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554B1 -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554B1
KR101902554B1 KR1020170037867A KR20170037867A KR101902554B1 KR 101902554 B1 KR101902554 B1 KR 101902554B1 KR 1020170037867 A KR1020170037867 A KR 1020170037867A KR 20170037867 A KR20170037867 A KR 20170037867A KR 101902554 B1 KR101902554 B1 KR 10190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oring
moving block
interference
side portion
rest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호
김용덕
조재환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 씨디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7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4Stationary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접점에 위치되어 구동신호 발생시키는 다수의 스위치 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일측부와 타측부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를 가로지는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상기 타측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부가 제 1 방향에 어긋나는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상기 일측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부가 제 1 방향에 어긋나는 제 3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일측부에 구비되어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일측부를 원위치시키는 제 1 복원부, 상기 타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타측부을 원위치시키는 제 3 복원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일측부와 타측부를 원위치시키는 제 2 복원부를 포함하는 무빙블록; 및 상기 무빙블록과 상기 베이스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 1 복원부, 제 2 복원부 및 제 3 복원부를 지지하는 경사부재를 구비하는 커버블록을 포함하는 다방향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방향과 무관하게 균일한 복원력을 제공하고, 내부의 각 부재들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노후화에 따른 오작동이 없는 메카니즘을 구현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MULTI-DIRECTIONAL SLIDE SWITCH}
본 발명은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작 방향과 무관하게 균일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전류의 흐름을 막거나 단방향으로 전류를 계속 흐르게 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를 두 개 이상 연결하면 다양한 변위를 가지는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정 방향과 역 방향을 제어하는 두 개의 스위치로는 X축 선상의 어느 한 점을 원하는 위치로 도달시킬 수 있으며, 여기에 두 개의 스위치가 추가되면, X축과 Y축으로 정의되는 평면을 구현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스위치가 더 추가되면, X축, Y축 및 Z축으로 정의되는 3차원 입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 방향 스위치는 단일의 몸체에 복수 개의 스위치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스위치만이 선택적으로 조작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다 방향 스위치는 텔레비전이나 비디오 또는 일반적인 가전제품들을 유무선으로 작동시키는 리모컨, 유무선전화기,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며 주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것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방향 스위치는 내부의 접지를 위한 접지편이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레버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접지편이 하강하여 접지 단자와 접촉하여 통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1368981호(슬라이드 스위치 유닛)는 다양한 방향에 대한 스위칭 조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케이스, 슬라이더, 캠 플라이트, 전극 및 스위치기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스위치 유닛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슬라이드 스위치 유닛의 경우, 접점스위치를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구성하여, 노후화에 따른 불균일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고, 탄성부재가 내부 틈에 끼일 수도 있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슬라이드 스위치 유닛이 차량의 시트에 사용되는 경우에 의도하지 않게 탑승자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어, 안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3 방향 이상의 다 방향 스위치는 조작되는 방향이 증가됨에 따라 복원부의 수도 증가되며, 하나의 조작부(놉)가 복수의 복원부에 의해서 복원되면, 복수의 복원부 각각에서 발생한 복원력이 하나의 조작부에 중첩되어 작용되므로, 조작되는 각각의 방향에 대한 복원력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제 1 방향으로 작용되는 복원력의 크기과 제 2 방향으로 작용되는 복원력의 크기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68981호가 있다.
