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977B1 -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977B1
KR101655977B1 KR1020160082291A KR20160082291A KR101655977B1 KR 101655977 B1 KR101655977 B1 KR 101655977B1 KR 1020160082291 A KR1020160082291 A KR 1020160082291A KR 20160082291 A KR20160082291 A KR 20160082291A KR 101655977 B1 KR101655977 B1 KR 101655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peration knob
pressing
seesaw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열
Original Assignee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2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Abstract

전원 라인의 온/오프 상태가 안정적으로 전환되어 조작감 및 구동신뢰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전원측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측에 슬라이드관부가 구비된 케이스부; 상기 슬라이드관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승강조작되는 조작노브부; 상기 조작노브부의 하단부에 힌지 체결되되, 한 쌍의 가압돌기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하향 돌설되며 제1탄성복귀수단에 의해 힌지 회전각도가 탄발 복귀되는 회전연동부; 상기 회전연동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의 힌지 회전방향과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는 슬라이드경사부의 하측으로 연장돌기부가 돌설된 시소작동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시소작동부의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각 부하측 연결라인 중 하나에 교번하여 접속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치{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라인의 온/오프 상태가 안정적으로 전환되어 조작감 및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용품, 전기장치 및 전기설비 같은 전기 응용품에 불필요한 경우 외에 전기 스위치는 필수적이다. 이때, 공지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스위치 중에서 푸시버튼(push-button) 스위치와 로커(rocker) 스위치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로커 스위치는 서로 다른 선택적인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선택적인 안정 동작 위치들 사이에서 토글(toggle)될 수 있는 로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 스위치는 누른 후에 떼는 것과 같이 순차적인 간단한 선형 동작에 의해 선형으로 구동되는 푸시버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로커형 스위칭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푸시버튼 구동형 스위치도 이미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한 쌍의 회로라인 중 하나를 교번하여 연결하는 전환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계단의 상하, 베란다나 거실 등 떨어진 위치에서 하나의 전기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두개의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가압을 위한 푸시버튼, 회로 사이의 연결을 전환하는 스위칭 기구, 푸시버튼의 동작을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에 적합한 동작으로 변환하는 구동변환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변환수단은 스위칭 기구에 연결되어 스위칭 기구의 횡방향 구동력을 제공하는 로커부재와, 상기 푸시버튼의 하부에 구비되어 횡방향으로 탄발 이동되는 슬라이드작동부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로커부재의 상면부 양측에는 한쌍의 쐐기형 돌출헤드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재의 하면부 양측에는 상기 각 연결돌기에 대응되는 한쌍의 가압돌기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상기 푸시버튼의 하강시 상기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연결돌기 중 하나가 돌출헤드 중 하나의 내측면을 따라 다른 돌출헤드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이동된 위치에서 다른 돌출헤드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로커부재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복잡한 과정으로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돌출헤드 사이의 간격과 로커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연결돌기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설계되는 경우에만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전체적인 스위치의 구조 변경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위칭 기구의 모드 변환시 로커부재의 회전각도가 미세하게 어긋난 경우에도 로커부재의 돌출헤드 사이에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연결돌기가 걸려 로커부재의 회전 내지는 슬라이드작동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이 불가능해지므로 고장이 잦아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2990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 라인의 온/오프 상태가 안정적으로 전환되어 조작감 및 구동신뢰성이 개선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전원측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측에 슬라이드관부가 구비된 케이스부; 상기 슬라이드관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승강조작되는 조작노브부; 상기 조작노브부의 하단부에 힌지 체결되되, 한 쌍의 가압돌기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하향 돌설되며 제1탄성복귀수단에 의해 힌지 회전각도가 탄발 복귀되는 회전연동부; 상기 회전연동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의 힌지 회전방향과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는 슬라이드경사부의 하측으로 연장돌기부가 돌설된 시소작동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시소작동부의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각 부하측 연결라인 중 하나에 교번하여 접속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연동부는 상기 조작노브부의 하강시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 중 어느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경사부의 상면부 일측에 우선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힌지 회전되되, 상기 슬라이드경사부의 상면부에는 중앙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되 외측단부에 스토퍼단턱이 상향돌설된 한 쌍의 구배면부와, 상기 한 쌍의 구배면부 사이에 단차지게 함몰된 가압홈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는 상기 스토퍼단턱과 상기 가압홈부의 단차진 테두리에 각각 접촉 구속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회전연동부의 일측에는 반경방향으로 복원돌기가 돌설되며,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복원돌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는 외력에 의해 누름조작되며 하면부에 누름돌기가 돌설된 푸시버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작노브부를 탄발적으로 승강 복귀시키는 제2탄성복귀수단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조작노브부의 하단부에 힌지 체결된 회전연동부에 한 쌍으로 돌설된 가압돌기부가 상기 시소작동부의 상승된 상면에 대칭형성된 구배면부 중 어느 일측의 내측단 및 외측단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가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작은 힘으로도 명확한 스위칭 구동이 가능하다.
