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260Y1 -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260Y1
KR920006260Y1 KR9210728U KR920010728U KR920006260Y1 KR 920006260 Y1 KR920006260 Y1 KR 920006260Y1 KR 9210728 U KR9210728 U KR 9210728U KR 920010728 U KR920010728 U KR 920010728U KR 920006260 Y1 KR920006260 Y1 KR 920006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switch
housing
switch assembly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10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쯔시 기구찌
요시유끼 다쯔오
Original Assignee
미요시 도시오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272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5124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요시 도시오, 마쓰시다 덴꼬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요시 도시오
Priority to KR9210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 유닛 스위치 조립체의 연결 덮개판 조립체와 함께 도시된 확대 사시도.
제2도는 덮개판 조립체로서 도시한 상기 스위치 조립체의 전면도.
제3도는 덮개판 조립체를 갖춘 상기 스위치 조립체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4-4)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제5도는 저면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의 확대 사시도.
제6도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의 저면부의 확대사시도.
재7도는 조작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스위치 조립체의 전면도.
제8도는 조작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 스위치 조립체의 측면도.
제9도는 조작핸들이 분리된 상태에서 스위치 조립체의 단면도.
제10도는 조작핸들과 연결작동자가 제거된 상태에서 스위치 조립체의 상면도.
제11도는 스위치 조립체의 1스위치 기구의 접검부의 사시도.
제12도는 스위치 조립체의 내부 배선도.
제13도는 덮개 조립체를 갖춘 스위치 조립체를 벽에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멀티유닛스위치 조립체, 특히 다수 스위치기구와 예컨대 조명 회로등을 각각 제어작동하기 위한 각각의 조작핸들을 갖춘 벽부착 스위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USP 3,562,468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의 개별 스위치 모듈이 장착 브래킷상에 설치된 다수 멀티유닛스위치 조립체가 제안되어 왔다.
종래 스위치 조립체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개별스위치 모듈은 개별스위치 기구를 수납하기 위한 개별적 하우징을 필요로 한다. 이들 하우징은 2이상의 스위치가 공통장착 브래킷상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중부재로 되어 결과적으로 이에 대응하는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더우기 개별스위치 모듈이 장착 브래킷상에 독립적으로 장착해야 하므로 스위치 모듈 특히 조작핸들을 정확히 배열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스위치 모듈이 서로 밀접하게 배열될때 조작핸들이 서로 걸려서 스위치핸들의 동작성을 크게 감소시키며, 더우기 핸들의 난잡상은 외관상 불쾌한 느낌을 준다. 따라서 멀티유닛스위치 조립체는 더 작은 수의 이중부재를 가지며, 더 작은 공간을 차지하여, 조작핸들을 보다 징확히 배열할 것을 요망한다. 상기 문제는 독특한 구성의 멀티유닛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에서 재거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멀티유닛스위치는 스위치 기구의 대응하는 수만큼을 각각 그안에 수납하는 다수 구획으로 분할된 단일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스위치기구 각각은 개별적으로 스위치 접점과 접점을 개폐하기 위하여 하우징내에서 잠김가능한 작동자를 포함한다. 