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866A - 푸쉬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866A
KR20230051866A KR1020210134766A KR20210134766A KR20230051866A KR 20230051866 A KR20230051866 A KR 20230051866A KR 1020210134766 A KR1020210134766 A KR 1020210134766A KR 20210134766 A KR20210134766 A KR 20210134766A KR 20230051866 A KR20230051866 A KR 20230051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knob
lever
protrusion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514B1 (ko
Inventor
김동진
전덕진
기노성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21013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51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1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푸쉬스위치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슬라이드레버 자체가 탄력을 발휘하도록 구비하고, 이를 슬라이드프레임의 결합홈에 조립하며, 상기 슬라이드레버 하방의 돌기가 가동접점에 의하여 탄발되는 구동레버 상방에 선택적으로 하향압력을 가함에 따라 노브를 누름에 따라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온, 오프가 반복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레버 상방에 결합된 슬라이드 커버가 노브의 조작에 따라 정확하게 눌러져 편리하게 원활한 조작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푸쉬 스위치{ Push Switch }
본 발명은 주로 각종 전기 설비에 공급되는 전원이 버튼을 누름에 따라 단속(斷續)됨을 반복하는 푸쉬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푸쉬버튼 스위치는 각종 전기 설비에 설치되어 한번 누르면 "온"되고 다시 누르면 "오프"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푸쉬버튼 스위치의 대표적인 일례를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025679 ( 발명의 명칭: 푸쉬버튼스위치; 이하 '인용발명' 이라 함 )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도 1 내지 도 3에 의하여 살펴보면, 인용발명은 푸쉬버튼(200)과 로커 스위칭 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변환부재 하우징(430); 상기 구동변환부재 하우징(430) 내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그 양측 하단으로 각각의 가압돌기(410)가 형성된 구동변환부재(400); 상기 구동변환부재(400)에 가로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변환부재(400)가 좌우로 슬라이딩할때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을 발휘하는 슬라이딩 스프링(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용발명은 슬라이딩 스프링(420)에 의하여 원상 복귀 능력이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은 금속으로 되는 미세한 슬라이딩 스프링(420)을 구동변환부재 하우징(430)과 구동변환부재(400) 사이에 조립하여야 하므로 세밀한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가동접점에 해당하는 전기접촉부재(120)와 고정접접점에 해당하는 고정부재(510)를 2개 설치하여야 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게 되고, 어느 하나의 고정부재(510)는 반드시 가동접점에 해당하는 전기접촉부재(120)와 전기적 접속하여야 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로커부재(110)의 내부에 내부편향코일스프링(140)을 별도로 조립하고 상기 전기접촉부재(120)의 돌출부에 조립하여야 하므로 부품 수의 증가에 따른 제조원가의 부담이 증가하며, 세밀한 조립 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허 등록 제10-1025679 ( 발명의 명칭: 푸쉬버튼스위치 )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밀한 부품의 사용을 배제하고 부품 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푸쉬 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푸쉬 스위치의 조작을 위하여 필요한 누름 압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푸쉬 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라이드레버 자체가 탄력을 발휘하도록 구비하고, 이를 슬라이드프레임의 스페이스 및 결합턱에 조립하며, 상기 슬라이드레버 하방의 돌기가 탄발되는 가동접점 상방의 가동레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하향돌기가 가동레버 상단의 돌부에 선택적으로 물려지면서 가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가동접점이 자체의 탄발력으로 회동하여 고정접점과의 온,오프가 반복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레버 상방에 결합된 슬라이드 커버 중앙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러한 돌기가 힌지결합에 의하여 회동하는 노브의 노브저면돌기에 의하여 정확하게 눌려져 정확하고 원활한 조작이 구현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미세한 슬라이드 스프링의 부식으로 인한 동작 결함이 없게 되고, 구성요소가 간결하게 되어 고장 발생율이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신뢰성 높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슬라이드 스프링 조립을 위한 미세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구성요소가 간결하게 되어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하며, 작동 소음이 적은 정숙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푸쉬버튼스위치 상측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2는 종래의 푸쉬버튼스위치 누름 상태의 작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3은 종래의 푸쉬버튼스위치 누름 해제 상태의 작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 스위치의 노브를 벗겨낸 전체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 스위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 스위치를 보인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에서 '오프'된 상태에서 노브를 눌러 가동레버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온'되기 직전의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도7의 노브 누름 유지 상태에서 구동레버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온'된 상태를 보이는 종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서 도8로 보인 상태에서 노브를 누른 압력을 해제하여 노브가 상승한 상태에서 '온'이 유지되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0은 도9로 보인 상태에서 노브 누름으로 구동레버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동접점이 상승함으로써 '오프'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레버가 작동 대기인 중립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
