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324U -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 Google Patents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324U
KR20170000324U KR2020150004747U KR20150004747U KR20170000324U KR 20170000324 U KR20170000324 U KR 20170000324U KR 2020150004747 U KR2020150004747 U KR 2020150004747U KR 20150004747 U KR20150004747 U KR 20150004747U KR 20170000324 U KR20170000324 U KR 201700003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guide
guide
relay
upper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국남
김응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4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324U/ko
Publication of KR20170000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3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방향 조립 방지를 위한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조립 방지를 위한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는 가동부가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일측면에 조립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또는 외부 모듈에 결합될 때 역방향의 조립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with Assembling Guide}
본 고안은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역방향 조립 방지를 위한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 또는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자립형 직류 릴레이의 내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의 내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상부 부분의 내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는 영상기기나 음향기기 모듈 등 외부의 상위 모듈에 장착되어 쓰이는 것을 말하고, 자립형 직류 릴레이는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붙인 명칭이다.
도 1의 자립형 직류 릴레이와 도 2의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의 내구 구성은 동일하다.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내부 구성은 아크 챔버(7) 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3)과 가동접점(4), 그리고 상기 가동접점(4)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접점부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가동접점(4)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5)를 포함한다. 또한, 접점부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Arc)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영구자석(6a,6b)이 아크 챔버(7)의 전,후면에 구비된다.
한편, 자립형 직류 릴레이와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에는 상기 구성물들을 수용하는 케이스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케이스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자립형 직류 릴레이의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2)은 모두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의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에 있어서는 하부프레임(12)이 상부프레임(11)의 내부에 수용되어 하부프레임(12)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의 상부프레임(11)에는 하부에 장착구(11a)가 구비되어 외부 모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구(11a)는 볼트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제어하기 위한 영구자석(6a,6b)의 기능을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고정접점(3) 중에서 하나는 (+)의 극성, 다른 하나는 (-)의 극성을 갖는다. 아크 챔버(2a)의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영구자석(6a,6b)은 자기장(B)을 발생시키게 되고, 자기장(B)은 통전시 한 쌍의 고정접점(3)에 흐르는 전류(+I, -I)와 상호 작용하여 차단 시 발생하는 아크를 외부로 밀어내는 힘(+F, -F)으로 작용해 접점부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직류 릴레이에서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정해져 있으므로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이 하부 프레임 또는 외부 모듈에 결합될 때 극성의 방향에 맞게 조립이 되어야 한다. 또한, 자립형 직류 릴레이와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가 외부 모듈이나 부하 등의 주변기기와 연결되는 경우에도 극성에 맞게 바른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야 한다.
요약하면, 상부프레임(1)이 하부프레임(2)에 결합되는 경우나 상부프레임(11)이 외부 모듈에 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극성의 방향에 맞게 조립이 되어야 하는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이러한 조립시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 또는 외부 모듈에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 극성의 맞지 않는 오조립을 방지하도록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방향 조립 방지를 위한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는 가동부가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측면에 조립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또는 외부 모듈에 결합될 때 역방향의 조립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파지홈 또는 파지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 가이드의 바닥면은 엠보싱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 가이드는 단차 형성되는 이중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립 가이드의 측면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조립 가이드에 대응하는 결합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가이드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는 크기가 서로 같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에 이르는 거리와 상기 전면으로부터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에 이르는 거리는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의 측면에 조립 가이드가 구비되어 외부 모듈이나 하부 프레임에 결합시킬 때 전극 방향에 맞지 않게 조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가이드를 잡는 것 만으로 극성 방향을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가이드는 하부프레임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에 결합됨으로써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결합력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가이드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결합 가이드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고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립형 직류 릴레이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류 릴레이의 상부 부분의 내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는 가동부(미도시)가 설치되는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20)에는 일측면에 조립 가이드(25)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0) 또는 외부 모듈(30)에 결합될 때 역방향의 조립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으로 구성된 접점부,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제어하고 소호하기 위한 아크 소호부, 가동접점을 동작시키기 위한 가동부를 포함하며 가동부는 보빈에 권선되는 코일과 보빈의 중심에 설치되는 고정코어, 고정코어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접점을 움직이게 하는 샤프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부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는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영상기기나 음향기기 등의 모듈내 부품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는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이다. 프레임(여기서는 상부프레임(20))의 일부에는 외부 모듈(30)에 결합시킬 수 있는 장착부(21)가 구비되어 있다. 장착부(21)에는 나사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는 나사홀(22)에 체결되는 나사(미도시)를 통해 외부 모듈(3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모듈(30)은 모듈 장착형 직류 릴레이가 일 부품으로 채용되는 상위 시스템일 수 있다.
하부프레임(10)은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0)에는 가동부, 접점부, 아크 소호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0)은 상기 상부프레임(20)의 하면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지면이나 외부 모듈(30)에 놓인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부프레임(20)은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20)의 상면에는 전원이나 부하에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홀(23)이 한 쌍 형성된다. 단자홀(23)에는 한 쌍의 고정단자(24a,24b)가 구비된다. 이 중 하나의 고정단자(24a)는 양극(+)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단자(24b)는 음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단자(24a,24b)의 전극 방향을 유지하고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프레임(20)의 일측면에는 조립 가이드(25)가 마련된다. 조립 가이드(25)는 사용자가 직류 릴레이를 외부 모듈(30)에 설치하기 위해 잡을 때 파지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립 가이드(25)는 파지홈 또는 파지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파지홈으로 이루어진 조립 가이드(25)가 도시되어 있다. 일자홈 형태의 파지홈으로 형성된 조립 가이드(25)가 도시되어 있지만, 식별성과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 가이드(25)의 바닥면은 엠보싱 처리되어 요철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에 쥐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립 가이드(25)는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류 릴레이를 잡은 상태만으로 극성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즉, 촉각으로도 직류 릴레이의 전극의 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외부 모듈(30)에는 전극 방향을 표시하는 극성 부호(3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부호(31)에 의해 직류 릴레이를 장착하기 용이하게 되어 오조립 가능성이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에 적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프레임(120)은 하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프레임(110)은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프레임(110)은 상부프레임(120)의 내부에 포함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는 조립 가이드(125)가 구비된다. 조립 가이드(125)는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부프레임(120)의 하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립 가이드(125)는 단차 형성되는 이중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립 가이드(125)는 평판으로 형성되는 제1평면(125a)과 상기 제1평면(125a)보다 좁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1평면(125a)에 단차 형성되는 제2평면(125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평면(125a)은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면으로 구성되고, 제2평면(125b)은 상부프레임(120)의 측면과 동일한 면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0)에는 상기 조립 가이드(125)에 대응하는 결합 가이드(115)가 형성된다. 결합 가이드(115)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은 상기 제2평면(125b)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프레임(120)이 하부프레임(110)에 결합될 때, 조립 가이드(125)가 결합 가이드(115)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제2평면(125b)이 조립 가이드(125)에 끼워지고, 제1평면(125a)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전극의 극성에 관하여는 전 실시예와 동일하다. 조립 가이드(125)와 결합 가이드(115)가 마련됨에 따라 전원 극성에 일치하도록 상부프레임(120)을 하부프레임(110)에 결합시키고 오조립을 방지하게 된다.
조립 가이드(125)와 결합 가이드(115)는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1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조립 가이드(125)와 결합 가이드(115)가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10)의 양측면에 마련됨으로써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10)의 조립성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5)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6)는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5)는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면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115)는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5)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타측면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116)는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6)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양 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5,126)가 서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상부프레임(120)의 위치를 뒤바꾸어 전극의 방향에 맞지 않게 조립하는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5)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6)는 하부프레임(110)의 전면(111)으로부터 동일하지 않은 거리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면(111)으로부터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5)까지의 거리는 전면(111)으로부터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6)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5)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126)가 전면(111)으로부터 동일하지 않은 거리에 구비되어 전극 방향에 맞지 않게 오조립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고, 조립 가이드(225)만 다르게 형성된다. 조립 가이드(225) 이외의 다른 부분은 이전 실시예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조립 가이드(225)는 상부프레임(120)의 측면에 내,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 가이드(225)에는 측면에 슬라이딩 홈(22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립 가이드(225)는 슬라이딩 홈(226)을 따라 결합 가이드(115)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슬라이딩 홈(226)의 내,외측에 돌출면이 구비되어 상부프레임(120)과 하부프레임(110)의 체결력은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10 하부프레임 20,120 상부프레임
21 장착부 22 나사홀
23 단자홀 24a,24b 고정단자
25,125,126,225 조립 가이드 125a,125b 제1,제2평면
30 외부 모듈 31 극성 부호
111 전면 115,116 결합 가이드
226 슬라이딩 홈