대응하는 수의 조작핸들이 작동자 각각과 조작핸들 사이에서 스냅접속을 실행하는 스프링 캐치에 의하여 작동자와 각각 분리가능하게 접속되어 조작핸들이 접점을 개폐하는 대응작동자와 함께 잠금 가능하다. 다수스위치 기구를 수납하기 위한 단일 하우징을 제공함으로 인하여 다수 스위치 기구 각각에 대하여 별개로 하우징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2중으로 동일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제거하고, 전체스위치 조립체의 크기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열에 의하여 스위치 기구와 조작핸들은 단일 하우징에 대하여 정확히 배열할 수 있어서, 개별 스위치 기구가 장착 브래킷 또는 유사 지지 부재상에독립적으로 장착해야만 하는 개별 하우징내에 각각 수납한다면 발생할 수도 있는 조작핸들의 혼란스런 배열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같은 조작핸들의 배열에 의하여 조작핸들이 서로 가까이 있을때에도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아울러 외관상 아름다움을 일으킨다. 더우기 조작핸들이 작동자의 스프링 캐치와 스냅 접속함으로써 스위치기구의 작동자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기 때문에 조작핸들은 스위치 조립체가 연결벽 또는 전면판과 함께 벽 또는 유사지지면상에 설치될때 최종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것은 스위치 조립체의 하우징이 조작핸들에 접속되기 전에 적당한 전면판과 함께 벽에 부착되는 것이 허용되어 조작핸들과 전면판 사이에 구조적 제한을 감소하고, 미감의 관점에서 조작핸들과 전면판 모두에 대하여 설계상 신축성을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조작핸들의 정확한 배열을 확보하고 설치공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더우기 미적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소형화가 가능한 멀티유넛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조작핸들은 각각이 편평하고 넓은 판 형태이며 밀접하게 배열되어 있어서 조작핸들이 하우징과 스위치 기구를 이면에 가리어 조작핸들만이 노출되도록 함이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이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기구가 스위치 접점에 접속된 전기회로의 특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램프를 포함한다. 표시램프는 작동자와 스프링 캐취하부에 위치된다. 연결된 조작핸들이 투명창을 갖춘 작동자가 접속된 지점에 형성되어 램프가 작동자, 캐치 스프링 및 회로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창을 통하여 볼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위치 기구에 수용된 표시램프가 조작 핸들과 작동자의 접속부에 제공되는 투명창을 통하여 관찰하는 멀티유닛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표시램프로부터 조작핸들의 투명창으로 관찰통로를 만들기 위하여 작동자는 위측이 열리어 있으며, 대향측벽, 대향단벽 및 투명부를 갖는 저면벽을 갖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태로 제공되며, 다른 한편에 스프링 캐치가 개구를 갖는 수평부재에 의해 접속된 한쌍의 캐치다리와 함께 U형 형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표시램프로부터의 빛은 스프링 캐치의 개구와 작동자의 투명저면과 조작핸들의 투명창을 통해 진행가능하다. 캐치 다리의 각각은 조작핸들의 대응 돌기와의 결합용인 덴트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분리가능한 스냅 접속이 조작핸들의 돌기와 스프링 캐치의 리세스 사이에 이루어지도록 탄성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표시램프가 작동자와 스프링 캐치 및 조작핸들을 통하여 보일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스프링 캐치와 작동자를 이용하는 한편, 조작핸들과 작동자 사이에 분리가능한 스냅 접속을 이루는 멀티유닛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우징은 접점과 작동자를 각각 수납하는 몸체와 상부덮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와 상부 덮개는 스위치 조립체의 설치를 위한 벽표면에 고정하기에 적합한 장착브래킷의 사용에 의하여 동시에 고정된다. 