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374A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374A
KR20040011374A KR1020030052167A KR20030052167A KR20040011374A KR 20040011374 A KR20040011374 A KR 20040011374A KR 1020030052167 A KR1020030052167 A KR 1020030052167A KR 20030052167 A KR20030052167 A KR 20030052167A KR 20040011374 A KR20040011374 A KR 20040011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ductor plate
fixed contact
switch
bottom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4313B1 (ko
Inventor
사사키마고토
사와다겐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1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화나 구조의 간소화를 촉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성이 양호하고 신뢰성도 높은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케이스(10)에 조립되어 공통의 판스프링부재(19)로부터 복귀력이 부여되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와, 케이스(10)의 상부 개구(10e)를 덮어 폐쇄하는 커버부재(20)와, 각 스위치소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가압돌기부(21b, 21c)를 가지는 조작손잡이(21)를 구비한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판스프링부재(19)에는, 커버부재 (20)에 의하여 눌려 휘어지는 압축부(19c)와, 각 스위치소자의 구동체(17, 18)의 축부(17a, 18a)를 탄성 가세하는 가압편(19a, 19b)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손잡이(21)가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b, 18b)를 누름으로써, 도체판(15, 16)이 선택적으로 회전 구동되어 스위치 온의 전환신호가 출력된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조작손잡이 등에 의해 요동 조작되는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체판을 요동시켜 고정접점부재에 접촉·이탈시킴으로써 온·오프의 전환이 행하여지고, 예를 들면 차량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스위치 등에 사용하기 적합한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이 종류의 스위치장치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1a)을 가지는 케이스(1)에는, 인서트성형가공에 의해 제 1과 제 2 및 제 3 고정접점부재(2a, 2b, 2c)가 고정되어 있고, 각 고정접점부재(2a 내지 2c)로부터는 케이스(1)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 단자(8)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고정접점부재(2a 내지 2c)는 케이스(1)의 바닥벽(1a) 상에 노출되어 있고, 도체판(3)이 중앙의 고정접점부재(2a)를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도체판(3)은 골부(3a)의 양쪽에 한쌍의 상승부(3b, 3c)를 가지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M자형의 금속판으로, 길이방향의 한쪽 끝측이 고정접점부재(2b)와 접촉·이탈 가능하고, 길이방향의 다른쪽 끝측이 고정접점부재(2c)와 접촉·이탈 가능하다. 도체판(3) 상에는 구동체(4)의 작동부(4a)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체(4)는 코일스프링(5)에 의해 바닥벽(1a)측으로 항상 탄성 가세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부(4a)는 도체판(3)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이들 구동체(4) 및 코일스프링(5)은, 회동레버(6)의 수납부(6a) 내에 조립되어 있다. 이 회동레버(6)는 케이스(1)를 덮도록 설치된 덮개체(7)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적절한 수단에 의해 도시 생략한 조작손잡이가 회동레버(6)에 설치된다. 이 조작손잡이는 조작자에게 요동 조작되는 부재이고, 조작손잡이의 요동에 따라 회동레버(6)가 회동하기 때문에, 구동체(4)의 작동부(4a)가 도체판(3) 위를 슬라이딩한다.
도 9는 회동레버(6)가 회전하고 있지 않는 비조작시의 상태(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고정접점부재(2a, 2c)가 도체판(3)을 거쳐 도통되어, 고정접점부재(2a, 2b) 사이는 스위치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손잡이를 눌러 회동레버(6)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5)을 압축시키면서 작동부(4a)가 상승부(3b) 위를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작동부(4a)가 고정접점부재(2a) 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3)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 결과, 도체판(3)은 고정접점부재(2c)로부터 떨어져 고정접점부재(2b)에 맞닿기 때문에, 고정접점부재(2a, 2b)가도체판(3)을 거쳐 도통되어 스위치 온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조작손잡이를 누르고 있는 조작력이 제거되면, 코일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4a)가 상승부(3b) 상을 역방향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작동부(4a)가 고정접점부재(2a) 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3)이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도 9의 대기상태로 되돌아가고, 따라서 고정접점부재(2a, 2b) 사이는 자동적으로 스위치 오프상태로 복귀한다.
또 도 9의 상태에서 조작손잡이를 거쳐 회동레버(6)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작동부(4a)는 상승부(3c) 상을 슬라이딩하나, 도체판(3)은 미리 고정접점부재(2c)에 눌려져 있기 때문에 회전 구동되지 않고, 따라서 고정접점부재(2a, 2b) 사이는 스위치 오프상태 그대로이다.
이와 같은 스위치장치는, 차량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스위치로서 널리 채용되고 있다. 그 경우, 조작손잡이를 누르고 있는 동안만 윈도우의 개방동작이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의 개방도를 임의로 설정 가능한 메뉴얼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장치에서는, 구동체(4)를 코일스프링(5)과 조합하여 도체판(3) 상에 유지해 두기 때문에, 큰 수납부(6a)를 가지는 회동레버(6)를 덮개체(7)에 의해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으나, 이 회동레버(6)에는 상응하는 높이 치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박형화가 도모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회동레버(6)와 덮개체(7) 사이에는 회전동작을 보증하는 여유(C)가 필요하기 때문에, 케이스(1) 내의 접점부분에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기 쉬워, 도통의 신뢰성이 손상될 위험성이 있었다.
