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929B1 -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 Google Patents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929B1
KR101987929B1 KR1020180036668A KR20180036668A KR101987929B1 KR 101987929 B1 KR101987929 B1 KR 101987929B1 KR 1020180036668 A KR1020180036668 A KR 1020180036668A KR 20180036668 A KR20180036668 A KR 20180036668A KR 101987929 B1 KR101987929 B1 KR 10198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elf
buttons
base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세스
Priority to KR102018003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의 발전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자석의 접촉 시 전류를 발생하는 자가유도발전기,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장착되고, 상기 자가유도발전기에 의한 전류 발생 시 외부로 무선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택트 스위치가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 컨트롤 모듈, 상기 컨트롤 모듈을 커버하면서 누름 조작 시 상기 택트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 버튼, 상기 베이스의 너클에 하부 양쪽이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고, 상기 버튼의 누름 조작 시 상기 자석을 상기 자가유도발전기에 접촉시켜 상기 자가유도발전기가 유도전류를 발생하도록 작동하는 페달 및 상기 버튼의 누름 조작 시 상기 페달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상기 버튼의 누름 해제 시 탄성 작용으로 상기 자석과, 상기 버튼 및 상기 페달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WIRELESS SWITCH FOR WIRING APPLIANCE}
본 발명은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이 누름 작동 시 스프링의 탄성 작용에 의해 원래대로 신속하게 복귀하여 온/오프 스위칭 기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뿐 아니라 단일 부품에 버튼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부품 공용화를 이룰 수 있는 배선기구용 무선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기구 스위치는 옥내 배선에서 전등(조명) 따위의 각종 전기 기구에 전기의 흐름을 연결해 주거나 차단해 주는 개폐/전환기로, 주로 푸시 버튼(push-button) 방식과 로커(rocker)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선기구 스위치는 하나의 전기 기구를 온/오프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버튼을 전기 회로에 연결하여 벽면 등에 설치하거나 다수 개의 전기 기구를 선택적으로 각각 온/오프 제어하기 위해 두 개(2구) 내지 네 개(4구) 등 여러 개의 버튼을 하나의 전기 회로에 병렬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최근에는 푸시 버튼 방식과 로커 방식의 작동 소음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단점과, 벽에 매입하여 설치하는 방식이 갖는 불편함과, 나아가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자기유도형 발전기 형식을 적용한 무선 스위치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7461호에는, 로커판(12)의 시소운동에 따라 그 로커판(12)의 한쪽에 결합되어 있는 자석 어셈블리(144)가 마이크로발전기(14)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컨트롤 패널(15)이 전기 기구에 온/오프 제어용 RF 신호를 송신하는 자가발전식 무선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로커판(12)의 시소운동에 따른 자석 어셈블리(144)의 자성과 탄성편(141)의 탄성 회복력 작용을 이용하여 로커판(12)이 눌림 작동 후 원래대로 복귀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로커판(12)의 스위칭 작동을 위한 텐션력을 조절할 수 없어 안정적인 스위칭 기능을 확보할 수 없는 데다 로커판(12)의 개수에 따라 바닥판(13)을 다른 구조로 교체하거나 마이크로발전기(14)의 개수를 다르게 탑재해야 하므로 고비용 및 저효율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10-1707461 B1(2017.02.10) KR 10-1671217 B1(2016.10.26) KR 10-1432167 B1(2014.08.13)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무선 스위치가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버튼이 누름 작동 시 스프링의 탄성 작용에 의해 원래대로 신속하게 복귀하여 온/오프 스위칭 기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의 클릭 방식을 채용하여 단일 부품에 버튼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부품 공용화를 이룰 수 있어 다양한 디자인 제품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작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배선기구용 무선 스위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버튼이 누름 작동 시 원래대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단일 부품에 버튼의 개수를 자유롭게 적용하기 위한 부품 공용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상하 가장자리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림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제1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착부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자가유도발전기를 장착하기 위한 발전기 장착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너클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발전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자석의 접촉 시 전류를 발생하는 자가유도발전기,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 장착되고, 상기 자가유도발전기에 의한 전류 발생 시 외부로 무선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택트 스위치가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 컨트롤 모듈, 상기 컨트롤 모듈을 커버하면서 누름 조작 시 상기 컨트롤 모듈의 택트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하 가장자리에 상기 베이스의 걸림구멍에 결합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버튼, 상기 베이스의 너클에 하부 양쪽이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고, 상기 버튼의 누름 조작 시 상기 자석을 상기 자가유도발전기에 접촉시켜 상기 자가유도발전기가 유도전류를 발생하도록 작동하는 페달 및 상기 버튼의 누름 조작 