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117B1 - 누름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117B1
KR101862117B1 KR1020170045149A KR20170045149A KR101862117B1 KR 101862117 B1 KR101862117 B1 KR 101862117B1 KR 1020170045149 A KR1020170045149 A KR 1020170045149A KR 20170045149 A KR20170045149 A KR 20170045149A KR 101862117 B1 KR101862117 B1 KR 101862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spring
button
pendulum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누름 스위치는, 누름면 반대면에 제1 및 제2 푸시돌기를 갖는 버튼; 상기 버튼의 눌림에 대한 위치 복원을 위한 용수철; 진자대 및 상기 진자대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 상에 제1 및 제2 이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눌림 반복에 따라 상기 제1 푸시돌기에 의해 상기 제1이동자는 제1스토퍼에 고정되고 반대쪽의 상기 제2 푸시돌기에 의해 상기 제2이동자는 제2스토퍼에서 해제되는 운동을 교대로 반복하여, 상기 진자대가 교대로 좌우 이동되게 하는 노브; 및 제1고정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받침을 중심으로, 상기 진자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시소 운동하여, 접촉편이 제2고정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돌출편과 접촉 또는 비접촉을 형성하는 가동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름 스위치{Push Switch}
본 발명은 전기적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손으로 버튼을 눌러 턴온(turn-on)과 턴오프(turn-off)가 이루어지는 토글형 누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적 스위치로서 버튼을 눌러 작동시키는 푸시형 스위치, 슬라이더를 좌우로 움직여서 작동시키는 슬라이드형 스위치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적용하기 위한 스위치가 고급화함에 따라 미감과 손으로 작동 시의 부드러운 느낌 등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선행문헌으로서 특허등록번호 제10-0829906호 (2008년05월16일) 등이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을 누를 때마다 부드럽고 편안한 온/오프 작동감이 손으로 느껴질 수 있는 토글형 누름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일면에 따른 누름 스위치는, 누름면 반대면에 제1 및 제2 푸시돌기를 갖는 버튼; 상기 버튼의 눌림에 대한 위치 복원을 위한 용수철; 진자대 및 상기 진자대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 상에 제1 및 제2 이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눌림 반복에 따라 상기 제1 푸시돌기에 의해 상기 제1이동자는 제1스토퍼에 고정되고 반대쪽의 상기 제2 푸시돌기에 의해 상기 제2이동자는 제2스토퍼에서 해제되는 운동을 교대로 반복하여, 상기 진자대가 교대로 좌우 이동되게 하는 노브; 및 제1고정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받침을 중심으로, 상기 진자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시소 운동하여, 접촉편이 제2고정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돌출편과 접촉 또는 비접촉을 형성하는 가동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의 눌림쪽에서, 상기 제1 푸시돌기에 의한 눌림 힘으로 접촉된 상기 제1이동자의 일측이 제1용수철을 밀고 상기 제1이동자의 타측의 끝은 상기 제1 스토퍼의 벽의 지지로 고정되고, 상기 눌림 힘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노브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2 푸시돌기는 상기 제2이동자를 누르지 못하는 위치가 되고 상기 제2이동자는 상기 제2 스토퍼의 지지로부터 해제되어 제2용수철의 복원력으로 위치 복원이 이루어져, 상기 진자대의 끝에 결합된 상기 가동단자는, 상기 접촉 또는 비접촉상태의 위치 유지가 이루어진다.
상기 노브는, 상기 진자대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상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벽 사이의 좌우측 각각에 배치되는 제1용수철과 상기 제1이동자 및 제2용수철과 상기 제2이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 각각에서, 일측 벽의 돌기에 끼워진 해당 용수철의 반대측에 해당 이동자의 일측의 돌기가 끼워지며, 상기 해당 이동자의 반대측의 돌기는 상기 버튼의 눌림 반복에 따라 타측 벽의 구멍을 통하여 나와 해당 스토퍼에 고정되거나 해당 스토퍼로부터 해제된다.
