결 장치용 유압라인 자동 연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260Y1 (ko) * 1988-09-09 1992-09-17 미요시 도시오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JPH11288634A (ja) 1998-04-03 1999-10-19 Omron Corp スイッチ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スイッチ取り付け用治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260Y1 (ko) * 1988-09-09 1992-09-17 미요시 도시오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JPH11288634A (ja) 1998-04-03 1999-10-19 Omron Corp スイッチ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スイッチ取り付け用治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903B1 (ko) * 2019-08-09 2020-10-21 주식회사 스페셜원 차량 제어 장치
WO2021029515A1 (ko) * 2019-08-09 2021-02-18 주식회사 스페셜원 차량 제어 장치
KR102160617B1 (ko) * 2020-07-16 2020-09-28 김주열 벽부형 터치식 스위치
KR102226955B1 (ko) * 2020-09-18 2021-03-11 유제록 중장비 또는 산업용 기계와 작업장치 연결 장치용 유압라인 자동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2688C (zh) 组合操作开关组件
JP5945607B2 (ja) 電源接続構造装置
TWI569541B (zh) 電源插座
US9054464B1 (en) Power supply connection structure device
KR101517386B1 (ko) 스위치
WO2015145959A1 (en) Switch device
KR101017580B1 (ko) 전원 일괄제어 장치
US7715179B2 (en) Power supply for a computer device
KR20080079057A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JP3210768U (ja) 非常検知用コンセントパネルの保安灯
KR20010047847A (ko) 전원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시스템 및전원 스위치 입력 처리 방법
JP2012015106A (ja) 家屋及びビルディングシステムの技術制御部材としての押しボタン
CN104576099B (zh) 一种开关电器的手动操作机构
KR20160007918A (ko)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JP2013511796A (ja) 端キャップスイッチを備えた懐中電灯
JP2010055844A (ja) 換気扇スイッチ
KR101610331B1 (ko) 벽면 매립형 대기전력 차단 콘센트
WO2010125764A1 (ja) カード装置及びその電力供給方法
CN203367072U (zh) 一种多用途发光门铃开关
WO2015145960A1 (en) Switch device
KR20170000324U (ko)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CN202034322U (zh) 一种万能式断路器
US8066523B1 (en) Power socket device having switches
CN112768309A (zh) 一种具有防触电功能的断路器
KR200285071Y1 (ko) 거치형 비상손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