또 차량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스위치에 있어서는, 케이스(1)의 바닥벽(1a) 상에 고정접점부재(2a 내지 2c)군을 2열 설치하여, 각각의 고정접점부재(2a 내지 2c)군마다 도체판(3)이나 작동부(4a) 등을 배치시킴으로써, 2세트의 스위치소자가 나란히 설치되어, 조작손잡이를 한 방향으로 누르면, 한쪽의 스위치소자로부터 개방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출력되고, 조작손잡이를 다른 방향으로 누르면, 다른쪽 스위치소자로부터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쌍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의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종래 구조에서는, 구동체(4)나 복수의 코일스프링(5)이 탈락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회동레버(6)를 케이스(1) 및 덮개체(7)에 조립하여 가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차량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스위치에 있어서는, 윈도우를 원터치로 완전 개방시키거나 완전 폐쇄할 수 있는 조작기능도 요구되나, 이와 같은 조작기능을 도 9에 나타내는 종래의 스위치장치에 부가하는 경우, 통상, 케이스(1)의 근방에 푸시스위치를 병설하여, 조작손잡이를 거쳐 회동레버(6)를 크게 회전시키면, 전용의 구동부재가 상기 푸시스위치를 가압 조작하여 완전 개방동작, 또는 완전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푸시스위치용의 구동부재를 구동체(4)와의 동작 타이밍을 배려하면서 케이스(1)의 외부에 부설하면, 장치 전체가 매우 대형이 되어 버려, 구조도 복잡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박형화나 구조의 간소화를 촉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성이 양호하고, 신뢰성도 높은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조작손잡이를 설치하기 전의 상기 스위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스위치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동작설명도,
도 5는 상기 스위치장치에 구비되는 케이스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케이스내에 도체판 및 구동체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케이스내에 판스프링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조립단계의 스위치장치의 단면도,
도 9는 종래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있어서의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0a : 바닥벽
10b, 10c : 측벽 10e : 상부 개구
11a 내지 11c, 12a 내지 12c : 고정접점부재
15, 16 : 도체판 15b, 16b : 상승부
15d, 16d : 가동접점부 17, 18 : 구동체
17a, 18a : 축부 17b, 18b : 피가압부
17d, 18d : 슬라이딩 작동부 17e, 18e : 가이드벽
19 : 판스프링부재 19a, 19b : 가압편
19c : 압축부 19d : 제 1 절곡편
19f : 제 2 절곡편 20 : 커버부재
21 : 조작손잡이 21b, 21c : 가압돌기부
23, 24 : 푸시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바닥벽 및 상부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조립된 2세트의 스위치소자와, 이들 2세트의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공통의 판스프링부재와, 이 판스프링부재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개구를 덮어 폐쇄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소자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벽상에 노출되는 고정접점부재와, 상기 바닥벽상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접점부재에 접촉·이탈 가능한 도체판과, 승강동작이 허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판상에 배치되어 축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함과 동시에, 이 구동체에,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피가압부와, 이 피가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도체판의 경사면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작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판스프링부재에, 상기 커버부재에 눌려 휘어지는 압축부와, 이 압축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한쌍의 가압편을 설치하고, 이 가압편에 의하여 상기 구동체의 상기 축부를 상기 바닥벽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장치에서는, 판스프링부재의 가압편이 구동체의 축부를 케이스의 바닥벽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 밖으로 돌출 되어 있는 구동체의 피가압부에 조작손잡이 등을 거쳐 조작력을 부여함으로써, 구동체의 회전에 따라 그 슬라이딩 작동부를 도체판의 경사면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상기 도체판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체판을 고정접점부재에 접촉·이탈시키기 위한 다른 구동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판스프링부재는 구동체의 축부상의 좁은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를 용이하게 박형화할 수 있다. 또 조작손잡이를 크게 눌렀을 때에 케이스 근방에 설치한 푸시스위치를 가압 조작할 수 있도록 다기능화한 경우, 케이스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구동체의 피가압부에 의해 상기 푸시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푸시스위치용의 구동부재를 따로 부설할 필요가 없어, 소형 박형화나 구조의 간소화에 유리하다. 또한 케이스의 바닥벽상에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각 도체판과 구동체를 조립한 후, 그 위로부터 판스프링부재와 커버부재 순으로 조립함으로써, 공통의 판스프링부재로 2세트의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조립의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스의 상부 개구를 커버부재가 덮어 폐쇄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내에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에 걸쳐 도통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판스프링부재의 상기 압축부가, 상기 각 가압편의 길이방향의 한쪽 끝측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부분을 예각으로 되접어 꺽어, 상기 연장 돌출부분끼리를 브리징(bridging)하여 이루어지는 제 1 절곡편과, 상기 각 가압편의 길이방향의 다른쪽 끝측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부분을 예각으로 되접어 꺽어, 상기 연장 돌출부분끼리를 브리징하여 이루어지는 제 2 절곡편을 가지고 있으면, 판스프링부재를 케이스내의 최상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커버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절곡편이 커버부재에 눌려 휘어져, 각 가압편을 향하여 탄성 가세되기 때문에, 각 가압편에 스프링압이 생긴다. 따라서 2세트의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판스프링부재를 박형이고,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저감이나 박형화의 촉진에 유리하게 된다.
또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의 바닥벽에 대하여 세워 설치된 측벽이 상기 가압편을 길이방향으로 위치 규제함과 동시에, 구동체의 상기 축부에 상기 가압편을 폭방향으로 위치 규제하는 가이드벽을 설치하여 두면, 조립작업시에 판스프링부재를 위치결정상태로 케이스내의 최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어, 탈락도 방지되므로, 자동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조립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각각의 고정접점부재와 도체판 및 구동체를 모두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 위치에 배치하여 두면, 장치 전체를 소형화하기 쉽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조작손잡이를 설치하기 전의 상기 스위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스위치장치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동작설명도, 도 5는 상기 스위치장치에 구비되는 케이스의 평면도, 도 6은 상기 케이스내에 도체판 및 구동체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케이스내에 판스프링부재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조립단계의 스위치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스위치장치는, 차량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의 구동스위치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2세트의 스위치소자를 가지는 쌍극·쌍투형의 스위치장치이다.
