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666A -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666A
KR20080050666A KR1020060121170A KR20060121170A KR20080050666A KR 20080050666 A KR20080050666 A KR 20080050666A KR 1020060121170 A KR1020060121170 A KR 1020060121170A KR 20060121170 A KR20060121170 A KR 20060121170A KR 20080050666 A KR20080050666 A KR 20080050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housing
moving block
vehicle
conn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우
Original Assignee
박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우 filed Critical 박재우
Priority to KR1020060121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0666A/ko
Publication of KR2008005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IP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블록몸체의 좌우측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좌우측면 상측 및 하단에는 체결단턱 및 걸림턱이 형성되고 전후면 상측에는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며 택트스위치의 작동을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는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의 체결단턱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공을 갖는 결합부가 하향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무빙블록이 내입되는 사각블록몸체로 좌우 내측부에 상기 가이드돌부에 대응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좌우 내면 하측에는 규제턱이 형성되고 전후 상단에는 가이드공을 갖는 유동방지돌부가 형성되며 내부 하단부에는 역조립방지를 위한 다수의 키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무빙블록과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택트스위치가 탑재되고 하면에 외부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키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도록 대응 형성되며 역조립 방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역조립방지요홈을 갖는 다수의 커넥트키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연결단자와의 결합시 역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각 기능의 스위치별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며, 구조개선 및 부품 수의 간소화로 구성 및 조립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안정된 동작특성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IP SWITCH FOR VEHICLE}
도 1은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IP 스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IP 스위치 110: 무빙블록
113: 체결단턱 114: 걸림턱
115: 유동방지돌기 120: 버튼부재
130: 하우징 133: 규제턱
134: 유동방지돌부 135: 키결합홈
140: 회로기판 141: 택트스위치
150: 커넥트키 151: 역조립방지요홈
160: 접속단자
본 발명은 차량 내에 설치되어 차량의 정보제공(IP) 기능을 하게 되는 누름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수를 간소화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모델유형이되 기능별로 다양성을 갖게 되는 정보제공스위치와 이에 대응되는 외부연결단자와의 결합시 이들 상호간의 역조립을 매우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IP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IP(Information Provide) 스위치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현재 작동되는 차량정보를 알림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증진 및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누름스위치의 일종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상등 스위치, 안개등 스위치, 열선 스위치 등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버튼스위치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보통 한번 누르면 ON 작동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OFF 작동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IP 스위치는 접속단자를 내포하는 단자하우징의 커넥트부를 통해서 차량에 구비된 외부연결단자와 연결 조립됨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게 되는데, 기존에는 접속단자를 내포하는 단자하우징의 커넥트부가 IP 스위치의 기능별 용도에 관계없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이를 각 기능별로 구분함과 아울러 조립작업시 상호 용이한 매칭이 가능하도록 IP 스위치의 몸체와 IP 스위치의 접속단자에 상 대되는 외부연결단자에 각각 칼라스티커를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IP 스위치와 외부연결단자가 바뀌어 조립되는 기능별 역조립을 방지되게 하고 있다.
하지만, 작업자가 차량의 생산조립라인에서 IP 스위치와 이에 상대되는 외부연결단자에 부착된 칼라스티커를 일일이 확인한 후 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단순한 색상구분에 의존하므로 역조립 현상을 크게 개선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IP 스위치와 외부연결단자와의 역조립은 기능별로 인가되는 인가전압의 차이에 따라 IP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게 되며, 이는 곧 차량 사용자의 불만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차량제조회사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나아가, 기존의 IP 스위치에 있어서, 기능별로 구비되는 각각의 다양한 IP 스위치에 역조립 방지를 위한 커넥트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단자플레이트 및 회로를 전체적으로 개발하여야 하므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IP 스위치의 접속단자에 외부연결단자를 결합시 이들 상호간에 역조립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율적인 대처 방안이나 수단이 특별히 대두되지 않고 있다.