장착브래킷은 상부 덮개에 걸쳐 위치되며, 조작핸들에 분리접속을 위해 장착 브래킷을 통하여 노출되는 개별 작동자를 가진 상부 덮개가 몸체와 장착브래킷 사이에 유지되도록 몸체에 스크류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스위치조립체는 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도록 제공함이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한 다음 실시예의 다음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에서 전면판(90)과 판프레임(95)으로 구성되는 덮개판 조립체와 함께 벽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본 고안의 멀티유닛스위치 조립체가 도시된다. 스위치 조립체(10)는 3개의 스위치 기구와 3분리형 핸들(70)을 그 안에 수납한 단일 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20)은 직사각형 몸체(25)와 이에 대응하는 형태의 상부덮개(21)로 구성되며, 이들은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되고, 상부덮개(21) 위에 위치한 장착 브래킷(80)의 대응공(82)에 관통되도록 몸체(25)와 상부덮개를 통해 연장한 스크류(29)에 의하여 함께 고정된다. 장착브래킷(80)은 창(81)을 가지는 금속형으로 제조되며, 이 창을 통하여 상승중앙부(22)가 연장되어 있으며, 사용시 판프레임(95)에 걸쳐 위치되며 예컨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개구(110)에 설치된 배선박스(100)에 나사(84)에 의해 고정되어 스위치조립체(10)는 벽개구(110)의 전방에만 위치하는 전면부를 갖추고 있는 한편 판프레임(95)은 벽개구(110)를 포위한다. 장착브래킷(80)에는 스크류(84)가 배선박스(100)에 연결시키기 위하여 연장된 확장공(85)이 각각 상하단부에 형성된다. 판프레임(95)는 내측으로 뻗힌 상하 플랜지(96)을 구비하여 형성되고,장착 브래킷(80)의 상하부에 대응공(83)에 각각 결합되는 플랜지(96)상의 포스트(97)에 의하여 장착브래킷(80)의 상하부를 수용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25)는 일체격벽(26)에 의하여 3개의 구획으로 나뉘며,3구의 각각은 각 스위치 기구의 스위치 접점부와 관련 부품을 수용한다. 유사하게,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 덮개(21)는 일체횡단벽(23)에 의하여 3부분으로 나뉘어지고, 각각은 3스위치 기구의 각각의 작동자(50)를 수용한다. 작동자(50)는 접점에 동작적으로 연결되며, 상부 덮개(21)내에 두개의 접점동작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다. 각 스위치기구의 스위치 접점부는 각 접점피스(31A,32A)를 갖춘 한쌍의 제1 및 제2고정 접점부재(31,32)와 반대측에 접점피스(33A)를 갖춘 가동접점바아(33)를 포함한다. 가동접점바아(33)는 공통단자 기능의 한쌍의 단자 텅(35B)을 갖는 공통단자부재(35)로부터 일체로 또는 분리하여 형성되는 수평편(34)상의 하단에서 피봇 지지된다. 따라서 가동접점바아(33)는 편(34)를 통하여 공통단자부재(35)와 전기 접속되며, 제1 및 제2접점피스(31A, 32A) 사이에서 피봇 이동을 위해 작동자(50)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제1 및 제2단자 기눙의 단자텅(31A, 32A)은 제1 및 제2접점부재(31,32)에 각각형성된다. 그립스프링(36)은 단자텅(31B,32B,35B)의 각각과 연결되어 몸체(25)에 수용되어 몸체(25)의 저면에 있는 개별포트(27)를 통하여 도입되는 개별 전기 코드 또는 와이어와의 접속용 단자 그립을 형성한다. 릴리스 슬라이더(37)는 각 그립스프링(36)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릴리스 슬라이더(37)가 몸체(25)의 저면에 개별 슬롯(28)을 통하여 삽입된 스크류드라이버의 팁(tip)등의 외부기구에 의하여 그립스프링(36)의 상측으로 힘이 가해질때 그립스프링(36)을 이완하도록 작동한다. 각 스위치 기구의 모든 이들 부재(31 내지 37)는 표시램프(41)를 갖춘 인쇄기판(40)과 함께 몸체(25)의 각각의 개별 구획내에 수용된다. 표시램프(41)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당한 저항기(R1, R2)를 갖춘 제1 및 제2단자(31B,32B) 양단에 접속된다.