이 스위치장치는, 바닥벽(10a) 상에 측벽(10b, 10c)이나 칸막이 벽(10d)을 세워 설치하여 한쌍의 접점 수납공간(S1, S2)을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10)와, 인서트 성형가공에 의하여 케이스(10)의 바닥벽(10a) 상에 설치된 한쌍의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 및 12a 내지 12c)과,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케이스(10)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 단자(13)와, 고정접점부재군 (12a 내지 12c)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케이스(10)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3개의 단자(14)와, 각 접점 수납공간(S1, S2) 내에서 바닥벽(10a) 상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한쌍의 도체판(15, 16)과, 승강동작이 허용된 상태로 각 도체판(15, 16) 상에 배치되어 축부(17a, 18a)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한쌍의 구동체(17, 18)와, 이들 구동체(17, 18)의 각 축부(17a, 18a)를 바닥벽(10a)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기 위한 한쌍의 가압편(19a, 19b)을 가지는 판스프링부재(19)와, 케이스(10)에 부착되어 그 상부 개구(10e)를 덮어 폐쇄하고 있는 금속판제의 커버부재(20)와, 지지축(21a)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조작손잡이(21)에 의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21)에는 한쌍의 가압돌기부(21b, 21c)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가압돌기부(21b, 21c)는 각각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b, 18b)와 탄성 접촉한다. 또 이 스위치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회로기판(22) 상에는, 케이스(10) 근방에 한쌍의 푸시스위치(23, 24)가 설치되어 있고, 각 푸시스위치(23, 24)의 조작부위(23a, 24a)가 각각 피가압부(17b, 18b)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0)에는, 서로 평행한 긴 변측의 2개의 측벽(10c) 및 4개의 칸막이 벽(10d)과, 측벽(10c)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 변측의 2개의 측벽(10b)이, 각각 바닥벽(10a)으로부터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측벽(10c)과 2개의 칸막이 벽(10d)의 각 상단부〔상부 개구(10e)측의 끝부〕에는, 각 구동체(17, 18)의 축선방향 양쪽 끝부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노치형상의 오목부(10f, 10g)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있어서, 도면 왼쪽의 오목부(10f, 10g) 내에 구동체(17)의 축선방향 양쪽 끝부가 삽입되고, 도면 오른쪽의 오목부(10f, 10g) 내에 구동체(18)의 축선방향 양쪽 끝부가 삽입된다. 또 짧은 변측의 2개의 측벽(10b)에는, 각각의 중앙부에 상단이 개방되어 있는 노치형상의 슬릿(10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10h)에는 구동체(17, 18)의 아암부(17c, 18c)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측벽(10c)과 칸막이 벽(10d)의 대향면에는 각각 돌출부(10i)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10i)의 상부 형상은, 조립시에 도체판(15, 16)을 원활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은 케이스(10)의 접점 수납공간(S1)의 안 바닥부에 일렬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고, 요동 지지점으로서 도체판(15)에 항상 접촉하는 제 1 고정접점부재(11a)와, 도체판(15)에 접촉·이탈하는 제 2 및 제 3 고정접점부재(11b, 11c)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고정접점부재군(12a 내지 12c)은 케이스(10)의 접점 수납공간(S2)의 안 바닥부에 일렬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고, 요동 지지점으로서 도체판(16)에 항상 접촉하는 제 1 고정접점부재(12a)와,도체판(16)에 접촉·이탈하는 제 2 및 제 3 고정접점부재(12b 내지 12c)로 이루어진다. 단,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과 고정접점부재군(12a 내지 12c)은,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의 배치로 되어 있다. 또 각 고정접점부재(11a 내지 11c)로부터 도출된 3개의 단자(13)와, 각 고정접점부재(12a 내지 12c)로부터 도출된 3개의 단자(14)는, 모두 외부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도체판(15)은, 조작손잡이(21)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도 3 참조)에서 구동체(17)를 지지하는 초기 받이부(15a)와, 이 초기 받이부(15a)의 한쪽에 경사면을 연속시키고 있는 측면에서 보아 역 V자형의 상승부(15b)와, 초기 받이부(15a)의다른쪽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는 평탄부(15c)와, 상승부(15b)로부터 초기 받이부 반대(15a)쪽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는 가동접점부(15d)를 가지는 금속판으로서, 가동접점부(15d)가 고정접점부재(11b)와 접촉·이탈 가능하고, 평탄부(15c)가 고정접점부재(11c)와 접촉·이탈 가능하다. 또한 도체판(15)의 양 측부에는 초기 받이부(15a)를 사이에 두고 4개의 돌기(15e)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15e)를 케이스(10)의 돌출부(10i)에 걸어 맞춤으로써, 요동시에 도체판(15)이 길이방향으로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도체판(16)은 도체판(15)과 동일형상으로, 초기 받이부(16a)의 양측에 상승부(16b)와 평탄부(16c)를 가지고, 길이방향 한쪽 끝측에 연장 설치된 가동접점부(16d)가 고정접점부재(12b)와 접촉·이탈 가능하고, 길이방향 다른쪽 끝측의 평탄부(16c)가 고정접점부재(12c)와 접촉·이탈 가능하다. 이 도체판(16)의 양 측부에도 초기 받이부(16a)를 사이에 두고 4개의 돌기(16e)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16e)를 케이스(10)의 돌출부(10i)에 걸어맞춤으로써, 요동시에 도체판(16)이 길이방향으로 위치 어긋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도체판(15, 16)은 케이스(10) 내에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체(17)는, 축부(17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도체판(15) 상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작동부(17d)와, 축부(17a)에 인접하여 옆쪽으로 연장되어 한쪽의 슬릿(10h) 내에 삽입되는 아암부(17c)와, 이 아암부(17c)의 선단에 형성되어 측벽(10b)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피가압부(17b)를 가지고, 축부(17a) 상에는 소정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벽(17e)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체(18)는 축부(18a)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도체판(16)상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작동부(18d)와, 축부(18a)에 인접하여 옆쪽으로 연장되어 다른쪽 슬릿(10h) 내에 삽입되는 아암부(18c)와, 이 아암부(18c)의 선단에 형성되어 측벽(10b)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피가압부(18b)를 가지고, 축부(18a) 상에는 소정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벽(18e)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구동체(17, 18)는 케이스(10) 내에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으로 조립되어, 서로의 아암부(17c, 18c)가 일직선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구동체(17, 18)를 케이스(10)에 조립할 때에는, 케이스(10) 내에서 접점 수납공간(S1, S2) 사이에 있는 폭이 좁은 공간에 아암부(17c, 18c)를 배치시켜, 그 폭이 좁은 공간을 거쳐 대향하는 한쌍의 슬릿(10h)의 바깥쪽으로 각각 피가압부(17b, 18b)를 배치시킨다. 그 때, 쌍을 이루는 한쪽의 오목부(10f, 10g) 내에 구동체(17)의 축선방향 양쪽 끝부를 삽입하고, 쌍을 이루는 다른쪽의오목부(10f, 10g) 내에 구동체(18)의 축선방향 양쪽 끝부를 삽입하면, 구동체(17, 18)는 각각 도체판(15, 16) 상의 소정 위치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판스프링부재(19)는, 1매의 탄성금속판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프레스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가압편(19a, 19b)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팔(八)자형의 압축부(19c)의 하단을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한쌍의 가압편(19a, 19b)은 각 구동체(17, 18)의 축부(17a, 18a)를 바닥벽(10a)을 향하여 항상 탄성 가압하기 위한 부위이다. 또 압축부(19c)는 커버부재(20)에 의해 압축되어 각 가압편(19a, 19b)에 스프링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위이다. 이 압축부(19c)는, 각 가압편(19a, 19b)의 길이방향 한쪽 끝측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부분을 예각으로 되접어 꺽어 상기 연장 돌출부분끼리를 브리징부(19e)에서 브리징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H자형의 제 1 절곡편(19d)과, 각 가압편(19a, 19b)의 길이방향 다른쪽 끝측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부분을 예각으로 되접어 꺽어 상기 연장 돌출부분끼리를 브리징부(19g)에서 브리징하여 이루어지는 대략 H 자형의 제 2 절곡편(19f)으로 이루어진다. 도 7,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부재(19)는 조립시에 케이스(10) 내의 최상부에 조립되어, 한쪽의 가압편(19a)이 구동체(17)의 축부(17a) 상에 배치되고, 다른쪽의 가압편(19b)이 구동체(18)의 축부(18a) 상에 배치된다. 그 때, 각 가압편(19a, 19b)을 각각 가이드벽(17e, 17e) 사이와 가이드벽(18e, 18e)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폭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고, 또 판스프링부재(19)의 길이 치수를 케이스(10)의 서로 대향하는 측벽(10b, 10b)의 간격과 대략 동등하게 설정해 둠으로써, 각 가압편(19a, 19b)의 길이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판스프링부재(19)는 케이스(10) 내의 소정위치에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조립할 수 있다.