시 상기 페달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상기 버튼의 누름 해제 시 탄성 작용으로 상기 자석과, 상기 버튼 및 상기 페달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버튼이 누름 작동 시 스프링의 탄성 작용에 의해 원래대로 신속하게 복귀하여 온/오프 스위칭 기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의 클릭 방식으로 단일 부품에 버튼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부품 공용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베이스에, 상기 버튼의 누름 조작 시 압축되었다가 상기 버튼의 누름 해제 시 탄성 작용으로 상기 버튼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제2스프링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됨으로써 버튼 각각의 온/오프 스위칭 기능이 더욱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페달은, 복수 개의 상기 버튼을 각기 누름 조작 시에도 상기 자석을 상기 자가유도발전기에 접촉시켜 상기 자가유도발전기가 유도전류를 발생하도록 작동함으로써 단일 부품에 버튼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부품 공용화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버튼의 누름 조작 시 이와 연동하는 페달이 자가유도발전기가 전류를 발생하도록 작동하여 버튼의 누름 조작과 동시에 개별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의 온/오프 스위칭이 이루어지고, 이때 페달이 스프링의 탄성 작용에 의해 버튼을 원래대로 신속하게 복귀시키므로 온/오프 스위칭 기능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단일 부품에 버튼의 개수를 자유롭고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부품 공용화로 1구형 내지 4구형 등 버튼의 개수에 비례하여 필요한 부품 수 및 조립공수가 줄어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단일 부품으로 버튼의 개수를 달리하는 다양한 디자인 제품에 적용하는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개수의 버튼 디자인 제품군을 간편하면서 한층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의 일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의 자가유도발전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 2구형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중 버튼 하나를 제외하고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 2구형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중 버튼을 제외하고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 2구형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 2구형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의 온(on) 스위칭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 2구형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의 오프(off) 스위칭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튼 1구형 내지 4구형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를 각각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는 옥내 배선에서 전등(조명)을 비롯하여 공기조화기, 선풍기, 음향기기 따위의 각종 전기 기구를 무선으로 온/오프 스위칭 제어하기 위해 벽면 등에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베이스(10), 자가유도발전기(20), 컨트롤 모듈(30), 버튼(40), 페달(50), 제1스프링(60) 및 제2스프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는 전면에 무선 스위치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탑재 및 장착하고, 아울러 벽면에 나사못 등으로 부착하기 위해 마치 사각 판재 또는 박스 모양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하 가장자리 안쪽에는 버튼(40)을 장착하기 위한 걸림구멍(1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0)의 상부 중앙에는 제1스프링(60)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중앙에는 자가유도발전기(20)를 장착하기 위한 발전기 장착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양쪽에는 페달(50)을 장착하기 위한 너클(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10)는 버튼(40)의 외형이 변경될 경우, 예를 들면 원형 또는 기타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가유도발전기(20)는 자석(21)의 접촉 시 전류를 발생하는 것으로, 컨트롤 모듈(30)과 접속된 채로 베이스의 발전기 장착부(13)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자석(21)은 페달(50)의 회전에 따라 접촉 및 접촉 해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 양쪽이 발전기 장착부(13)에 힌지 이음으로 장착되어 있다.
즉, 자가유도발전기(20)는 자석(21)이 그 코일에 접촉 시 자기장의 변화 및 상호작용에 의해 회로에 전류가 생겨나는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에 따라 택트 스위치(31)의 온/오프 신호를 전기 기구의 RF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는 정도의 전류를 발생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컨트롤 모듈(30)은 자가유도발전기(20)에 의한 전류 발생 시 외부로 무선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자가유도발전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베이스(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 모듈(30)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는 외부 전기 기구로 무선 제어 신호 송신을 온/오프 스위칭하는 택트 스위치(31)가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컨트롤 모듈(30)은 자가유도발전기(20)에서 발생하는 펄스 형태의 전기 신호를 정류 및 RF 신호로 변환하는 구동 제어 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 제어 회로는 버튼(40)의 누름 조작 시 연동하는 페달(5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자석(21)이 자가유도발전기(20)에 전류를 발생하도록 접촉하는 순간 자력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를 자가유도발전기(20)로부터 공급받고, 이와 동시에 택트 스위치(31)의 온/오프 스위칭에 따른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어하여 외부 전기 기구의 RF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버튼(40)은 사용자가 누름 조작 시 온/오프 스위칭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컨트롤 모듈(30)을 커버하면서 베이스(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있다.
