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675B1 - 다기능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675B1
KR100999675B1 KR1020080069958A KR20080069958A KR100999675B1 KR 100999675 B1 KR100999675 B1 KR 100999675B1 KR 1020080069958 A KR1020080069958 A KR 1020080069958A KR 20080069958 A KR20080069958 A KR 20080069958A KR 100999675 B1 KR100999675 B1 KR 100999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ubstrate
pressing
lev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194A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6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6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slidable in a plane in one direction and pivotable around an axis located in the slid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Abstract

좌우측 내면에 절곡홈(722)이 형성된 하우징(720); 하우징(720)의 저면에 설치된 기판(600); 기판(600)의 상단에 설치되며, 가압시 기판(600)을 눌러 제1,2접점을 형성하는 탄성 누름부(520)가 형성된 러버패드(500); 회전시 탄성 누름부(520)를 가압하며, 길이방향의 가이드레일(420)이 형성된 가이드부(400); 전진 또는 후진시 상기 기판(600)과 제3,4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 후 복원을 위해 중앙부 양측에는 하우징(720)의 절곡홈(722)에 걸리는 탄성돌기(342)가 마련된 슬라이딩레버(300); 및 회전시 가이드부(4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돌기(262)가 형성되고, 회전 후 복원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레버(300)에 걸리는 탄성걸림부(240)가 연장형성된 회전레버(2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스위치가 소개된다. 그 다기능 스위치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도 여러종류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작동감을 불러일으키고 단순한 부품으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다기능 스위치, 스위치 접점

