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217B1 - 무선 스위치 - Google Patents

무선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217B1
KR101671217B1 KR1020160043958A KR20160043958A KR101671217B1 KR 101671217 B1 KR101671217 B1 KR 101671217B1 KR 1020160043958 A KR1020160043958 A KR 1020160043958A KR 20160043958 A KR20160043958 A KR 20160043958A KR 101671217 B1 KR101671217 B1 KR 101671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gnal
generated
power generation
cor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원
Original Assignee
(주)흥화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흥화전자 filed Critical (주)흥화전자
Priority to KR1020160043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4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push-button-operated, e.g. for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일측면이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와, 일측이 개방된 'E'자 형상의 코어몸체와, 상기 코어몸체의 'E'자 형상 중앙 돌출부분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자기유도형 발전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플레이트가 회동되면서 자력에 의해 상기 코어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부착 또는 부착해제되는 자석과,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RF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F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회동에 의해 상기 자석이 상기 코어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부착, 부착해제되면서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펄스형태의 전기신호가 상기 송신부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동되는 작동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 하부에 'E'자 형상의 코어몸체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자기유도형 발전부를 설치하여,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자석이 개방된 코어몸체에 부착되면서 코어몸체의 양쪽 방향으로 자장이 형성됨에 따라, 최대 자속 쇄교수를 얻을 수 있어 송신부로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에러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양측에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를 설치하여,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작동플레이트가 회동되면서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전기신호중 먼저 생성되는 전기신호는 기기동작제어를 위한 RF신호로 이용하고, 그 다음에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다른 전기신호는 충전모듈에 저장되어 저전력IC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별도의 외부전원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용이하며,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사용편의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RF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기신호가 2개의 발전부에서 각각 생성되어 하나의 발전부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하나의 발전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RF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여 고장발생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며, 2개의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합성하여 고전력 IC에서도 구동가능하도록 하여 제품 적용범위가 넓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스위치{Wireless switch}
본 발명은 무선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조명장치 등의 기기에 온오프 동작제어를 위한 RF신호를 전송하여 기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무선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조명시스템은 천정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전정에 부착되는 조명장치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스위치를 사용자가 작동시켜 조명기구를 온,오프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전원 스위치는 조명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전선이 벽면에 미리 매립되어 있지 않게 되면, 벽면 외부로 전선을 노출시켜 조명기기와 연결할 수 밖에 없어 외관상 좋지 않으며, 전선을 벽면에 설치하기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에, 최근에는 무선제어 방식으로 전선을 설치하지 않고서 무선 스위치에서 동작제어신호를 생성시켜 RF신호를 조명기기의 수신단으로 전송하도록 하여 온,오프 점등을 제어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스위치는 RF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 스위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배선작업을 하거나, 배터리 등을 추가 장착하여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26636호에서는 압전소자를 무선 스위치에 장착하여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압전소자에 압력이 가해져 전기를 자체적으로 발생시키기도 하나, 이러한 고가의 압전소자를 더 추가하여 장착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26636과 한국등록특허 제 1416952호에서는 자기유도형 발전구조로 무선신호를 발생시키고 있지만, 양발명은 “ㄷ”자 형태의 코어 자성체를 사용함에 의해 한쪽방향으로만 자장이 형성되어 자속의 변화를 최대로 얻기에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는 특히 송신부 전원 공급이 부족하게 되어 에러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무선 스위치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간단한 구조로 저렴한 가격으로 외부에서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자체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무선 스위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6-0026636호 한국등록특허 제 14169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스위치를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로 제작하여 별도의 외부전원 공급없어도 동작제어를 위한 RF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F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기신호를 2개의 발전부에서 각각 생성되도록 하여 발전부의 고장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며, 2개의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합성하여 고전력 IC에서도 구동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부 일측면이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와, 일측이 개방된 'E'자 형상의 코어몸체와, 상기 코어몸체의 'E'자 형상 중앙 돌출부분에 권선되는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자기유도형 발전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플레이트가 회동되면서 자력에 의해 상기 코어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부착 또는 부착해제되는 자석과,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RF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RF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회동에 의해 상기 자석이 상기 코어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부착, 부착해제되면서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펄스형태의 전기신호가 상기 송신부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하부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구형으로 형성된 결합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결합축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결합축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플레이트는 상기 결합축돌기를 중심으로 양단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는 일측이 개방된 제1 코어몸체와, 상기 제1 코어몸체에 권선되는 제1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와, 일측이 개방된 제2 코어몸체와, 상기 제2 코어몸체에 권선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석은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 자석과,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하여,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일측 단부가 눌러지면, 상기 작동플레이트가 회동되면서 상기 제2 자석이 상기 제2 코어몸체에서 부착해제되면서 상기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펄스형태의 전기신호가 발생된 다음, 상기 제1 자석이 상기 제1 코어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펄스형태의 전기신호가 발생된다.