둘째, 상기 회전연동부는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 중 하나가 상기 시소작동부의 상승된 일측 상면부에 우선 접촉된 후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힌지 회전됨에 의해 각 단부가 상기 구배면부의 내측단 및 외측단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므로 부드러운 조작감을 통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조작노브부의 승강조작을 위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연동부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연동부가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회전 복귀될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스위칭 구동에도 명확한 교번접속이 이루어져 구동신뢰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100)는 케이스부(10), 조작노브부(20), 회전연동부(30), 시소작동부(40) 및 스위칭부(6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스위치(100)는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에 구비되는 푸시버튼부(70)를 누른 후 떼는 것과 같은 간단한 선형 동작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푸시버튼부(70)의 일회 가압시 2개의 부하측 연결라인 중 하나가 전원측 연결라인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부(70)의 재가압시 다른 부하측 연결라인이 전원측 연결라인과 연결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이때, 전원측 연결라인은 전원 혹은 전기장치에 연결되는 전선을 의미하며,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은 전기장치 내지는 다른 스위치와 연결되는 전선을 의미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각 부하측 연결라인에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2개의 전기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2개의 전기장치가 교대로 교번되어 켜지는 스위칭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위치는 하나의 전기장치에 전기를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해 하나의 부하측 연결라인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전원측 연결라인(2)과 하나의 전기장치(1)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3)의 일단부측(3a)은 상기 한 쌍의 스위치(100a,100b)를 연결하도록 쌍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스위치(100a,100b)의 조작에 따라 상기 부하측 연결라인(3)의 일단부측(3a)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장치(1)가 온/오프될 수 있다. 즉, 일측 스위치(100a)를 눌러 전기장치(1)의 전원을 켜고 타측 스위치(100b)를 눌러 상기 전기장치(1)를 끄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10)는 본체부(11)와 커버부(1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본체부(11)는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부가 개구되고 상기 전원측 및 부하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며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에는 후술되는 상기 시소작동부(40)가 힌지 체결되는 제2힌지회동부(15)가 형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2힌지회동부(15)는 상기 커버부(12)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는 절연 및 내연 재질로 구비되어 상호 체결되는 구성부품 간의 합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의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부품이 일정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구성부품의 설치 및 고정을 위한 구획프레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2)는 상기 본체부(11)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되, 중앙부에는 상기 케이스부(10)의 상측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라이드관부(1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관부(13)는 상측방향으로 개구되되, 내측 하면부(13a)에는 후술되는 상기 회전연동부(30)가 관통배치되는 관통부(13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12) 역시 절연 및 내연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1)와의 상호 대향측에 각각 형성된 제1체결돌기(11a)와 제1체결홈(12a)이 상호 후크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손쉽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관부(13)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노브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작노브부(20)는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슬라이드관부(13)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조작되며 후술되는 상기 회전연동부(30)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관부(13)에는 승강방향을 따라 승강가이드홈(14)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노브부(20)의 외곽테두리에는 상기 승강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이 구속되는 승강돌기(21)가 돌설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작노브부(20)의 하면과 상기 슬라이드관부(13)의 내측 하면부(13a) 사이에는 상기 조작노브부(20)에 가해지는 외력의 제거시 상기 조작노브부(20)를 탄발적으로 승강 복귀시키는 제2탄성복귀수단(2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은 상기 조작노브부(20)의 모서리측을 각각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위치의 사이즈에 따라 판스프링(도 5의 223)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조작노브부(20)는 누름조작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의 탄발지지력에 의해 항상 상기 슬라이드관부(13)의 상단부측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관부(13)의 내측 하면부(13a)에는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의 단부가 정렬구속되는 구속홈(1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노브부(20)를 반복적으로 누름조작하더라도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이 이탈됨을 방지하므로 상기 스위치(100)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노브부(20)의 하단부에 상기 회전연동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연동부(30)는 상기 조작노브부(20)의 하측에 구비된 제1힌지회동부(22)에 힌지 체결되되, 한 쌍의 가압돌기부(31)가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하향 돌설된다.