Description

다기능 스위치 {MULTI-FUNCTION SWITCH}
본 발명은 스위치와 기판이 여러 가지의 접점을 형성하여 하나의 스위치로 여러 가지의 기능을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작동부와 기판이 접점을 형성하도록 하여 전기적 신호가 선택적으로 통하게끔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차량의 경우는 도어나 선루프의 개폐 등에 다기능 스위치가 사용된다.
다기능 스위치란, 하나의 작동부를 통하여 여러 방향으로 조작이 가능하고, 그 조작을 통하여 여러 종류의 접점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여러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다기능 스위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제조 원가가 높았으며 작동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부품의 구성을 단순히 하여 내구성과 작동감을 향상시키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다기능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스위치는, 좌우측 내면에 절곡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단에 설치되며,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가압시 기판을 눌러 제1,2접점을 형성하는 탄성 누름부가 형성된 러버패드; 상기 러버패드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탄성 누름부를 가압하며, 길이방향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가이드부; 전진 또는 후진시 상기 기판과 제3,4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 후 복원을 위해 중앙부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절곡홈에 걸리는 탄성돌기가 마련된 슬라이딩레버; 및 상기 제1,2접점의 형성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레버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방부 및 후방부 저면에는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회전 후 복원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레버에 걸리는 탄성걸림부가 연장형성된 회전레버;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레버의 전,후진 또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접점이 형성되도록 그 회전레버에는 노브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그 기판의 저면에 는 지지패널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2접점 형성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러버패드의 탄성 누름부는 볼록한 형상이며 상단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저면에는 끼움홀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버에는 제3,4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버에는 양측에서 상방으로 솟아오른 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버는 그 기둥의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레버에는 상기 가압돌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걸림부는 회전레버의 각 모서리에서 상기 가압돌기를 사이에 두고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버의 중앙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의 단부에는 각각 탄성돌기가 삽입되며, 양 탄성돌기의 사이에는 탄성돌기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다기능 스위치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도 여러종류의 접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작동감을 불러일으키고 단순한 부품으로 인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스위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다기능 스위치는 노브(100)의 전후 움직임을 통하여 X축 방향으로의 접점형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노브(100)의 회전 움직임을 통하여 Y축 방향으로의 접점 형성이 이루어진다.
도 2 및 3은 이러한 다기능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다기능 스위치는 좌우측 내면에 절곡홈(722)이 형성된 하우징(720); 상기 하우징(720)의 저면에 설치된 기판(600); 상기 기판(6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가압시 기판(600)을 눌러 제1,2접점을 형성하는 탄성 누름부(520)가 형성된 러버패드(500); 상기 러버패드(50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탄성 누름부(520)를 가압하며, 길이방향의 가이드레일(420)이 형성된 가이드부(400); 전진 또는 후진시 상기 기판(600)과 제3,4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400)의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 후 복원을 위해 중앙부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720)의 절곡홈(722)에 걸리는 탄성돌기(342)가 마련된 슬라이딩레버(300); 및 상기 제1,2접점의 형성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레버(30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방부 및 후방부(260) 저면에는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4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돌기(262)가 형성되고, 회전 후 복원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레버(300)에 걸리는 탄성걸림부(240)가 연장형성된 회전레버(200);를 포함한다.
다기능 스위치는 기판(600)이 선택적으로 접점을 형성하도록 하여 작동된다. 그 선택적인 접점의 형성을 위하여 스위치의 작동부는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작동부는 크게 슬라이딩레버(300)와 회전레버(200)로 구성된다. 회전레버(200)는 슬라이딩레버(300) 상에서 회전되며, 회전시 가이드부(400)를 가압한다. 가압된 가이드부(400) 역시 회전되어 탄성 누름부(520)를 가압한다. 가압된 탄성 누름부(520)는 기판(600)에 닿아 접점을 형성한다. 여기서 기판(600)은 일반적인 PCB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회전레버(200)의 시계방향 회전시 제1접점, 반시계방향 회전시 제2접점을 이룬다.
슬라이딩레버(300)는 가이드부(400)의 가이드레일(420)을 타고 전,후로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레버(300)가 슬라이딩된 경우 기판(600)이 접점을 형성한다. 슬라이딩레버(300)의 전진시 제3접점, 후진시 제4접점을 이룬다.
또한, 회전레버(200)의 전,후진 또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접점이 형성되도록 그 회전레버(200)에는 노브(100)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60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그 기판(600)의 저면에는 지지패널(740)이 마련된다.
슬라이딩레버(300)에는 양측에서 상방으로 솟아오른 기둥(320)이 형성되고, 그 기둥의 상단부에는 힌지부(322)가 형성된다. 회전레버(200)는 그 기둥(320)의 사이에서 힌지부(322)에 힌지핀(220)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노브(100)에는 힌지홈(120)이 형성되고, 그 힌지홈(120)이 힌지핀(220)에 걸리어 노브(100)가 조립된다.
슬라이딩레버(300)에는 회전레버의 가압돌기(262)가 통과될 수 있도록 중공부(330)가 형성된다. 탄성걸림부(240)는 회전레버(200)의 각 모서리에서 상기 가압 돌기(262)를 사이에 두고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탄성걸림부(240)는 항상 슬라이딩레버(300)에 걸쳐있는 상태이고, 회전레버(200)가 회전한 경우에도 슬라이딩레버(300)에 걸려있다. 회전레버(200)에 가해진 회전력이 거두어진 경우에는 굽어진 탄성걸림부(240)의 탄성에 의해 회전레버(200)가 다시 원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회전레버(200)가 가압기능과 탄성 복원기능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해지고, 작동감이 향상된다.
또한, 제1,2접점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러버패드(500)의 탄성 누름부(520)는 볼록한 형상이며 상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400)의 저면에는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460)가 형성된다. 가이드부(400)의 저면에는 전,후로 두 개의 끼움돌기(450,460)가 형성되고, 각각 탄성 누름부(520)의 끼움홈과 러버패드(500)의 홈(550)에 대응된다. 끼움구조를 통하여 가이드부(400)를 규제하여 가이드부(400)가 전,후로 회전시 안정적으로 탄성 누름부(5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부(400)는 러버패드(500)의 힌지홈(540)에 삽입되는 힌지핀(440)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딩레버(300)에는 제3,4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다리가 구비된다. 접촉다리는 슬라이딩레버의 일측에 마련된 접촉부(380)에 설치된다. 접촉다리는 U자형 굴곡구로써 기판(600)에 이격된 세 개의 단자(620) 사이를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접점을 형성한다.
슬라이딩레버(300)에는 슬라이딩 후 복원을 위해 탄성돌기(342)가 마련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레버(30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340)이 형성되고, 그 관통 홀(340)의 단부에는 각각 탄성돌기(342)가 삽입되며, 양 탄성돌기(342)의 사이에는 탄성돌기(342)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44)이 설치된다. 하나의 관통 스프링(344)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탄성돌기(342)를 가압함으로써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고, 대칭적인 가압력의 작용으로 인하여 작동감이 향상된다.
도 4는 각 레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회전레버(200)는 슬라이딩레버(300)의 기둥 사이에 힌지구조(320)를 통하여 설치된다. 슬라이딩레버(300)에는 중공부(330)가 형성되며 그 중공부(330)를 통하여 회전레버(200)의 회전시 가압돌기(262)가 이동된다. 회전레버(200)에는 슬라이딩레버(300)의 지지구(330)에 지지되는 탄성걸림부(240)가 형성되어 복원된다. 또한, 슬라이딩레버(300)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의 슬라이드부(360)가 형성되고, 그 슬라이드부(360)가 가이드부(400)의 가이드레일(4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도 5는 다기능 스위치의 일측 단면도로서, 노브(100)와 회전레버(200)의 회전시 가압돌기(262)가 가이드부(400)를 가압하고, 가이드부(400)의 회전으로 러버패드(500)의 탄성 누름부(520)가 가압되어 기판(600)에 접점이 형성된다.
도 6은 다기능 스위치의 타측 단면도로서, 슬라이딩레버(300)의 슬라이드부(360)는 가이드부(400)의 가이드레일(42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된다. 슬라이딩 후 복원을 위해 관통홀(340)에는 탄성돌기(342)가 삽입되고 그 탄성돌기(342)는 관통홀(340)의 내측에서 스프링(344)을 통하여 연결되어 외측으로 가압된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의 상방 단면도로서, 이를 참고하여 보면 탄성돌기(342)의 외측으로의 가압에 의하여 탄성돌기(342)는 항상 절곡홈(722)의 중앙으로 위치되려 하고, 슬라 이딩레버(300) 역시 항상 중앙으로 복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위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스위치의 또 다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스위치의 노브 및 레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스위치의 일측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기능 스위치의 타측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부분의 상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브 200 : 회전레버
240 : 탄성걸림부 262 : 가압돌기
300 : 슬라이딩레버 340 : 관통홀
400 : 가이드부 420 : 가이드레일
500 : 러버패드 520 : 탄성 누름부
600 : 기판 720 : 하우징