더욱이, 상기 송신부는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생성된 전기신호를 직류형태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모듈과, 상기 정류모듈에서 변환된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모듈과, 상기 정류모듈에서 변환된 전압을 수신하여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모듈과, 상기 신호처리모듈에서 생성된 동작제어신호를 RF신호로 변환시키는 RF변환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가 연속적으로 상기 정류모듈로 공급되되, 상기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는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동작제어신호로 생성되어 상기 RF변환모듈을 통해 RF신호로 변환되며, 상기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는 상기 정류모듈을 거쳐 상기 충전모듈에 저장되어, 상기 배터리에 저장되는 상기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의 전기신호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으로 공급된다.
아울러,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상기 정류모듈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펄스형태의 전기신호 유형을 감시하되, 상기 정류모듈로 공급되는 전기신호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정류모듈로 공급되는 전기신호는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동작제어신호로 생성되어 상기 RF변환모듈을 통해 RF신호로 변환된다.
더욱이, 상기 정류모듈은 상기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 전기신호를 합성시켜 상기 신호처리모듈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동되는 작동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 하부에 'E'자 형상의 코어몸체에 권선된 코일을 포함하는 자기유도형 발전부를 설치하여,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자석이 개방된 코어몸체에 부착되면서 코어몸체의 양쪽 방향으로 자장이 형성됨에 따라, 최대 자속 쇄교수를 얻을 수 있어 송신부로 충분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간단한 구조로 에러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양측에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를 설치하여, 스위칭 동작에 의해 작동플레이트가 회동되면서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전기신호중 먼저 생성되는 전기신호는 기기동작제어를 위한 RF신호로 이용하고, 그 다음에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다른 전기신호는 충전모듈에 저장되어 저전력IC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별도의 외부전원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용이하며, 주기적으로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사용편의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RF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전기신호가 2개의 발전부에서 각각 생성되어 하나의 발전부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하나의 발전부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RF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여 고장발생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며, 2개의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합성하여 고전력 IC에서도 구동가능하도록 하여 제품 적용범위가 넓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가 벽면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자기유도형 발전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유도형 발전부의 단면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가 벽면에 설치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자기유도형 발전부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유도형 발전부의 단면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스위치는 벽면에 고정설치되어, 원거리에 배치된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무선 스위치에서 발생되는 RF신호를 천장에 설치된 조명장치의 수신기(600)로 전송하여 조명장치를 무선으로 온,오프 제어되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제어는 조명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장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 음향기기 그 외에 배전반 개폐기 등 온,오프 제어가 필요한 무선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스위치는 케이스(100), 자기유도형 발전부(200), 작동플레이트(300), 자석(400) 및 송신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하부 일측면이 벽면에 밀착되어 고정설치되며, 상부면에는 부품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공지된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자기유도형 발전부(200)는 케이스(100)의 상면 일단부에 PCB기판(230)상에 설치되며, 자석(400)이 자기유도형 발전부(200)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되면서 송신기를 구동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자기유도형 발전부(200)는 코어몸체(201)와, 코일(2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코어몸체(201)는 철과 같이 자성을 가지는 금속재질로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본 발명에서는 'E'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E'자 형상의 중앙 돌출부분에 코일(202)이 권선된다. 