이때, 상기 회전연동부(30)의 초기위치(A)는 상기 제1힌지회동부(22)를 중심으로 각각의 가압돌기부(31a,31b)가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부(20)가 외력에 의해 누름조작되면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는 상기 제1힌지회동부(22)를 중심으로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 또는 타측방향을 향하도록 힌지 회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연동부(30)의 하측에는 상기 시소작동부(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시소작동부(40)는 상기 회전연동부(30)의 단부가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힌지 회전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시소운동되는 슬라이드경사부(41)와,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하측으로 돌설된 연장돌기부(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연동부(30)의 단부라 함은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의 단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시소작동부(40)는 상기 제2힌지회동부(15)에 힌지 체결되되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양단부 중 어느 일측은 상승되고 타측은 하강되도록 시소운동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연동부(30)는 상기 조작노브부(20)의 하강시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 중 어느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상승된 상면부 일측에 우선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힌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연동부(30)의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상면부 일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힌지 회전되어 가압력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시소작동부(40)가 상기 제2힌지회동부(15)를 중심으로 시소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상면부에는 중앙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진 한 쌍의 구배면부(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구배면부(42)의 각 외측단부에는 스토퍼단턱(43)이 상향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한 쌍의 구배면부(42) 사이에는 단차지게 함몰된 가압홈부(4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a,31b)의 각 단부가 상기 구배면부(42)의 외측단부에 돌설된 상기 스토퍼단턱(43)과 상기 가압홈부(44)의 단차진 외곽테두리(44a)를 각각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힌지회동부(15)를 중심으로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상승된 상면부 일측이 하강되도록 시소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a,31b)의 각 단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과 상기 스토퍼단턱(43) 및 상기 가압홈부(44) 사이 간격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a,31b)는 상기 스토퍼단턱(43)과 상기 가압홈부(44)의 단차진 외곽테두리(44a)에 각각 접촉 구속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설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연동부(30)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상면부 일측이 가압되는 면적이 실질적으로 상기 구배면부(42)의 내측단과 외측단을 아우르는 면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위치(100)를 조작시 큰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상기 시소작동부(4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명확하게 스위칭 구동되므로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의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경사진 구배면부(42)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가압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스위치의 조작감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연동부(30)가 힌지 회전되는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가 시소운동되면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하측으로 돌설된 상기 연장돌기부(45)는 상기 제2힌지회동부(15)를 중심으로 대향방향으로 진자운동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돌기부(45)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칭부(60)가 상기 연장돌기부(45)와 대각선방향으로 스윙운동되면서 후술되는 접속단자부(50)에 구비된 한 쌍의 접속부(52a,53a) 중 하나에 교번하여 접속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작노브부(20)가 승강조작되도록 가압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승강 복귀된다. 이와 함께, 상기 회전연동부(30) 역시 제1탄성복귀수단(3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힌지 회전된 각도가 탄발적으로 회전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연동부(30)는 상기 조작노브부(20)의 승강조작시에만 상승된 상기 시소작동부(40)의 상면부 일측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힌지 회전되며,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신속하게 상기 초기위치(A)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연동부(30)의 일측에는 반경방향으로 복원돌기(32)가 돌설되며,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33)은 양단부가 상기 복원돌기(3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연동부(30)가 상기 제1힌지회동부(22)를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면 상기 복원돌기(32)가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33)의 양단부 중 회전방향에 대응되는 일단을 가압하면서 힌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33)의 