커버부재(20)에는 하단부의 4 모서리에 설치편(20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설치편(20a)을 구부려 케이스(10)의 4 모서리에 걸어 멈추게 함으로써, 커버부재(20)는 상부 개구(10e)를 덮어 폐쇄한 상태에서 케이스(1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부재(20)를 케이스(10)에 설치하면, 미리 케이스(10)내에 조립되어 있던 판스프링부재(19)는 도 8의 상태로부터 도 3의 상태로 탄성 변형한다. 즉, 판스프링부재(19)를 케이스(10) 내의 최상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커버부재(20)를 조립함으로써, 제 1 및 제 2 절곡편(19d, 19f)이 커버부재(20)에 눌려 휘어져, 각 가압편(19a, 19b)을 향하여 탄성 가세되기 때문에, 각 가압편(19a, 19b)에 스프링압이 생긴다. 이에 의하여, 한쪽의 가압편(19a)이 구동체(17)의 축부(17a)를 바닥벽(10a)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고, 그 가세력에 의하여 구동체(17)의 슬라이딩 작동부(17d)가 도체판(15)에 탄성 접촉하기 때문에, 축부(17a)를 중심으로 구동체(17)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딩 작동부(17d)가 도체판(15) 상을 슬라이딩하여, 이 도체판(15)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가압편(19b)이 구동체(18)의 축부(18a)를 바닥벽(10a)을 향하여 탄성가세하고, 그 가세력에 의하여 구동체(18)의 슬라이딩 작동부(18d)가 도체판(16)에 탄성 접촉하기 때문에, 축부(18a)를 중심으로 구동체(18)를 회전시키면, 슬라이딩 작동부(18d)가 도체판(16) 상을 슬라이딩하여, 이 도체판(16)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상기한 스위치장치는, 고정접점부재(11a 내지 11c)나 도체판(15), 구동체(17), 가압편(19a) 등을 접점 수납공간(S1) 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제 1 스위치소자와, 고정접점부재(12a 내지 12c)나 도체판(16), 구동체(18), 가압편(19b) 등을 접점 수납공간(S2) 내에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제 2 스위치소자가, 케이스(10) 내에 병설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 이들 제 1 및 제 2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는 공통의 판스프링부재(19)이다.
또 상기한 스위치장치는, 차량탑재용 파워 윈도우장치에 조립될 때에, 커버부재(20)의 윗쪽에 조작손잡이(21)(도 4 참조)가 설치되나, 그 때, 조작손잡이(21)에 설치한 한쌍의 가압돌기부(21b, 21c)를 각각 구동체(17, 18)의 피가압부(17b, 18b)에 탄성 접촉시켜 프리텐션을 가한 상태(여압상태)로 해 둠으로써, 조작손잡이(21)와 구동체(17, 18) 사이의 덜거덕거림을 회피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압상태에 있어서, 구동체(17, 18)의 슬라이딩 작동부(17d, 18d)는 각각 도체판(15, 16)의 상승부(15b, 16b)의 하단 근방의 경사면과 맞닿고 있으나, 조작손잡이(21)를 떼어내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작동부(17d, 18d)는 각각 도체판(15, 16)의 초기받이부(15a, 16a)와 맞닿아, 피가압부(17b, 18b)의 높이 위치가 약간 상승한다. 또한 도 3의 상태로부터 여압상태로 이행할 때에 발생하는 구동체(17, 18)의 회전량을 미리 고려하여, 구동체(17, 18)의 초기위치나 도체판(15, 16)의 형상을 정해 둠으로써, 도체판(15, 16) 상에서 슬라이딩 작동부(17d, 18d)를 슬라이딩시키면서, 피가압부(17b, 18b)를 크게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조작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대기상태(상기 여압상태)에는, 구동체(17)의 슬라이딩 작동부(17d)가 도체판(15)의 상승부(15b)의 하단부에 탄성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접점부재(11a, 11c)가 도체판(15)을 거쳐 도통되고, 고정접점부재(11a, 11b) 사이는 스위치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구동체(18)의 슬라이딩 작동부(18d)는 도체판(16)의 상승부(16b)의 하단부에 탄성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접점부재(12a, 12c)가 도체판(16)을 거쳐 도통되고, 고정접점부재(12a, 12b) 사이는 스위치 오프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1)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4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조작력을 가하면, 가압돌기부(21b)가 구동체(17)의 피가압부(17b)를 눌러 감에 따라, 아암부(17c)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슬라이딩 작동부(17d)가 도체판(15)의 상승부(15b) 상을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슬라이딩하여 가고, 축부(17a)가 가압편(19a)에 저항하여 약간 밀어 올려져 간다. 그리고 슬라이딩 작동부(17d)가 고정접점부재(11a) 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15)이 회전구동되어, 도 4의 상태가 된다. 그 결과, 평탄부(15c)가 고정접점부재(11c)로부터 떨어져 가동접점부(15d)가 고정접점부재(11b)에 맞닿기 때문에, 도체판(15)을 거쳐 고정접점부재(11a, 11b)가 도통됨으로써 스위치 온의 전환신호(윈도우의 개방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단자(13)로부터 출력된다.