그리고 코어몸체(201)의 개방된 일단부측에 자석(400)의 일측면이 부착되어 코어몸체(201)가 회로를 이루도록, 자석(400)이 안착되는 안착면(203)이 코어몸체(201)의 일단부측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E'자 형태의 코어몸체는 양쪽 방향으로 자장이 형성되어 최대 자속의 쇄교수를 얻을수 있어 후술될 송신부(500)로 충분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작동플레이트(300)는 사용자가 눌러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케이스(100)의 상부 일측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작동플레이트(300)의 하부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구형으로 형성되는 결합축돌기(310)가 형성되고,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결합축돌기(310)와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110)이 형성되어, 결합축돌기(310)가 끼움홈(11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작동플레이트(300)의 결합축돌기(310)가 힌지축을 이루어 사용자가 작동플레이트(300)의 상부 일측면을 누르게 되면 작동플레이트(300)의 일단부측은 케이스(100)의 상면에 근접하게 되며, 타단부측은 케이스(100)의 상면에서 멀어지게 된다.
자석(400)은 상기와 같은 작동플레이트(30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작동플레이트(300)의 회동 동작에 의해 자석(400)이 코어몸체(201)의 개방된 일측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 또는 부착해제된다. 즉, 작동플레이트(300)의 일측 단부를 사용자가 하방으로 푸시하게 되면 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플레이트(30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자석(40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코어몸체(201)의 개방된 일측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송신부(500)는 자기유도형 발전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기유도형 발전부(200)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RF신호로 변환시켜 수신기(600)로 RF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송신부(500)의 구성과 이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작동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송신부(500)는 정류모듈(510), 충전모듈(520), 신호처리모듈(530) 및 RF변환모듈(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류모듈(510)은 자기유도형 발전부(200)에서 생성되는 펄스형태의 전기신호를 전송받아 직류형태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신호처리모듈(530)은 정류모듈(510)에서 변환된 전압을 수신하여 조명장치 등의 온,오프 동작제어를 위한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신호처리모듈(530)은 저전력IC일 수 있다.
RF변환모듈(540)은 신호처리모듈(530)에서 생성된 동작제어신호를 RF신호로 변환시켜 수신기(600)로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작동플레이트(300)를 눌러 스위칭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자석(40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코어몸체(201)의 개방된 일측에 부착되어 회로가 형성되면서 자기유도형 발전부(200)에서 펄스형태의 전기신호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자기유도형 발전부(200)에서 생성된 전기신호는 정류모듈(510)로 전송되어 정류되는데, 정류된 전압은 신호처리모듈(530)에서 동작제어신호로 생성되어 이를 RF변환모듈(540)을 통해 RF신호로 변환시켜 조명장치 등의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구조 및 작동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위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주요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자기유도형 발전부를 케이스(100)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210,220)를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210)는 제1 코어몸체(211)와, 제1 코일(2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220) 또한,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210)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제2 코어몸체(221)와, 제2 코어몸체(221)에 권선되는 제2 코일(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자석은 제1 자석(410)과 제2 자석(420)으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작동플레이트(300)의 일측 하단부와 타측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작동플레이트(300)의 동작에 의해 제1 자석(410)과 제2 자석(420)은 제1 코어몸체(211)와 제2 코어몸체(221)의 개방된 일측면에 자성에 의해 각각 부착 또는 부착해제된다.
