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826B1 - 푸쉬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826B1
KR101832826B1 KR1020170124881A KR20170124881A KR101832826B1 KR 101832826 B1 KR101832826 B1 KR 101832826B1 KR 1020170124881 A KR1020170124881 A KR 1020170124881A KR 20170124881 A KR20170124881 A KR 20170124881A KR 101832826 B1 KR101832826 B1 KR 101832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over
rocker member
pushing module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메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가테크 filed Critical (주)메가테크
Priority to KR102017012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버튼을 누를 때마다 온, 오프 동작이 교대되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인 푸쉬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스위치는 한 쌍의 고정자; 가동자; 로커부재; 푸싱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 푸쉬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푸싱모듈은 하부 양단에 상기 로커부재를 푸쉬하는 가압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안착홈과, 상기 슬라이드더의 하부를 지지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판을 갖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을 덮는 덮개와,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가이드블럭에 지지되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쉬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
본 발명은 푸쉬버튼을 누를 때마다 온, 오프 동작이 교대되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성을 개선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인 푸쉬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기기기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상 스위치가 사용되는데, 공지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스위치 중에서, 푸쉬버튼(push-button) 스위치와 로커 스위치(rocker switch)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로커 스위치는 서로 다른 선택적인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선택적인 안정 동작위치들 사이에서 토글될 수 있는 로커 부재를 포함하며, 푸쉬버튼 스위치는 간단한 선형 동작에 의해 선형으로 구동되는 푸쉬버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푸쉬버튼 스위치는 한 쌍의 고정자와, 한 쌍의 고장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를 이동시켜 고정자에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하며 그 상태(연결 또는 차단)가 유지되도록 하는 로커버재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외력으로 상기 로커부재를 푸쉬하여 고정자와 가동자가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푸싱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로커부재를 푸쉬하는 푸싱모듈은 로커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갖는 슬라이더와, 이동된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25679호 "푸쉬버튼 스위치", 등록특허 제10-1511322호 "푸쉬버튼 스위치" 등이 개시되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025679호와 등록특허 제10-1511322호는 복귀스프링이 슬라이더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기에, 복귀스프링이 슬라이더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조가 복잡하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025679호는 복쉬스프링으로 슬라이더(구동변환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각 구획되어 설치된 복귀스프링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상이할 경우 온, 오프 동작이 균일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511322호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귀스프링을 하나만 사용하기 위해서 슬라이더의 상부 양측 안내돌기를 형성하고 푸쉬버튼의 하부면에 복귀스프링이 수납되는 수납부와 안내돌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채널을 형성하여 구조가 복잡하다.
본 발명은 푸싱모듈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낮추며 조립성을 높여 생산성을 높이고, 푸싱모듈이 커버에 삽입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하게 그 위에 배치되도록 하여 커버의 구조가 단순하 조립성이 개선되고, 하강하는 슬라이드의 가압돌기가 로커부재의 오목홈에 안치되도록 하여 로커부재의 푸쉬 동작이 안정적으로 행해지는 푸쉬버튼 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스위치는
입력라인과 출력라인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자;
상기 한 쌍의 고정자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가동자;
상기 가동자가 상기 고정자에 연결 또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커부재;
상기 로커부재의 상단을 푸쉬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자가 상기 고정자에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이동시키는 푸싱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 푸쉬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푸싱모듈은
하부 양단에 상기 로커부재를 푸쉬하는 가압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안착홈과,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를 지지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판을 갖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을 덮는 덮개와,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가이드블럭에 지지되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로커부재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서 하부로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가동자가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고, 양단에 상기 슬라이더의 가압돌기가 안치되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가압부와,
상기 회동부와 상기 가동자를 탄성지지하는 로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삭제
상기 고정자, 가동자 및 로커부재가 내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덮고, 상기 로커부재의 회전축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를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푸싱모듈이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착플레이트;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푸싱모듈을 눌러 하강시키는 푸쉬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스위치는 푸싱모듈의 복귀스프링이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를 관통하며 배치되고 복귀스프링의 양측은 가이드블럭에 지지되어서, 푸싱모듈의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생산성이 높다.
그리고 푸싱모듈은 커버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커버의 위에 얹혀져, 커버의 구조가 단순하고 커버와 푸싱모듈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슬라이더의 가압돌기가 로커부재의 오목홈에 안치되어서 푸싱모듈의 푸쉬 동작이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푸쉬버튼 스위치의 사시도.