도12, 13은 본 발명에서 슬라이드레버가 좌,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4는 본 발명에서 노브 누름전 대기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에서 노브 누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푸쉬 스위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푸쉬 스위치는 도 4와 도 5로 구체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400) 내부에 설치된 가동접점지지구(405)와, 그 상방에 재치되는 습동곡면(403)을 구비한 가동접점(401)과, 상기 가동접점(401)의 하방에 설치되는 고정접점(402)과,
상기 가동접점(401) 및 고정접점(402)과 연결되는 전선클립(500)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400) 중앙에 조립되는 구동레버(300)의 하방으로 회동편(304)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점(401)의 습동곡면(403)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레버(300)의 중심축(303)이 본체(400)의 축수부(406)에 결합되어 구동레버(300)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구동레버(300)의 제1돌부(301)와, 제2돌부(302)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본체(400) 상방에 슬라이드프레임(202)을 구비하고 본체(400)와 슬라이드프레임(202) 사이에 리턴스프링(2023)을 설치하여 슬라이드프레임(202)의 탄력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02)에 구비되는 스페이스(2022) 및 결합턱(2021)과,
하부에 제1하향돌기(2001) 및 제2하향돌기(2002)가 구비되고 연결암(2003) 및 결합부(2004)가 양측 대칭으로 설치된 슬라이드레버(200)와,
상기 슬라이드레버(200)의 연결암(2003)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02)의 스페이스(2022)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암(2003)에 형성된 결합부(2004)가 상기 슬라이드프레임(202)의 결합턱(2021)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레버(200) 상방에 슬라이드커버 돌기(2011)가 구비된 슬라이드커버(201)를 결합하여 슬라이드커버(201)와 슬라이드레버(200)가 일체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400)의 일측에 노브결합축(404)을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커버(201)를 누르기 위한 노브저면돌기(100)가 구비된 노브(100)의 힌지가 상기 노브결합축(404)에 결합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며, 상기 전선클립(500)은 전선의 나선부를 끼워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에 의한 푸쉬 스위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가동접점(401)과 고정접점(402)이 '오프'되어 있는 상태인 도 7로 보인 상태에서 가동접점(401)은 고정접점(402)과 떨어져 있으며, 가동접점(401)의 습동곡면(403)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상향 탄력으로 구동레버(300)의 회동편(304)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상태이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레버(200)의 제2하향돌기(2002)와 구동레버(300)의 제2돌부(302)가 맞물린 상태로 있게 되며, 슬라이드레버(200)는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중립 상태로 슬라이드프레임(202) 중앙에 위치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로 보인 바와 같이 도면상 노브(100) 우측을 눌러 주면, 노브(100)가 노브힌지(102)가 결합된 노브결합축(40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노브저면돌기(100)가 슬라이드커버(201)의 슬라이드커버 돌기(2011)를 눌러 주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커버(201) 및 슬라이드레버(200), 슬라이드프레임(202)이 동시에 하강하면서 슬라이드레버(200)의 제2하향돌기(2002)가 구동레버(300)의 제2돌부(302)를 눌러주게 된다.
그러므로, 구동레버(300)는 본체(400)의 축수부(406)에 결합된 중심축(30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구동레버(300)의 회동편(304)이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습동곡면(403)을 타고 가동접점(401)을 눌러 주어 가동접점(401)은 가동접점지지구(405)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고정접점(402)과 접촉됨으로써 '온' 이 되고, 이때 슬라이드레버(200)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구동레버(300)의 제1돌부(301) 측면에 의하여 우측으로 밀려져 도 12로 보인 바와 같이 된다. 이때 슬라이드레버(200)의 일체로된 결합부(2004)가 슬라이드프레임(202)의 결합턱(2021)에 물려 있으므로 연결암(2003)이 스페이스(2022) 내부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사선상으로 꺾이면서 도 12로 보인 바와 같이 습동되는 것이다.
또한, 조작자는 노브(100)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게 되므로 리턴스프링(2023)의 탄력으로 노브(100)가 도9로 보인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리턴스프링(2023)의 탄력으로 슬라이드프레임(202), 슬라이드레버(200), 슬라이드커버(201)가 동시에 상승하므로 슬라이드레버(200)를 밀고 있던 구동레버(300)의 제1돌부(301) 측면이 미세하게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슬라이드레버(200)의 제1하향돌기(2001)와 맞물린 상태로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 9로 보였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도 7로 보인 바와 같은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의 상태 반전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오프'시키기 위하여 도면상 노브(100) 우측을 눌러 주면, 노브(100)의 노브힌지(102)가 결합된 노브결합축(40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노브저면돌기(100)가 슬라이드커버(201)의 슬라이드커버 돌기(2011)를 눌러 주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커버(201) 및 슬라이드레버(200), 슬라이드프레임(202)이 동시에 하강하면서 슬라이드레버(200)의 제1하향돌기(2001)가 구동레버(300)의 제1돌부(301)와 맞물려 아래 방향으로 눌러주게 된다.