게다가, 기존의 차량용 IP 스위치는 스위칭 동작 및 잠금기능 등의 수행을 위한 구성요소 및 부품 수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몸체의 길이가 길어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스위치의 ON/OFF 작동시 버튼이 유동됨에 의해 스위치의 동작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하나의 모델유형이되 기능별로 다양성을 갖게 되는 정보제공(IP) 스위치측의 접속단자와 이에 대응되는 외부연결단자와의 결합시 이들 상호간의 역조립을 매우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해 부품 수를 간소화하고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위치의 동작시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편의증진을 위해 비상등이나 안개등 등의 기능별로 다수 설치되는 차량용 IP 스위치에 있어서, 사각블록몸체의 좌우측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좌우측면 상측 및 하단에는 체결단턱 및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고 전후면 상측에는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며 택트스위치의 작동을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는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의 체결단턱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공을 갖는 결합부가 하향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무빙블록이 내입되는 사각블록몸체로 좌우 내측부에 상기 가이드돌부에 대응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좌우 내면 하측에는 규제턱이 형성되고 전후 상단에는 가이드공을 갖는 유동방지돌부가 형성되며 내부 하단부에는 역조립 방지를 위한 다수의 키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무빙블록과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택트스위치가 탑재되고 하면에 외부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가 결 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키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도록 대응 형성되며 역조립 방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역조립방지요홈을 갖는 다수의 커넥트키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발명은 버튼부재와 무빙블록 및 택트스위치가 탑재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스위칭기능을 하는 스위칭부와, 접속단자 및 상기 무빙블록의 슬라이드를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커넥트 기능을 하는 커넥트부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IP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역조립 방지를 위한 다수의 키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키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도록 대응 형성되고 외부연결단자와의 역조립 방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역조립방지요홈을 갖는 다수의 커넥트키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IP 스위치를 나타낸 조립상태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100)는 사각블록몸체(111)의 좌우측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돌부(112)가 형성되고 좌우측면 상측 및 하단에는 하향 경사진 체결단턱(113) 및 상향 이동의 규제를 위한 걸림턱(114)이 각각 형성되고 전후면 상측에는 유동방지를 위한 유동방 지돌기(115)가 형성되며 차후에 기술되는 스위칭 인가용 택트스위치(141)의 작동을 위한 가압부(116)가 형성되는 무빙블록(110)과, 상기 무빙블록(110)의 체결단턱(113)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공(121a)을 갖는 결합부(121)가 하향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버튼부재(120)와, 상기 무빙블록(110)이 내입되는 사각블록몸체(131)로 좌우 내측부에 상기 가이드돌부(112)에 대응하는 가이드부(132)가 형성되고 좌우 내면 하측에는 상기 걸림턱(114)을 상측에서 규제하는 규제턱(133)이 형성되고 전후 상단에는 상기 유동방지돌기(115)가 삽입되어 상하 가이드되도록 가이드공(134a)을 갖는 유동방지돌부(134)가 형성되며 내부 하단부에는 역조립 방지를 위한 다수의 키결합홈(135)이 형성되는 하우징(130)과, 상기 무빙블록(110)과 하우징(130)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택트스위치(141)가 탑재되고 하면에 외부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160)가 결합되는 회로기판(140)과, 상기 하우징(130)의 키결합홈(135)에 끼움 삽입되도록 대응 형성되며 역조립 방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역조립방지요홈(151)을 갖는 커넥트키(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로기판(140) 상에는 IP 스위치의 동작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미 도시됨)가 탑재되며, 상기 LED의 발광 빛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렌즈(170)가 버튼부재(12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커넥트키(150)는 하우징(130)에 형성된 다수의 키결합홈(135)에 2개 이상이 끼움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다수 구비되는 커넥트키(150)마다 역조립방지요홈(151)의 