본 발명의 상기 누름 스위치는, 상기 노브를 수용하며, 상기 진자대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상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벽에 하나씩 외측으로 형성된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노브의 좌우 회전을 위한, 양측 벽에 하나씩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버튼의 상기 누름면 반대면과 상기 커버의 홈부 사이에, 상기 용수철이 배치된다. 상기 용수철은 상기 버튼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에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단자, 상기 제2고정단자 및 상기 가동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함께, 상기 진자대가 상기 커버의 중앙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커버와 함께 결합되며, 상기 진자대와 결합된 상기 가동단자를 밀거나 당겨서 좌우 시소 운동하도록 상기 버튼, 상기 용수철, 상기 노브, 상기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스위치에 따르면,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의 넓은 면적으로 인해 그 외양에 다양한 수려한 장식이 가능하며, 버튼을 누를 때마다 부드럽고 편안한 온/오프 작동감이 손으로 느껴질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의 내부 구성들의 작동 상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에 대한 여러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에서 노브의 눌림쪽 이동자와 관련하여 내부 구성들의 작동 상태를 시간 순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에서 노브의 눌림쪽 반대편 이동자와 관련하여 내부 구성들의 작동 상태를 시간 순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에서 노브의 눌림쪽과 반대쪽의 용수철과 이동자의 작동 상태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의 내부 구성들의 작동 상황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는, 제1고정단자(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받침(149)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이 가능한 가동단자(143)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이, 턴온(turn-on)을 위하여, 버튼(110)을 한번 눌렀다놓으면 노브(knob)(120)가 가동단자(143)에 힘을 가하고, 이에 따라 가동단자(143)의 한쪽 끝에 형성된 접촉편(145)이 제2고정단자(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돌출편(144)과 접촉되어, 제1고정단자(141)와 제2고정단자(142) 간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턴오프(turn-off)을 위하여는, 버튼(110)을 한번 더 눌렀다 놓으면 노브(120)가 가동단자(143)에 누르는 힘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가동단자(143)의 한쪽 끝에 형성된 접촉편(145)이 제2고정단자(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돌출편(144)과 비접촉되어, 제1고정단자(141)와 제2고정단자(142) 간에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되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이 가동단자(143)는, 제1고정단자(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받침(149)을 중심으로, 진자대(128)의 좌우 이동에 따라 시소 운동하여, 접촉편(145)이 제2고정단자(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돌출편(144)과 접촉 또는 비접촉을 형성한다. 가동단자(143)는 구리, 금, 은 등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도면과 같이 구부러진 형태 이외에도, 힘을 가하면 접촉편(145)이 돌출편(144)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힘을 제거하거나 당기는 힘을 가하면 접촉편(145)이 돌출편(144)과 비접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가 되도록,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동단자(143)는 도전성이 있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110)의 눌림 반복에 따라, 노브(knob)(120)의 진자대(128)는 그 끝에 결합된 가동단자(143)에 누르는 힘을 가하거나 반대로 당겨서 접촉편(145)과 돌출편(144) 간의 접촉 또는 비접촉상태의 위치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하기하는 바와 같이 노브(120)는 진자대(128) 이외에 수직으로 연장된 면 상에 2개의 이동자(123, 124)를 포함하고, 버튼(100)의 눌림 반복에 따라, 노브(120)의 눌림쪽에서 눌림힘을 받는 이동자는 대응된 스토퍼(stopper)에 고정되고, 눌림 힘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노브(120)의 반대쪽에서의 이동자는 대응된 스토퍼에서 해제되는 운동을 교대로 반복하여, 진자대(128)가 교대로 좌우 이동되게 하고, 이동된 상태에서 접촉편(145)과 돌출편(144) 간의 접촉 또는 비접촉상태의 위치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이하 도 2a, 도 2b, 도 2c의 분해 사시도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a, 도 2b,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에 대한 여러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2a, 도 2b,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는, 제1고정단자(141), 제2고정단자(142), 받침(149) 및 가동단자(143)를 수용하는 하우징(140), 및 진자대(128)이 중앙 홀을 관통하도록 노브(120)를 수용하면서 하우징(140) 위에 덮어져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커버(130)의 홈부(132)와 버튼(110)의 누름면(손에 의해 눌러지는 면)의 반대면 사이에 결합되어 버튼(110)의 눌러진 후 눌림이 해제되면(예, 손을 놓으면) 본래의 위치(눌러지지 않은 상태)로 위치 복원을 위한 용수철(113) 및 버튼(110)을 포함한다. 노브(120)는 진자대(128)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상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벽 사이의 좌우측 각각에 배치되는 제1용수철(121)과 제1이동자(123) 및 제2용수철(122)과 제2이동자(124)를 포함한다.