또 도 4의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1)에 대한 조작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가압편(19a)의 복원력이 구동체(17)의 축부(17a)에 작용하여, 슬라이딩 작동부(17d)가 상승부(15b)의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슬라이딩 작동부(17d)가 고정접점부재(11a) 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15)이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피가압부(17b)에 의하여 가압돌기부(21b)가 밀어 올려져 간다. 그 결과, 도체판(15)의 가동접점부(15d)가 고정접점부재(11b)로부터 떨어져 평탄부(15c)가 고정접점부재(11c)에 맞닿기 때문에, 고정접점부재(11a, 11b)의 도통이 차단됨으로써 스위치 오프의 전환신호가 단자(13)로부터 출력되어, 조작손잡이(21)의 경사가 해소된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다음에, 도 4의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1)을 또 한단 누른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슬라이딩 작동부(17d)가 도체판(15)의 상승부(15b) 상을 더욱 슬라이딩하여 가기 때문에, 축부(17a)에 작용하는 가압편(19a)의 가세력은 한층 증대하나, 가압돌기부(21b)에 의해 아래쪽으로 크게 눌려진 피가압부(17b)가 조작부위(23a)를 누르기 때문에, 푸시스위치(23)가 작동되어, 윈도우를 완전 개방시키는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또 이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1)에 대한 조작력이 제거되면, 가압편(19a)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부(17d)가 상승부(15b)의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4의 상태를 거쳐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대기상태에서 가압돌기부(21c)를 밀어 내리는 방향으로 조작손잡이(21)를 회전시킨 경우에는, 구동체(18)의 피가압부(18b)가 가압돌기부(21c)에 눌려 아암부(18c)가 회전하고, 슬라이딩 작동부(18d)가 도체판(16)의 상승부(16b) 상을 비스듬하게 윗쪽으로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축부(18a)가 가압편(19b)에 저항하여 밀어 올려져 가고, 슬라이딩 작동부(18d)가 고정접점부재(12a) 상을 통과한 시점에서 도체판(16)이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고정접점부재(12a, 12b)가 도통됨으로써, 스위치 온의 전환신호(윈도우의 폐쇄동작을 행하게 하는 구동신호)가 단자(14)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조작손잡이(21)를 또 한단 누르면, 가압돌기부(21c)가 피가압부(18b)를 거쳐 조작부위(24a)를 눌러, 푸시스위치(24)를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윈도우를 완전 폐쇄시키는 구동신호가 출력 가능하게 된다. 또 조작력을 제거하면, 가압편(19b)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작동부(18d)가 상승부(16b)의 경사면을 따라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체판(16)이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피가압부(18b)에 의해 가압돌기부(21c)가 밀어 올려져 가,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에서는, 구동체(17, 18)를 조작손잡이(21)로 직접 누를 수 있어, 다른 구동부재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복귀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판스프링부재(19)를 축부(17a, 18a) 상의 좁은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박형화가 도모되기 쉽다. 또한 조작손잡이(21)로 눌려진 피가압부(17b, 18b)에 의해 푸시스위치(23, 24)를 작동시키기때문에, 푸시스위치용의 구동부재를 따로 부설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메뉴얼조작에 더하여 완전 개방 완전 폐쇄조작을 행할 수 있는 다기능 스위치장치이면서, 구조가 복잡화하지 않고, 소형 박형화도 손상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를 조립하는 경우, 케이스(10)의바닥벽(10a) 상에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도체판(15, 16)과 구동체(17, 18)를 조립하고, 다시 판스프링부재(19)와 커버부재(20)의 순서대로 조립하여 갈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조립성을 기대할 수 있고, 그 때, 판스프링부재(19)의 압축부(19c)가 커버부재(20)에 의해 압축되어 각 가압편(19a, 19b)에 스프링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공통의 판스프링부재(19)로 2세트의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조립작업시에, 도체판(15, 16)은 케이스(10)의 돌출부(10i)에 의해 위치 결정할 수 있고, 구동체(17, 18)는 케이스(10)의 오목부(10f, 10g)나 슬릿(10h)에 의해 위치 결정할 수 있으며, 판스프링부재(19)는 케이스(10)의 측벽(10b)이나 구동체(17, 18)의 가이드벽(17e, 18e)에 의해서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조립을 행하더라도 이들 각 부품에 위치 어긋남이나 탈락이 발생하기 어렵고, 따라서 조립비용의 대폭적인 저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상부 개구(10e)가 커버부재(20)에 덮어 폐쇄되기 때문에, 이 스위치장치는 케이스(10) 내에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지 않고, 따라서 이물의 침입에 기인하는 도통불량이나 단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장기간에 걸쳐 높은 신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에서는,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고정접점부재군(11a 내지 11c)과 고정접점부재군(12a 내지 12c)끼리, 도체판(15)과 도체판(16)끼리, 및 구동체(17)와 구동체(18)끼리가, 모두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0)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의 측벽(10c) 및 칸막이 벽(10d)에 구동체(17, 18)의 축선방향 양쪽 끝부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오목부(10f, 10g)를 설치하고, 또한 케이스(10)의 측벽(10b)에 아암부(17c, 18c)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릿(10h)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10)의 높이 치수를 억제하면서, 구동체(17, 18)의 가동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에서는, 구동체(17, 18)를 각각 도체판(15, 16)과 가압편(19a, 19b)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슬라이딩 작동부(17d, 18d)를 도체판(15, 16)에 탄성 접촉시키고, 또한 피가압부(17b, 18b)를 가압돌기부(21b, 21c)에 탄성 접촉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판스프링부재(19)가 구동체(17, 18)의 축부(17a, 18a)를 도체판(15, 16)을 향하여 항상 탄성 가세하고 있어, 조작력이 부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슬라이딩 작동부(17d, 18d)를 상승부(15b, 16b)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시키려고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피가압부(17b, 18b)는 조작손잡이(21)의 가압돌기부(21b, 21c)를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 가세된다. 그리고 조작손잡이(21)에 조작력이 부여되면, 가압돌기부(21b)(또는 21c)가 피가압부(17b)(또는 18b)를 직접 눌러 슬라이딩 작동부(17d)(또는 18d)를 도체판(15)(또는 16) 위에서 슬라이딩시켜, 조작손잡이(21)에 대한 조작력을 제거하면, 피가압부(17b)(또는 18b)가 조작손잡이(21)를 눌러 되돌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체(17, 18)나 조작손잡이(21)가 조작시에 덜거덕거림을 일으킬 걱정이 없어, 항상 양호한 조작감촉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조작손잡이 등으로 직접 눌려지는 구동체의 회전동작에 따라 도체판이 회전구동된다는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복귀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판스프링부재를 구동체의 축부상의 좁은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용이하게 박형화할 수 있다. 