형성 깊이 및 형성 위치에 차이가 있도록 형상 배열함으로써 비상등이나 안개등 등 각각의 IP 스위치 기능별로 적용 가능한 커넥트구조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커넥트키(150)의 구성은 하우징(130) 내에 결합하되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커넥트키(150)를 변경 조립함에 의해 IP 스위치를 각 기능별로 대응할 수 있는 커넥트구조로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와 매칭되는 전원인가용 외부연결단자만이 접속단자(160)와 접속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각 기능별 IP 스위치와 외부연결단자와의 역조립 방지는 물론 하나의 IP 스위치 모델유형 내에서 별다른 구조변경 없이 커넥트키(150)를 변경하여 조립하는 것만으로 각 기능별 IP 스위치를 다양하게 창출해낼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접속단자(160)는 하우징(130)의 내측에 형성된 단자지지부(136)의 단자삽입홈(136a)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 및 고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무빙블록(110)과 버튼부재(120), 하우징(130), 회로기판(140) 및 택트스위치(141)가 IP 스위치의 동작시 스위칭 기능을 하게 되는 스위칭부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접속단자(160)와 키결합홈(135)을 갖는 하우징(130) 및 역조립방지요홈(151)을 갖는 다수의 커넥트키(150)가 외부연결단자와의 커넥트 기능을 하게 되는 커넥트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100)는 버튼부재(120)와 무빙블록(110)의 조립체가 상하 이동하면서 회로기판(140)에 탑재된 택트스위치(141)를 눌러 ON/OFF의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며 택트스위치(141)의 탄성에 의해 무빙블록(110)의 이동이 자동으로 탄성 복귀되는 푸시 리턴 타입(push return type)의 구성으로서, 버튼부재(120)에 누름이 한번 가해지면 그 가압력에 의해 무빙블록(110)이 하우징(130)에 가이드되면서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무빙블록(110)의 가압부(116)가 택트스위치(141)를 눌러 스위치 동작이 ON됨과 아울러 LED(미 도시됨)가 점등되어 스위치 동작을 표시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택트스위치(141)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무빙블록(110)이 바로 리턴되면서 버튼부재(120)와 함께 리턴 상승되어 초기상태로 원상 복귀된다.
이때, 무빙블록(110)의 가이드돌부(112)가 하우징(130)의 가이드부(132)에 매칭된 상태로 좌우 양측방향에서 무빙블록(110)의 상하 이동이 가이드되고 이와 동시에 유동방지돌기(115)가 유동방지돌부(134)의 가이드공(134a) 내에 삽입된 채로 전후 양방향에서 무빙블록(1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는 무빙블록(110)을 전후좌우의 사방에서 지지한 채로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므로 비틀림이나 유동이 없어 동작의 안정성을 갖게 하며 버튼부재(120)의 유동을 잡아주게 된다.
또한, 무빙블록(110)의 동작 리턴시에는 무빙블록(110)의 걸림턱(114)이 하우징(130)의 규제턱(133)에 의해 걸림 형성되면서 상승이 규제된다.
이어서, 버튼부재(120)에 다시 한번의 누름이 가해지면, 상술한 동작의 반복으로 택트스위치(141)에 다시 한번의 터치압이 제공되면서 스위치 동작 및 LED가 OFF되고 무빙블록(110)이 리턴되면서 동작 완료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해 부품 수가 최소화되는 구성으로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해지고 IP 스위치의 전체길이를 40~60mm에서 23mm 정도로 절반 이상 축소 시킬 수 있어 차량에 설치시 공간효율성이 매우 크며, 커넥트키(150)의 조립에 따른 커넥트부의 구조형상에 대응하지 않는 외부연결단자는 그 조립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상호 매칭되지 않는 각 기능별 IP 스위치와 외부연결단자와의 역조립을 사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특별히 한정된다 할 수 없으며,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유사범주 내에서 행해질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수정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귀속되어질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IP 스위치에 의하면, 구조개선 및 부품 수의 간소화로 구성 및 조립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버튼부재의 유동방지 등 더욱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하며 길이가 크게 축소되므로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커넥트키의 조립으로 IP 스위치의 접속단자와 전원인가용 외부연결단자와의 결합시 매우 효율적으로 역조립을 차단 및 방지할 수 있으며, 커넥트키의 변경만으로 하나의 모델유형에 각 기능별 IP 스위치의 구성을 모두 구조화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뿐더러 스위치의 안정된 품질특성 발휘와 제품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Claims (4)

  1. 사용자 편의증진을 위해 비상등이나 안개등 등의 기능별로 다수 설치되는 차량용 IP 스위치에 있어서,
    사각블록몸체의 좌우측부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돌부가 형성되고 좌우측면 상측 및 하단에는 체결단턱 및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고 전후면 상측에는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며 택트스위치의 작동을 위한 가압부가 형성되는 무빙블록과;