Claims (10)

  1. 가동부가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일측면에 조립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 또는 외부 모듈에 결합될 때 역방향의 조립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파지홈 또는 파지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의 바닥면은 엠보싱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는 단차 형성되는 이중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가이드의 측면에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조립 가이드에 대응하는 결합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가이드는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와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는 크기가 서로 같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으로부터 일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에 이르는 거리와 상기 전면으로부터 타측면에 형성되는 조립 가이드에 이르는 거리는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KR2020150004747U 2015-07-14 2015-07-14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KR201700003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747U KR20170000324U (ko) 2015-07-14 2015-07-14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747U KR20170000324U (ko) 2015-07-14 2015-07-14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324U true KR20170000324U (ko) 2017-01-24

Family

ID=5796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747U KR20170000324U (ko) 2015-07-14 2015-07-14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32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503B1 (ko) 2021-12-16 2022-06-28 (주)감성다는남자 커튼봉 고정장치
KR102503649B1 (ko) 2022-06-22 2023-02-24 (주)감성다는남자 커튼봉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503B1 (ko) 2021-12-16 2022-06-28 (주)감성다는남자 커튼봉 고정장치
KR102503649B1 (ko) 2022-06-22 2023-02-24 (주)감성다는남자 커튼봉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3467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5684650B2 (ja) 電磁接触器
JP6240231B2 (ja) 電磁開閉器
JP5778989B2 (ja) 電磁接触器
US8994482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5876270B2 (ja) 電磁接触器
WO2012157173A1 (ja) 電磁接触器
JP6103489B2 (ja) 直流開閉器の消弧機構、および当該消弧機構を有する直流開閉器並びに直流遮断器
WO2012157217A1 (ja) 電磁接触器
JP6841047B2 (ja) 電磁接触器
US11417484B2 (en) Contactor
WO2012157175A1 (ja) 電磁接触器の消弧室組立方法
CN103534779A (zh) 电磁接触器
KR101694312B1 (ko) 조작 장치 또는 진공 개폐기
KR20150004349U (ko) 직류 릴레이
JP5738209B2 (ja) 電磁継電器
RU2012126657A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й защиты, содержаще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переключающий модуль, управляемый устройством управления с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й катушкой
KR20170000324U (ko) 조립 가이드가 구비된 직류 릴레이
US10290439B2 (en) Permanent magnet assembly for an arc driver assembly and switching device
JP6044927B2 (ja) 直流開閉器および直流遮断器
JP7077890B2 (ja)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CN103871786B (zh) 电磁接触器
JP2005019161A (ja) リレー装置
US11636992B2 (en) Electromagnetic relay including fixed terminal having chamfered shape or movable contact piece having chamfered shape
JP2005019163A (ja) リレ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