본 발명은 내부 부품의 재질의 변경으로 노후화에 따른 불균일한 복원력이 개선될 수 있는 다 방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부품의 구조 변경으로 균일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다 방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복원부에 의해서 복원력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여 각 방향에 일정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방향 스위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접점에 위치되어 구동신호 발생시키는 다수의 스위치 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일측부와 타측부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를 가로지는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상기 타측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부가 제 1 방향에 어긋나는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상기 일측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부가 제 1 방향에 어긋나는 제 3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일측부에 구비되어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일측부를 원위치시키는 제 1 복원부, 상기 타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타측부을 원위치시키는 제 3 복원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일측부와 타측부를 원위치시키는 제 2 복원부를 포함하는 무빙블록; 및 상기 무빙블록과 상기 베이스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 1 복원부, 제 2 복원부 및 제 3 복원부를 지지하는 경사부재를 구비하는 커버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제 1 복원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경사부, 상기 제 3 복원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중심으로부터 제 3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3 경사부, 상기 제 2 복원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부에는 상기 일측부가 제 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복원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간섭방지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부에는 상기 일측부가 제 2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타측부가 제 3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복원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간섭방지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경사부에는 상기 타측부가 제 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3 복원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 3 간섭방지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간섭방지골 및 제 3 간섭방지골은,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간섭방지골은 제 2 방향 또는 제 3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무빙블록이 슬라이딩 이동한 경우 상기 스위치 부재를 눌러주는 다수의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눌러지는 위치 또는 개수에 따라 상이한 구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로드 및 스위치 부재는 상기 기판 위에 'N' 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무빙부재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사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각각 다른 구동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블록은, 상기 로드를 관통시키는 다수의 로드홀을 구비하여 상기 그립부재의 움직임을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스위치 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복원부, 제 2 복원부 및 제 3 복원부 각각은, 상기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경사부재를 가압하는 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방향과 무관하게 균일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의 각 부재들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노후화에 따른 오작동이 없는 메카니즘을 구현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복원부에 의해서 복원력이 중첩되어 조작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슬라이드 스위치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슬라이드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슬라이드 스위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을 도시한 하방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원위치 상태인 경우에 도 2의 A-A’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원위치 상태인 경우에 도 2의 B-B’, C-C’ 및 D-D’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도 8의 A-A’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도 10의 B-B’, C-C’, D-C’의 단면도.
도 1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3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3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도 12의 B-B’, C-C’, D-C’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슬라이드 스위치 유닛(2)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라이드 스위치 유닛(2)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는 케이스, 조작노브와 여러 쌍의 돌기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돌기에 대응되는 경사진 캠면을 구비하고 경사진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요동되는 둘 이상의 캠 플레이트, 캠 플레이트 저부의 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는 여러 쌍의 전극 및, 회로기판과 캠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여러 쌍의 접점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기재를 포함한다.
종래 스위치 유닛(2)의 조작노브는 조작구멍 내에서 좌, 우 또는 전, 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틸팅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다만 종래의 스위치 유닛의 경우 탄성부재를 통하여, 조작 이후 원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구조를 채용하는 바, 노후화에 따른 불균일한 복원력이 발생할 수 있고, 탄성부재의 일부가 내부 틈에 끼일 수도 있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슬라이드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슬라이드 스위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을 도시한 하방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슬라이드 스위치(10)는 평면에서 규정될 수 있는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움직임(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 방향’은 후술할 ‘제 1 방향’을 의미하며, 상기 ‘좌우 방향’은 ‘제 2 방향’ 또는 ‘제 3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다방향 슬라이드 스위치(10)는 상기 제 1 방향 내지 제 3 방향으로 이동되는 무빙블록(30), 상기 무빙블록(30)의 이동을 인지하는 베이스(80) 및 상기 무빙블록(30)과 베이스(8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무빙블록(30)을 복원시키며, 상기 베이스(80)의 상측 외관을 구성하는 커버블록(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80)는, 기판(82)과 상기 기판(82)의 접점에 전기 신호의 발생을 위해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스위치 부재(8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부재(81)는 상기 기판(8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상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N’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배열은 무빙블록(30)의 움직임을 인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82)은 PCB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80)는 