일단은 상기 복원돌기(32)의 단부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발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부(20)를 승강조작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작노브부(20)가 승강 복귀되면서 상기 회동연동부(30) 역시 상승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연동부(30)의 단부가 상기 시소작동부(4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3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복원돌기(32)가 역가압되어 상기 회전연동부(30)가 상기 초기위치(A)로 복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압돌기부(31)의 각 단부는 항상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가 시소운동되어 상승된 상면부측에 우선 접촉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60)가 교번하여 스윙운동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33)은 상기 회전연동부(30)의 외주면을 감싸는 얇은 판상의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스위치(100) 내부에 컴팩트하게 구비되어 스위칭 조작시 주변 구성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오작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시소작동부(40)가 시소운동됨에 따라 상기 연장돌기부(45)의 대각선방향으로 스윙운동되는 상기 스위칭부(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부(10)의 내측에는 상기 접속단자부(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부(50)는 전원측 연결라인이 접속되는 베이스단자부(51)와 각 부하측 연결라인이 접속되는 한 쌍의 스위칭단자부(52,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스위칭단자부(52,53)의 각 단부에는 접속부(52a,53a)가 형성되되, 상기 각 접속부(52a,53a)가 상기 장착공간의 하측 중앙부에 양측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스위칭단자부는 일측 또는 타측에 단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단자부(51)에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부(54)가 연장되되, 상기 연장부(54)의 중앙부측에 상기 스위칭부(60)가 스윙운동되도록 걸림 구속되는 스윙홈(54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60)는 몸체부(61)와 연장부(6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61)는 상기 한 쌍의 접속부(52a,53a)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각 접속부(52a,53a)와 교번 접촉되는 접촉돌기(6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62)는 상기 몸체부(61)로부터 연장되되 단부에는 상기 스윙홈(54a)에 걸림 구속되는 걸림단턱(62a)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스위칭부(60)와 상기 연장돌기부(45)를 탄발적으로 연결하는 탄성부(6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61)에는 상기 탄성부(63)의 일측단부가 끼움 구속되는 결합부(61b)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돌기부(45)에는 상기 탄성부(63)의 타측단부가 끼움구속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칭부(60)의 스윙운동시에는 상기 탄성부(63)가 탄발 변형되면서 부드러운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60)의 스윙운동이 종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63)의 복원력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상기 접속돌기(61a)와 상기 각 접속부(52a,53a) 간의 접속력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부(50)와 상기 스위칭부(60)는 상기 각 연결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의 저항 소실이 최소화되도록 높은 전도성을 갖는 황동이나 구리, 백금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베이스단자부(51)에서 상기 스윙홈(54a)은 양단부가 상기 스위칭부(60)의 스윙운동반경에 대응하여 이격된 "V"자형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60)가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스윙운동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단턱(62a)의 외면과 상기 스윙홈(54a)의 일측 내지 타측내면이 실질적으로 면접촉됨으로서 전류가 더욱 안정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각 연결라인과 상기 접속단자부(50) 간의 접촉력이 보강되도록 다수개의 탄성편(18)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편(18)은 상기 베이스단자부(51) 및 상기 각 스위칭단자부(52,5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각 연결라인과 상기 각 단자부(51,52,53)의 접촉력을 보강하기 위해 탄발지지될 수 있는 형태라면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연결라인을 안정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각 탄성편(18)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풀러부(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칭부(60)는 상기 베이스단자부(51)의 스윙홈(54a)에 지지되되 상기 탄성부(63)에 의해 상기 연장돌기부(45)와 연결되며, 상기 시소작동부(40)의 시소운동시 상기 연장돌기부(45)의 진자운동방향과 대각선방향으로 스윙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돌기(61a)는 상기 각 스위칭단자부(52,53)의 각 접속부(52a,53a)와 선택적으로 교번 접속됨에 따라 전류의 통전 및 단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시소작동부(40)의 일측이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칭부(60)는 상기 본체부(11)의 타측방향으로 스윙운동됨에 따라 상기 접속돌기(61a)가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구비된 접속부(52a)와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10)의 상측에는 외력에 의해 누름조작되며 하면부에 누름돌기(72)가 돌설된 푸시버튼부(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푸시버튼부(70)는 벽면 등과 같은 설치대상체에 체결되는 버튼프레임(73)의 일측에 힌지회전부(74)를 