또 케이스의 바닥벽상에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각 도체판과 구동체를 조립한 후, 그 위로부터 판스프링부재와 커버부재의 순서대로 조립함으로써, 공통의 판스프링부재로 2세트의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을 높여 자동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커버부재가 케이스의 상부 개구를 덮어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케이스 내로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에 걸쳐 도통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바닥벽 및 상부 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조립된 2세트의 스위치소자와, 이들 2세트의 스위치소자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공통의 판스프링부재와, 상기 판스프링부재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개구를 덮어 폐쇄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소자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벽상에 노출되는 고정접점부재와, 상기 바닥벽상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고정접점부재에 접촉·이탈 가능한 도체판과, 승강동작이 허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체판상에 배치되어 축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동체를 포함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체에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피가압부와, 상기 피가압부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도체판의 경사면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작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판스프링부재에, 상기 커버부재에 눌려 휘어진 압축부와, 이 압축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한쌍의 가압편을 설치하고, 상기 가압편에 의하여 상기 구동체의 상기 축부를 상기 바닥벽을 향하여 탄성 가세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부재의 상기 압축부가, 상기 각 가압편의 길이방향의 한쪽 끝측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부분을 예각으로 되접어 꺽어, 상기 연장 돌출부분끼리를 브리징하여 이루어지는 제 1 절곡편과, 상기 각 가압편의 길이방향 다른쪽 끝측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부분을 예각으로 되접어 꺽어, 상기 연장 돌출부분끼리를 브리징하여 이루어지는 제 2 절곡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에 대하여 세워 설치된 상기 케이스의 측벽이 상기 가압편을 길이방향으로 위치 규제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체의 상기 축부에 상기 가압편을 폭방향으로 위치 규제하는 가이드벽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세트의 스위치소자의 각각의 상기 고정접점부재와 상기 도체판 및 상기 구동체를 모두 평면에서 보아 점대칭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2003-0052167A 2002-07-30 2003-07-29 스위치장치 KR100514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21400A JP3964754B2 (ja) 2002-07-30 2002-07-30 スイッチ装置
JPJP-P-2002-00221400 2002-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374A true KR20040011374A (ko) 2004-02-05
KR100514313B1 KR100514313B1 (ko) 2005-09-13

Family

ID=3188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167A KR100514313B1 (ko) 2002-07-30 2003-07-29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00825B1 (ko)
JP (1) JP3964754B2 (ko)
KR (1) KR100514313B1 (ko)
CN (1) CN123525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54U (ko) 2017-01-04 2018-07-12 김종희 수저통
KR102166795B1 (ko) * 2019-04-12 2020-10-16 전영환 터치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0786A1 (en) 2001-04-06 2002-10-17 Sherwood Services Ag Electrosurgical instrument which reduces collateral damage to adjacent tissue
US6726686B2 (en) 1997-11-12 2004-04-27 Sherwood Services Ag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sealing vessels
US7435249B2 (en) 1997-11-12 2008-10-14 Covidien Ag Electrosurgical instruments which reduces collateral damage to adjacent tissue
US6228083B1 (en) 1997-11-14 2001-05-08 Sherwood Services Ag Laparoscopic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7267677B2 (en) 1998-10-23 2007-09-11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ing instrument
US7364577B2 (en) 2002-02-11 2008-04-29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ing system
US7118570B2 (en) 2001-04-06 2006-10-10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ing forceps with disposable electrodes
US7582087B2 (en) 1998-10-23 2009-09-01 Covidien Ag Vessel sealing instrument
US20030109875A1 (en) 1999-10-22 2003-06-12 Tetzlaff Philip M. Open vessel sealing forceps with disposable electrodes
CA2442598C (en) 2001-04-06 2011-10-04 Sean T. Dycus Vessel sealer and divider with non-conductive stop members
ITMI20012002A1 (it) * 2001-09-27 2003-03-27 Vimar Spa Meccanismo di azionamento a compressione mediante tasto basculante diinterruttori commutatori deviatori e simili
US6925722B2 (en) * 2002-02-14 2005-08-09 Faro Technologies, Inc. Portable coordinate measurement machine with improved surface features
JP2004096918A (ja) * 2002-09-02 2004-03-25 Omron Corp スイッチ装置
US7270664B2 (en) 2002-10-04 2007-09-18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electrical cutting mechanism
US7931649B2 (en) 2002-10-04 2011-04-26 Tyco Healthcare Group Lp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electrical cutting mechanism
US7276068B2 (en) 2002-10-04 2007-10-02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electrical cutting mechanism
US7799026B2 (en) 2002-11-14 2010-09-21 Covidien Ag Compressible jaw configuration with bipolar RF output electrodes for soft tissue fusion
US7776036B2 (en) 2003-03-13 2010-08-17 Covidien Ag Bipolar concentric electrode assembly for soft tissue fusion
US7147638B2 (en) 2003-05-01 2006-12-12 Sherwood Services Ag Electrosurgical instrument which reduces thermal damage to adjacent tissue
US7160299B2 (en) 2003-05-01 2007-01-09 Sherwood Services Ag Method of fusing biomaterials with radiofrequency energy
AU2004241092B2 (en) 2003-05-15 2009-06-04 Covidien Ag Tissue sealer with non-conductive variable stop members and method of sealing tissue
US7156846B2 (en) 2003-06-13 2007-01-02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er and divider for use with small trocars and cannulas
US7857812B2 (en) 2003-06-13 2010-12-28 Covidien Ag Vessel sealer and divider having elongated knife stroke and safety for cutting mechanism
US7150749B2 (en) 2003-06-13 2006-12-19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er and divider having elongated knife stroke and safety cutting mechanism
USD956973S1 (en) 2003-06-13 2022-07-05 Covidien Ag Movable handle for endoscopic vessel sealer and divider
JP4279648B2 (ja) * 2003-10-20 2009-06-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US9848938B2 (en) 2003-11-13 2017-12-26 Covidien Ag Compressible jaw configuration with bipolar RF output electrodes for soft tissue fusion