도 2 는 도1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2에서 푸싱모듈과 몸체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도1의 단면도로서, 온오프 스위칭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스위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푸쉬버튼 스위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 스위치는 장착플레이트(10), 푸쉬버튼(20), 푸싱모듈(100), 몸체(30), 커버(40), 가동자(60), 고정자(70) 및 로커부재(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이하에서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구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10)는 벽체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상기 장착플레이트(10)의 중앙 부위에 상기 푸싱모듈(100)이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1)의 바닥에는 상기 푸싱모듈(100)의 슬라이드가 이동 및 통과하는 통과홀(13)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1)의 주변에는 상기 푸쉬버튼(2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네 개의 가이드홀(15)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5)의 후방측에는 상기 푸쉬버튼(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17)이 형성된다.
상기 푸쉬버튼(20)은 스위치의 온오프를 위해 사용자가 누르는 부위로서, 상기 장착플레이트(10)의 상부면측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푸쉬버튼(20)은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장착플레이트(10)에서 하강되고, 누르는 힘이 소멸하면 상기 푸싱모듈(100)의 승강스프링(150)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되어 원위치 된다.
상기 푸쉬버튼(20)은 사각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네 모서리에는 상기 장착플레이트(10)의 가이드홀(15)에 삽입관통되어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25)가 후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가이드돌기(25)의 단부에는 상기 이탈방지홈(17)에 걸림결합되는 이탈방지돌기(2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푸쉬버튼(20)의 후면 중앙부위에는 상기 푸싱모듈(100)의 덮개(130)를 눌러주는 푸싱부(2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푸싱모듈(100)은 상기 푸쉬버튼(20)을 누르는 힘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로커부재(50)를 푸쉬한다. 푸쉬된 로커부재(50)는 회동하여 상기 가동자(60)를 한 쌍의 고정자(70)에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킨다.
상기 푸싱모듈(100)은 슬라이더(110), 가이드블럭(120), 덮개(130), 복귀스프링(140), 승강스프링(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110)는 하부의 전후방향 양측에 상기 로커부재(50)의 상단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가압돌기(11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복귀스프링(140)이 가로질러 관통하는 관통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럭(120)에는 상기 슬라이더(110)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안착홈(12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고, 안착홈(121)의 바닥에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하부를 지지하여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판(123)이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121)의 상부측 중앙부위에는 상기 복귀스프링(140)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125)이 형성되고, 가이드블럭(120)의 하부면 전후방향 양측에는 상기 승강스프링(150)의 상단이 상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기(12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덮개(130)는 상기 가이드블럭(1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121)을 덮음으로써, 슬라이더(110)와 복귀스프링(14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덮개(130)의 전후방향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블럭(120)의 안착홈(121)으로 삽입되어 후크결합되는 후크편(131)이 구비된다.
상기 복귀스프링(140)은 중앙부위가 상기 슬라이더(110)의 관통홈(113)을 관통하고, 양측이 상기 지지홈(125)에 지지된다. 상기 복귀스프링(140)은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로커부재(50)를 푸쉬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때에 신장되고, 로커부재(50)를 푸쉬하는 힘이 소멸하여 푸싱모듈(100)이 승강하는 때에 복원력으로 신축되어 슬라이더(1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승강스프링(150)은 상단이 상기 가이드블럭(120)의 결합돌기(127)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커버(40)의 상부면이 지지되어 푸싱모듈(100)을 상부측으로 탄성지지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푸쉬버튼(20)을 누르는 경우에 푸싱모듈(100)이 부드럽게 하강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누르는 힘이 소멸하면 푸싱모듈(100)이 승강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자(7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에는 전원이 입출력되는 입력라인과 출력라인이 연결된다.
상기 가동자(60)는 상기 한 쌍의 고정자(7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즉, 입력라인과 출력라인을 연결하여 전원을 온(ON) 시키거나, 입력라인과 출력라인의 연결을 해제하여 전원을 오프(OFF) 시킨다.
상기 가동자(60)는 평판 구조를 갖고 상부의 일면에는 접속부(61)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한 쌍의 고장자 중 어느 하나에는 가동자(60)의 하단을 지지하여 가동자(60)가 좌우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고, 마주보는 다른 고정자(70)에는 상기 가동자(60)의 접속부(61)와 접속되는 대응접속부(71)가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자(70) 옆에는 입력라인이나 출력라인이 가압하여 고정자(70)에 접속되도록 하는 판스프링(80)과, 판스프링(80)의 가압을 해제하여 입력라인이나 출력라인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체키(90)가 배치된다.
상기 로커부재(50)는 하강하는 상기 푸싱모듈(100)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가동자(60)를 좌측이나 우측으로 젖혀 고정자(70)에 연결되거나 차단되도록 하고, 가동자(60)의 젖혀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로커부재(50)는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는 회전축부(51)와, 상기 회전축부(51)의 중심부에 교차하여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가압부(53)와, 상기 회전축부(51)의 일측에서 하부로 연결되는 회동부(55)와, 상기 회동부(55)의 내부에 삽입되는 로커스프링(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53)의 양측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가압돌기(111)가 안치되는 오목홈(54)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돌기(111)가 상기 오목홈(54)에 안치되어 암수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110)가 하강하여 로커부재(50)를 푸쉬함으로써 로커부재(50)가 회동하고, 그에 따라 슬라이더(110)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111)가 오목홈(5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55)의 하부에는 상기 가동자(60)의 상단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홈(56)이 형성된다.