먼저, 버튼(110)은 조작자가 누르는 힘을 가하는 누름면에 다양한 장식적 디자인의 모양, 형상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반대면에는 제1이동자(123)와 제2이동자(1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푸시돌기(111)와 및 제2 푸시돌기(11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버튼(110)의 눌림 반복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눌림쪽의 제1 푸시돌기(111)에 의해 노브(120)의 제1이동자(123)는 커버(130)의 제1스토퍼(133)에 고정되고 반대쪽의 제2 푸시돌기(112)에 의해 제2이동자(124)는 커버(130)의 제2스토퍼(134)에서 해제되는 운동을 교대로 반복하여, 진자대(128)가 교대로 좌우 이동되게 한다.
노브(120)는 진자대(128)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상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벽 사이의 좌우측 각각에 배치되는 제1용수철(121)과 제1이동자(123) 및 제2용수철(122)과 제2이동자(124)를 포함한다. 노브(120)는 진자대(128)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상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벽에 하나씩 외측으로 형성된 돌기(129)를 포함한다. 노브(120)의 양측 돌기(129)는 커버(130)의 양측 벽에 하나씩 형성된 구멍(131)과 결합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에서 노브(120)의 눌림쪽 이동자에서의 내부 구성들의 작동 상태를 시간 순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에서 노브(120)의 눌림쪽 반대편 이동자에서의 내부 구성들의 작동 상태를 시간 순서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버튼(110)의 눌림 반복에 따라, 예를 들어, 턴온(turn-on)을 위하여, 제1 푸시돌기(111)에 의한 눌림 힘으로 접촉된 제1이동자(도면에서 위측 돌기 부분에 접촉)(123)의 일측이 제1용수철(121)을 밀고 제1이동자(123)의 타측의 끝(도 3a의 125 참조)은 제1 스토퍼(133)의 벽의 지지로 고정된다.
도 3a와 같은 제1 푸시돌기(111)에 의한 동작 동안, 도 3b를 참조하면, 시소 운동에 의해 눌림 힘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반대쪽의 제2 푸시돌기(112)는 제2이동자(124)를 누르지 못하는 위치가 되고 제2이동자(124)는 (도면에서 위로 올라가므로) 제2 스토퍼(134)의 지지로부터 해제되어 제2용수철(122)의 복원력으로 위치 복원이 이루어져, 도 3b와 같이 결국 제2이동자(124)는 타측의 끝(도 3a의 126 참조)이 제2 스토퍼(134)의 위로 올라가 원위치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도 3a 및 도 3b와 같은 동작에 따라 가동단자(143)의 접촉편(145)과 제2고정단자(142)의 돌출편(144) 간의 접촉 상태의 위치 유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턴오프(turn-off)의 경우에도, 제1이동자(123)와 제2이동자(124)가 서로 반대로 동작하여, 제1이동자(123)는 제1 스토퍼(133)의 지지로부터 해제되고, 제2이동자(124)는 제2 스토퍼(134)의 벽의 지지로 고정됨으로써, 가동단자(143)의 접촉편(145)과 제2고정단자(142)의 돌출편(144) 간의 비접촉 상태의 위치 유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노브(120)의 좌우측 각각에는 제1용수철(121)과 제1이동자(123) 및 제2용수철(122)과 제2이동자(12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노브(120)의 양측 벽 사이에 배치된다. 