즉, 버튼(40)은 사용자의 누름 조작 시 시소운동으로 컨트롤 모듈(30)의 아래위 쪽에 위치하는 각각의 택트 스위치(31)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페달(50)을 가압하여 자가유도발전기(20)에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하 가장자리에는 베이스(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베이스의 걸림구멍(11)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후크형 걸림돌기(4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튼(4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면에 접촉시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도록 엠보싱 형태의 돌기가 복수개 배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페달(50)은 버튼(40)의 누름 조작 시 작동하여 자가유도발전기(20)가 유도전류를 발생하도록 자석(21)을 자가유도발전기(20)에 접촉시키는 것으로, 베이스의 너클(14)에 하부 양쪽이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페달(50)은 버튼(40)의 누름 조작에 따라 그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자석(21)을 움직이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페달(50)은 복수 개의 버튼(40)을 각기 누름 조작 시에도 항시 작동하면서 자석(21)을 움직여 자가유도발전기(20)가 유도전류를 발생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제1스프링(60)은 사용자가 버튼(40)의 누름 조작 시 페달(50)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버튼(40)의 누름 해제 시 탄성 작용으로 자석(21)과, 버튼(40) 및 페달(50)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도록 베이스의 스프링 장착부(12)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제1스프링(60)은 외력에 대해 압축 및 인장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며, 이로 인해 자석(21)과, 버튼(40) 및 페달(50)은 장착 상태가 자유로운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프링(60)으로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는 비틀림 코일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 혹은 강선을 굽힘 가공하여 마치 클립과 같은 형태로 형성한 이형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제2스프링(70)은 사용자가 버튼(40)의 누름 조작 시 압축되었다가 버튼(40)의 누름 해제 시 탄성 작용으로 버튼(40)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도록 베이스(10)와 버튼(40)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제2스프링(70)으로는 가해지는 하중에 반발하는 힘을 제공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 예를 들면 고무 스프링과 같이 압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항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40)을 누름 조작 시 그 각각에 대응되는 택트 스위치(31)가 컨트롤 모듈(30)의 전기 회로의 동작을 가능하도록 작동하고, 이와 동시에 페달(50)이 연동하면서 자석(21)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움직여, 즉 자석(21)이 승강하는 방식으로 자가유도발전기(20)와 접촉되면서 순간적으로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그 각각의 버튼(40)에 대응되는 개별 택트 스위치(31)의 온/오프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스프링(60)은 페달(50)에 의해 압축되고, 제2스프링(70)은 버튼(40)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사용자의 버튼(40)을 누름 조작 해제 시 탄성 작용에 의해 자석(21)과, 버튼(40) 및 페달(50)을 원래대로 신속하게 복귀시킴으로써 버튼(40)의 누름 조작에 의한 온/오프 스위칭 기능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버튼(40)이 페달(50) 및 제2스프링(70) 등에 의해 베이스(10)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유동이 방지되므로 접속 신호가 명확하여 구동의 안정성 및 조작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자가유도발전기(20) 및 페달(50)에 버튼(40)과 택트 스위치(31)의 개수를 자유롭고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부품 공용화를 이룰 수 있어 1구형 내지 4구형 등 버튼(40)의 개수에 비례하여 필요한 부품의 수 및 조립공수가 줄어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11: 걸림구멍
12: 스프링 장착부 13: 발전기 장착부
14: 너클 20: 자가유도발전기
21: 자석 30: 컨트롤 모듈
31: 택트 스위치 40: 버튼
41: 걸림돌기 50: 페달
60: 제1스프링 70: 제2스프링

Claims (4)

  1. 상하 가장자리 안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림구멍이 다수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 제1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착부가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자가유도발전기를 장착하기 위한 발전기 장착부가 형성되고, 하부 양쪽에 너클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발전기 장착부에 장착되고, 자석의 접촉 시 전류를 발생하는 자가유도발전기;
    상기 자가유도발전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외부로 무선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온/오프 스위칭을 위한 택트 스위치가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 컨트롤 모듈;
    상기 컨트롤 모듈을 커버하면서 누름 조작 시 상기 컨트롤 모듈의 택트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고, 상하 가장자리에 상기 베이스의 걸림구멍에 결합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된 버튼;