상기 스위치 부재(81)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부재(81)를 가압하는 로드(7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드(70)는 상기 스위치 부재(81)에 대응하여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70)는 상기 무빙블록(30)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 부재(81)를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무빙블록(30)은 이동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로드(70)를 가압하며, 가압된 상기 로드(70)는 특정 스위치 부재(81)를 가압하여 상이한 구동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때, 실질적으로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은 스위치 부재(81)로, 각 스위치 부재는 각각 또는 조합의 형태로 신호를 발생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블록(30)의 측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무빙블록(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로드(70)를 가압하는 가압부(36, 37)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36, 37)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가압부(36, 37)는 상기 무빙블록(3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로드(70)를 가압한다. 상기 가압부(36, 37)는 상기 무빙블록(3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드(70)를 가압하는 제 1 가압부(36)와 상기 무빙블록(3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로드(70)를 가압하는 제 2 가압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블록(30)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 이동된 무빙블록(30)을 원위치 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부(31, 32, 33)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부(31, 32, 33)은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빙블록(30)의 연장 방향에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무빙블록(3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복원부(31, 32, 33)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31, 32, 33)은, 상기 무빙블록(3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복원부(31), 상기 무빙블록(3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3 복원부(33), 및 상기 제 1 복원부(31)와 제 3 복원부(33)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복원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복원부(31, 32, 33)은 상기 무빙블록(30)의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개방된 개구(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35)에는 탄성부재(40)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40)의 끝단(하단)에는 하부가 반원으로 구성된 피스(41, 42, 43)가 결합된다. 상기 피스(41, 42, 43)는 상기 탄성부재(40)에 의해서 하측을 향해 이동되며, 후술할 경사부재(60)를 가압하여, 상기 무빙블록(30)을 원위치 상태로 복원시킨다. 상기 피스(41, 42, 43)는 상기 제 1 복원부(31)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피스(41), 상기 제 3 복원부(33)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3 피스(43) 및 상기 제 2 복원부(32)로부터 하측을 항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피스(42)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블록(50)은, 상기 무빙블록(30)과 베이스(8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80)의 상측 외관을 구성하고, 상기 무빙블록(30)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무빙블록(30)은 상기 커버블록(50)의 상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하방향 및/또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블록(50)의 상면에는 상기 피스(41, 42, 43)의 하단과 선택적으로 간섭이 발생하는 경사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재(60)는 상기 커버블록(5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두 개의 돌출부가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돌출부를 ‘경사부’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61, 62, 63)의 상면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61A, 62A, 63A)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61A, 62A, 63A)은, 상기 경사부(61, 62, 63)의 중심으로 갈수록 그 돌출된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경사면(61A, 62A, 63A)의 경계에는 간섭방지골(61B, 62B, 6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골(61B, 62B, 63B)은, 상기 경사부(61, 62, 63)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블록(30)이 조작력에 의해서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피스(41, 42, 43)가 상기 경사부(61, 62, 63)의 경사면(61A, 62A, 63A)을 따라서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재(40)의 압축에 따라 복원력이 발생되고, 상기 피스(41, 42, 43)가 상기 간섭방지골(61B, 62B, 63B)을 따라 이동하면 탄성부재(40)가 압축되지 않으므로, 복원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경사부(61, 62, 63)는 복수의 상기 복원부(31, 32, 33)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복원부(31)의 하단을 지지하며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경사부(61), 상기 제 3 복원부(33)의 하단을 지지하며 중심으로부터 제 3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3 경사부(63), 상기 제 2 복원부(32)의 하단을 지지하며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2 경사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부(61)에는 제 1 경사면(61A)과 제 1 간섭방지골(61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경사부(62)에는 제 2 경사면(62A)과 제 2 간섭방지골(62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경사부(63)에는 제 3 경사면(63A)과 제 3 간섭방지골(6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골(61B, 62B, 63B)이 연장되는 방향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간섭방지골(61B, 62B, 63B)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경사부(61, 62, 63)가 배치되는 위치마다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간섭방지골(61B)는 상기 제 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간섭방지골(62B)는 상기 제 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간섭방지골(63B)는 상기 제 3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1 간섭방지골(61B)는 상기 제 1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간섭방지골(62B)는 상기 제 2 방향 또는 제 3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간섭방지골(63B)는 상기 제 1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방지골(61B, 62B, 63B)는, 상기 다수의 경사부(61, 62, 63)가 상기 다수의 복원부(31, 32, 33)와 선택적인 간섭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복원력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간섭방지골(61B, 62B, 63B)의 연장 방향이 상기 무빙블록(30)의 이동 방향과 상기 일치하는 경우에는 복원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간섭방지골(61B, 62B, 63B)의 연장 방향이 무빙블록(30)의 이동 방향과 어긋나는 경우에는 복원력이 발생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원위치 상태인 경우의 도 2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원위치 상태인 경우의 도 2의 B-B’, C-C’ 및 D-D’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 는, 상기 무빙블록(30)에 어떠한 조작력도 작용되지 않은 상태(원위치 상태)에서 복원부(31, 32, 33)과 경사부(61, 62, 63)의 관계를 보여준다.