Claims (7)

  1. 좌우측 내면에 절곡홈(722)이 형성된 하우징(720);
    상기 하우징(720)의 저면에 설치된 기판(600);
    상기 기판(600)의 상단에 설치되며, 전방부 및 후방부에는 가압시 기판(600)을 눌러 제1,2접점을 형성하는 탄성 누름부(520)가 형성된 러버패드(500);
    상기 러버패드(50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시 탄성 누름부(520)를 가압하며, 길이방향의 가이드레일(420)이 형성된 가이드부(400);
    전진 또는 후진시 상기 기판(600)과 제3,4접점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400)의 가이드레일(42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 후 복원을 위해 중앙부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720)의 절곡홈(722)에 걸리는 탄성돌기(342)가 마련된 슬라이딩레버(300); 및
    상기 제1,2접점의 형성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레버(30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전방부 및 후방부 저면에는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40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돌기(262)가 형성되고, 회전 후 복원을 위해 상기 슬라이딩레버(300)에 걸리는 탄성걸림부(240)가 연장형성된 회전레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레버(200)의 전,후진 또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각 접점이 형성되도록 그 회전레버(200)에는 노브(100)가 설치되고, 상기 기판(600)의 안정적 지지를 위해 그 기판(600)의 저면에는 지지패널(74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점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러버패드(500)의 탄성 누름부(520)는 볼록한 형상이며 상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400)의 저면에는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4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버(300)에는 제3,4접점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다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버(300)에는 양측에서 상방으로 솟아오른 기둥(320)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버(200)는 그 기둥(320)의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레버(300)에는 상기 가압돌기(262)가 통과될 수 있도록 중공부(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부(240)는 회전레버(200)의 각 모서리에서 상기 가압돌기(262)를 사이에 두고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레버(30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340)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340)의 단부에는 각각 탄성돌기(342)가 삽입되며, 양 탄성돌기(342)의 사이에는 탄성돌기(342)를 외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4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
KR1020080069958A 2008-07-18 2008-07-18 다기능 스위치 KR100999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58A KR100999675B1 (ko) 2008-07-18 2008-07-18 다기능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958A KR100999675B1 (ko) 2008-07-18 2008-07-18 다기능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94A KR20100009194A (ko) 2010-01-27
KR100999675B1 true KR100999675B1 (ko) 2010-12-08

Family

ID=4181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958A KR100999675B1 (ko) 2008-07-18 2008-07-18 다기능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6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4677A (ja) * 1996-10-31 1998-05-22 Alps Electric Co Ltd シーソー・スライド複合動作スイッチ
KR100610934B1 (ko) * 2004-12-22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1버튼 6웨이 선루프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4677A (ja) * 1996-10-31 1998-05-22 Alps Electric Co Ltd シーソー・スライド複合動作スイッチ
KR100610934B1 (ko) * 2004-12-22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1버튼 6웨이 선루프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94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8873B2 (ja) 押釦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KR100638385B1 (ko) 슬라이드조작 손잡이 및 시소조작 손잡이를 설치한경우이어도 조작감촉이 양호한 스위치장치
KR100322143B1 (ko) 키보드장치및,그키보드장치를사용한퍼스널컴퓨터
JP3752240B2 (ja) キースイッチ
JP2002033030A (ja) キースイッチ
JP2006269439A (ja) キー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JPS6025782Y2 (ja) 押釦スイツチ
CN114005694A (zh) 按键开关
JP2016001557A (ja) 2段スイッチ装置
KR100999675B1 (ko) 다기능 스위치
EP1049121A2 (en) Sliding 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JP2002237229A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JP3392840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S5935940Y2 (ja) スイツチ
JP6003336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CN109148190B (zh) 用于按钮开关的驱动件及按钮开关
JP3079101U (ja) 段落触感を有するキーボードのキー
KR20230051866A (ko) 푸쉬 스위치
KR100583877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JP3201387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2974021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352674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195298B2 (ja) 押釦スイッチ
KR100844666B1 (ko) 인스트루먼트 스위치의 세이프티 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