US7367976B2 (en) 2003-11-17 2008-05-06 Sherwood Services Ag Bipolar forceps having monopolar extension
US7500975B2 (en) 2003-11-19 2009-03-10 Covidien Ag Spring loaded reciprocating tissue cutting mechanism in a forceps-style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7131970B2 (en) 2003-11-19 2006-11-07 Sherwood Services Ag Open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cutting mechanism
US7811283B2 (en) 2003-11-19 2010-10-12 Covidien Ag Open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hourglass cutting mechanism and over-ratchet safety
US7442193B2 (en) 2003-11-20 2008-10-28 Covidien Ag Electrically conductive/insulative over-shoe for tissue fusion
US7780662B2 (en) 2004-03-02 2010-08-24 Covidien Ag Vessel sealing system using capacitive RF dielectric heating
JP2005322466A (ja) * 2004-05-07 2005-11-17 Tokai Rika Co Ltd 揺動スイッチ装置
JP2006012528A (ja) * 2004-06-24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装置
US7195631B2 (en) 2004-09-09 2007-03-27 Sherwood Services Ag Forceps with spring loaded end effector assembly
US7540872B2 (en) 2004-09-21 2009-06-02 Covidien Ag Articulating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7955332B2 (en) 2004-10-08 2011-06-07 Covidien Ag Mechanism for dividing tissue in a hemostat-style instrument
KR100610934B1 (ko) 2004-12-22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1버튼 6웨이 선루프 스위치
US7909823B2 (en) 2005-01-14 2011-03-22 Covidien Ag Open vessel sealing instrument
US7686804B2 (en) 2005-01-14 2010-03-30 Covidien Ag Vessel sealer and divider with rotating sealer and cutter
US7491202B2 (en) 2005-03-31 2009-02-17 Covidien Ag Electrosurgical forceps with slow closure sealing plates and method of sealing tissue
US7439459B2 (en) * 2005-09-05 2008-10-21 Alps Electric Co., Ltd.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US7789878B2 (en) 2005-09-30 2010-09-07 Covidien Ag In-line vessel sealer and divider
US7846161B2 (en) 2005-09-30 2010-12-07 Covidien Ag Insulating boot for electrosurgical forceps
US7922953B2 (en) 2005-09-30 2011-04-12 Covidien Ag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nd effector assembly
US7879035B2 (en) 2005-09-30 2011-02-01 Covidien Ag Insulating boot for electrosurgical forceps
CA2561034C (en) 2005-09-30 2014-12-09 Sherwood Services Ag Flexible endoscopic catheter with an end effector for coagulating and transfecting tissue
US7722607B2 (en) 2005-09-30 2010-05-25 Covidien Ag In-line vessel sealer and divider
US8298232B2 (en) 2006-01-24 2012-10-30 Tyco Healthcare Group Lp Endoscopic vessel sealer and divider for large tissue structures
US8882766B2 (en) 2006-01-24 2014-11-11 Covidien Ag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livery of energy to divide tissue
US8241282B2 (en) 2006-01-24 2012-08-14 Tyco Healthcare Group Lp Vessel sealing cutting assemblies
US8734443B2 (en) 2006-01-24 2014-05-27 Covidien Lp Vessel sealer and divider for large tissue structures
US7776037B2 (en) 2006-07-07 2010-08-17 Covidien A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de gap during tissue sealing
US8597297B2 (en) 2006-08-29 2013-12-03 Covidien Ag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multiple electrode configurations
US8070746B2 (en) 2006-10-03 2011-12-06 Tyco Healthcare Group Lp Radiofrequency fusion of cardiac tissue
JP4582084B2 (ja) * 2006-12-05 2010-11-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ソースイッチ
USD649249S1 (en) 2007-02-15 2011-11-22 Tyco Healthcare Group Lp End effectors of an elongated dissecting and dividing instrument
US8267935B2 (en) 2007-04-04 2012-09-18 Tyco Healthcare Group Lp Electrosurgical instrument reducing current densities at an insulator conductor junction
US7877852B2 (en) 2007-09-20 2011-02-01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of manufacturing an end effector assembly for sealing tissue
US7877853B2 (en) 2007-09-20 2011-02-01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of manufacturing end effector assembly for sealing tissue
US9023043B2 (en) 2007-09-28 2015-05-05 Covidien Lp Insulating mechanically-interfaced boot and jaws for electrosurgical forceps
US8221416B2 (en) 2007-09-28 2012-07-17 Tyco Healthcare Group Lp Insulating boot for electrosurgical forceps with thermoplastic clevis
US8236025B2 (en) 2007-09-28 2012-08-07 Tyco Healthcare Group Lp Silicone insulated electrosurgical forceps
US8235992B2 (en) 2007-09-28 2012-08-07 Tyco Healthcare Group Lp Insulating boot with mechanical reinforcement for electrosurgical forceps
US8251996B2 (en) 2007-09-28 2012-08-28 Tyco Healthcare Group Lp Insulating sheath for electrosurgical forceps
US8235993B2 (en) 2007-09-28 2012-08-07 Tyco Healthcare Group Lp Insulating boot for electrosurgical forceps with exohinged structure
US8241283B2 (en) 2007-09-28 2012-08-14 Tyco Healthcare Group Lp Dual durometer insulating boot for electrosurgical forceps
US8267936B2 (en) 2007-09-28 2012-09-18 Tyco Healthcare Group Lp Insulating mechanically-interfaced adhesive for electrosurgical forceps
US8764748B2 (en) 2008-02-06 2014-07-01 Covidien Lp End effector assembly for electrosurgical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623276B2 (en) 2008-02-15 2014-01-07 Covidien Lp Method and system for sterilizing an electrosurgical instrument
US8469956B2 (en) 2008-07-21 2013-06-25 Covidien Lp Variable resistor jaw
US8162973B2 (en) * 2008-08-15 2012-04-24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of transferring pressure in an articulating surgical instrument
US8257387B2 (en) 2008-08-15 2012-09-04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of transferring pressure in an articulating surgical instrument
US9603652B2 (en) 2008-08-21 2017-03-28 Covidien Lp Electrosurgical instrument including a sensor
US8795274B2 (en) 2008-08-28 2014-08-05 Covidien Lp Tissue fusion jaw angle improvement