상기 무빙블록(30)이 원위치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복원부(31, 32, 33)로부터 돌출되는 피스(41, 42, 43)가 상기 경사부(61, 62, 63)의 경사면(61A, 62A, 63A)에 접하지 않고, 상기 간섭방지골(61B, 62B, 63B)에 위치되므로, 어떤 복원부(31, 32, 33)에서도 복원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1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도 8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조작력에 의해서 상기 무빙블록(30)이 제 1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무빙블록(30)의 양측이 모두 이동된다.
이 때, 제 1 간섭방지골(61B) 및 제 3 간섭방지골(63B)은 제 1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제 1 피스(41) 및 제 3 피스(43)는 제 1 간섭방지골(61B) 및 제 3 간섭방지골(63B)를 따라 이동하고, 탄성부재의 압축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제 2 간섭방지골(62B)는 제 1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제 2 피스(42)는 제 2 간섭방지골(62B)이 아닌 제 2 경사면(62A)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를 압축시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도 8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조작력이 오른쪽으로 작용된 경우, 복원력은 왼쪽으로 작용된다. 이 때, 제 2 복원부(32)에서만 복원력이 발생한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도 10의 B-B’, C-C’, D-C’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조작력에 의해서 상기 무빙블록(30)이 제 2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무빙블록의 일측이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무빙블록의 타측은 이동되지 않으므로, 제 3 복원부(33)에서 복원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제 1 간섭방지골(61B)는 제 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제 1 피스(41)는 제 1 간섭방지골(61B)이 아닌 제 1 경사면(61A)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되어, 탄성부재를 압축시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즉, 제 1 복원부(31)에서 복원력이 발생한다.
반면, 제 2 간섭방지골(62B)는 제 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제 2 피스(42)는 제 2 간섭방지골(62B)을 따라 이동하고, 탄성부재의 압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복원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 2 복원부(32)에서 복원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복원력이 발생되는 복원부의 위치는 상이하지만, 상기 무빙블록(30)이 제 2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에도 상기 무빙블록(30)이 제 1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와 동일하게 하나의 복원부에서만 복원력이 발생된다.
도 1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3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블록이 제 3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도 12의 B-B’, C-C’, D-C’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 를 참조하면, 조작력에 의해서 상기 무빙블록(30)이 제 3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상기 무빙블록의 타측이 이동된다. 이 때, 상기 무빙블록의 일측은 이동되지 않으므로, 제 1 복원부(31)에서 복원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제 3 간섭방지골(63B)는 제 3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제 3 피스(43)는 제 3 간섭방지골(63B)이 아닌 제 3 경사면(63A)을 따라서 상측으로 이동되므로, 탄성부재의 압축이 발생하고, 제 3 복원부(33)에서 복원력이 발생한다.
한편, 제 2 간섭방지골(62B)는 제 3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제 2 피스(42)는 제 2 간섭방지골(62B)을 따라 이동하고, 탄성부재의 압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복원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 2 복원부(32)에서 복원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복원력이 발생되는 복원부의 위치는 상이하지만, 상기 무빙블록(30)이 제 2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에도 상기 무빙블록(30)이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와 동일하게 하나의 복원부에서만 복원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복수의 복원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하나의 복원부에서만 복원력이 발생하도록 하여, 복원력의 중첩을 방지하므로, 일정한 조작력으로 조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방향, 제 3 방향은 무빙멤버의 일측 또는 타측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2 방향은 무빙멤버의 일측이 무빙멤버의 타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 3 방향은 무빙멤버의 타측이 무빙멤버의 일측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 방향 스위치는, 조작 방향과 무관하게 균일한 복원력을 제공하고, 내부의 각 부재들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노후화에 따른 오작동이 없는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복원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복원력의 중첩을 방지하므로, 일정한 조작력으로 조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 다방향 스위치 30 : 무빙블록
31 : 제 1 복원부 32 : 제 2 복원부
33 : 제 3 복원부 35 : 개구
36 : 제 1 가압부 37 : 제 2 가압부
40 : 탄성부재 41 : 제 1 피스
42 : 제 2 피스 43 : 제 3 피스
50 : 커버블록 60 : 경사부재
61 : 제 1 경사부 61A : 제 1 경사면
61B : 제 1 간섭방지골 62 : 제 2 경사부
62A : 제 2 경사면 62B : 제 2 간섭방지골
63 : 제 3 경사부 63A : 제 3 경사면
63B : 제 3 간섭방지골 70: 로드
80 : 베이스 81 : 스위치 부재
82 : 기판