즉, 작동플레이트(300)의 일측 단부를 사용자가 하방으로 푸시하게 되면, 먼저 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플레이트(300)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 자석(420)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 코어몸체(221)의 개방된 일측면에서 부착해제되고, 그 다음 작동플레이트(300)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 자석(41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1 코어몸체(211)의 개방된 일측면에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이에 따라,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펄스형태의 전기신호가 먼저 발생되며, 그 다음으로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는 방향이 반대인 펄스형태의 전기신호가 연속적으로 발생되어, 정류모듈(510)에 각 전기신호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제1 자석(410) 또는 제2 자석(420) 중 어느 하나의 자석에 의해 작동플레이트(300)가 항상 케이스(100)측에 부착되어 있어, 작동플레이트(3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후크구조가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작동플레이트(300)는 결합축돌기(310)를 중심으로 양단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형성되어 제1, 제2 자석(410, 420)과 제1, 제2 코어몸체(211, 221)와의 간격이 크게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제품 전체 크기가 더욱 슬림해지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의 송신부(500)는 충전모듈(520)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충전모듈(520)는 정류모듈(510)에서 변환된 전압을 저장하여, 신호처리모듈(530)의 동작에 필요로 하는 전원으로 사용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220)에서 먼저 생성되는 전기신호는 신호처리모듈(530)에서 동작제어신호로 생성되며, 이를 RF변환모듈(540)을 통해 RF신호로 변환시켜 조명장치 등의 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사용하도록 하며,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210)에서 그 다음으로 생성되는 전기신호는 충전모듈(520)에 저장되어 신호처리모듈(53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210,220)에서 생성되는 각 전기신호중 먼저 생성되는 전기신호는 기기동작제어를 위한 RF신호로 이용하고, 그 다음으로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다른 전기신호는 충전모듈(520)에 저장시켜 저전력IC로 이루어지는 신호처리모듈(530)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신호처리모듈(530)은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210,220)에서 정류모듈(510)로 공급되는 펄스형태의 전기신호 유형을 감시하여, 정류모듈(510)로 공급되는 전기신호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정류모듈(510)로 공급되는 전기신호를 충전모듈(520)로 축적시키지 않고 신호처리모듈(530)로 전송하여 기기동작제어를 위한 RF신호로 변환되도록 한다.
즉,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210,220) 중 어느 하나의 발전부에서 전기신호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RF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LED 경고알람부(미도시)를 별도로 설치하여 신호처리모듈(530)에서 발전기 고장을 외부로 경고하도록 하여 무선 스위치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210,220)에서 발생되는 각각의 펄스형태의 전기신호를 정류모듈(510)에서 고전력 신호로 합성시켜 신호처리모듈(530)로 전송되도록 하여, 신호처리모듈(530)에 사용되는 IC를 저전력IC로 하지 않고, 고전력IC에서도 구동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끼움홈
200 : 자기유도형 발전부 201 : 코어몸체
202 : 코일 203 : 안착면
210 :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 211 : 제1 코어몸체
212 : 제1 코일
220 :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 221 : 제2 코어몸체
222 : 제2 코일 230 : PCB기판
300 : 작동플레이트 310 : 결합축돌기
400 : 자석
410 : 제1 자석 420 : 제2 자석
500 : 송신부 510 : 정류모듈
520 : 충전모듈 530 : 신호처리모듈
540 : RF변환모듈
600 : 수신기

Claims (7)

  1. 하부 일측면이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와;
    일측이 개방된 'E'자 형상의 제1 코어몸체와, 상기 제1 코어몸체의 'E'자 형상 중앙 돌출부분에 권선되는 제1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와;
    일측이 개방된 'E'자 형상의 제2 코어몸체와, 상기 제2 코어몸체의 'E'자 형상 중앙 돌출부분에 권선되는 제2 코일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일측에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 자석과;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2 자석과;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를 직류형태의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정류모듈과, 상기 정류모듈에서 변환된 전압을 저장하는 충전모듈과, 상기 정류모듈에서 변환된 전압을 수신하여 동작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모듈과, 상기 신호처리모듈에서 생성된 동작제어신호를 RF신호로 변환시키는 RF변환모듈을 포함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일측 단부가 눌러지면, 상기 작동플레이트가 회동되면서 상기 제2 자석이 상기 제2 코어몸체에서 부착해제되어 