US8317787B2 (en) 2008-08-28 2012-11-27 Covidien Lp Tissue fusion jaw angle improvement
US8784417B2 (en) 2008-08-28 2014-07-22 Covidien Lp Tissue fusion jaw angle improvement
US8303582B2 (en) 2008-09-15 2012-11-06 Tyco Healthcare Group Lp Electrosurgical instrument having a coated electrode utilizing an atomic layer deposition technique
US8535312B2 (en) 2008-09-25 2013-09-17 Covidien L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US8968314B2 (en) 2008-09-25 2015-03-03 Covidien L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US9375254B2 (en) 2008-09-25 2016-06-28 Covidien Lp Seal and separate algorithm
US8142473B2 (en) 2008-10-03 2012-03-27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of transferring rotational motion in an articulating surgical instrument
US8469957B2 (en) 2008-10-07 2013-06-25 Covidien L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US8016827B2 (en) 2008-10-09 2011-09-13 Tyco Healthcare Group L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US8636761B2 (en) 2008-10-09 2014-01-28 Covidien L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ndoscopic electrosurgical procedure
US8486107B2 (en) 2008-10-20 2013-07-16 Covidien Lp Method of sealing tissue using radiofrequency energy
US8197479B2 (en) 2008-12-10 2012-06-12 Tyco Healthcare Group Lp Vessel sealer and divider
US8114122B2 (en) 2009-01-13 2012-02-14 Tyco Healthcare Group L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US8187273B2 (en) 2009-05-07 2012-05-29 Tyco Healthcare Group L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electrosurgical procedure
JP2010282882A (ja) * 2009-06-05 2010-12-16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US8246618B2 (en) 2009-07-08 2012-08-21 Tyco Healthcare Group Lp Electrosurgical jaws with offset knife
US8133254B2 (en) 2009-09-18 2012-03-13 Tyco Healthcare Group Lp In vivo attachable and detachable end effector assembly and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s therefor
US8112871B2 (en) 2009-09-28 2012-02-14 Tyco Healthcare Group Lp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surgical seal plates
US9113940B2 (en) 2011-01-14 2015-08-25 Covidien Lp Trigger lockout and kickback mechanism for surgical instruments
JP5712021B2 (ja) * 2011-03-28 2015-05-07 ホシデン株式会社 2方向操作スイッチ
USD680220S1 (en) 2012-01-12 2013-04-16 Coviden IP Slider handle for laparoscopic device
JP2014229475A (ja) * 2013-05-22 2014-12-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805139B2 (ja) * 2013-05-24 2015-11-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切換え装置
CN105451670B (zh) 2013-08-07 2018-09-04 柯惠有限合伙公司 外科手术钳
CN104434246B (zh) * 2013-09-24 2017-11-24 无锡德瑞克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单手驱动装置的腔镜直线切割吻合器
US10231777B2 (en) 2014-08-26 2019-03-19 Covidien Lp Methods of manufacturing jaw members of an end-effector assembly for a surgical instrument
JP5913700B1 (ja) * 2015-07-30 2016-04-27 ミック電子工業株式会社 ダブルシーソースイッチ
WO2017031712A1 (en) 2015-08-26 2017-03-02 Covidien Lp Electrosurgical end effector assemblies and electrosurgical forceps configured to reduce thermal spread
US10213250B2 (en) 2015-11-05 2019-02-26 Covidien Lp Deployment and safety mechanisms for surgical instruments
CN106408742B (zh) * 2016-12-02 2022-12-02 广州市俐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识别投币器
US11166759B2 (en) 2017-05-16 2021-11-09 Covidien Lp Surgical forceps
EP3581337A1 (de) * 2018-06-11 2019-12-18 HILTI Aktiengesellschaft Handwerkzeugmaschine
EP3593951A1 (de) * 2018-07-11 2020-01-15 Hilti Aktiengesellschaft Handwerkzeugmaschine
US10879022B1 (en) * 2019-08-15 2020-12-2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Toggle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917A (en) * 1979-02-12 1980-10-28 Mcgill Manufacturing Company, Inc. Removable-key rocker type switch for two circuits
JPS63194443U (ko) * 1987-06-01 1988-12-14
US5265716A (en) 1991-05-10 1993-11-30 Alps Electric Co., Ltd. Switch with multiple levers and multiple switch assembly using same
US5769209A (en) * 1996-07-01 1998-06-23 Freightliner Corporation Handle for electrical toggle switch on a truck dash
WO1998045865A1 (de) * 1997-04-09 1998-10-15 Marquardt Gmbh Elektrischer schalter
US6040543A (en) * 1999-08-13 2000-03-21 Egs Electrical Group Llc Explosion proof toggle switch
US6175090B1 (en) * 1999-09-02 2001-01-16 Trw Inc. Rocker sw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54U (ko) 2017-01-04 2018-07-12 김종희 수저통
KR102166795B1 (ko) * 2019-04-12 2020-10-16 전영환 터치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64754B2 (ja) 2007-08-22
CN1477660A (zh) 2004-02-25
US6800825B1 (en) 2004-10-05
KR100514313B1 (ko) 2005-09-13
JP2004063328A (ja) 2004-02-26
CN1235252C (zh) 200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313B1 (ko) 스위치장치
JP4279648B2 (ja) スイッチ装置
JP4111798B2 (ja) 2段動作シーソースイッチ装置
JP3964731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5032556A (ja) スイッチ装置
KR100501216B1 (ko) 스위치장치
JP2001325859A (ja)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010282882A (ja) スイッチ装置
JP3744643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7157644A (ja) スイッチ装置
US6271490B1 (en) Waterproof lever switch
JP4002414B2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JP2003331695A (ja) スイッチ装置
JP2003317577A (ja) スイッチ装置
JP3959900B2 (ja) 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908837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3068165A (ja) 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電子レンジ用スイッチユニット
JP6563356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0243184A (ja) 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83543A (ko) 정역 누름버튼 개폐기
JPH09320398A (ja) トリガースイッチ
JP2002117747A (ja) 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電気機器の開閉ユニット
JP2004146069A (ja) 2段動作シーソースイッチ装置
JP2006004866A (ja) スイッチ装置
JPH097461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