상기 로커스프링(57)은 양단이 상기 회동부(55)의 내부와 상기 가동자(60)의 상단을 탄성지지하여 로커부재(50)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30)에는 상기 고정자(70), 가동자(60) 및 로커부재(50) 등이 내장되고, 상기 커버(40)는 상기 몸체(30)의 상부에 결합되어 덮는다.
상기 몸체(3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자(70), 판스프링(80), 해체키 등이 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구조물들이 배치되고, 외측면에는 후크돌기(3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40)에는 상기 로커부재(50)의 회전축부(5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41)가 형성되고, 양측으로는 상기 몸체(30)의 후크돌기(33)가 후크결합되는 후크홀(43)이 형성된 연장부(44)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전후방향에는 상기 장착플레이트(10)에 형성된 후크홈(19)에 후크결합되는 후크돌부(4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푸쉬버튼(20) 스위치의 조립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이 간편하다.
먼저, 슬라이더(110)를 가이드블럭(120)의 안착홈(121)에 안착시키고, 슬라이더(110)의 관통홈(113)에 복귀스프링(140)을 투입하고, 가이드블럭(120)에 덮개(130)를 후크결합시키면 푸싱모듈(100)이 조립이 완성된다.
장착플레이트(10)의 수용부(11)에 푸싱모듈(100)을 넣어 수용시키고, 푸쉬버튼(20)의 가이드돌기(25)를 장착플레이트(10)의 가이드홀(15)로 밀어넣으면 장착플레이트(10)와 푸쉬버튼(20)의 조립이 완성된다.
몸체(30) 내부의 구조물에 고정자(70), 판스프링(80), 해체키(90)를 넣어 배치시키고, 가동자(60)를 로커부재(50)의 끼움홈(56)에 끼움 결합시킨 후에 가동자(60)의 하단은 고정자(70)에 연결하고 로커부재(50)의 회전축부(51)를 커버(40)의 힌지부(41)에 집어넣은 후에 커버(40)를 몸체(30)에 후크결합시키면 이들의 조립이 완성된다.
마지막으로, 커버(40)의 상부측을 장착플레이트(10)의 하부측에 후크결합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20) 스위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후에는 몸체(30)의 하부측에서 입력라인과 출력라인을 투입하여 접속시키고, 장착플레이트(10)는 벽체에 볼트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푸쉬버튼(20) 스위치는 설치된다.
도4를 참조하여 푸쉬버턴을 누름에 따른 온오프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A]는 오프(OFF) 상태로, 푸쉬버튼(20)과 푸싱모듈(100)이 승강되어 있고, 도면기준으로 로커부재(50)가 우측으로 회전된 상태로 가동자(60)를 좌측으로 젖혀 좌우측의 고정자(70), 즉, 한 쌍의 고정자(70)가 분리되어(즉, OFF) 있다.
[B]는 푸쉬버튼(20)을 누른 상태로, 이 때는 눌리는 푸쉬버튼(20)과 함께 푸싱모듈(100)이 하강을 하고, 하강하는 푸싱모듈(100)의 슬라이더(110)에 구비된 좌측의 가압돌기(111)가 로커부재(50)의 좌측 오목홈(54)에 안치되고, 로커부재(50)의 좌측을 가압하여 로커부재(50)를 좌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로커부재(50)의 회동부(55)가 가동자(60)의 상단을 우측으로 젖혀서 좌우측의 고정자(70)가 가동자(60)를 통해 연결되고, 그에 따라 스위치는 온(ON) 된다. 이때, 우측으로 회동되어 있던 로커부재(50)가 좌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하강하는 슬라이더(110)는 그에 맞춰 좌측으로 이동된다.
[C]는 푸쉬버튼(20)에서 손을 뗀 상태로, 승강스프링(150)의 탄성력으로 푸싱모듈(100)과 푸쉬버튼(20)이 승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슬라이더(110)의 가압돌기(111)가 로커부재(50)에서 분리되면서 슬라이더(110)는 복귀스프링(140)의 탄성력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고, 로커스프링(57)의 탄성력으로 로커부재(50)는 좌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한 쌍의 고정자(70)는 가동자(60)를 통해 연결된 상태(즉, ON)를 유지한다.