Claims (8)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접점에 위치되어 구동신호 발생시키는 다수의 스위치 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되며, 일측부와 타측부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를 가로지는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상기 타측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부가 제 1 방향에 어긋나는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거나, 상기 일측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타측부가 제 1 방향에 어긋나는 제 3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일측부에 구비되어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일측부를 원위치시키는 제 1 복원부, 상기 타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 3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타측부을 원위치시키는 제 3 복원부, 상기 일측부와 타측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일측부와 타측부를 원위치시키는 제 2 복원부를 포함하는 무빙블록; 및
    상기 무빙블록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 1 복원부, 제 2 복원부 및 제 3 복원부를 지지하는 경사부재를 구비하는 커버블록을 포함하는 다방향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제 1 복원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경사부, 상기 제 3 복원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중심으로부터 제 3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3 경사부, 상기 제 2 복원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 2 경사부를 포함하는 다방향 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에는 상기 일측부가 제 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복원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간섭방지골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경사부에는 상기 일측부가 제 2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타측부가 제 3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2 복원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간섭방지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경사부에는 상기 타측부가 제 1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3 복원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제 3 간섭방지골이 형성되는 다방향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섭방지골 및 제 3 간섭방지골은,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간섭방지골은 제 2 방향 또는 제 3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방향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무빙블록이 슬라이딩 이동한 경우 상기 스위치 부재를 눌러주는 다수의 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눌러지는 위치 또는 개수에 따라 상이한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및 스위치 부재는 상기 기판 위에 'N' 형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무빙블록이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각각 다른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블록은,
    상기 로드를 관통시키는 다수의 로드홀을 구비하여 상기 무빙블록의 움직임을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스위치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원부, 제 2 복원부 및 제 3 복원부 각각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경사부재를 가압하는 피스를 포함하는 다방향 스위치.
KR1020170037867A 2017-03-24 2017-03-24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KR10190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867A KR101902554B1 (ko) 2017-03-24 2017-03-24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867A KR101902554B1 (ko) 2017-03-24 2017-03-24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554B1 true KR101902554B1 (ko) 2018-09-28

Family

ID=6372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867A KR101902554B1 (ko) 2017-03-24 2017-03-24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860A (ko) 2019-08-28 2021-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리모컨 버튼 조립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9308A (ja) 2015-02-13 2016-08-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ユニット
KR101655977B1 (ko) 2016-06-30 2016-09-0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9308A (ja) 2015-02-13 2016-08-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ユニット
KR101655977B1 (ko) 2016-06-30 2016-09-0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5860A (ko) 2019-08-28 2021-03-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리모컨 버튼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2999A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US7294795B1 (en) Slide switch
CA2540480C (en) Switching apparatus
US4500758A (en) Keyboard switch assembly having sensory feedback
US20010025778A1 (en) Switch for game controller
JP2002287891A5 (ko)
US5803243A (en) Latching rocker switch
US6906269B2 (en) Multi-directional slide switch
US6657141B1 (en) Four-way slide switch
KR101902554B1 (ko)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CN103140907B (zh) 电动座椅开关组件
US4864272A (en) Joystick controller
JP6410357B2 (ja) 入力装置
US6541716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in which differences in tactile feel are reduced
KR102018097B1 (ko) 다방향 스위치
JP7354150B2 (ja) フィードバックを生成するスナップアクションスイッチ
CN113892160A (zh) 电气安装设备
US4675486A (en) Push button switch with sliding contact member
JP4278529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1862117B1 (ko) 누름 스위치
AU2018204641A1 (en) Push-button switch
EP1261003A4 (en) SWITCHING DEVICE
US20120125751A1 (en) Multi direction switch
CN114141564A (zh) 按钮开关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