통해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힌지 회전되는 버튼베이스(7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조작노브부(20)의 상면을 직접 누름조작할 수도 있으나, 상기 푸시버튼부(70)가 더 구비됨에 따라 내측에 구비되는 각 구성부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외부로 드러나는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튼베이스(71)의 외면을 누름조작시 상기 그의 하면에 돌설된 상기 누름돌기(72)가 상기 조작노브부(20)의 상면을 가압함에 따라 상술한 구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위칭부(60)가 스윙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조작을 위한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에 의해 상기 조작노브부(20)가 승강 복귀되면서 상기 누름돌기(72)를 상측방향으로 역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푸시버튼부(70)는 항상 일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누름돌기(72)는 상기 조작노브부(20)의 상면부 양단 또는 전후단측을 가압하도록 상기 버튼베이스(71)의 하면에 적어도 한 쌍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부(70)는 상기 케이스부(10)의 상단부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체결되되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푸시버튼부(70)의 상면부가 항상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푸시버튼부(70)가 누름조작되면 상기 누름돌기(72)가 하강되면 상기 조작노브부(20)의 상면이 가압되면서 승강조작된다. 이때, 상기 승강돌기(21)가 상기 승강가이드홈(14)을 따라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을 구속하며,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은 상기 조작노브부(20)의 하면과 상기 슬라이드관부(13)의 내측 하면부 사이에서 탄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작노브부(20)는 가압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슬라이드관부(13) 내측에서 균형을 이루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으므로 조작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부(20)가 하강되면, 상기 제1힌지회동부(22)에 힌지 체결된 상기 회전연동부(30)가 하강되면서 상기 가압돌기부(31)의 단부가 상기 시소작동부(40)의 상면부에 인접 및 밀착된다.
이때, 상기 시소작동부(40)는 상기 제2힌지회동부(도 3의 15)를 중심으로 일측이 상승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연동부(30)의 하단부에 대칭으로 돌설된 한 쌍의 가압돌기부(31) 중 일측 가압돌기부(31)의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상승된 일측면에 우선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부(70)를 누름조작하는 외력이 연속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상승된 일측면에 우선 접촉된 상기 일측 가압돌기부(31a)의 단부는 일측 구배면부(42a)의 경사진 구배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각 구배면부(42a,42b)는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일측 가압돌기부(31a)의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외측단부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연동부(30)는 상기 일측 가압돌기부(31a)의 단부가 상기 일측 구배면부(42a)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 타측 가압돌기부(31b)의 단부가 상기 가압홈부(44)의 외곽테두리 단차부 일측(44a)과 인접하도록 힌지 회전된다.
더욱이,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a,31b) 단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이 상기 스토퍼단턱(43) 및 상기 가압홈부(44) 사이 간격과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일측 가압돌기부(31a)의 단부가 일측 스토퍼단턱(43a)에 접촉 구속되면 상기 타측 가압돌기부(31b)의 단부는 상기 가압홈부(44)의 외곽테두리 단차부 일측(44a)에 접촉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연동부(30)가 힌지 회전됨과 함께 하강되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일측 스토퍼단턱(43)과 상기 가압홈부(44)의 외곽테두리 단차부 일측(44a)을 외측 및 하측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시소작동부(40)는 상기 제2힌지회동부(도 3의 15)를 중심으로 일측이 하강되고 타측이 상승되도록 시소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연동부(30)가 일측방향으로 힌지 회전되면 그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33)의 양단부 중 타측단이 상기 복원돌기(32)의 단부 회전반경에 대응하여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탄발 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힌지회동부(도 3의 15)를 중심으로 상기 시소작동부(40)의 타측이 상승되도록 시소운동되면 도 4d에서와 같이, 상기 스위칭부(60)가 상기 스윙홈(54a)를 중심으로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방향으로 스윙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돌기(61a)는 상기 일측에 구비된 접속부(53a)와 접속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조작노브부(2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조작되는 외력에 의해 하강되는 상기 회전연동부(30)가 상기 시소작동부(40)의 양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상면부의 일측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가압함에 따라 조작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동부(30)에 한 쌍으로 돌설된 가압돌기부(31)의 각 단부가 상기 시소작동부의 상면부 일측의 외측단 및 내측단을 동시에 가압함으로써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명확하게 시소운동되므로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소작동부(40)가 상기 제2힌지회동부(도 3의 15)를 중심으로 타측이 상승되도록 시소운동된 상태에서 누름조작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조작노브부(20)와 상기 회전연동부(30)는 각각 초기위치로 복원된다.