상기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펄스형태의 전기신호가 발생된 다음, 상기 제1 자석이 상기 제1 코어몸체의 개방된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펄스형태의 전기신호가 연속적으로 발생되어 상기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전기신호가 상기 정류모듈로 공급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상기 정류모듈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펄스형태의 전기신호 유형을 감시하되, 상기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각 전기신호중 먼저 생성되는 전기신호는 동작제어신호로 생성되어 상기 RF변환모듈을 통해 RF신호로 변환시키고, 그 다음으로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다른 전기신호는 충전모듈에 저장시키며,
    상기 정류모듈로 공급되는 전기신호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정류모듈로 공급되는 전기신호는 동작제어신호로 생성되어 상기 RF변환모듈을 통해 RF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하부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구형으로 형성된 결합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결합축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결합축돌기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플레이트는 상기 결합축돌기를 중심으로 양단부가 하향 경사지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위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모듈은 상기 제1, 제2 자기유도형 발전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 전기신호를 합성시켜 상기 신호처리모듈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위치.
KR1020160043958A 2016-04-11 2016-04-11 무선 스위치 KR101671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958A KR101671217B1 (ko) 2016-04-11 2016-04-11 무선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958A KR101671217B1 (ko) 2016-04-11 2016-04-11 무선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217B1 true KR101671217B1 (ko) 2016-11-02

Family

ID=5751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958A KR101671217B1 (ko) 2016-04-11 2016-04-11 무선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29B1 (ko) 2018-03-29 2019-06-12 주식회사 한세스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52B1 (ko) 2013-02-27 2014-07-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전원 무선스위치 구현을 위한 자가발전장치
WO2015027803A1 (zh) * 2013-08-26 2015-03-05 Liu Yuanfang 自发电无线开关
KR20160026636A (ko) 2014-09-01 2016-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952B1 (ko) 2013-02-27 2014-07-09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전원 무선스위치 구현을 위한 자가발전장치
WO2015027803A1 (zh) * 2013-08-26 2015-03-05 Liu Yuanfang 自发电无线开关
KR20160026636A (ko) 2014-09-01 2016-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929B1 (ko) 2018-03-29 2019-06-12 주식회사 한세스 배선기구 무선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71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receiver devices
JP5116858B2 (ja) 非接触伝送装置並びに誘導加熱調理器
KR101322764B1 (ko) 무선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
US10784059B2 (en) Control circuits for self-powered switches and related methods of operation
EP2043226A3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wer transmitting device, power-transmitting-side device,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03109333A (zh) 在延伸区域中感应传输电能的系统和方法
JP2009159675A (ja) 非接触給電用パネル
KR101671217B1 (ko) 무선 스위치
JP5314277B2 (ja) 非接触給電機能付き浴槽
JP2007129462A (ja) 非接触型データ及び電力伝送装置
US7492567B2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switch circuit
JP2010114009A (ja) 電力供給装置、照明装置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KR20200125861A (ko) 무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장치
TWI383707B (zh) 無線照明控制系統
CN103973035A (zh) 能量自供的电子设备
KR20180032349A (ko) 코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KR20140011755A (ko) 무선충전 시스템
JP528969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および電動バルブアクチュエータ
WO2014119035A1 (ja) 送電装置
JP2005276719A (ja) 発電スイッチ
KR101091590B1 (ko) 스마트 조명 스위치에서의 전원 획득 장치
CN105391437B (zh) 无线开关
JP2020021704A (ja) 照明器具
JP2011160518A (ja) 電子機器
TWM583968U (zh) 用於智慧型整合控制系統的模組化動能情境面板控制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