즉, 노브(120)의 일측 벽의 돌기(201/202)에 끼워진 해당 용수철(121/122)의 반대측에 해당 이동자(123/124)의 일측의 돌기(203/204)가 끼워지며, 해당 이동자(203/204)의 반대측의 돌기(205/206)는 버튼(110)의 눌림 반복에 따라 타측 벽의 구멍(207/208)을 통하여 나와 해당 스토퍼(133/134)에 고정되거나 해당 스토퍼(133/134)로부터 해제됨으로써, 접촉편(145)과 돌출편(144) 간의 접촉 또는 비접촉상태의 위치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름 스위치에서 노브(120)의 눌림쪽과 반대쪽의 용수철과 이동자의 작동 상태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버튼(110)의 눌림 반복에 따라, 턴온(turn-on)과 턴오프(turn-off)가 교대로이루어지며, 도 3c와 같이, 예를 들어, 턴온(turn-on) 시에, 노브(120)의 눌림쪽에서 제1 푸시돌기(111)에 의한 눌림 힘으로 제1이동자(123)의 일측이 제1용수철(121)을 밀고 제1이동자(123)의 타측의 끝(도 3a의 125 참조)은 제1 스토퍼(133)의 벽의 지지로 고정되며, 눌림 힘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노브(120)의 반대쪽에서의 제2 푸시돌기(112)는 제2이동자(124)를 누르지 못하는 위치가 되고 제2이동자(124)는 (도면에서 위로 올라가므로) 제2 스토퍼(134)의 지지로부터 해제되어 제2용수철(122)의 복원력으로 위치 복원이 이루어져 제2 스토퍼(134)의 위로 올라가 원위치를 유지한다.
턴오프(turn-off) 시에는, 반대로, 눌림 힘을 받지 못하는 제1 푸시돌기(111)에 의해 제1이동자(123)의 타측의 끝(도 3a의 125 참조)이 제1 스토퍼(133)의 위로 올라가고, 눌림 힘을 받는 제2 푸시돌기(112)에 의해 제2이동자(124)는 타측의 끝(도 3b의 126 참조)이 제2 스토퍼(134)의 벽의 지지로 고정된다.
한편, 진자대(128)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상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벽에 하나씩 외측으로 형성된 노브(120)의 양측 돌기(129)는, 커버(130)의 양측 벽에 하나씩 형성된 구멍(131)과 결합된다. 하우징(140) 위에 결합되는 커버(130)는 이와 같이 구멍(131)을 통해 돌기(129)가 끼워지도록 수용되는 형태로 노브(120)를 수용하며, 노브(120)의 이동자(123/124) 중 힘을 받는 해당 이동자에 대응하여, 구멍(131) 내에서 돌기(129)가 좌우로 회전함으로써, 노브(120)가 좌우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버튼(110)의 누름면 반대면과 커버(130)의 홈부(132) 사이에, 용수철(113)이 배치되며, 도면과 같이 용수철(113)은 버튼(110)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에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좌우에 하나씩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좌우에 더 많은 수가 배치되거나, 설계에 따라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눌림에 대한 위치 복원을 위한 용수철(113)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고정단자(141), 제2고정단자(142) 및 가동단자(143)를 수용하는 하우징(140)과 함께 커버(130)가 결합되며, 이때 하우징(140)은 진자대(128)를 수용한 노브(120)의 진자대(128)가 커버(130)의 중앙 홀을 관통하도록 커버(130)와 함께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진자대(128)가 하우징(140) 내의 가동단자(143)를 밀거나 당겨서 좌우 시소 운동하도록, 전체적으로 버튼(110), 용수철(113), 노브(120), 커버(130) 및 하우징(140)이 결합된다. 커버(130)의 구멍(131) 반대쪽에 몸체로부터 연장된 2쌍의 날개(135)에 형성된 구멍들은, 하우징(140)의 해당 결합돌기들(148)에 들어가 날개들(135)의 탄성력에 의해 견고히 맞물리고, 날개들(135)의 구멍들은 결합돌기들(148)에 걸려 빠져 나오지 않도록 결합된다.