    상기 무빙블록의 체결단턱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공을 갖는 결합부가 하향 돌출되어 연장 형성되는 버튼부재와;
    상기 무빙블록이 내입되는 사각블록몸체로 좌우 내측부에 상기 가이드돌부에 대응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좌우 내면 하측에는 규제턱이 형성되고 전후 상단에는 가이드공을 갖는 유동방지돌부가 형성되며 내부 하단부에는 역조립 방지를 위한 다수의 키결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무빙블록과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며 상면에 택트스위치가 탑재되고 하면에 외부연결단자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의 키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도록 대응 형성되며 역조립 방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역조립방지요홈을 갖는 다수의 커넥트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키는 다수 구비되는 커넥트키마다 역조립방지요홈의 형성 깊이 및 형성 위치에 차이가 있도록 형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3. 버튼부재와 무빙블록 및 택트스위치가 탑재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스위칭기능을 하는 스위칭부와, 접속단자 및 상기 무빙블록의 슬라이드를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여 커넥트 기능을 하는 커넥트부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IP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역조립 방지를 위한 다수의 키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의 키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도록 대응 형성되고 외부연결단자와의 역조립 방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역조립방지요홈을 갖는 다수의 커넥트키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트키는 다수 구비되는 커넥트키마다 역조립방지요홈의 형성 깊이 및 형성 위치에 차이가 있도록 형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IP 스위치.
KR1020060121170A 2006-12-04 2006-12-04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KR20080050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70A KR20080050666A (ko) 2006-12-04 2006-12-04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170A KR20080050666A (ko) 2006-12-04 2006-12-04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666A true KR20080050666A (ko) 2008-06-10

Family

ID=3980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170A KR20080050666A (ko) 2006-12-04 2006-12-04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06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744A (ko) * 2010-08-19 2012-0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버튼
KR101437458B1 (ko) * 2014-07-17 2014-09-24 정병호 안개등 스위치
KR101502940B1 (ko) * 2013-12-17 2015-03-16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KR20180035054A (ko) * 2016-09-28 2018-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744A (ko) * 2010-08-19 2012-02-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버튼
KR101502940B1 (ko) * 2013-12-17 2015-03-16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스위치 어셈블리
KR101437458B1 (ko) * 2014-07-17 2014-09-24 정병호 안개등 스위치
KR20180035054A (ko) * 2016-09-28 2018-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0666A (ko)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KR101686086B1 (ko) 스위칭 장치
KR101489112B1 (ko) 차량용 실내 램프
JPH0335768B2 (ko)
KR100814318B1 (ko) 차량용 아이피 스위치
CN100490039C (zh) 对内装拨动开关用于控制低压电气装置的电气机构
KR101810213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US20070139357A1 (en) Flat panel display
US6900402B2 (en) Pushbutton switch with LED indicator
JP2005197154A (ja) 照光スイッチ
US5099095A (en) Lever switch device
CN101393810A (zh) 独立按压式控制开关
CN221040876U (zh) 开关及电子设备
CN101752765B (zh) 电连接器
CN209747363U (zh) 智能家具功能控制器
JP3606314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
CN215911349U (zh) 一种双重驱动的开关
JP3020252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CN214428516U (zh) 一种led灯键盘开关
KR100476413B1 (ko) 소형 릴레이보드
CN210092495U (zh) 一种具有夜视功能的转换器插座
US5086199A (en) Lever switch
KR200489268Y1 (ko) 벽면 매립 스위치
KR101800730B1 (ko) 일체형 다중 스위치
KR100288383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