상세히, 상기 조작노브부(20)와 상기 슬라이드관부(13)의 내측 바닥면(13a)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이 탄발복원됨에 따라 상기 조작노브부(20)는 원래 위치로 승강 복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노브부(20)가 승강되면 그의 하단부에 힌지 체결된 상기 회전연동부(30)도 승강되면서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의 단부가 상기 슬라이드경사부(4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연동부(30)가 힌지 회전된 상태를 지지하던 힘이 소실되면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3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연동부(30)는 상기 초기위치(A)로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100)는 상기 조작노브부(20)를 누름조작하는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33)과 상기 제2탄성복귀수단(2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연동부(30)의 한 쌍의 가압돌기부(31)가 상기 시소작동부(40)의 상승된 일측면과 우선 접촉될 수 있는 위치로 탄발 복귀됨에 따라 반복적인 조작에도 명확한 스위칭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변형예에서는 스위칭부(26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단자부(251)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연장부(254)가 연장되되, 중앙부측에 상기 스위칭부(260)가 스윙운동되도록 걸림 구속되는 상기 스윙홈(25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260)에는 상기 스윙홈(254a)에 걸림구속되는 상기 걸림단턱(262a)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스위칭부(260)와 상기 연장돌기부(245) 사이를 탄발 지지하는 상기 탄성부(263)이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263)의 일단은 상기 연장돌기부(245)에 결합 구속되며 타단은 상기 걸림단턱(262a)에 결합 구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263)은 상기 스위칭부(260)와 상기 각 스위칭단자부(252,253)가 교번 접속되는 상기 본체부(211)의 하단부 내측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부(260)의 스윙운동시 상기 각 스위칭단자부(252,253)의 단부가 양측으로 구비된 상기 본체부(211)의 내측공간이 좁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탄성부(263)와 주변 구획프레임 및 구성부품 간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200)가 슬림화 및 컴팩트화되어 공간효율성이 극대화되면서도 상기 스위칭부(260) 및 상기 각 스위칭단자부(252,253) 간의 명확한 교번접속을 상기 탄성부(263)가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조작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100)는 상기 조작노브부(20)의 하단부에 힌지 체결된 회전연동부(30)에 한 쌍으로 돌설된 가압돌기부(31)가 상기 시소작동부(40)의 상승된 상면에 대칭형성된 구배면부(42) 중 어느 일측의 내측단 및 외측단을 동시에 가압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100)를 누름조작시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의 간격에 대응하여 가압력이 가해지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작은 힘으로도 명확한 스위칭 구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회전연동부(30)는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31) 중 하나가 상기 시소작동부(40)의 상승된 일측 상면부에 우선 접촉된 후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힌지 회전됨에 의해 각 단부(31a,31b)가 상기 구배면부(42)의 내측단 및 외측단에 접촉되어 가압력을 제공하므로 부드러운 조작감을 통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노브부(20)의 승강조작을 위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연동부(3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33)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연동부(30)가 초기위치(A)로 신속하게 회전 복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100)의 반복적인 스위칭 구동에도 명확한 교번접속이 이루어져 구동신뢰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케이스부 13 : 슬라이드관부
20 : 조작노브부 30 : 회전연동부
31 : 가압돌기부 32 : 복원돌기
33 : 제1탄성복귀수단 40 : 시소작동부
41 : 슬라이드경사부 42 : 구배면부
43 : 스토퍼단턱 44 : 가압홈부
50 : 접속단자부 60 : 스위칭부
70 : 푸시버튼부 100 : 스위치

Claims (5)

  1. 내부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전원측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측에 슬라이드관부가 구비된 케이스부;
    상기 슬라이드관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승강조작되는 조작노브부;
    상기 조작노브부의 하단부에 힌지 체결되되, 한 쌍의 가압돌기부가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반경방향으로 하향 돌설되며 제1탄성복귀수단에 의해 힌지 회전각도가 탄발 복귀되는 회전연동부;
    상기 회전연동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의 힌지 회전방향과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시소운동되는 슬라이드경사부의 하측으로 연장돌기부가 돌설된 시소작동부; 및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시소작동부의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각 부하측 연결라인 중 하나에 교번하여 접속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연동부는 상기 조작노브부의 하강시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 중 어느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경사부의 상면부 일측에 우선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힌지 회전되되, 상기 슬라이드경사부의 상면부에는 중앙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되 외측단부에 스토퍼단턱이 상향돌설된 한 쌍의 구배면부와, 상기 한 쌍의 구배면부 사이에 단차지게 함몰된 가압홈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가압돌기부는 상기 스토퍼단턱과 상기 가압홈부의 단차진 테두리에 각각 접촉 구속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동부의 일측에는 반경방향으로 복원돌기가 돌설되며,