도 1b와 같이, 가동단자(143)는 제1고정단자(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받침(149)을 중심으로, 진자대(128)의 좌우 이동에 따라 시소 운동하여, 접촉편(145)이 제2고정단자(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돌출편(144)과 접촉 또는 비접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버튼(110)의 누름 반복에 따라, 노브(120)의 진자대(128)는 그 끝에 결합된 가동단자(143)에 누르는 힘을 가하거나 반대로 당겨서 접촉편(145)과 돌출편(144) 간의 접촉 또는 비접촉상태의 위치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진자대(128)의 끝 부분은 가동단자(143)의 구부러진 형태(예, 갈고리 모양)의 상부 끝부분과 적절히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가동단자(143)의 끝부분을 진자대(128)의 끝부분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결합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가동단자(143)의 구부러진 형태(예, 갈고리 모양)에서, 진자대(128)의 좌우 이동에 따라 그 윗부분을 밀거나 당기면 받침(149)을 중심으로, 가동단자(143)의 아랫부분의 받침(149) 좌우는 시소 운동이 가능하다. 받침(149) 부분에서 가동단자(143)와의 결합은 회전축을 이용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버튼(100)의 눌림 반복에 따라 푸시돌기(111/112)의 대응 위치에서 눌림힘을 받는 노브(120)의 이동자(123/124)는 대응된 스토퍼(133/134)에 고정되고 반대쪽의 눌림힘을 받지 못하는 이동자(123/124)는 대응된 스토퍼(133/134)에서 해제되는 운동을 교대로 반복하여, 진자대(128)가 교대로 좌우 이동되게 하고, 이동된 상태에서 접촉편(145)과 돌출편(144) 간의 접촉 또는 비접촉상태의 위치 유지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름 스위치는, 외부에 노출되는 푸시 버튼(110)의 넓은 면적으로 인해 그 외양에 다양한 수려한 장식이 가능하며, 푸시 버튼(110)을 누를 때마다 부드럽고 편안한 온/오프 작동감이 손으로 느껴질 수 있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버튼(110)
노브(120)
이동자(123, 124)
진자대(128)
커버(130)
스토퍼(133, 134)
하우징(140)
제1고정단자(141)
제2고정단자(142)
가동단자(143)
접촉편(145)
돌출편(144)
받침(149)

Claims (7)

  1. 누름면 반대면에 제1 및 제2 푸시돌기를 갖는 버튼;
    상기 버튼의 눌림에 대한 위치 복원을 위한 용수철;
    진자대 및 상기 진자대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 상에 제1 및 제2 이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눌림 반복에 따라 상기 제1 푸시돌기에 의해 상기 제1이동자는 제1스토퍼에 고정되고 반대쪽의 상기 제2 푸시돌기에 의해 상기 제2이동자는 제2스토퍼에서 해제되는 운동을 교대로 반복하여, 상기 진자대가 교대로 좌우 이동되게 하는 노브; 및
    제1고정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받침을 중심으로, 상기 진자대의 좌우 이동에 따라 시소 운동하여, 접촉편이 제2고정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돌출편과 접촉 또는 비접촉을 형성하는 가동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진자대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상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벽 사이의 좌우측 각각에 배치되는 제1용수철과 상기 제1이동자 및 제2용수철과 상기 제2이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측 각각에서, 일측 벽의 돌기에 끼워진 해당 용수철의 반대측에 해당 이동자의 일측의 돌기가 끼워지며, 상기 해당 이동자의 반대측의 돌기는 상기 버튼의 눌림 반복에 따라 타측 벽의 구멍을 통하여 나와 해당 스토퍼에 고정되거나 해당 스토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눌림쪽에서, 상기 제1 푸시돌기에 의한 눌림 힘으로 접촉된 상기 제1이동자의 일측이 제1용수철을 밀고 상기 제1이동자의 타측의 끝은 상기 제1 스토퍼의 벽의 지지로 고정되고, 시소 운동에 의해 상기 눌림 힘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기 노브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2 푸시돌기는 상기 제2이동자를 누르지 못하는 위치가 되고 상기 제2이동자는 상기 제2 스토퍼의 지지로부터 해제되어 제2용수철의 복원력으로 위치 복원이 이루어져,