    상기 베이스의 너클에 하부 양쪽이 힌지 이음으로 부착되고,
    복수 개의 상기 버튼을 각기 누름 조작 시 상기 자석을 항시 움직이도록 작동하여 상기 자가유도발전기가 유도전류를 발생하도록 상기 자석을 움직이는 페달; 및
    상기 버튼의 누름 조작 시 상기 페달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상기 버튼의 누름 해제 시 탄성 작용으로 상기 자석과, 상기 버튼 및 상기 페달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제1스프링;
    을 포함하는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상기 버튼의 누름 조작 시 압축되었다가 상기 버튼의 누름 해제 시 탄성 작용으로 상기 버튼을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제2스프링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된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표면에 엠보싱 돌기가 복수개 형성되도록 하는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KR1020180036668A 2018-03-29 2018-03-29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KR10198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68A KR101987929B1 (ko) 2018-03-29 2018-03-29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668A KR101987929B1 (ko) 2018-03-29 2018-03-29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929B1 true KR101987929B1 (ko) 2019-06-12

Family

ID=6684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668A KR101987929B1 (ko) 2018-03-29 2018-03-29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607B1 (ko) 2020-01-09 2021-03-24 주식회사 리바스 자가발전 스위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2465A (ja) * 2004-06-22 2006-01-12 Usc Corp スイッチ装置
JP2009245860A (ja) * 2008-03-31 2009-10-22 Icom Inc スイッチ構造
KR20120014280A (ko) * 2010-08-09 2012-02-17 원봉연 자가발전 스위치
KR101432167B1 (ko) 2013-04-29 2014-08-20 한국세라믹기술원 압전 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 무선 스위치
KR101671217B1 (ko) 2016-04-11 2016-11-02 (주)흥화전자 무선 스위치
JP2016208715A (ja) * 2015-04-24 2016-12-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発電スイッチ
KR101707461B1 (ko) 2013-08-26 2017-02-17 윤팡 류 자가발전식 무선스위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2465A (ja) * 2004-06-22 2006-01-12 Usc Corp スイッチ装置
JP2009245860A (ja) * 2008-03-31 2009-10-22 Icom Inc スイッチ構造
KR20120014280A (ko) * 2010-08-09 2012-02-17 원봉연 자가발전 스위치
KR101432167B1 (ko) 2013-04-29 2014-08-20 한국세라믹기술원 압전 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 무선 스위치
KR101707461B1 (ko) 2013-08-26 2017-02-17 윤팡 류 자가발전식 무선스위치
JP2016208715A (ja) * 2015-04-24 2016-12-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発電スイッチ
KR101671217B1 (ko) 2016-04-11 2016-11-02 (주)흥화전자 무선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607B1 (ko) 2020-01-09 2021-03-24 주식회사 리바스 자가발전 스위치
KR102231612B1 (ko) 2020-01-09 2021-03-24 주식회사 리바스 자가발전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32877B (zh) 自发电无线开关及其应用
US11259430B2 (en) Waterproof passive wireless controller and control system and application thereof
US6660948B2 (en) Switch matrix
US10373782B2 (en) Switching device for a radio pushbutton, radio pushbutton,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of a radio pushbutton
US20080062013A1 (en) Wall switch for wired and self-powered wireless controllers with recessed and flush mounting
AU2010256320A1 (en) Electrical installation unit
CN117389172A (zh) 无源无线控制模组
JP2001357758A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2114429B1 (ko) 무선 다채널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하는 다채널 스위칭 시스템
KR101987929B1 (ko)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KR20020025685A (ko) 스위치장치
CN212625228U (zh) 具有按钮的后装智能开关
KR102231607B1 (ko) 자가발전 스위치
AU2021211992A1 (en) Push-button switch assembly, and operational part
FI65684C (fi) Elektrisk driftskoppling
CN213691799U (zh) 适用于86面板开关的后装智能开关
TWI528400B (zh) 可遠端控制電器之覆蓋裝置
KR100691469B1 (ko) 키버튼 조립체
TWI751626B (zh) 自發電開關裝置
US20240006136A1 (en) Digital signaling device for signaling an electrical switch
RU2798924C1 (ru) Беспроводной кинетический радиовыключатель
CN212342495U (zh) 基于行星电机的后装智能开关
KR101952837B1 (ko) 발광모듈이 구비된 푸쉬버튼 스위치
KR100380652B1 (ko) 택트스위치 조립체
KR200295555Y1 (ko) 리모트 컨트롤러의 버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