    상기 제1탄성복귀수단은 양단부가 상기 복원돌기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상측에는 외력에 의해 누름조작되며 하면부에 누름돌기가 돌설된 푸시버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작노브부를 탄발적으로 승강 복귀시키는 제2탄성복귀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KR1020160082291A 2016-06-30 2016-06-30 스위치 KR101655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291A KR101655977B1 (ko) 2016-06-30 2016-06-30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291A KR101655977B1 (ko) 2016-06-30 2016-06-30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977B1 true KR101655977B1 (ko) 2016-09-08

Family

ID=5695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291A KR101655977B1 (ko) 2016-06-30 2016-06-30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9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820B1 (ko) * 2018-01-25 2018-03-1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버튼 스위치
CN107826079A (zh) * 2017-11-30 2018-03-23 田仁军 一种车门远程控制解锁器
KR101862117B1 (ko) 2017-04-07 2018-05-3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누름 스위치
KR101863726B1 (ko) * 2018-01-25 2018-07-0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KR101902554B1 (ko) 2017-03-24 2018-09-28 대원산업 주식회사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KR102018097B1 (ko) * 2018-04-16 2019-10-21 주식회사 에스 씨디 다방향 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761U (ja) * 1992-05-19 1993-12-10 株式会社サガミ電子工業 押釦スイッチ
KR100829906B1 (ko) 2007-01-24 2008-05-1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KR101517386B1 (ko) * 2013-12-02 2015-05-04 이숙희 스위치
KR101631649B1 (ko) * 2016-03-25 2016-06-24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토글 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761U (ja) * 1992-05-19 1993-12-10 株式会社サガミ電子工業 押釦スイッチ
KR100829906B1 (ko) 2007-01-24 2008-05-16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KR101517386B1 (ko) * 2013-12-02 2015-05-04 이숙희 스위치
KR101631649B1 (ko) * 2016-03-25 2016-06-24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토글 스위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554B1 (ko) 2017-03-24 2018-09-28 대원산업 주식회사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KR101862117B1 (ko) 2017-04-07 2018-05-3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누름 스위치
CN107826079A (zh) * 2017-11-30 2018-03-23 田仁军 一种车门远程控制解锁器
CN107826079B (zh) * 2017-11-30 2024-03-19 深圳五车云科技有限公司 一种车门远程控制解锁器
KR101839820B1 (ko) * 2018-01-25 2018-03-19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푸시버튼 스위치
KR101863726B1 (ko) * 2018-01-25 2018-07-04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KR102018097B1 (ko) * 2018-04-16 2019-10-21 주식회사 에스 씨디 다방향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977B1 (ko) 스위치
KR101641598B1 (ko) 스위치
KR19990007394A (ko) 키보드 장치 및, 그 키보드 장치를 사용한 퍼스널 컴퓨터
KR20040011374A (ko) 스위치장치
RU2741402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KR101631649B1 (ko) 토글 스위치
JP3213988U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20140131187A1 (en) Heat-Spot Distant Type Push Switch Structure
JP4149907B2 (ja) 電源コンセント
KR101862117B1 (ko) 누름 스위치
JP2002075129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H1136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6729360B2 (ja) スイッチ
KR101863726B1 (ko) 스위치
JPH0648697Y2 (ja) 小形スイッチ
KR101952837B1 (ko) 발광모듈이 구비된 푸쉬버튼 스위치
JP2002358850A (ja) スイッチ装置
JP3797872B2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KR101832826B1 (ko) 푸쉬버튼 스위치
RU2816578C1 (ru) Механиз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ереключателя,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зел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KR101862124B1 (ko) 복합 핸들 스위치
JPH0319155Y2 (ko)
JP2008077976A (ja) スイッチ
JP3033905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装置
US1810480A (en) Switch for electric lam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