    상기 진자대의 끝에 결합된 상기 가동단자는, 상기 접촉 또는 비접촉상태의 위치 유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스위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를 수용하며, 상기 진자대와 수직으로 연장된 면상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벽에 하나씩 외측으로 형성된 돌기를 수용하여 상기 노브의 좌우 회전을 위한, 양측 벽에 하나씩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상기 누름면 반대면과 상기 커버의 홈부 사이에, 상기 용수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철은 상기 버튼의 중심으로부터 좌우에 2개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스위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단자, 상기 제2고정단자 및 상기 가동단자를 수용하는 하우징은, 상기 진자대가 상기 커버의 중앙 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커버와 함께 결합되며, 상기 진자대와 결합된 상기 가동단자를 밀거나 당겨서 좌우 시소 운동하도록 상기 버튼, 상기 용수철, 상기 노브, 상기 커버 및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스위치.
KR1020170045149A 2017-04-07 2017-04-07 누름 스위치 KR101862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49A KR101862117B1 (ko) 2017-04-07 2017-04-07 누름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49A KR101862117B1 (ko) 2017-04-07 2017-04-07 누름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117B1 true KR101862117B1 (ko) 2018-05-30

Family

ID=6230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149A KR101862117B1 (ko) 2017-04-07 2017-04-07 누름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3505A (zh) * 2019-03-01 2019-05-24 温州金宏电器有限公司 一种无线发射器
KR20230051866A (ko) * 2021-10-12 2023-04-19 김동진 푸쉬 스위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49B1 (ko) 2016-03-25 2016-06-24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토글 스위치
KR101641598B1 (ko) *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스위치
KR101655977B1 (ko) 2016-06-30 2016-09-0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49B1 (ko) 2016-03-25 2016-06-24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토글 스위치
KR101641598B1 (ko) *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스위치
KR101655977B1 (ko) 2016-06-30 2016-09-0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3505A (zh) * 2019-03-01 2019-05-24 温州金宏电器有限公司 一种无线发射器
CN109803505B (zh) * 2019-03-01 2023-09-01 温州金宏电器有限公司 一种无线发射器
KR20230051866A (ko) * 2021-10-12 2023-04-19 김동진 푸쉬 스위치
KR102605514B1 (ko) * 2021-10-12 2023-12-01 김동진 푸쉬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598B1 (ko) 스위치
JP3749371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KR101655977B1 (ko) 스위치
KR101862117B1 (ko) 누름 스위치
JP4730171B2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
US3242298A (en) Mounting means for operator of electric switch
JPH0574276A (ja) モーメンタリータイプの押しボタン式スライドスイツチ
KR100461682B1 (ko) 슬라이더 작동 스위치
US3626132A (en) Switch contacts
KR101869527B1 (ko) 슬라이드 스위치
US4758694A (en) Push-push type switch with tactile feedback
JP200913495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JPH1136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組立て方法
US3882294A (en) Tool handle switch with interlock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JPS6233228Y2 (ko)
KR101862124B1 (ko) 복합 핸들 스위치
JPH0648697Y2 (ja) 小形スイッチ
CN218004689U (zh) 一种脚踏按钮开关
US3582593A (en) Pushbutton switch with slides, having scrub action between contacts
JP2009134951A (ja) 2段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スライドスイッチ
JPH0334025Y2 (ko)
JP2005209565A (ja) 押釦スイッチ
JPH0224926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3234047A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