제1 및 제2단자(31B,32B)는 공통단자(35B)가 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직접 부하에 또는 다른 스위치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접속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표시램프(41)는 제1 및 제2단자(31B,32B)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부하에 전원이 단절될때 온될 수 있다. 스위치 기구중 하나는 인쇄판(40)상에 전류 변압기(43)를 통하여 공통단자부재(35)에 결합된 발광 다이오드(LED)(42)를 추가로 포함하여 LED(42)는 부하가 접속될때 온되도록 한다. 각 인쇄판(40)은 인쇄판(40)과 간섭없이 작동자(50)에 가동접점바아(33)가 접속될수 있도록 가동접점바아(33)에 관하여 수평적으로 편의된 위치내에 몸체(25)의 대응 구획내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작동자(50)는 플라스틱물질로 제조되며, 제5도와 재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향측벽(51), 대향단벽(52), 그의 중심에 투명판(54)을 구비한 저면(53)을 갖는 상부 개구된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직사각형 프레임은 상부덮개(21)의 내부에 형성된 3부분의 각각에 꼭끼이는 치수로 되어 있다. 각 작동자(50)의 저면(53)에서 하향하여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투명판(54)에서 측면으로 편의되어 있으며, 센터스프링(56)을 그 내부에수용하는 중공스템(55)은 가동접점바아(33)의 상단을 번갈아 수용한다. 작동자(50)의 대향측벽(51)에 형성된 피봇돌기(57)는 작동자(50)가 각 리세스(24)의 대응 점단에서 피봇 지지되는 각 돌기(57)의 상부점단에 의해 요동가능하도록 상단 덮개(21)의 각부의 측벽내의 대응 리세스(24)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이때에 오버센터스프링(56)은 작동자(50)를 상측으로 밀어서 작동자(50)가 상부 덮개(21) 내의 소정위치에 정확히 유지되도록 한다. 작동자(50)의 요동운동은 오버센터 스프링(56)을 통하여 전달되어 접점바아(33)는 접촉개폐용의 제1 및 제2접촉피스(31A,32A) 사이를 오버센터방식으로 이동된다. 각 조작핸들(70)과 분리가능 접속을 위한 캐치스프링(60) 이 각 작동자(50)에 끼워진다. 캐치스프링(60)은 작동자(50)의 투명판(54)과 정렬되어 있는 개구(63)를 갖춘 수평면(62)에 의하여 접속된 대향다리(62)를 갖는 U형상으로 되어 있다. 수평면(62)의 코너에 작동자(50)내에 캐치스프링(60)을 확고히 지지하기 위하여 작동자(50)의 저면(53)의 대응슬릇(58)에 각각 가압에 의해 끼워진 하향 앵커태브(64)가 형성되어 있다. 캐치 스프링(60)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작핸들(70)측상에 형성된 래치돌기(72)와 분리 가능한 스냅 접속을 위한 덴트(65)를 갖춘 대향 다리(61)에 형성된다. 각 조작핸들(70)의 후방상에 중앙으로 돌기한 것은 캐치 스프링(60)의 대향 다리(61) 사이의 작동자(50)내에 끼워진 중공 직사각형 플러그(71)이다. 상기 래치돌기(72)는 플러그(71)의 대향단벽상에 형성된다. 이점에서 캐치스프링(60)의 다리는 조작핸들(70)의 플러그(71)가 작동자(50)에 하향으로 힘이 가해질때 대응하는 래치돌기(72)를 덴트(64)속으로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정도로 외축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탄력적으로되어 그후에 다리(62)는 래치돌기(72)와 탄성적인 내부 잠금 결합으로 되거나 또는 복원된다. 따라서 조작핸들(70)은 접촉개폐를 위하여 요동가능하도록 작동자(50)의 각각에 쉽게 부착된다.
조작핸들(70)의 제거는 조작핸들(70)에 당김힘을 가하여 행해져, 캐치스프링(60)의 다리(61)는 래치돌기(72)가 덴트(64)에서 분리되도록 유사방법으로 탄성적으로 외부로 굴곡된다. 조작핸들(70)에 주어진 분리 가능한 스냅접속때문에 스위치 조립체의 하우징(20)은 조작핸들(70)없이 그러나 전면판(90)과 같이 벽에 설치될수 있으며, 그후에 조작핸들(70)이 전면판(90)의 중앙개구(91)를 통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것은 제1도와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작핸들(70)은 가지런한 배열을 위해 서로 밀접하게 인접하여 위치되고, 전면판(90)을 장착 브래킷(80)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배후 스크류(92)를 숨기는 역할을 하도록 넓고 평편한 구조도 설계될수 있음을 의미한다.