그러브로, 구동레버(300)는 본체(400)의 축수부(406)에 결합된 중심축(303)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구동레버(300)의 회동편(304)이 도 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습동곡면(403)을 타고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므로 가동접점(401)은 가동접점지지구(405)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고정접점(402)과 분리되어 '오프'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레버(300)의 제2돌부(302) 측면이 슬라이드레버(200)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밀어내므로 슬라이드레버(200)는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13으로 보인 바와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은 슬라이드레버(200)의 일체로된 결합부(2004)가 슬라이드프레임(202)의 결합턱(2021)에 물려 있으므로 연결암(2003)이 스페이스(2022) 내부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사선상으로 꺾이면서 도 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습동되는 것이다.
이 후 조작자는 노브(100)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게 되므로 리턴스프링(2023)의 탄력으로 노브(100)가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리턴스프링(2023)의 탄력으로 슬라이드프레임(202), 슬라이드레버(200), 슬라이드커버(201)가 동시에 상승하므로 슬라이드레버(200)를 밀고 있던 구동레버(300)의 제2돌부(302) 측면이 미세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슬라이드레버(200)의 제2하향돌기(2002)와 맞물린 상태로 되는 것이며 슬라이드레버(200)는 도 11로 보인 중립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를 도 7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본 발명은 도 7로 보인 바와 같은 '오프' 상태에서 도 9로 보인 '온' 상태로의 상태 반전이 반복되는 것이어서 노브(100)를 누름에 따라 단속(斷續)이 반복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레버(200)가 승강하면서 구동레버(300)의 회동과 함께 중립상태, 좌, 우로 습동되는 상태가 반복되는 것인바, 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위하여 노브(100)가 상승된 조작 대기 상태에서 슬라이드레버(200)는 다음 동작을 위하여 항상 중립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대기동작을 위하여 종래에는 미세한 슬라이드 스프링 2개를 사용하였던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합성수지로 된 슬라이드레버(200)의 양측을 연장하여 연결암(2003)과 결합부(2004)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암(2003)과 결합부(2004)를 슬라이드프레임(202)의 스페이스(2022)와 결합턱(2021)에 조립하였으며, 연결암(2003)은 고정된 결합부(2004)를 중심으로 삼각형으로 마련된 제한된 공간인 스페이스(2022) 내에서 자유 습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슬라이드레버(200)가 슬라이드프레임(202)에 조립됨과 동시에 중립위치로의 복원 탄력을 갖추게 되는 것이어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금속재 스프링을 준비하고 세밀한 조립 작업을 실시하여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조 단순화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4 및 도 15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커버(201)가 슬라이드레버(200)를 덮으면서 슬라이드프레임(202)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레버(200)를 보호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하며 안정적인 슬라이드레버(200)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어서 상기 노브(100)의 노브저면돌기(100)가 상기 슬라이드커버(201)와 접면되는 부위에 평탄면 돌출상태로 설치하고, 노브(100)를 누름시에 슬라이드커버(201)가 슬라이드레버(200)를 정확하게 눌러 줄 수 있도록 노브(100)의 저면에 노브저면돌기(100)가 슬라이드커버(201) 상면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3개의 슬라이드커버 돌기(2011) 중 최소 2개를 눌러 주도록 함으로써 돌출부분끼리 접촉되어 정확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브(100)의 힌지(102)가 본체(400)의 노브결합축(404)에 결합되어 회동하므로 도면상 우측을 손가락으로 누를 경우 최소압력으로 가동접점(401)의 습동곡면(403)을 눌러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노브(100)의 회동으로 슬라이드레버(200)를 누르기 위한 슬라이드커버(201) 상면의 상기 노브저면돌기(101)와 접면되는 부위에 3줄 이상의 슬라이드커버 돌기(2011)를 형성함으로써 노브저면돌기(100)가 하강시 정확한 접촉이 가능하게 되어 원활한 동작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도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 또는 '온' 동작을 완료하여 상방의 노브(100)가 누를 수 있는 상태로 들려진 도 7 또는 도 9의 상태에서 슬라이드레버(200)가 도 11의 중립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노브(100)의 누름 동작시에 도 12 또는 도 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나, 설계에 따라서는 슬라이드레버(200)의 습동 방향이 반전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레버(200)의 제1하향돌기(2001) 및 제2하향돌기(2002)가 구동레버(300)의 제1돌부(301) 및 제2돌부(302)의 요홈에 끼워져 누름 동작을 하고 제1돌부(301) 및 제2돌부(302)의 측면이 상기 슬라이드레버(200) 측부를 밀어준 후 중립위치로 복귀하도록 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슬라이드레버(200)의 하방에 요홈이 구비된 돌부를 형성하고 구동레버(300)의 상부 양측에 상향돌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도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변형 예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성요소가 최소화되고 동작 신뢰성이 높은 푸쉬 스위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노브 101:노브저면돌기 102:노브힌지