[D]는 푸쉬버튼(20)을 다시 한번 누른 상태로, 이 때는 눌리는 푸쉬버튼(20)과 함께 푸싱모듈(100)이 하강을 하고, 하강하는 푸싱모듈(100)의 슬라이더(110)에 구비된 우측의 가압돌기(111)가 로커부재(50)의 우측 오목홈(54)에 안치되고, 로커부재(50)의 우측을 가압하여 로커부재(50)를 우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로커부재(50)의 회동부(55)가 가동자(60)의 상단을 좌측으로 젖혀서 좌우측의 고정자(70)가 분리되고, 그에 따라 스위치는 오프(OFF) 된다. 이때, 좌측으로 회동되어 있던 로커부재(50)가 우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하강하는 슬라이더(110)는 그에 맞춰 좌측으로 이동된다.
사용자가 푸쉬버튼(20)을 누를 때마다 위의 [A]~[D]의 상태를 반복하며 스위치는 온, 오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장착플레이트 20 : 푸쉬버튼
30 : 몸체 40 : 커버
50 : 로커부재 60 : 가동자
70 : 고정자 80 : 판스프링
90 : 해체키 100 : 푸싱모듈
110 : 슬라이더 120 : 가이드블럭
130 : 덮개 140 : 복귀스프링
150 : 승강스프링

Claims (4)

  1. 입력라인과 출력라인이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자;
    상기 한 쌍의 고정자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가동자;
    상기 가동자가 상기 고정자에 연결 또는 차단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로커부재;
    상기 로커부재의 상단을 푸쉬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자가 상기 고정자에 연결 또는 차단되도록 이동시키는 푸싱모듈;
    상기 푸싱모듈이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장착플레이트;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푸싱모듈을 눌러 하강시키는 푸쉬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 푸쉬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푸싱모듈은
    하부의 전후방향 양단에 상기 로커부재를 푸쉬하는 가압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전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홈이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안착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안착홈과,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를 지지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지지판과, 상기 안착홈의 상부측 중앙부위에서 양측으로 형성되는 지지홈을 갖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홈을 덮는 덮개와,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의 관통홈를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가이드블럭의 지지홈에 삽입지지되어서, 상기 슬라이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버튼의 하부면 모서리에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단부에는 이탈방지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중앙 부위에는 상기 푸싱모듈이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는 상기 푸싱모듈의 슬라이더가 이동 및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주변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후방측에는 상기 이탈방지돌기가 걸려 푸쉬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부재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에서 하부로 연결되고, 하단에 상기 가동자가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전축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되고, 양단에 상기 슬라이더의 가압돌기가 안치되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가압부와,
    상기 회동부와 상기 가동자를 탄성지지하는 로커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가동자 및 로커부재가 내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덮고, 상기 로커부재의 회전축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를 갖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
  4. 삭제
KR1020170124881A 2017-09-27 2017-09-27 푸쉬버튼 스위치 KR101832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81A KR101832826B1 (ko) 2017-09-27 2017-09-27 푸쉬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881A KR101832826B1 (ko) 2017-09-27 2017-09-27 푸쉬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826B1 true KR101832826B1 (ko) 2018-02-28

Family

ID=6140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881A KR101832826B1 (ko) 2017-09-27 2017-09-27 푸쉬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8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79B1 (ko) 2009-06-29 2011-03-30 클리오주식회사 푸쉬버튼 스위치
KR101641598B1 (ko)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79B1 (ko) 2009-06-29 2011-03-30 클리오주식회사 푸쉬버튼 스위치
KR101641598B1 (ko)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8505B2 (en) Keyswitch structure
EP2259277B1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KR100322143B1 (ko) 키보드장치및,그키보드장치를사용한퍼스널컴퓨터
US20140353134A1 (en) Mechanically lockable hand switch
KR101655977B1 (ko) 스위치
JP3749371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CN110853957A (zh) 一种智能按键开关
JP2961098B2 (ja) 押釦スイッチ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832826B1 (ko) 푸쉬버튼 스위치
AU2023241304A1 (en) Switch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0461682B1 (ko) 슬라이더 작동 스위치
KR101862117B1 (ko) 누름 스위치
KR101952837B1 (ko) 발광모듈이 구비된 푸쉬버튼 스위치
JP200913495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CN201629247U (zh) 一种启动开关
KR101987929B1 (ko)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CN215770951U (zh) 双开自动复位开关
CN216902649U (zh) 一种组合式隔离开关
CN218038977U (zh) 一种新结构防尘按钮开关
CN211088130U (zh) 一种智能按键开关
CN212380387U (zh) 一种汽车多功能方向盘开关总成
CN211088128U (zh) 一种开关装置
CN218351360U (zh) 开关
CN221040902U (zh) 一种具有支撑复位结构的开关面板
CN217588784U (zh) 一种用于开关的驱动结构及具有其的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