스크류(92)는 전면판(90)내에 보유되며 장착브래킷(80)에 대응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86)에 결합된다. 이같은 접속에서 전면판(90)은 스위치 조립체(10)의 장착 브래킷(80), 하우징(20) 및 판프레임(95)의 전체 전면부를 숨길수 있어서, 조작핸들(70)을 적소에 배치하여 외관상 심미감을 일으킨다. 각 조작핸들(70)의 플러그(71)는 또한 작동자(50)에 관하여 조작핸들(70)의 정확한 위치 선정을 위하여 작동자(50) 대향측벽(51)의 상단에 형성된 대응노치(59)에 각각 결합한 위치선정돌기(73)와 함께 대향측벽상에 형성됨으로써 수직축에 대하여 조작핸들(70)의 바람직하지 못한 각 변위를 제거한다. 따라서 조작핸들(70)은 정확한 위치에 유지되며 제1도와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밀접히 배열되어 있는 정도로 큰 치수로 설계되어 있을때 조차 요동운동에 있어서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투명피스(75)는 조작핸들(70)을 관통하는 상부 렌즈부에 플러그(71)내에서 끼워져서 작동자(50)의 저면에 있는 캐치 스프링(60)의 저면 개구 및 투명판(54)과 수직으로 정렬되는 투명창을 확정하도록 네온램프(41) 및/또는 LED(42)로 부터의 빛이 스위치가 접속된 전기회로의 특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보일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각 스위치 기구가 접점은 개폐하기 위해 하우징내에서 요동 가능한 스프링 캐치를 갖춘 개별작동자와 개별접점을 구비하며, 대응하는 수의 상기 스위치기구를 그안에 수용하는 다수의 구획으로 분할된 단일 하우징, 상기 스위치 기구의 수와 대응하며. 각각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작동자와 함께 요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프링캐치와 스냅결합에 의해 각 스위치기구의 상기 작동자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된 다수의 조작핸들, 그리고 상기 스위치기구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작동자와 상기 스프링 캐치 아래에 위치되는 표시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핸들은 상기 작동자와의 접속부에 투명창을 가진 표시램프를 포함한 상기 스위치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자 상기 캐치 스프링 및 상기 투명창을 통해 상기 표시램프가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닛스위치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는 대향측벽, 대향단벽 및 저면벽을 갖는 상부 개구된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태로되어 있으며, 상기 저면벽은 투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캐치는 개구와 함께 수평부재에 의해 접속된 한쌍의 다리로 구성되는 U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다리는 상기 조작핸들과 분리가능한 스냅 결합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조작핸들, 상기 작동자의 투명저부 및 상기 작동자의 개구가 상기 표시램프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닛스위치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평편한 넓은 판의 형태인 상기 조작핸들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기구를 숨기기위하여 밀접하게 인접해 있는 형태로 거의 동일한 평면에 밀접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닛스위치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평편한 넓은 판의 형태인 상기 조작핸들이 그것의 인접 에지 사이에 거의 간극이 없게하도록 밀접하게 인접해 있는 형태로 거의 동일한 평면에 밀접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유닛스위치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접점과 상기 작동자를 수납하는 몸체와 상부덮개로 구성되며, 상기스위치 조립체는 더우기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장착하기 위하여 벽 표면에 고정하기 적합한 장착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브래킷은 그것을 통해 노출된 상기 작동자를 갖춘 상기 상부덮개에 걸쳐 위치되며, 상기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와 장착 브래킷 사이에 상기 상부 덮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유닛스위치 조립체.
KR9210728U 1988-09-09 1992-06-16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KR920006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10728U KR920006260Y1 (ko) 1988-09-09 1992-06-16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7223 1988-09-09
JP63227223A JP2605124B2 (ja) 1988-09-09 1988-09-09 スイッチ
KR1019890013057A KR900005510A (ko) 1988-09-09 1989-09-09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KR9210728U KR920006260Y1 (ko) 1988-09-09 1992-06-16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057A Division KR900005510A (ko) 1988-09-09 1989-09-09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260Y1 true KR920006260Y1 (ko) 1992-09-17

Family

ID=2733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10728U KR920006260Y1 (ko) 1988-09-09 1992-06-16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2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580B1 (ko) * 2010-06-25 2011-02-25 더베스트 주식회사 전원 일괄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580B1 (ko) * 2010-06-25 2011-02-25 더베스트 주식회사 전원 일괄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6168A (en) Multi-unit switch assembly
JPH08249013A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GB2375891A (en) Rocker switch
KR920006260Y1 (ko) 멀티-유닛 스위치 조립체
US3743805A (en) Lighted actuator assembly
US4355216A (en) Electric switch
US4949229A (en) Light-bulb holding device for household appliances
JP3020252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KR200471780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GB2190800A (en) Electric plug with switch, fuse and neon lamp
JP2906278B2 (ja)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3069007B2 (ja) 照光式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H02284319A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H067742Y2 (ja) パチンコ機のランプ表示器
JP2731392B2 (ja) スイッチ
JP3275262B2 (ja) 表示装置
JP3617151B2 (ja) 電気機器の発光素子収納構造
JPH11273535A (ja) 端子台用の通電表示装置
GB2310084A (en) Electrical switches
JP2847924B2 (ja)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3826650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JP2642618B2 (ja) 表示灯装置
JPH0451383Y2 (ko)
JPH0628960U (ja) タブレットスイッチ
JP2858870B2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