200:슬라이드레버 2001:제1하향돌기 2002:제2하향돌기
2003:연결암 2004:결합부 201:슬라이드커버
2011:슬라이드커버돌기 202:슬라이드프레임 2021:결합턱
2022:스페이스 2023:리턴스프링 300:구동레버
301:제1돌부 302:제2돌부 303:중심축
304:회동편 400:본체 401:가동접점
402:고정접점 403:습동곡면 404:노브결합축
405:가동접점지지구 406:축수부 500:전선클립

Claims (5)

  1. 본체 내부에 설치된 가동접점지지구와, 상기 가동접점지지구의 상방에 재치되는 습동곡면을 구비한 가동접점과, 상기 가동접점의 하방에 설치되는 고정접점과,
    상기 가동접점 및 고정접점과 연결되는 전선클립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 중앙에 조립되는 구동레버의 하방으로 회동편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점의 습동곡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레버의 중심축이 본체의 축수부에 결합되어 구동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구동레버의 제1돌부와, 제2돌부가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되,
    상기 본체 상방에 슬라이드프레임이 구비되며 본체와 슬라이드프레임 사이에 리턴스프링을 설치하여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탄력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스페이스 및 결합턱과,
    하부에 제1하향돌기 및 제2하향돌기가 구비되고 양측으로 연결암 및 결합부가 대칭으로 설치된 슬라이드레버와,
    상기 슬라이드레버의 연결암이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스페이스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암에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슬라이드프레임의 결합턱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레버 상방에 슬라이드커버돌기가 구비된 슬라이드커버를 결합하여 슬라이드커버와 슬라이드레버가 일체로 승강 가능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노브결합축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커버를 누르기 위한 노브의 힌지가 상기 노브결합축에 결합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일측의 노브결합축에 결합되는 힌지를 구비한 노브의 저면에 노브저면돌기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저면돌기는 상기 슬라이드커버와 접면되는 부위에 평탄면 돌출상태로 하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회동으로 노브저면돌기와 접면되는 슬라이드커버의 해당 부위에 3줄 이상의 슬라이드커버돌기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 스위치.
KR1020210134766A 2021-10-12 2021-10-12 푸쉬 스위치 KR10260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66A KR102605514B1 (ko) 2021-10-12 2021-10-12 푸쉬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766A KR102605514B1 (ko) 2021-10-12 2021-10-12 푸쉬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866A true KR20230051866A (ko) 2023-04-19
KR102605514B1 KR102605514B1 (ko) 2023-12-01

Family

ID=8614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766A KR102605514B1 (ko) 2021-10-12 2021-10-12 푸쉬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5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101Y2 (ja) * 1990-08-28 1997-06-11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イッチ
KR101025679B1 (ko) 2009-06-29 2011-03-30 클리오주식회사 푸쉬버튼 스위치
JP2014192024A (ja) * 2013-03-27 2014-10-06 Panasonic Corp 押釦スイッチ
KR101641598B1 (ko) *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스위치
KR101862117B1 (ko) * 2017-04-07 2018-05-3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누름 스위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101Y2 (ja) * 1990-08-28 1997-06-11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イッチ
KR101025679B1 (ko) 2009-06-29 2011-03-30 클리오주식회사 푸쉬버튼 스위치
JP2014192024A (ja) * 2013-03-27 2014-10-06 Panasonic Corp 押釦スイッチ
KR101641598B1 (ko) *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스위치
KR101862117B1 (ko) * 2017-04-07 2018-05-3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누름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514B1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2144B1 (en) Pushbutton switch
CN109314006B (zh) 开关及键盘
JPH0532915Y2 (ko)
JP2000311543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KR20230051866A (ko) 푸쉬 스위치
JP5835037B2 (ja) スイッチ
JP5954450B1 (ja) スイッチ
CN109148190B (zh) 用于按钮开关的驱动件及按钮开关
JP2589914Y2 (ja) スイッチ
JP4553310B2 (ja) スイッチ機構
US9685279B2 (en) Switch
JP2005209565A (ja) 押釦スイッチ
EP0626706A1 (en) Electrical switch
JPH0226115Y2 (ko)
JPH0414824Y2 (ko)
JPH051871Y2 (ko)
JP388529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S5926998Y2 (ja) 押釦スイツチ
JPH051872Y2 (ko)
JP202300805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999675B1 (ko) 다기능 스위치
JPS5926997Y2 (ja) 押釦スイツチ
JPH051870Y2 (ko)
JP2729914B2 (ja) 押釦スイッチ
JP2551807Y2 (ja) スイツ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